KR100773435B1 -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 Google Patents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435B1
KR100773435B1 KR1020070010673A KR20070010673A KR100773435B1 KR 100773435 B1 KR100773435 B1 KR 100773435B1 KR 1020070010673 A KR1020070010673 A KR 1020070010673A KR 20070010673 A KR20070010673 A KR 20070010673A KR 100773435 B1 KR100773435 B1 KR 10077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nnel
wet
wet channel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만
이대영
이훈
강창구
정성욱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07001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435B1/ko
Priority to MYPI20080238A priority patent/MY158155A/en
Priority to JP2009501342A priority patent/JP2009530586A/ja
Priority to PCT/KR2007/001148 priority patent/WO2008041788A1/en
Priority to CN2007800008779A priority patent/CN101346588B/zh
Priority to EP07715548.9A priority patent/EP2078175B1/en
Priority to US11/990,087 priority patent/US2010015445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435B1/ko
Priority to SA8290039A priority patent/SA08290039B1/ar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24Rotary wheel combined with a humid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28Rotary wheel combined with a spray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4Heat exchanger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72Rotary wheel comprising two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84Rotary wheel comprising two flow rotor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채널 및 습채널을 구획하도록 제 1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습채널을 순차적으로 제 1습채널과 제 2습채널로 구획하도록 제 2격벽이 설치되며, 외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제 1습채널의 타단에 외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외기를 배기하도록 상기 제 2습채널의 일단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습채널의 외기를 상기 제 2습채널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2격벽의 측면에 유동구가 형성되고, 공조 공간의 순환 공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건채널의 일단에 순환 공기 흡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조 공간에 냉각 공기를 급기하도록 상기 건채널의 일단에 급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 2격벽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제 1습채널로 유입되는 외기와 상기 제 2습채널을 통해 배기되는 외기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현열교환기와; 상기 제 2습채널 내에서 상기 현열교환기의 후단과 상기 유동구 사이에 설치되고, 온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 2습채널을 통과하는 외기를 고온으로 변화시키는 히팅 코일과; 상기 히팅 코일의 후단과 상기 유동구의 사이에서 상기 제 1격벽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건채널의 순환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여 제습하고, 상기 제 1습채널의 고온 외기로 흡착된 습기를 증발시켜 재생하는 제습 휠; 및 상기 건채널 내에서 상기 순환 공기 급기구와 상기 제습 휠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 휠에 의해 제습되어 고온 건조해진 순환 공기를 냉각시켜 냉각된 순환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급기구로 급기하는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역난방 온수, 소규모 지역난방 온수, 각 세대에 설치된 가스 또는 기름 보일러의 온수를 공급하여 냉방을 수행함으로써 대기압 상태에서 운전이 이루어져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지역난방, 온수, 냉방, 제습, 재생

Description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DEHUMIDIFIED COOLING DEVICE FOR DISTRICT HEA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의 공기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의 습공기선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케이스 120 : 제 1필터
130 : 현열교환기 140 : 히팅 코일
150 : 제습 휠 160 : 배기 송풍기
170 : 제 2필터 180 : 급기 송풍기
190 :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 200 : 직접 증발식 냉각기
본 발명은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역역난 방 온수, 소규모 지역난방 온수, 각 세대에 설치된 가스 또는 기름 보일러의 온수를 공급하여 냉방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고유가 사태가 일시적인 문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유지 고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계주요 에너지 소비국들의 안정적인 에너지 자원 확보노력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배기량 저감을 규정한 도쿄의정서 체제가 발효됨에 따라 화석에너지 사용제한, 에너지 효율기준 등에 대한 국제적 압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03년 가정/상업 부문 에너지 소비량은 연간 5,500만 TOE로 국가 총에너지 소비의 25.2%, 전력량 기준으로는 41.9%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과거 4년간 가정/상업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은 연평균 5.3%, 전력소비량은 연평균 12% 증가하여, 특히 전력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주거용 건물의 월별 에너지소비 변동추이와 에너지 관리대상 비주거용 건물에 대한 표본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추정할 때, 주거용 건물 에너지 소비의 50%, 상업용 건물 에너지 소비의 47%가 냉난방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따라 건물부문 에너지 소비 중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국가 총에너지 소비 대비 13%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 및 국제협약의 준수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가정/상업 부문 공조용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정/상업 부문의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을 위하여 집중된 에너지 생산시설에서 생산된 열과 전기를 주거, 상업지역 내의 다수 사용자에게 일괄적으로 급기하는 집단에너지 사업이 시행 중에 있다. 집단에너지 사업은 발전폐열을 난방 급탕 열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으로 인한 20∼30% 정도의 에너지 절감 효과, 연료사용량 감소 및 집중적인 환경관리로 인한 30∼40% 정도의 대기환경 개선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기후변화협약 등 국제적 환경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사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긍적인 평가에 힘입어, 2003년 현재 120만 호에 지역난방 급기 중이며, 이중 85%가 열병합 발전으로 생산, 급기되고 있으며, 2010년까지 200만 호에 확대 보급될 예정에 있다.
한편 열병합 발전에 의한 전력과 열의 생산비율이 3 : 5 정도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력부하와 열부하의 비율이 어느 정도 적절히 유지되어야 집단에너지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우리나라 동절기의 부하비율은 이러한 조건을 충족할 수 있으나, 하절기에는 전력부하는 상승하는데 반하여 열부하는 거의 없으므로 지역난방의 하절기 운전율이 10% 이하로 감소하며, 이에 따라 열병합 발전의 경제성이 악화되어 실질적으로 2003년 6~9월 사이의 발전실적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다.
집단에너지 급기 설비의 운전율을 제고하여 사업의 효과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하절기 열수요의 발굴이 필요하며, 특히 지역 열급기를 이용한 냉방급기 기술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현재 대형건물 등 수용가측에 흡수식 냉동기를 설치하고, 지역 급기열을 열원으로 하여 중앙냉방 급기하는 기술이 일부 보급되었다.
흡수식 냉동기란 냉매가 증발할 때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배관을 흐르는 물을 냉각시키고, 증발된 냉매를 응축시켜 재사용하는 냉동기이다.
그러나, 이러한 흡수식 냉동기는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나, 열원온도가 낮아 성능 향상에 제한이 있으며, 80℃ 이하의 온도는 사용할 수 없어 환수온도가 높고, 급기/환수 사이의 온도차가 작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역 난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파트 등에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하여 중앙냉방을 급기하기 위해서는 온수급탕 배관과 별도로 냉수 배관을 부가적으로 시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역난방 온수, 소규모 지역난방 온수, 각 세대에 설치된 가스 또는 기름 보일러의 온수를 공급하여 냉방을 수행함으로써 대기압 상태에서 운전이 이루어져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건채널 및 습채널을 구획하도록 제 1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습채널을 순차적으로 제 1습채널과 제 2습채널로 구획하도록 제 2격벽이 설치되며, 외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제 1습채널의 타단에 외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외기를 배기하도록 상기 제 2습채널의 일단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습채널의 외기를 상기 제 2습채널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2격벽의 측면에 유동구가 형성되고, 공조 공간의 순환 공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건채널의 일단에 순환 공기 흡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조 공간의 냉각 공기를 급기하도록 상기 건채널의 일단에 급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 2격벽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제 1습채널로 유입되는 외기와 상기 제 2습채널을 통해 배기되는 외기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현열교환기와; 상기 제 2습채널 내에서 상기 현열교환기의 후단과 상기 유동구 사이에 설치되고, 온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 2습채널을 통과하는 외기를 고온으로 변화시키는 히팅 코일과; 상기 히팅 코일의 후단과 상기 유동구의 사이에서 상기 제 1격벽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건채널의 순환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여 제습하고, 상기 제 1습채널의 고온 외기로 흡착된 습기를 증발시켜 재생하는 제습 휠; 및 상기 건채널 내에서 상기 순환 공기 급기구와 상기 제습 휠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 휠에 의해 제습되어 고온 건조해진 순환 공기를 냉각시켜 냉각된 순환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급기구로 급기하는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건채널 내에서 상기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로부터 배기되는 순환 공기를 2차 냉각시키는 직접 증발식 냉각기를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제 1습채널은 상기 외기 흡기구와 현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1필터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2습채널은 상기 현열교환기와 유동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습채널 내의 외기를 상기 배기구로 강제 배기시키는 배기 송풍기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건채널은 상기 순환 공기 흡기구와 제습 휠 사이에 설치되어 순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2필터와; 상기 제습 휠과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건채널 내의 순환 공기를 상기 순환 공기 급기구로 강제 급기시키는 급기 송풍기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에서 2차 냉각시 발생되는 고온 공기를 배기하는 냉각기용 배기구가 상기 건채널에 더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냉각기용 배기구로 배기되는 고온 공기는 상기 순환 공기의 30%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히팅 코일은 열병합 발전소, 열전용 보일러, 마이크로터빈, 소형 가스 엔진, 소형 가스터빈, 가스 보일러, 기름 보일러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 발생된 온수가 급기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순환 공기 흡기구로 흡기되는 순환 공기는 외기가 70% : 30%의 비율로 혼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100)는, 케이스(110)와, 제 1필터(120)와, 현열교환기(130)와, 히팅 코일(140)과, 제습 휠(150)과, 배기 송풍기(160)와, 제 2필터(170)와, 급기 송풍기(180)와,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와, 직접 증발식 냉각기(200)로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110)는 금속 재질의 사각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건채널(111) 및 습채널(112)을 구획하도록 제 1격벽(113)이 설치되고, 습채널(112)을 순차적으로 제 1습채널(112-1)과 제 2습채널(112-2)로 구획하도록 제 2격벽(114)이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110)은 제 1습채널(112-1)의 타단에 외기 흡기구(115)가 형성되어 외기를 흡기하고, 제 2습채널(112-2)의 일단에 배기구(116)가 형성되어 외기를 배기하며, 제 2격벽(114)의 측면에 유동구(114-1)가 형성되어 제 1습채널(112-1)의 외기를 제 2습채널(112-2)로 전달하고, 건채널(111)의 일단에 순환 공기 흡기구(117)가 형성되어 공조 공간(conditioned space : CS)의 순환 공기를 흡기하며, 건채널(111)의 일단에 급기구(118)가 형성되어 공조 공간(CS)로 냉각 공기를 급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케이스(110)의 건채널(111)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에서 2차 냉각시 발생되는 고온 공기를 배기하는 냉각기용 배기구(119)가 더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순환 공기 흡기구(117)로 흡기되는 순환 공기는 외기가 70% : 30%의 비율로 혼합되어 케이스(110) 내부가 대기압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필터(120)는 케이스(110)의 제 1습채널(112-1)중 외기 흡기구(115)와 현열교환기(130) 사이에 설치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에서, 제 1필터(120)는 항균 필터이고, 케이스(110)에서 교환이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열교환기(130)는 제 2격벽(114)과 동일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131)에 의해 케이스(110)의 제 1습채널(112-1)과 제 2습채널(112-2) 내에서 회전되도록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외기 흡기구(115)를 통해 제 1습채널(112-1)로 유입되는 외기와 제 2습채널(112-2)을 통해 배기구(116)로 배기되는 외기를 상호 열교환시킨다. 여기에서, 현열교환기(130)는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알루미늄 등의 박판을 허니컴형상으로 형성한 디스크 형태이고, 현열교환기(130)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모터 및 벨트(도시 생략)가 구비된다.
또, 히팅 코일(140)은 케이스(110)의 제 1습채널(112-1) 내에서 현열교환기(130)의 후단과 유동구(114-1) 사이에 설치되고, 온수를 공급받아 제 1습채널(112-1)을 통과하는 외기를 고온으로 변화시킨다. 여기에서, 히팅 코일(140)로 공급되는 온수는 열병합 발전소, 열전용 보일러, 마이크로터빈, 소형 가스 엔진, 소형 가스터빈, 가스 보일러, 기름 보일러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 발생된 온수이고, 온수의 온도는 60~120℃ 이내이다.
한편, 제습 휠(150)은 제 1격벽(113)과 동일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151)에 의해 케이스(110)의 제 1습채널(112-1)과 건채널(111) 내에서 회전되도록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히팅 코일(140)의 후단에 설치되어 건채널(111)의 순환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여 제습하고, 제 1습채널(112-1)의 고온 외기로 흡착된 습기를 증발시켜 재생한다. 여기에서, 제습 휠(150)은 건식 흡착방식으로 순환 공기중의 습기를 흡착하도록 실리카겔(silica gel)이나 제올라이트(zeolite) 등의 흡착제를 담지한 허니컴(honeycomb)형상의 디스크 형태이고, 제습 휠(150)을 회전시키는 별도의 모터 및 벨트(도시 생략)가 구비된다.
그리고, 배기 송풍기(160)는 케이스(110)의 제 2습채널(112-2) 내에서 현열 교환기(130)와 유동구(114-1) 사이에 되어 제 2습채널(112-2) 내의 외기를 배기구(116)로 강제 배기시킨다.
또한, 제 2필터(170)는 케이스(110)의 건채널(111)중 순환 공기 흡기구(117)와 제습 휠(150) 사이에 설치되어 순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냄새를 제거한다. 여기에서, 제 2필터(170)는 항균 필터이고, 케이스(110)에서 교환이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급기 송풍기(180)는 케이스(110)의 건채널(111)중 제습 휠(150)의 전단에 설치되어 건채널(111) 내의 순환 공기를 순환 공기 급기구(118)로 강제 급기시킨다.
한편,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는 건채널(111) 내에서 순환 공기 급기구(118)와 제습 휠(150) 사이에 설치되고, 제습 휠(150)에 의해 제습되어 고온 건조해진 건채널(111)의 순환 공기를 냉각시켜 냉각된 순환 공기를 케이스(110)의 순환 공기 급기구(118)로 급기하고, 냉각시 발생하는 고온 공기를 냉각기용 배기구(119)로 배기한다. 여기에서, 냉각기용 배기구(119)로 배기되는 고온 공기의 량 은 순환 공기의 30%이다. 여기에서 또한,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는 내부적으로 별도의 건채널과 습채널의 반복적인 구조로 건채널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가 습채널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습채널 표면에서 물이 증발되어 냉각되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건채널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건채널을 통과하는 공기는 습도 증가 없이 최대 이슬점온도까지 냉각시키는데, 이러한 구성은 국내특허등록 0409265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직접 증발식 냉각기(200)는 케이스(110)의 건채널(111) 내에서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의 전단에 설치되어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로부터 급기되는 순환 공기를 2차 냉각시켜 케이스(110)의 급기구(118)를 통해 공조 공간(CS)으로 급기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의 동작 및 작용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의 공기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의 습공기선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건채널의 제습 냉방 과정을 설명하면, 급기 송풍기(18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고온 다습한 외기와 공조 공간(CS)으로부터 순환되는 순환 공기가 혼합되어 케이스(110)의 순환 공기 흡기구(117)로 흡기되고, 제 2필터(170)를 통과한 다음 제습 휠(150)을 거치면서 순환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흡착 제거된다.
이때, 제습 휠(150)의 표면으로부터 발생되는 흡착열로 인해 온도가 상승되 고, 습기가 제거된 고온 저습의 순환 공기가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를 통과한다.
그러면,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로 통과한 순환 공기는 70%가 냉각되어 통과되고, 30%가 냉각기용 배기구(118)를 통해 배기된다.
그리고,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190)를 통과한 순환 공기는 다시 직접 증발식 냉각기(200)를 통과하면서 2차 냉각되어 케이스(110)의 급기구(118)를 통해 공조 공간(CS)으로 급기된다.
반대로 습채널의 열교환 과정을 설명하면, 배기 송풍기(16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외기 흡기구(113)로 유입된 제 1필터(120)를 통해 제 1습채널(112-1)로 유입된 외기가 현열교환기(130)를 통과하면서 제 2습채널(112-2)의 고온 다습한 외기와 열교환되어 고온 상태로 변화된 상태에서 히팅 코일(140)을 통과한다.
히팅 코일(140)에 공급되는 온수에 의해 히팅 코일(140)을 통과한 외기는 더욱 고온으로 변화되고, 제습 휠(150)로 공급된다.
그러면, 외기는 습기를 흡착 함유한 상태에서 회전되는 제습 휠(150)을 통과하면서 습기를 강제 증발시키고 나서 유동구(114-1)를 통해 제 2습채널(112-2)로 이동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습 휠(150)의 표면은 원래의 건조한 상태로 재생되어 다시 제습능력을 갖게 된다.
제 2습채널(112-2)로 이동된 고온 다습한 외기는 현열교환기(130)를 통과하면서 제 1습채널(112-1)의 외기와 열교환되고, 배기구(116)를 통해 배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는, 순환 공기(①)가 유입될 때, 외기(⑦)와 혼합되면서 혼합 공기(②)의 온도 및 절대 습도가 상승하고, 제습 휠을 통과(②→③의 과정)할 때 온도는 상승되고, 절대 습도는 하강된다.
그리고,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를 통과(③→④의 과정)하면서 온도만이 급격히 하강되고, 직접 증발식 냉각기를 통과(④→⑤의 과정)하면서 온도는 조금 하강되고, 절대 습도는 조금 상승된다.
또한, 외기(⑦)가 유입될 때, 제 1필터를 통과(⑦→⑧의 과정)하면서 온도와 절대 습도는 그대로 유지되고, 현열교환기를 통과(⑧→⑨의 과정)하면서 제 1습채널의 외기(⑪)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도만이 조금 상승되고, 히팅 코일을 통과(⑨→⑩의 과정)할 때 온도만이 상승된다.
그리고, 제습 휠을 통과(⑩→⑪의 과정)할 때 온도는 하강되고, 절대 습도는 상승되고, 제 2습채널의 현열교환기를 통과(⑪→⑫의 과정)하면서 제 1습채널의 외기(⑧)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도만이 조금 하강된 상태로 배기구를 통해 배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는 실내 공급 공기가 제습기와 직접 접촉 방식에 의하여 열 및 물질전달이 일어나므로 전달효율이 상당히 높은 장점이 있고, 60℃ 정도의 저온 열원으로도 냉방을 공급할 수 있으며, 흡수식과 달리 대기압 상태에서 운전되며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므로 생산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에 따르면, 지역역난방 온수, 소규모 지역난방 온수, 각 세대에 설치된 가스 또는 기름 보일러의 온수를 공급하여 냉방을 수행함으로써 대기압 상태에서 운전이 이루어져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건채널 및 습채널을 구획하도록 제 1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습채널을 순차적으로 제 1습채널과 제 2습채널로 구획하도록 제 2격벽이 설치되며, 외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제 1습채널의 타단에 외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외기를 배기하도록 상기 제 2습채널의 일단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습채널의 외기를 상기 제 2습채널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2격벽의 측면에 유동구가 형성되고, 공조 공간의 순환 공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건채널의 일단에 순환 공기 흡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조 공간에 냉각 공기를 급기하도록 상기 건채널의 일단에 급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 2격벽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제 1습채널로 유입되는 외기와 상기 제 2습채널을 통해 배기되는 외기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현열교환기와;
    상기 제 2습채널 내에서 상기 현열교환기의 후단과 상기 유동구 사이에 설치되고, 온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 2습채널을 통과하는 외기를 고온으로 변화시키는 히팅 코일과;
    상기 히팅 코일의 후단과 상기 유동구의 사이에서 상기 제 1격벽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건채널의 순환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여 제습하고, 상기 제 1습채널의 고온 외기로 흡착된 습기를 증발시켜 재생하는 제습 휠; 및
    상기 건채널 내에서 상기 순환 공기 급기구와 상기 제습 휠 사이에 설치되 고, 상기 제습 휠에 의해 제습되어 고온 건조해진 순환 공기를 냉각시켜 냉각된 순환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급기구로 급기하는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채널 내에서 상기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로부터 배기되는 순환 공기를 2차 냉각시키는 직접 증발식 냉각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습채널은,
    상기 외기 흡기구와 현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1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습채널은,
    상기 현열교환기와 유동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습채널 내의 외기를 상기 배기구로 강제 배기시키는 배기 송풍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채널은,
    상기 순환 공기 흡기구와 제습 휠 사이에 설치되어 순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2필터와;
    상기 제습 휠과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건채널 내의 순환 공기를 상기 순환 공기 급기구로 강제 급기시키는 급기 송풍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에서 2차 냉각시 발생되는 고온 공기를 배기하는 냉각기용 배기구가 상기 건채널에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용 배기구로 배기되는 고온 공기는,
    상기 순환 공기의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코일은,
    열병합 발전소, 열전용 보일러, 마이크로터빈, 소형 가스 엔진, 소형 가스터빈, 가스 보일러, 기름 보일러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 발생된 온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공기 흡기구로 흡기되는 순환 공기는,
    외기가 일정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비율은,
    순환 공기와 외기가 70% : 30%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KR1020070010673A 2007-02-01 2007-02-01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KR100773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673A KR100773435B1 (ko) 2007-02-01 2007-02-01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MYPI20080238A MY158155A (en) 2007-02-01 2007-03-08 Dehumidifying cooling device for district heating
JP2009501342A JP2009530586A (ja) 2007-02-01 2007-03-08 地域暖房用除湿冷房装置
PCT/KR2007/001148 WO2008041788A1 (en) 2007-02-01 2007-03-08 Dehumidifying cooling device for district heating
CN2007800008779A CN101346588B (zh) 2007-02-01 2007-03-08 用于集中供热系统的除湿冷却装置
EP07715548.9A EP2078175B1 (en) 2007-02-01 2007-03-08 Dehumidifying cooling device for district heating
US11/990,087 US20100154455A1 (en) 2007-02-01 2007-03-08 Dehumidifying Cooling Device for District Heating
SA8290039A SA08290039B1 (ar) 2007-02-01 2008-01-30 وسيلة تبريد مخفضة للرطوبة لتدفئة نطاقي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673A KR100773435B1 (ko) 2007-02-01 2007-02-01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435B1 true KR100773435B1 (ko) 2007-11-05

Family

ID=3906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673A KR100773435B1 (ko) 2007-02-01 2007-02-01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154455A1 (ko)
EP (1) EP2078175B1 (ko)
JP (1) JP2009530586A (ko)
KR (1) KR100773435B1 (ko)
CN (1) CN101346588B (ko)
MY (1) MY158155A (ko)
SA (1) SA08290039B1 (ko)
WO (1) WO2008041788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10A2 (ko) * 2011-04-27 2012-11-0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하이브리드 냉방 장치
KR101445378B1 (ko) * 2012-08-24 2014-09-29 한라엔컴 주식회사 제습 냉방 장치
KR101436613B1 (ko) * 2013-10-29 2014-11-05 한국지역난방공사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
CN106568141A (zh) * 2016-10-26 2017-04-19 海英荷普曼船舶设备(常熟)有限公司 部分回风与全热回收转轮联合空调处理装置
US10240807B2 (en) 2014-11-24 2019-03-2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siccant cooling system
CN112443944A (zh) * 2019-08-28 2021-03-0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加湿装置的方法、加湿装置、空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72502B (zh) * 2009-06-19 2012-06-06 上海天菡空气处理设备有限公司 热泵再生加热型节能除湿机的系统
US9038409B2 (en) * 2009-09-21 2015-05-26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Apparatus for treating air by using porous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as an absorbent
CH704367A1 (de) * 2011-01-18 2012-07-31 Alstom Technology Lt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raftwerksanlage sowie Gasturbinen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103047795B (zh) * 2012-12-27 2015-04-15 深圳市奥宇控制系统有限公司 蒸发制冷系统
WO2015170861A1 (ko) * 2014-05-07 2015-11-1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제습냉방운전을 고려한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WO2015192249A1 (en) 2014-06-20 2015-12-23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ditions in enclosed space
EP3295088B1 (en) 2015-05-15 2022-01-12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Using liquid to air membrane energy exchanger for liquid cooling
CN105135467A (zh) * 2015-09-25 2015-12-09 无锡市华通电力设备有限公司 抽屉式暖风器
US10834855B2 (en) 2016-01-08 2020-11-10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Integrated make-up air system in 100% air recirculation system
CN109084356B (zh) * 2018-09-30 2023-11-21 陈连祥 一种需冷工艺介质高温位提取热量循环冷却的集中供热系统
JP6881623B1 (ja) * 2020-01-20 2021-06-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空調機
CN112728661B (zh) * 2021-01-20 2022-12-27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双转轮调湿装置及具有其的空调系统及控制方法和控制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622A (ko) * 1992-10-21 1994-05-20 이완근 공기조화시스템
KR200197787Y1 (ko) 2000-04-28 2000-09-15 주식회사유한프랜트 폐열 회수식 냉방장치에 적합한 가습 겸용 냉난방 장치
JP2002286250A (ja) 2001-03-26 2002-10-03 Matsushita Seiko Co Ltd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KR100550575B1 (ko) 2004-08-17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3512A (en) * 1970-09-22 1972-06-27 Allen Bradley Co Servo amplifier
YU45426B (en) * 1986-07-09 1992-05-28 Od Inzh Str Inst Device for indirect vapourisive air cooling inside a building
US5170633A (en) * 1991-06-24 1992-12-15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Desiccant based air conditioning system
US5758509A (en) * 1995-12-21 1998-06-02 Ebara Corporation Absorption heat pump and desiccant assisted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5660048A (en) * 1996-02-16 1997-08-26 Laroche Industries, Inc.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oling warm moisture-laden air
JP2791947B2 (ja) * 1996-05-31 1998-08-27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熱交換式除湿装置
US6029467A (en) * 1996-08-13 2000-02-29 Moratalla; Jose M. Apparatus for regenerating desiccants in a closed cycle
JP2968232B2 (ja) * 1997-04-11 1999-10-2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2968241B2 (ja) * 1997-10-24 1999-10-2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除湿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H11197439A (ja) * 1998-01-14 1999-07-27 Ebara Corp 除湿空調装置
JPH11262621A (ja) * 1998-03-17 1999-09-28 Ebara Corp 除湿空調装置
JP3078280B1 (ja) * 1999-05-28 2000-08-21 株式会社ア−スクリ−ン東北 省エネ空調方法とその装置及び使用方法
JP2002013759A (ja) * 2000-06-28 2002-01-18 Earth Clean Tohoku:Kk デシカント空調方法
KR100409265B1 (ko) * 2001-01-17 2003-12-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생형 증발식 냉방기
JP2003130391A (ja) * 2001-10-18 2003-05-0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3857123B2 (ja) * 2001-12-14 2006-12-13 シャープ株式会社 受光アンプ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DE10220631A1 (de) * 2002-05-10 2003-11-20 Loeffler Michael Verfahren zur Sorptionsklimatisierung mit Prozeßführung in einem Wärmetauscher
CN2553289Y (zh) * 2002-05-17 2003-05-28 无锡沙漠除湿设备厂 自循环式转轮除湿机
US6751964B2 (en) * 2002-06-28 2004-06-22 John C. Fischer Desiccant-based dehumid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04069222A (ja) * 2002-08-08 2004-03-04 Matsushita Ecology Systems Co Ltd 換気調湿装置
JP2004085096A (ja) * 2002-08-27 2004-03-18 Univ Waseda ハイブリッド型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CN2594695Y (zh) * 2002-11-22 2003-12-24 浙江省普瑞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除湿机
JP4103563B2 (ja) * 2002-11-29 2008-06-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504503B1 (ko) * 2003-01-14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US6812795B2 (en) * 2003-02-11 2004-11-02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Transimpedance amplifier with feedback resistive network
US6854279B1 (en) * 2003-06-09 2005-02-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ynamic desiccation cooling system for ships
JP2006071168A (ja) * 2004-09-01 2006-03-16 Sanden Corp 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622A (ko) * 1992-10-21 1994-05-20 이완근 공기조화시스템
KR200197787Y1 (ko) 2000-04-28 2000-09-15 주식회사유한프랜트 폐열 회수식 냉방장치에 적합한 가습 겸용 냉난방 장치
JP2002286250A (ja) 2001-03-26 2002-10-03 Matsushita Seiko Co Ltd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KR100550575B1 (ko) 2004-08-17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10A2 (ko) * 2011-04-27 2012-11-0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하이브리드 냉방 장치
WO2012148110A3 (ko) * 2011-04-27 2013-01-0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하이브리드 냉방 장치
KR101445378B1 (ko) * 2012-08-24 2014-09-29 한라엔컴 주식회사 제습 냉방 장치
KR101436613B1 (ko) * 2013-10-29 2014-11-05 한국지역난방공사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
US10240807B2 (en) 2014-11-24 2019-03-2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siccant cooling system
CN106568141A (zh) * 2016-10-26 2017-04-19 海英荷普曼船舶设备(常熟)有限公司 部分回风与全热回收转轮联合空调处理装置
CN112443944A (zh) * 2019-08-28 2021-03-0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加湿装置的方法、加湿装置、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30586A (ja) 2009-08-27
WO2008041788A1 (en) 2008-04-10
SA08290039B1 (ar) 2012-03-24
CN101346588A (zh) 2009-01-14
EP2078175A4 (en) 2013-07-17
EP2078175A1 (en) 2009-07-15
US20100154455A1 (en) 2010-06-24
MY158155A (en) 2016-09-15
CN101346588B (zh) 2010-06-16
EP2078175B1 (en)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435B1 (ko)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KR100773434B1 (ko)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US7305849B2 (en) Sorptive heat exchanger and related cooled sorption process
Waugaman et al. A review of desiccant cooling systems
KR101434563B1 (ko) 데시칸트 공조기
KR20110092773A (ko) 하이브리드 냉방 시스템
WO2012148110A2 (ko) 하이브리드 냉방 장치
CN202719696U (zh) 一种热泵驱动转轮除湿和再生型空气处理机组
CN101118075A (zh) 太阳能驱动的单个转轮两级除湿空调器
CN102705921A (zh) 一种热泵驱动转轮除湿和再生型空气处理机组
CN102635905A (zh) 复合式热泵型低温再生转轮除湿全热回收新风机组
CN102635906A (zh) 热泵再生转轮式全热回收调湿控温新风机组及其控制方法
KR100795101B1 (ko) 제습 장치와 그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 및 시스템
JP6550121B2 (ja) 吸着式ハイブリッド除湿冷房システム
CN102954545B (zh) 具有蓄能效果的太阳能除湿空调系统
JP3131813B2 (ja) 減湿型空気調和装置
CN202648011U (zh) 热泵再生转轮式全热回收调湿控温新风机组
CN102607121A (zh) 热泵型低温再生转轮除湿新风处理机
CN202561928U (zh) 热泵型低温再生转轮除湿新风处理机
CN202648010U (zh) 复合式热泵型低温再生转轮除湿全热回收新风机组
KR101361099B1 (ko) 공동주택 지역냉방을 위한 환기겸용 제습냉방 시스템
JP2002282641A (ja) 除湿空調装置
JP2001330273A (ja) 固体吸湿剤を用いた冷房システム
Ukai et al. Comparison of Performance of Desiccant Air Handling Unit with Solar Thermal System under Various Control Methods
CN117279311A (zh) 一种山洞数据中心间接蒸发冷却固体除湿复合空调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