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132B1 - 직립형 전신 세신기 - Google Patents

직립형 전신 세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132B1
KR102211132B1 KR1020190154619A KR20190154619A KR102211132B1 KR 102211132 B1 KR102211132 B1 KR 102211132B1 KR 1020190154619 A KR1020190154619 A KR 1020190154619A KR 20190154619 A KR20190154619 A KR 20190154619A KR 102211132 B1 KR102211132 B1 KR 102211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eaning
predetermined
install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재
최송이
Original Assignee
최석재
최송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재, 최송이 filed Critical 최석재
Priority to KR102019015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for washing the back, e.g. ba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3Bristles with at least a core and at least a partial shea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06Brushes for cleaning the hand or the human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이 간단하고, 사용후 세정부를 따로 세척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의 키에 상관없이 원하는 신체부위를 쉽게 세척할 수 있는 직립형 전신 세신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전신 세신기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함침조가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하측에 각각 상, 하부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상, 하부풀리를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의 벨트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풀리는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 상기 벨트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신체와 접촉되는 복수 개의 세정부; 및 상기 설치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립형 전신 세신기{Upright-type Body Washer}
본 발명은 직립형 전신 세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나 목욕을 할 때에 등과 같이 손이 닿지 않는 신체 부위를 혼자서도 쉽게 닦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직립형 전신 세신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혼자 사는 독거노인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각종 봉사단체에서는 독거노인의 생활 개선을 위해 목욕을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욕 서비스는 자원 봉사자가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거주지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따라서 많은 수의 독거노인들에게 원하는 시간에 맞추어 목욕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그럼에도 많은 독거노인들은 이러한 봉사단체의 목욕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고, 따라서 혼자서도 손이 닿지 않는 등을 쉽게 닦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세신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967285호의 자동 샤워장치(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자동 샤워장치(이하 '세신기'라 한다)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살수 노즐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제1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는 볼스크류;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1승강블록; 상기 제1승강블록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승강블록에 구비된 제2구동부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는 가동플레이트에 탄성 지지되는 제1세정부; 상기 제1승강블록의 하단에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제2승강블록; 상기 제2승강블록의 전방에 배치되어 회전 구동이 가능한 제2세정부; 상기 제2승강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제2세정부를 회전 구동하게 되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구동부는, 구동모터;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축 상에서 상기 제2세정부가 선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3구동부의 회전 구동에 의해 일정 원호각 범위 내에서 회전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는 편심 회동자; 상기 편심 회동자의 회전축에서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편심 회동자에 전달하는 크랭크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세신기는 볼스크류를 따라 승강되는 제1, 2 승강블록에 제1, 2 세정부가 설치되고, 이러한 제1, 2 세정부와 맞닿는 신체부위가 세척되도록 하는 것이나, 제1, 2 승강블록을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한 다음, 제1, 2 세정부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이를 독거노인이 혼자서 조작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세척 부위가 달라질 때마다 제1, 2 승강블록의 높이를 다시 조절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제1, 2 세정부에 세척시 발생하는 오염물이 잔존하는 상태로 세척이 지속되므로 세척의 효율이 떨어지고, 목욕이 끝난 후 제1, 2 세정부를 따로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독거노인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등과 같은 신체부위를 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직립형 전신 세신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967285 B1 (2019. 04. 03.) KR 10-0771559 B1 (2007. 10. 24.) KR 10-1606994 B1 (2016. 03. 22.) KR 10-1897913 B1 (2018. 09. 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신 세신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작이 간단하고, 사용후 세정부를 따로 세척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의 키에 상관없이 원하는 신체부위를 쉽게 세척할 수 있는 직립형 전신 세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전신 세신기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함침조가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하측에 각각 상, 하부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상, 하부풀리를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의 벨트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풀리는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 상기 벨트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신체와 접촉되는 복수 개의 세정부; 및 상기 설치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판 일측에 상기 세정부가 내부로 삽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터가 상기 상부풀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풀리의 내측면과 상기 모터의 외측면 사이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풀리가 상기 모터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세정부가 상기 벨트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일단에 조립되는 원판 모양의 설치판; 상기 설치판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세정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세정브러시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일단 쪽으로 테이퍼진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높이를 가지는 설치부를 따라 설치되는 벨트에 세정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음, 모터에 의해 순환 이동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에 따라 세정부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도 적절한 위치의 세정부에 신체가 맞닿도록 하는 것에 의해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을 쉽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세정부가 순환 이동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함침조를 통과하게 되고, 이에 의해 세정부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이 자연스럽게 제거되므로 별도로 세정부를 세척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모터가 상부풀리의 내측에 설치되므로 모터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모터 쪽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전신 세신기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하부풀리가 베이스부의 함침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측면도.
도 11(a, b)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브러시의 예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전신 세신기가 사용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 관통공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작이 간단하고, 사용후 세정부를 따로 세척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의 키에 상관없이 원하는 신체부위를 쉽게 세척할 수 있는 직립형 전신 세신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 설치부(20), 구동부(30), 세정부(40) 및 급수부(5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바닥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설치부(20)가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베이스부(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함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부(10)의 상판(11)에는 사용자가 사용간에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미끄럼 방지돌기(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한 쌍의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세정부(40)가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0)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함침조(12)가 형성되고, 이러한 함침조(12)를 통해 세정부(40)가 후술되는 벨트(35)를 따라 순환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물에 함침되어 세정부(40)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이 제거된다.
이러한 함침조(12)의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마개(13)가 설치되고, 이에 의해 사용후 배수마개(13)를 열고 함침조(12)에 저장된 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함침조(12)의 내부에 물을 저장할 때에는 후술되는 급수부(50)의 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유로를 변경하는 것으로 함침조(12)의 내부에 물이 저장되게 된다.
설치부(20)는 베이스부(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후술되는 구동부(30)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설치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함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설치부(20)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설치공간(21)이 형성되며, 설치부(20)의 전방 쪽(세정부(40)가 설치되는 방향)에는 설치공간(21)과 연통되도록 소정 크기의 절개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설치부(20)의 저면은 설치공간(21)과 연통되도록 개방 형성되고, 이에 의해 후술되는 구동부(30)의 하부풀리(34)가 함침조(12) 내부에 설치된 다음, 벨트(35)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설치부(20)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급수부(50)의 배관(도면부호 없음)이 연결되기 위한 설치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된다.
구동부(30)는 설치부(20)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세정부(40)를 소정 거리의 이동 경로를 따라 순환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동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20)의 설치공간(21)중 상부 쪽에 설치되는 상부풀리(32)와, 상기 상부풀리(32)의 하부 일직선상에 위치되면서 함침조(12)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부풀리(34) 및 상기 상, 하부풀리(32, 34)를 감싸 연결하는 소정 폭의 벨트(35)를 포함한다.
이때 상부풀리(32)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모터(31)가 설치되고, 이러한 모터(31)의 회전축(도면부호 없음)에 상부풀리(32)가 연결되며, 모터(31)의 타측면은 고정브래킷(B)을 통해 설치부(20)의 설치공간(21) 내측벽에 고정된다.
또한, 모터(31)의 외측면과 상부풀리(32)의 내측면 사이에는 소정 지름의 베어링(31A)이 설치되고, 이에 의해 상부풀리(32)가 고정된 모터(3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더해 상부풀리(32)의 일측면에는 원판 모양을 가지면서 소정 지름의 구멍(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는 커버(31B)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고, 이러한 커버(31B)를 통해 베어링(31A)이 위치 이탈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상부풀리(32)와 모터(31) 사이로 물이나 습기 등이 쉽게 유입되지 않게 된다.
위에서는 모터(31)의 회전축에 상부풀리(32)가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모터(31)의 회전축과 상부풀리(32) 사이에 감속기어유닛(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이러한 감속기어유닛을 통해 모터(31)의 회전 속도가 소정 감속비에 맞추어 감속되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풀리(34)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소정 크기를 가지는 설치대(33)가 설치되고, 이러한 설치대(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침조(12)의 내측벽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며, 하부풀리(34)는 설치대(33)에 설치되는 회전축(33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때 하부풀리(34)와 설치대(33) 사이에는 베어링(33B)이 설치되어 하부풀리(34)가 쉽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벨트(35)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설치공(35A)이 형성되고, 이러한 설치공(35A)을 통해 후술되는 세정부(40)의 고정대(41)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동부(30)의 구성을 통해 모터(3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부풀리(32)가 소정 속도로 회전 동작되면서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벨트(35)를 소정 속도로 이송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벨트(35)가 상부풀리(32)와 하부풀리(34)를 따라 함침조(12)를 경유하도록 순환 이송되게 된다.
세정부(40)는 구동부(30)의 벨트(35)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신체의 오염물을 마찰력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세정부(4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35)의 설치공(35A)에 관통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고정대(41)와, 상기 고정대(41)의 일단에 조립되는 원판 모양의 설치판(42) 및 상기 설치판(42)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세정브러시(43)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대(4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판(42)이 설치되는 일단에 근접하여 외측면을 따라 소정 폭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41')이 형성되고, 고정대(41)의 타단에는 원판 모양의 스토퍼(41A)가 고정볼트(41B)를 통해 조립되며, 이러한 걸림턱(41')과 스토퍼(41A)를 통해 벨트(35)의 설치공(35A)에 관통 삽입된 고정대(41)가 위치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이때 고정대(41)가 설치공(35A)에 삽입된 다음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키 또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더 강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설치판(42)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끼움공(42A)이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조립볼트(42B)를 통해 고정대(41)의 일단과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세정브러시(43)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으로 소정 각도의 테이퍼가 형성된 원통 모양의 브러시바디(43A)와, 상기 브러시바디(43A)의 타단에 형성되면서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게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끼움돌기(43B) 및 상기 끼움돌기(43B)의 선단에 구비되면서 끼움돌기(43B)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걸림돌기(43C)를 포함한다.
또한, 브러시바디(43A)에는 외측면을 따라 소정 폭의 마찰돌기(43A')가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마찰돌기(43A')는 브러시바디(43A)의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세정브러시(43)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브러시바디(43A)의 선단 부분이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신체와 세정브러시(43)가 맞닿게 되면 세정브러시(43)가 쉽게 휘어지면서 복수 개의 마찰돌기(43A')가 피부와 탄성력에 의해 밀착 접촉되게 되면서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피부의 오염물이 세정브러시(43)를 통해 쉽게 제거되게 된다.
급수부(50)는 설치부(20)에 설치되어 목욕시 적정의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급수부(50)는 설치부(20)의 설치공간(21)을 따라 배관이 설치된 다음, 플렉시블 호스 등을 이용하여 수도관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수도관을 통해 물이 공급되어 급수부(50)를 통해 토출되게 된다.
이때 급수부(50)의 선단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지름을 가지는 샤워 헤드가 고정 설치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샤워기를 따로 파지하지 않고도 목욕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설치부(20)의 일측면에는 구동부(30)와 급수부(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이러한 제어기를 통해 사용자는 간단한 버튼 및 스위치 조작만으로 구동부(30)의 온오프 및 속도를 조절하며, 급수부(50)의 온수 및 냉수의 전환을 제어하고, 함침조(12)의 내부에 물이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판(11)의 관통공(11A)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브러시(43)의 간격에 맞추어 복수 개의 걸림판(11A')이 더 구비되고, 이러한 걸림판(11A')을 통해 세정브러시(43)는 통과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발이나 세척용품 등이 함침조(12)의 내측으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 높이를 가지는 설치부를 따라 설치되는 벨트에 세정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음, 모터에 의해 순환 이동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에 따라 세정부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도 적절한 위치의 세정부에 신체가 맞닿도록 하는 것으로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을 쉽게 닦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세정부가 순환 이동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함침조를 통과하게 되고, 이에 의해 세정부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이 자연스럽게 제거되므로 별도로 세정부를 세척할 필요가 없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세신기 10: 베이스부
11: 상판 11A: 관통공
11A': 걸림판 12: 함침조
13: 배수마개 20: 설치부
21: 설치공간 22: 절개부
30: 구동부 31: 모터
31A: 베어링 31B: 커버
32: 상부풀리 33: 설치대
33A: 회전축 33B: 베어링
34: 하부풀리 35: 벨트
35A: 설치공 40: 세정부
41: 고정대 41': 걸림턱
41A: 스토퍼 41B: 고정볼트
42: 설치판 42A: 끼움공
42B: 조립볼트 43: 세정브러시
43A: 브러시바디 43A': 마찰돌기
43B: 끼움돌기 43C: 걸림돌기
50: 급수부 B: 고정브래킷

Claims (5)

  1. 내부에 소정 크기의 함침조(12)가 구비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설치부(20);
    상기 설치부(20)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하측에 각각 상, 하부풀리(32, 34)가 설치되고, 상기 상, 하부풀리(32, 34)를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의 벨트(35)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풀리(32)는 모터(31)와 연결되어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30);
    상기 벨트(35)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신체와 접촉되는 복수 개의 세정부(40); 및
    상기 설치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부(50);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상판(11) 일측에는,
    상기 세정부(40)가 내부로 삽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한 쌍의 관통공(11A)이 형성되며,
    상기 함침조(12)의 내부에는,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마개(13)가 구비되고,
    상기 급수부(50)의 배관에는,
    유로를 변경하는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의 유로 변경을 통해 상기 함침조(12)의 내부에 물이 저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세정부(40)는,
    상기 벨트(35)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고정대(41);
    상기 고정대(41)의 일단에 조립되는 원판 모양의 설치판(42);
    상기 설치판(42)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면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테이퍼진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세정브러시(43);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정브러시(43)는,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으로 소정 각도의 테이퍼가 형성된 원통 모양의 브러시바디(43A);
    상기 브러시바디(43A)의 타단에 형성되면서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게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끼움돌기(43B); 및
    상기 끼움돌기(43B)의 선단에 구비되면서 끼움돌기(43B)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걸림돌기(43C);
    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바디(43A)에는,
    외측면을 따라 소정 폭의 마찰돌기(43A')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마찰돌기(43A')가 피부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발생되어 오염물이 제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11A)에는,
    상기 세정브러시(43)의 간격에 맞추어 복수 개의 걸림판(11A')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판(11A')을 통해 상기 세정부(40)가 상기 함침조(12) 쪽으로 통과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발은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전신 세신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31)는,
    상기 상부풀리(32)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풀리(32)의 내측면과 상기 모터(31)의 외측면 사이에 베어링(31A)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풀리(32)가 상기 모터(31)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전신 세신기.
  4. 삭제
  5. 삭제
KR1020190154619A 2019-11-27 2019-11-27 직립형 전신 세신기 KR102211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619A KR102211132B1 (ko) 2019-11-27 2019-11-27 직립형 전신 세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619A KR102211132B1 (ko) 2019-11-27 2019-11-27 직립형 전신 세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132B1 true KR102211132B1 (ko) 2021-02-02

Family

ID=7455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619A KR102211132B1 (ko) 2019-11-27 2019-11-27 직립형 전신 세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446B1 (ko) 2022-08-16 2023-02-23 최석재 세신기
KR102522729B1 (ko) 2023-01-03 2023-04-17 최석재 구조 개선된 직립형 전신 세신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62B1 (ko) * 2006-10-30 2007-10-15 박국철 머리세정기구
KR100771559B1 (ko) 2006-12-15 2007-10-30 김영환 전동식 때밀이 장치
EP2111781A1 (de) * 2008-04-24 2009-10-28 Hans-Peter Raeker Elektrische Bürstenvorrichtung zur Körperpflege und -massage
KR101248315B1 (ko) * 2012-07-13 2013-03-27 나은호 안마기 겸용 자동 때밀이 장치
KR101606994B1 (ko) 2014-06-26 2016-03-29 (주) 대 홍 자동샤워장치
KR101897913B1 (ko) 2017-05-30 2018-09-12 김성주 스마트 자동 목욕 시스템
CN109288434A (zh) * 2018-11-21 2019-02-01 林卡 一种双盘刷自动擦背机
KR101967285B1 (ko) 2018-03-02 2019-04-10 김응진 자동 샤워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862B1 (ko) * 2006-10-30 2007-10-15 박국철 머리세정기구
KR100771559B1 (ko) 2006-12-15 2007-10-30 김영환 전동식 때밀이 장치
EP2111781A1 (de) * 2008-04-24 2009-10-28 Hans-Peter Raeker Elektrische Bürstenvorrichtung zur Körperpflege und -massage
KR101248315B1 (ko) * 2012-07-13 2013-03-27 나은호 안마기 겸용 자동 때밀이 장치
KR101606994B1 (ko) 2014-06-26 2016-03-29 (주) 대 홍 자동샤워장치
KR101897913B1 (ko) 2017-05-30 2018-09-12 김성주 스마트 자동 목욕 시스템
KR101967285B1 (ko) 2018-03-02 2019-04-10 김응진 자동 샤워장치
CN109288434A (zh) * 2018-11-21 2019-02-01 林卡 一种双盘刷自动擦背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446B1 (ko) 2022-08-16 2023-02-23 최석재 세신기
KR102522729B1 (ko) 2023-01-03 2023-04-17 최석재 구조 개선된 직립형 전신 세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132B1 (ko) 직립형 전신 세신기
KR20110056178A (ko) 에어 샤워 장치
US7607443B2 (en) Wash chamber for automated appendage-washing apparatus
KR100700539B1 (ko) 컵 세척 살균 보관기
US20040060107A1 (en) Individually adjustable, automated, whole-body washing apparatus
US20170332849A1 (en) Back-Cleansing Unit
KR101967285B1 (ko) 자동 샤워장치
JP2022508571A (ja) エスカレータの手すりの洗浄装置
KR100846191B1 (ko) 자동샤워 장치
US8419667B2 (en) Electric shower masseuse
US20160375468A1 (en) Self-serve cleaning device
KR20180053847A (ko) 자동 손 세척장치
KR20170024226A (ko) 클렌징 기기
US6141811A (en) Automatic hand washer
CN212382243U (zh) 自动按摩洗头机
KR102522729B1 (ko) 구조 개선된 직립형 전신 세신기
KR101730346B1 (ko) 때밀이장치
CA2221085C (en) Automatic hand washer
RU2742900C9 (ru) Самодезинфицирующаяся ручка
JP2001231705A (ja) 身体洗浄装置
KR100980701B1 (ko) 때밀이 기구
EP0940111A1 (en) Automatic machine for the cleaning especially of the extremities of human limbs
JP6333069B2 (ja) 自動洗髪装置及び入浴装置
KR200411693Y1 (ko) 시트용 살균세척장치를 구비하는 좌변기
KR20040053594A (ko)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