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251B1 -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251B1
KR100773251B1 KR1020070033504A KR20070033504A KR100773251B1 KR 100773251 B1 KR100773251 B1 KR 100773251B1 KR 1020070033504 A KR1020070033504 A KR 1020070033504A KR 20070033504 A KR20070033504 A KR 20070033504A KR 100773251 B1 KR100773251 B1 KR 100773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protective layer
rooftop slab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영
박선화
최선영
Original Assignee
최낙영
박선화
최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영, 박선화, 최선영 filed Critical 최낙영
Priority to KR102007003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2/00Resin or rubber layer comprising scrap, waste or recycl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슬라브상에 형성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상에 형성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상에 형성되고, 폐타이어칩, 폐우레탄칩, 우레탄칩, 합성고무칩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방수층이 훼손되지 않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옥상방수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방수층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가이드바로 인해 일정높이의 상기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보호층에 스며든 물 등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단열층, 방수층, 보호층

Description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STRUCTURE OF WATERPROOFING FOR ROOFTOP}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보호층의 저부에 형성되는 배수홈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가이드바와 충진층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방수층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바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충진층에 형성되는 배수홈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옥상슬라브, 7; 패널,
10; 단열층, 30; 방수층,
30a; 경사면, 30b; 홈,
50; 보호층, 50a, 55a; 배수홈,
53; 가이드바, 55; 충진층.
본 발명은 외력 등에 의해 방수층이 훼손되지 않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옥상방수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방수층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가이드바로 인해 일정높이의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보호층에 스며든 물 등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게 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방수공법으로는 비노출식 방수공법과 노출식 방수공법이 있으며, 비노출식 방수공법은 기존 옥상슬라브의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시공된 방수층, 단열재 및 보호 콘크리트를 제거한 후 동일한 과정으로 방수층, 단열재 및 보호 콘크리트 순으로 재시공하는 공법이고, 노출식 방수공법은 기존의 방수층, 단열재 및 보호 콘크리트를 제거한 후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단열재, 보호 콘크리트 및 방수층의 순서로 시공하는 공법이다.
이중 노출식 방수공법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방수층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외력 등에 의해 상기 방수층이 훼손, 즉 벗겨질 우려가 다분하여 효율적으로 옥상방수를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외력 등에 의해 방수층이 훼손되지 않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옥상방수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방수층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가이드바로 인해 일정높이의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보호층에 스며든 물 등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게 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슬라브상에 형성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상에 형성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상에 형성되고, 폐타이어칩, 폐우레탄칩, 우레탄칩, 합성고무칩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10~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방수층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 사이에 충진되어 형성되고, 폐타이어칩, 폐우레탄칩, 우레탄칩, 합성고무칩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이루어진 충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바는 "#" 또는 "H"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의 저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수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단열층 및 상기 방수층은 임의로 형성된 복수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은 보강섬유가 함유된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상에 형성되는 방수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보호층(50)의 저부에 형성되는 배수홈(50a)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단열층(10), 방수층(30), 보호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단열층(10)은 외부의 열기가 옥상슬라브(5)를 지나 주택 등의 건물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옥상슬라브(5)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층(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옥상슬라브(5)상에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예로 상기 옥상슬라브(5)상에 발포성수지를 분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옥상슬라브(5)상에 상기 단열층(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층(10)의 형상 및 구조는 반드시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방수층(30)은 상기 단열층(10)으로 물 등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층(10)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층(30)으로써 우레탄 수지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상기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열층(10)으로 물 등이 스며드는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수층(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열층(10)상에 형성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층(50)은 상기 방수층(3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써, 폐타이어칩, 폐우레탄칩, 우레탄칩, 합성고무칩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이루어져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층(10)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층(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폐타이어칩, 폐우레탄칩, 우레탄칩, 합성고무칩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호층(50)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임을 밝히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50)이 상기 방수층(30)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호층(50)의 두께가 10~50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보호층(50)의 두께가 10m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보호층(50)의 보호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어 상기 보호층(50)이 안전하게 상기 방수층(30)을 보호하기가 여의치 않게 되고, 반면에 상기 보호층(50)의 두께가 50mm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보호층(50)의 보호기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으나 무게가 무거워짐과 동시에 시공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층(50)이 상기 방수층(30)을 보호하게 됨으로써, 종래처럼 외력 등에 의해 상기 방수층(30)이 훼손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보다 효율적으로 옥상방수를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호층(50)의 저부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홈(50a)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단, 상기 배수홈(50a)의 형상은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층(50)의 저부에 일정한 간격을 배수홈(50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호층(50)에 스며든 물 등이 상기 배수홈(50a)을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보호층(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방수층(30)상에 형성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3은 가이드바(53)와 충진층(55)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50)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방수층(30)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바(53)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충진층(55)에 형성되는 배수홈(55a)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층(5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30)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바(53)와; 상기 가이드바(53) 사이에 충진되어 형성되고, 폐타이어칩, 폐우레탄칩, 우레탄칩, 합성고무칩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이루어진 충진층(5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바(53)는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충진층(55) 역시 바람직하게는 폐타이어칩, 폐우레탄칩, 우레탄칩, 합성고무칩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나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30)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바(53)는 도 3의 a,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30)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53) 사이에 상기 충진층(55)이 충진됨으로써, 상기 방수층(30)상에 상기 보호층(50)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층(30)상에 일정높이의 상기 가이드바(53)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도 3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30)상에 일정한 높이의 상기 보호층(50)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바(53)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 또는 "H"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53)가 "#" 또는 "H"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보호층(50)의 두께가 균일하게 깔릴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충진충(55)에 하자가 발생할 시 하자가 발생된 상기 충진충(55)만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상기 보호층(50)의 보수를 행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신율조절로 인한 상기 보호층(50)의 간격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바(53) 사이에 형성되는 칸마다 상기 충진층(55)을 충진시켜 상기 보호층(50)을 형성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충진층(55)의 수량을 정확히 파악하여 필요한 양만큼의 상기 보호층을(50)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보호층(50)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 또한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53)와 상기 충진층(55)상에도 상기 배수홈(55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바(53)와 상기 충진층(55)에 스며든 물 등이 상기 배수홈(55a)을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53)와 상기 충진층(55)의 형상 및 구조는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단열층(10)과 상기 방수층(30)은 일실시예와 달리 임의로 형성된 복수의 패널(7)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패널(7)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강섬유가 함유된 단열층(10)과; 상기 단열층(10)상에 형성되는 방수층(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층(30)의 상부 양측에는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30a)이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패널(7)은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옥상슬라브(5)상에 다수개로 연결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패널(7)이 상기 옥상슬라브(5)상에 다수개로 연결형성될 시 상기 방수층(30)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경사면(30a)으로 인해 상기 방수층 사이에 V자 형상의 홈(30b)이 형성된다.
여기서, 실리콘계 방수처리제 등을 사용하여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홈(30b)을 방수처리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홈(30b)의 형상이 V자인 관계로 상기 방수처리제와 상기 홈(30b)의 접촉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홈(30b)을 방수처리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방수층(30)의 방수기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열층(10)과 상기 방수층(30)이 임의로 형성된 상기 복수의 패널(7)로 형성됨으로써, 강도가 보다 강해짐과 더불어 표면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상기 옥상슬라브(5)로 인해 상기 복수의 패널(7)이 파손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30)상에 앞서 상술한 상기 보호층(5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방수층(30)이 외력에 의해 훼손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보호층(50)의 표면에 우레탄 페인트등을 칠하여 상기 보호층(50)의 표면을 보호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보호층(50)상에 상도마감을 추가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보호층이 상기 방수층을 보호하게 됨으로써, 종래처럼 외력 등에 의해 상기 방수층이 훼손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보다 효율적으로 옥상방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보호층의 두께가 10~50mm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보호층이 상기 방수층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을 이루는 상기 가이드바로 인해 상기 방수층상에 일정높이의 상기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가 "#" 또는 "H"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보호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깔릴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충진충에 하자가 발생할 시 하자가 발생된 상기 충진충만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상기 보호층의 보수를 행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신율조절로 인한 상기 보호층의 간격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바 사이에 형성되는 칸마다 상기 충진층을 충진시켜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충진층의 수량을 정확히 파악하여 필요한 양만큼의 상기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보호층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보호층의 저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수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호층에 스며든 물 등이 상기 배수홈을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층과 상기 방수층이 임의로 형성된 상기 복수의 패널로 형성됨으로써, 강도가 보다 강해지기 때문에 표면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상기 옥상슬라브로 인해 상기 복수의 패널이 파손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6)

  1. 건물의 옥상슬라브상에 형성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상에 형성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상에 형성되고, 폐타이어칩, 폐우레탄칩, 우레탄칩, 합성고무칩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10~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방수층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 사이에 충진되어 형성되고, 폐타이어칩, 폐우레탄칩, 우레탄칩, 합성고무칩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이루어진 충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 또는 "H"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저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 및 상기 방수층은 임의로 형성된 복수의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널은 보강섬유가 함유된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상에 형성되는 방수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KR1020070033504A 2007-04-04 2007-04-04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KR100773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504A KR100773251B1 (ko) 2007-04-04 2007-04-04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504A KR100773251B1 (ko) 2007-04-04 2007-04-04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251B1 true KR100773251B1 (ko) 2007-11-05

Family

ID=3906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504A KR100773251B1 (ko) 2007-04-04 2007-04-04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25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729B1 (ko) 구조물의 크랙 보수 공법
KR101368711B1 (ko) 건물 위 옥상에서 단열, 방수 및 방근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수, 방근공법
KR20060097293A (ko)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주입보수보강 방법
KR100539333B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KR100773251B1 (ko)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KR100732473B1 (ko) 아연도금시트를 이용한 우레탄 도막 방수방법
JP5798877B2 (ja) 橋桁端部の電気防食方法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CN204662742U (zh) 一种坡屋顶活动式面层施工结构
KR101742919B1 (ko)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KR20120097091A (ko) 옥상 바닥의 누수 방지용 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706753B2 (ja) 橋桁端部の電気防食方法
KR102289402B1 (ko) 외단열 방수복합 패널, 외단열 방수복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11157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단열 및 보호 패널
KR20100128405A (ko) 교량 상판의 차수 방법 및 구조
CN211523107U (zh) 一种结构板渗透分层撑补结构
RU2011121365A (ru) Композиция полимерной ткан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KR102461838B1 (ko) 건물옥상 바닥의 방수 시공 방법
KR20140046806A (ko) 방수층 크랙방지 시공법 및 크랙방지 방수층
CN103362146A (zh) 一种水泥板防水保护层施工方法
KR101557941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KR102086786B1 (ko) 금속패널과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저수조의 내부보강방법
KR102153438B1 (ko)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
KR101593998B1 (ko) 신축이음장치 보수시설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1476245B1 (ko) 구조물에 설치된 신축이음의 보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