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559B1 - 전동식 때밀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때밀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559B1
KR100771559B1 KR1020060128295A KR20060128295A KR100771559B1 KR 100771559 B1 KR100771559 B1 KR 100771559B1 KR 1020060128295 A KR1020060128295 A KR 1020060128295A KR 20060128295 A KR20060128295 A KR 20060128295A KR 100771559 B1 KR100771559 B1 KR 10077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case
plat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20060128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3Control means thereof mechanically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때밀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신체의 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하 왕복 이동하는 때밀이구를 구비한 전동식 때밀이 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지니며 지면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왕복 이동하는 승강판을 내장하고 상기 승강판과 일체로 상하 왕복 이동하는 케이스; 상기 승강판에 장착되어 정역회전하는 제1 구동모터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와 결합한 승강판을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판에 장착되는 제2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전면에 내측으로 관통 연결된 가이드통을 통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장착된 상기 때밀이구를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케이스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2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2 구동모터의 개별 또는 동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면서 깨끗하게 전신의 때를 밀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때밀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지대, 승강판, 케이스, 구동모터, 볼조인트, 때밀이구, 링크부재

Description

전동식 때밀이 장치{Motor removal device for waste product of body}
도 1은 종래기술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때밀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때밀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지대 110...기어이
200...케이스 210...승강판
220...가이드통 300...승강수단
310...제1 구동모터 320...피니언
340...연결봉 360...종동기어
380...주동기어 400...때밀이구
410...때밀이판 420...몸체
500...구동수단 510...제2 구동모터
520...원판 540...볼조인트
550...링크 560...링크부재
600...제어수단 700...절첩관
본 발명은 전동식 때밀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때밀이구 및 케이스가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상하 왕복 이동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동작의 수행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면서 깨끗하게 전신의 때를 밀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때밀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중 목욕탕이나 사우나 등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자동으로 때를 제거하는 수많은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도 1(a)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99234호의 "자동 때밀이 장치"(이하 '선행기술 1')와, 도 1(b)의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320360호의 "자동 때밀이 장치"(이하 '선행기술 2')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우선, 상기 선행기술 1은 프레임(12)의 상(11)판과 하판(10) 사이에 입설된 회전스크류(20)에 상하 왕복 이동이 가능한 승강판(21)을 연결하고, 상기 승강판(21)의 전방측에는 회전모터(24)로 구동하는 때밀이구(30)를 탈착 결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 2는 된 승강 이동하는 프레임(10) 내부의 받침판(11)상에 모터(12)의 동력이 감속기(13)를 거쳐 상하 이중으로 설치된 하부캠(14)과 상부캠(15)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게 동력전달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캠(14)에 접지되는 하부로울러(18)는 힌지(24)에 의해 결합된 작동판(23)에 의해 각운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작동판(23)은 가이드봉(20)에 승강가능하게 홀딩된 승강구(21) 하단에 설치되어 하부캠(14)의 작동으로 틸팅(tilting) 기능과 동시에 승강할 수 있게 하여 승강구(21)가 작동되는 가이드봉(20)의 가장자리측에 설치된 접지대(27)의 중앙에는 때밀이구(22)가 취부된 승강구(21)가 승강과 틸팅의 기능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때밀이구의 동작이 단순 회전 및 상하 이동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신체의 때를 골고루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단순 회전으로 인하여 신체에 장시간 접촉시 찰과상 등의 부상을 입을 우려까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2는 때밀이구의 작동에 필요한 구성부품의 개수가 너무 많아 제작에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그 구조적인 복잡성으로 인하여 고장 발생시 고장 개소의 확인이나 즉각적인 수리 등의 대처 자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2은 불필요한 구성부품의 증가로 인하여 제조 비용 및 시간의 증가가 불가피하여 대량 생산 및 보급화가 원천적으로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다 정밀한 동작으로써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면서 깨끗하게 전신의 때를 밀 수 있 도록 한 전동식 때밀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불필요한 부품이 필요없이 간단한 구성으로도 복잡한 고가품과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며, 고장 발생 개소의 확인 및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한 전동식 때밀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왕복 이동하는 때밀이구를 구비한 전동식 때밀이 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지니며 지면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왕복 이동하는 승강판을 내장하고 상기 승강판과 일체로 상하 왕복 이동하는 케이스; 상기 승강판에 장착되어 정역회전하는 제1 구동모터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와 결합한 승강판을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판에 장착되는 제2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전면에 내측으로 관통 연결된 가이드통을 통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장착된 상기 때밀이구를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케이스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2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2 구동모터의 개별 또는 동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때밀이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면에 때밀이판(410)이 노출된 때밀이구(400) 가 장착된 케이스(200)가 지면과 수직하게 장착된 지지대(100)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200) 일측에는 제어수단(600)의 온/오프 전원스위치(610) 및 조작 버튼(620, 620')이 배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미설명 부호로, 120은 상기 지지대(100)가 장착되며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를, 700은 기밀 또는 방수를 위한 절첩관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때밀이 장치의 각 구성부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때밀이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로, 도 3(a)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3(b)는 도 3(a)의 A 시점에서 바라본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지면에 장착되는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여 상하 왕복 이동하는 케이스(200), 상기 케이스(200)를 상하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수단(300), 상기 케이스(200) 전면의 때밀이구(400)를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수단(500) 및 제어수단(6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대(100)는 일정 길이를 지니며 지면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바 형상이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이(110)가 다수개 형성된 랙기어의 형태로 된 것이다.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지지대(100)와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왕복 이동하는 승강판(210)이 내장되고, 상기 승강판(210)과 일체로 상하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전면에는 내측으로 관통 연결된 가이드통(220)이 상기 케이스(200)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0) 내측의 후면, 즉 상기 지지대(100)와 접하는 부위에는 상기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100)에 의한 상하 왕복 이동의 정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120) 상에는 상기 지지대(100)와는 별도로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와 수직을 이루는 가이드봉(130)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봉(130)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200)의 내측 전면에는 가이드관(230)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봉(130)이 가이드관(23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200)의 보다 확실한 지지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승강판(210)에 장착되어 정역회전하는 제1 구동모터(310)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100)와 결합한 승강판(210)을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승강수단(300)은 크게, 피니언(320), 연결봉(340), 종동기어(360) 및 주동기어(38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피니언(320)은 승강판(210) 양측에 상기 지지대(100)의 기어이(110)와 결합하여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이며, 상기 피니언(320)은 한 쌍의 상기 지지대(100)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340)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와 결합하는 한 쌍의 피니언(320)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피니언(320)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이며, 상기 연결봉(340) 상에 종동기어(360)가 장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주동기어(380)는 상기 승강판(210)에 장착되는 제1 구동모터(310)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종동기어(360)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구동모터(310)의 정역회전 구동력이 상기 주동기어(380)를 통해 종동기어(360)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피니언(320)이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구동수단(500)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때밀이구(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0) 외측 상방으로 절곡하여 노출되는 때밀이판(410)과, 상기 때밀이판(420)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통(220)을 통하여 왕복 이동하는 몸체(42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때밀이구(400)는 몸체(420)에서 상기 때밀이판(420)으로 이어지는 형상을 인체의 손에 가깝게 제작하되,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구성이 강한 소재로 뼈대를 제작한 다음, 신체에 닿는 느낌에 있어서 이물감을 전혀 느끼지 않도록 상기 뼈대에 실리콘과 같이 탄성이 있으며 플렉시블한 소재로 외피를 입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때밀이구(400)의 때밀이판(410)에 때밀이 타월(미도시)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때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때밀이구(400)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때밀이구(400)와 가이드통(220) 입구에 장착되며, 신축 및 굴곡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고 방수성 및 내부식성이 뛰어난 소재로 제작된 절첩관(700)에 의하여 신축 및 굴곡을 허용하면서 방 수 또는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500)은 상기 승강판(210)에 장착되는 제2 구동모터(510)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통(220)을 통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장착된 상기 때밀이구(400)를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500)은 크게 원판(520), 볼조인트(540) 및 링크부재(5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판(520)은 제2 구동모터(510)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볼조인트(540)는 보다 부드러운 동작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원판(520) 상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전방향으로의 굴곡을 허용하면서 크랭크 운동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볼조인트(540)는 공지의 것으로, 상기 원판(520)에 나사 결합 등으로 체결된 결합부(542, 도 3(b)의 점선 표시부)의 단부에 동물의 관절을 응용한 볼(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볼과 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본체(544)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544) 단부에 후술할 링크부재(560)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560)는 상기 때밀이구(400)의 타단, 즉 몸체(420)와 상기 볼조인트(540) 상호간을 링크(550)로 결합하여 상기 때밀이구(400)가 가이드통(220)을 통하여 왕복 이동함에 따른 굴곡을 허용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상기 때밀이구(400)는 회전하는 상기 제2 구동모터(510)의 원판(520)에 장착된 볼조인트(540) 및 링크부재(560)가 변환하는 왕복 직선 운동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00)와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며 사용자의 신체를 일정압력으로 누르듯이 밀어 올리고 내리면서 때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600, 이하 도 2 참고)은 상기 케이스(200)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2 구동모터(310, 510)를 각각 가동하도록 또는 동시에 가동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수단(600)은 온/오프 전원스위치(610) 및 제1, 2 구동모터용 조작버튼(620, 620')과 함께, 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2 구동모터(310, 51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CPU 컨트롤러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CPU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구동모터(310)의 정역회전과 온/오프 동작 및 제2 구동모터(510)의 온/오프 동작을 각각 조작하며, 예를 들어 상기 CPU 컨트롤러로 미리 설정해 둔 상기 제1 구동모터(310)의 회전수만큼 상기 제1 구동모터(310) 구동축을 정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케이스(200)를 지지대(100)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CPU 컨트롤러는 상기 지지대(100)를 따라 승강 왕복운동하는 상기 케이스(200)의 승강 거리 또한 조작된 설정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신체 각 부위의 다양한 상하 방향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때밀이 장치의 작동 실시예를 도 4와 같이 도시한다.
참고로, 는 제1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케이스의 승강 이동하는 작동 상태를, 도 4(c) 내지 도 4(e)는 제2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때밀이구의 작동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4에 표시되지 않은 도면번호 및 도시되지 않은 구성부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제1 구동모터(310)의 구동에 의한 케이스(200) 자체의 지지대(100) 길이방향으로 실시되는 승강 왕복 운동만으로 신체의 때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4(c) 내지 도 4(e)와 같이 제2 구동모터(510)의 구동에 의한 케이스(100) 전면의 가이드통(220) 형성방향으로 실시되는 왕복 운동만으로도 신체의 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동작과 도 4(c) 내지 도 4(e)에 도시된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보다 정밀하고 사람이 행하는 것과 근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써, 사용자가 목덜미 또는 종아리와 같이 신체에서 좁은 부위의 때를 제거하고자 할 때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상기 케이스(200)를 제어수단(600)의 조작을 통해 제1 구동모터(310)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켜 소망하는 위치에 정지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제2 구동모터(510)과 연결된 때밀이구(400)에 신체를 접촉시키고 도 4(c) 내지 도 4(e)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600)의 조작을 통해 제2 구동모터(510)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200)의 가이드통(220)을 통하여 때밀이구(400)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좁은 부위의 때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가슴, 배 또는 등과 같이 신체에서 넓은 부위의 때를 제거하고자 할 때는 상기 때밀이구(400)에 신체를 접촉시키고, 제어수단(600)으로 상기 제1, 2 구동모터(310, 510)를 공히 가동시켜 도 4(a) 및 도 4(b)의 동작과, 4(c) 내지 도 4(e)의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넓은 부위의 때를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작동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순서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적절히 조정가능함 또한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때밀이 장치는 도 4와 같은 일련의 동작에 의하여 사람의 손을 신체에 접촉하며 수시 가변적인 압력으로 밀면서 때를 제거하는 것과 같은 동작의 구현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케이스(200)와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는 때밀이구(400) 및 상기 때밀이구(400)의 몸체(420)에서 절곡 형성된 때밀이판(410)의 구조와 함께, 탄성이 있으며 플렉시블한 성질을 지닌 상기 때밀이구(400)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보다 정밀한 동작으로써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면서 깨끗하게 전신의 때를 제거함은 물론, 불필요한 부품이 필요없이 간편한 구성으로도 복잡한 고가품과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며 고장 발생 개소의 확인 및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한 전동식 때밀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랙 기어인 지지대와 결합된 피니언에 의하여 승강 운동하는 케이스의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랙과 피니언의 보다 정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함은 물론, 상기 케이스의 왕복 승강 동작과 함께 상기 케이스 전면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왕복이동하는 때밀이구의 동작의 동시 구현으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면서 사람이 수시 가변적인 압력으로 신체에 손을 접촉하여 밀면서 때를 제거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2 구동모터의 개별 또는 동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에 적극적으로 대응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부품의 개수가 너무 많아 고장 발생 개소의 즉각적인 확인 및 대응이 힘든 종래기술에 비하여 간단한 구성으로도 복잡하고 고가의 종래기술과 동일한 성능 발휘가 가능함은 물론 고장 발생 개소의 확인이 용이하고 수리 및 교체 등의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한 이점이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상하 왕복 이동하는 때밀이구를 구비한 전동식 때밀이 장치에 있어서,
    일정 길이를 지니며 지면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대(100);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 왕복 이동하는 승강판(210)을 내장하고 상기 승강판과 일체로 상하 왕복 이동하는 케이스(200);
    상기 승강판에 장착되어 정역회전하는 제1 구동모터(310)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와 결합한 승강판을 왕복 이동시키는 승강수단(300);
    상기 승강판에 장착되는 제2 구동모터(510)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전면에 내측으로 관통 연결된 가이드통(220)을 통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장착된 상기 때밀이구(400)를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수단(500); 및
    상기 케이스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2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60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2 구동모터의 개별 또는 동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때밀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이(110)가 다수개 형성된 랙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때밀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때밀이구(400)는,
    상기 케이스(200) 외측 상방으로 절곡하여 노출되는 때밀이판(410); 및
    상기 때밀이판(410)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통을 통해 왕복이동하는 몸체(420);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각각 상기 때밀이구와 가이드통 입구에 장착되는 절첩관(700)에 의하여 신축 및 굴곡을 허용하면서 방수 또는 기밀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때밀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승강판(210) 양측에 상기 지지대(100)의 기어이(110)와 결합하여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피니언(320);
    상기 한 쌍의 지지대(100)와 결합하는 한 쌍의 피니언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피니언과 일체로 회전하는 연결봉(340);
    상기 연결봉 상에 장착되는 종동기어(360); 및
    상기 승강판에 장착되는 제1 구동모터(310)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종동기어와 결합하는 주동기어(3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때밀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0)은,
    상기 제2 구동모터(510) 구동축 단부에 장착된 원판(520);
    상기 원판 상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볼조인트(540); 및
    상기 때밀이구 타단과 볼조인트 상호간을 링크(550) 결합하여 굴곡을 허용하는 링크부재(5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때밀이 장치.
KR1020060128295A 2006-12-15 2006-12-15 전동식 때밀이 장치 KR100771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295A KR100771559B1 (ko) 2006-12-15 2006-12-15 전동식 때밀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295A KR100771559B1 (ko) 2006-12-15 2006-12-15 전동식 때밀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559B1 true KR100771559B1 (ko) 2007-10-30

Family

ID=3881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295A KR100771559B1 (ko) 2006-12-15 2006-12-15 전동식 때밀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5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315B1 (ko) 2012-07-13 2013-03-27 나은호 안마기 겸용 자동 때밀이 장치
KR101862932B1 (ko) * 2016-10-12 2018-07-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크럽 세정장치
KR101897913B1 (ko) * 2017-05-30 2018-09-12 김성주 스마트 자동 목욕 시스템
KR102211132B1 (ko) 2019-11-27 2021-02-02 최석재 직립형 전신 세신기
KR102502446B1 (ko) 2022-08-16 2023-02-23 최석재 세신기
KR102522729B1 (ko) 2023-01-03 2023-04-17 최석재 구조 개선된 직립형 전신 세신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781U (ko) * 1996-08-31 1998-06-05 최학구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KR19980055614U (ko) * 1996-12-31 1998-10-07 최학구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KR20010010199A (ko) * 1999-07-16 2001-02-05 김효준 자동 등밀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40518Y1 (ko) * 2001-05-12 2001-10-29 고명화 탄력봉을 이용한 수직왕복형 자동때밀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781U (ko) * 1996-08-31 1998-06-05 최학구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KR19980055614U (ko) * 1996-12-31 1998-10-07 최학구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KR20010010199A (ko) * 1999-07-16 2001-02-05 김효준 자동 등밀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40518Y1 (ko) * 2001-05-12 2001-10-29 고명화 탄력봉을 이용한 수직왕복형 자동때밀이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315B1 (ko) 2012-07-13 2013-03-27 나은호 안마기 겸용 자동 때밀이 장치
KR101862932B1 (ko) * 2016-10-12 2018-07-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크럽 세정장치
KR101897913B1 (ko) * 2017-05-30 2018-09-12 김성주 스마트 자동 목욕 시스템
KR102211132B1 (ko) 2019-11-27 2021-02-02 최석재 직립형 전신 세신기
KR102502446B1 (ko) 2022-08-16 2023-02-23 최석재 세신기
KR102522729B1 (ko) 2023-01-03 2023-04-17 최석재 구조 개선된 직립형 전신 세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559B1 (ko) 전동식 때밀이 장치
CN102363302A (zh) 一种单电机驱动的仿人灵巧手装置
CN105167382A (zh) 智能洗发机器人
EP1048281B1 (en) Massager to be inserted in the back of a massage chair or the like, provided with massage pressure adjustment
CN202292775U (zh) 单电机驱动的仿人灵巧手装置
CN109009971A (zh) 一种具有自动定位功能的智能按摩装置
CN1931075A (zh) 自动洗澡机
KR20100086208A (ko) 로봇
CN107456373A (zh) 一种捶肩装置
CN106456437B (zh) 按摩头和使用该头的按摩设备
CN209019412U (zh) 一种具有自动定位功能的智能按摩装置
CN204712061U (zh) 仿人机械手
CN203815850U (zh) 眼睑按摩眼镜
CN102920579B (zh) 一种按摩器
CN105455382A (zh) 智能洗发机器人后脑清洗装置
KR101521560B1 (ko) 핸드 햅틱 인터페이스 장치
JP2773896B2 (ja) マッサージ機
JP2566275B2 (ja) マッサージ機
KR20040099234A (ko) 자동 때밀이 장치
CN212015413U (zh) 一种可翻转的背部搓洗按摩装置
CN216877304U (zh) 一种感染性疾病防控用消毒装置
CN210797774U (zh) 一种智能马桶的烘干装置
CN217852735U (zh) 清洁机构及清洁设备
CN110621281A (zh) 按摩器
CN211030015U (zh) 两自由度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