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314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314B1
KR100770314B1 KR1020050091057A KR20050091057A KR100770314B1 KR 100770314 B1 KR100770314 B1 KR 100770314B1 KR 1020050091057 A KR1020050091057 A KR 1020050091057A KR 20050091057 A KR20050091057 A KR 20050091057A KR 100770314 B1 KR100770314 B1 KR 10077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alarm
mobile communication
reserved word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257A (ko
Inventor
정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3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36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약어와 설정기호를 이용하여 알람이나 스케쥴, 단문메시지의 전송을 간편하게 설정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스케쥴의 설정이나, 단문메시지의 전송의 선택을 키패드로 예약어와 설정 기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지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대기 화면에서 사용자가 알람 설정을 의미하는 AR을 입력하고, 다음에 시간설정을 위한 숫자를 입력하고, 다음에 동작 시기를 설정한 설정 기호를 입력하면 간편하게 알람이나 스케쥴이 지정되고, 단문메시지의 작성을 편리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알람, 스케쥴, 단문메시지의 메뉴를 예약어, 숫자, 설정 기호를 이용하여 바로 설정하거나 사용할 수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한다.
알람, 스케쥴, 예약어, 설정기호, 사운드, 날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A method of setting menu using short term for mobile station}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알람을 설정하는 동작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예약어를 이용한 알람 설정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설정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30 : 제어기 32 : 무선부
38 : 키패드 40 : 화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약어와 설정기호를 이용하여 알람이나 스케쥴, 단문메시지의 전송을 간편하게 설정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는 제1세대 아날로그 방식, 제2세대 디지털 방식, 제3세대 IMT-2000과 제 4세대 서비스로 구분하고 있다.
음성 및 단문메세지(SMS)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세대 이후,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은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3세대 기술로 이행하고 있다. 제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2세대(1.8GHz이하)보다 더 높은 대역폭(1.9GHz이상)을 사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 준다. 제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멀티미디어 기술, 음성인식 기술, 휴대전화 위치확인 기술 등과의 접목에 힘입어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개발중인 4세대 이동통신은 현재 저속의 음성 및 패킷 데이터 통신 위주에서 고속 이동 중에 최대 100Mbps, 정지 및 저속 이동 중에 155Mbps~1Gbps까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기반으로 하여 유무선 통합에 의한 진정한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데 있다. 4세대 이동통신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유비쿼터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의 실현에 있다. 이를 위해 2G, 3G 셀룰러 시스템, WLAN, WMAN, WPAN 등 다양한 무선망을 하나의 IP 코어 네크워크(Core Network)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컨버전스(Network Convergence), 이종망간 인터워킹(Interworking)과 시임리스 컨넥션(Seamless connection), 하이 데이타 레이트(High data rate) 지원, 멀티 모드 멀티 밴드(Multi-mode multi-band)의 지원을 4G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요 특징으로 예상된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알람을 설정하는 것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알람이나 스케쥴을 설정하는 것은 다양한 기능이 있는 여러 가지의 메뉴 화면에서 알람 기능이 있는 메뉴를 선택을 하고, 화면이 표시되면, 시간, 소리, 동작시기 등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을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알람을 설정하는 데에는 3번 정도의 화면이 바뀌고, 약 1 분 정도의 시간을 소요되면서 사용자가 설정한다.
또한, 단문메시지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단문메시지 전송 메뉴를 선택을 하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으로 알람 설정과 마찬가지로 수단계를 거쳐서 전송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알람을 설정하여 사용하는 동작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여러 메뉴에서 알람 설정이 있는 메뉴를 찾아서 선택하고, 해당 메뉴에서 사용자는 알람 동작시간, 알람 사운드와 동작 시기 등을 직접 입력하여 설정한다(S20~S24).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통화 이외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 알람으로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여러 단계를 거쳐서 알람과 스케쥴을 설정하던 것 보다 더 편리하고 기능이 우수한 서비스를 기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스케쥴의 설정이나, 단문메시지의 전송의 선택을 키패드로 예약어와 설정 기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지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대기 화면에서 사용자가 알람 설정을 의미하는 AR을 입력하고, 다음에 시간설정을 위한 숫자를 입력하고, 다음에 동작 시기를 설정한 설정 기호를 입력하면 간편하게 알람이나 스케쥴이 지정되고, 단문메시지의 작성을 편리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알람이나 스케쥴을 설정시에 설정 기호를 이용하여 알람이나 스케쥴의 사운드와 날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로 대기화면시에 예약어를 입력하면 제어기에서 상기 예약어에 해당하는 메뉴를 실행시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1단계와, 상기 예약어의 입력후에 사용자가 지정할 시간 등을 지정하는 숫자를 입력하면 상기 메뉴에 상기 숫자로 지정되는 2단계와, 상기 숫자를 입력 후에 설정기호를 입력하면 상기 메뉴의 동작 시기가 지정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3단계에서 상기 설정 기호 대신에 날짜를 입력하여 동작시기를 지정하는 단계와, 설정기호를 입력한 후에 동작 사운드를 입력하여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예약어는 알람 설정, 스케쥴 설정, 단문메시지 작성에 관한 예약어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설정기호는 *, #, 특수문자, 숫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고, 도 3은 예약어를 이용한 알람 설정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설정 순서도이다.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제어기(30), 무선부(32), 안테나(34)와 메모리(36), 키패드(38), 화면부(40), 마이크스피커(42)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기(30)에는 CPU, 보코더 등이 내장되며, 제어기(30)는 송수신되는 신호의 전달을 위한 변조와 복조를 처리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전압 제어분배, 프로토콜 처리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키패드(38)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과 숫자 등을 입력하고, 기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입력수단이며, 마이크스피커(42)는 음성을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하며 코덱과 연결된다.
무선부(32)는 무선으로 고주파의 통화신호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처리하 며, 안테나(34)는 무선(air)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도록 하여 무선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나 다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부(32)에는 송수신 주파수를 분리하여 안테나(34)로 전송하고 수신하는 듀플렉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파워앰프,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로우노이즈 앰프 등이 구비된다.
메모리(36)에는 메인 프로그램과 호 프로세싱 데이터, 타이머 데이터, 메일, 전화 번호부 등을 저장하고, 본 발명의 예약어, 설정 기호 정보를 기록 저장하여 알람을 간편하게 설정하도록 한다.
도 2의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키패드(38)를 이용하여 대기화면에서 예약어를 입력하면 제어기(30)는 해당 예약어에 해당하는 메뉴를 동작시키고, 키패드로 설정시간이 입력되면 해당 메뉴에 입력된 시간으로 지정되도록 하며, 동작 시기를 지정하는 설정기호를 입력하면 동작 시기가 지정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편리하게 알람, 스케쥴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알람을 설정시에 알람의 예약어가 AR로 지정된 경우, 사용자가 키패드(38)로 대기화면에서 AR을 입력하면, 제어기(30)는 알람 설정 메뉴를 동작시키며, 사용자가 시간 설정을 위한 0650자리 숫자를 입력하면 오전 6시 50분으로 시간이 지정되고, *, #, 지정숫자 등의 설정 기호를 입력하면 오늘 동작할 것인지, 내일 동작할 것인지 아니면 메일 동작할 것인지 알람의 동작시기를 간편하게 설정한다.
메모리(36)에는 예약어와 설정기호가 기록 저장되고, 사용자가 예약어를 입 력하면, 제어기(30)는 메모리에 저장된 알람 메뉴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여 간편하게 설정하도록 한다.
알람을 의미하는 예약어 AR(alarm)과 함께 시간과 분을 4개 숫자로 입력하고, 설정기호로 # 혹은 *을 길게 누르면 알람이 설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의 경우 내일, *의 경우 매일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알람 날짜와 사운드의 지정도 가능하도록 기능을 부여한다.
도 3에 나타낸 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AR 0712#(길게) 입력하면 '내일 07시 12분에 알람'이 동작하도록 하고, AR 1800*(길게) 입력하는 경우 '매일 저녁 6시에 알람'이 동작하도록 지정된다.
위의 예에서 AR 1800를 입력하고 0910으로 날짜를 입력하면 9월 10일 저녁 6시에 알람이 동작한다.
또한, AR 1800*(길게)를 입력하고 하고, 사운드를 설정할 수 있는 숫자나 기호를 입력하면, '매일 저녁 6시에 알람'이 설정한 사운드로 동작한다.
AR 1800*(길게)8을 입력한 경우에는 '매일 저녁 6시에 알람이 8번 사운드가 동작' 하도록 설정된다.
또 다른 예로 스케줄 설정을 하는 것으로, 예약어가 SC(schedule)인 경우 SC 0630 회의#로 입력하면 '내일 아침 6시 30분 스케줄'이 지정된다.
또한, 단문메시지 전송시에도 SMS 11 #으로 키패드로 대기화면에서 입력하면, 전화번호부의 11번에 해당하는 수신자가 단문메시지(SMS) 송신의 받는 사람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문자내용 입력 창으로 바로 연결되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의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설정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사용자가 키패드(38)로 예약어 AR을 입력을 한다(S50~S52).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로 대기화면시에 예약어를 입력하면 제어기(30)에서 예약어에 해당하는 메뉴를 실행시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약어 AR을 입력후에 사용자가 지정할 시간 등을 지정하는 숫자 1800을 입력하면 상기 메뉴에 입력한 숫자 1800로 지정된다. 1800은 저녁 6시를 의미한다.
숫자를 입력 후에 설정기호 *, #를 입력하면 메뉴의 동작 시기를 지정하는 것으로, AR 1800*(길게)를 입력하면 '매일 저녁 6시에 알람'이 동작하도록 지정되는 것이다(S54~S56).
또한, 사용자가 특정 날짜를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날짜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예약어는 알람 설정 AR, 스케쥴 설정 SC, 단문메시지 작성 SMS 등의 예약어가 구비되고, 그외에 여러 응용 가능한 메뉴에 해당하는 예약어의 설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설정기호는 *, #, 특수문자,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은 WLL 단말기, PDA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AR, SC, SMS 등의 예약어를 입력하고, 다음에 숫자와 설정 기호를 입력하면, 간편하게 알람, 스 케쥴을 설정할 수 있으며, 단문메시지의 전송 메뉴도 간단하게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WLL 단말기, PDA 단말기로도 상술한 동작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알람, 스케쥴, 단문메시지의 메뉴를 예약어, 숫자, 설정 기호를 이용하여 바로 설정하거나 사용할 수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메뉴에 적용하는 경우 여러 메뉴를 더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로 대기화면시에 알람 설정, 스케쥴 설정, 단문메시지 작성에 관한 예약어를 입력하면 제어기에서 상기 예약어에 해당하는 메뉴를 실행시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1단계와;
    상기 예약어의 입력후에 사용자가 지정할 시간을 지정하는 숫자를 입력하면 상기 메뉴에 상기 숫자로 지정되는 2단계와;
    상기 숫자를 입력 후에 *, #, 특수문자, 숫자로 이루어진 설정기호를 입력하면 상기 메뉴의 동작 시기가 지정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상기 설정기호 대신에 날짜를 입력하여 동작시기를 지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설정 기호를 입력한 후에 동작 사운드를 입력하여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WLL 단말기, PDA 단말기 등의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
KR1020050091057A 2005-09-29 2005-09-29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 KR10077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057A KR100770314B1 (ko) 2005-09-29 2005-09-29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057A KR100770314B1 (ko) 2005-09-29 2005-09-29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257A KR20070036257A (ko) 2007-04-03
KR100770314B1 true KR100770314B1 (ko) 2007-10-26

Family

ID=3815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057A KR100770314B1 (ko) 2005-09-29 2005-09-29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3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3908A (ja) * 1995-04-19 1996-11-05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KR20010111610A (ko) * 2000-06-12 2001-12-19 서평원 무선단말기에서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 명령어 제어방법
KR20040088193A (ko) * 2003-04-09 2004-10-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KR20040105937A (ko) * 2003-06-10 2004-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KR20050067777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알람 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3908A (ja) * 1995-04-19 1996-11-05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KR20010111610A (ko) * 2000-06-12 2001-12-19 서평원 무선단말기에서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 명령어 제어방법
KR20040088193A (ko) * 2003-04-09 2004-10-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KR20040105937A (ko) * 2003-06-10 2004-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크로 기능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KR20050067777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알람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257A (ko)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829B2 (en) Multi-mode wireless bridge system and method using a single-radio transceiver
CN100373970C (zh) 在双模式移动终端中控制呼叫的装置和方法
US20130005399A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uses thereof
JP2002247144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その着信方法
JP3568191B2 (ja) 移動通信端末とその制御方法
US20060240817A1 (en) Multi-wireless connection device
KR1007703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
JP3917927B2 (ja) インターネット無線電話機
JP3839582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待ち受け処理方式
US720987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racter message using voice recognition in portable terminal
JPH10173785A (ja) Phs放送装置
CN100364348C (zh) 具有自动日程管理功能的个人便携终端及其控制方法
KR20060071241A (ko) 단문메시지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264583Y1 (ko) 이동통신 망 및 인터넷 망의 선택적 이용을 통한 음성통화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통신 장치
KR20020037573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발신장치
JP3048765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850908B1 (ko) 위치 정보 송수신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WO2004060004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t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96084B1 (ko) 전류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방법
JP2001103549A (ja) 携帯端末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RU50738U1 (ru) Шлюз для совместной работы цифровых радиостанций стандарта tetra и аналоговых радиостанций, использующих шеститональную систему селективного вызова
KR100617542B1 (ko) 발수신 에스엠에스 식별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H07183970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KR100660966B1 (ko) 음성 메시지 저장 가능한 이동단말기 및 동작방법
JPH08335978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