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466B1 -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 - Google Patents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466B1
KR100769466B1 KR1020070085855A KR20070085855A KR100769466B1 KR 100769466 B1 KR100769466 B1 KR 100769466B1 KR 1020070085855 A KR1020070085855 A KR 1020070085855A KR 20070085855 A KR20070085855 A KR 20070085855A KR 100769466 B1 KR100769466 B1 KR 100769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ll
door
convert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성
Original Assignee
건축사사무소헤스본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축사사무소헤스본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건축사사무소헤스본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7008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문이 주위의 벽체와 조화되는 벽으로 전환되며, 전환된 벽으로부터 다시 본래의 문으로 손쉽게 원상복귀되고, 조립되는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문(2500)의 상부와 하부가 움푹 파여진 기다란 홈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홈 부위는 타 블럭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블럭 결합부(100), 상기 타 블럭 부재인 네 개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문(2500)의 네 개의 코너 부분에서 상기 블럭 부재의 후면 부위는 상기 블럭 결합부(1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럭 부재의 전면 부위는 타 패널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간격 블럭부(200), 상기 타 패널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 블럭부(2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되 주위의 벽체(2100)과 같은 색채와 같은 질감으로 형성되어 주위의 상기 벽체(2100)와 조화되도록 형성되는 전면 패널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에 관한 것이다.
도어.

Description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Building functional door which is converted to a wall}
도 1은 본 발명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간격 블럭부(200), 전면 패널부(5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블럭 결합부(100) 앞에 블럭결합부 덮개부(90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블럭 결합부(100)와 블럭결합부 덮개부(900)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블럭 결합부 101 : 결합부 오목부
102 : 블럭 결합홈 200 : 간격 블럭부
201 : 블럭부 몸체부 202 : 블럭부 관통부
500 : 전면 패널부 501 : 패널부 몸체부
502 : 패널 결합 관통부 520 : 비상구 표시등부
550 : 통풍 그릴부 800 : 볼트부
900 : 블럭결합부 덮개부 2100 : 벽체
2200 : 문 손잡이 2500 : 문
본 발명은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문(2500)의 상부와 하부가 움푹 파여진 기다란 홈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홈 부위는 타 블럭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블럭 결합부(100), 상기 타 블럭 부재인 네 개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문(2500)의 네 개의 코너 부분에서 상기 블럭 부재의 후면 부위는 상기 블럭 결합부(1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럭 부재의 전면 부위는 타 패널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간격 블럭부(200), 상기 타 패널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 블럭부(2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되 주위의 벽체(2100)과 같은 색채와 같은 질감으로 형성되어 주위의 상기 벽체(2100)와 조화되도록 형성되는 전면 패널부(5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건축물의 문이 주위의 벽체와 조화되는 벽으로 전환되며, 전환된 벽으로부터 다시 본래의 문으로 손쉽게 원상복귀되고, 조립되는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에 관한 것이다.
건물 설계시 각실 별로 또는 일정 면적별로 출입문이 설계된다. 실제 이용상 황은 설계시와 많이 달라지며, 임대 현황도 설계시와 많이 달라 지게 되어 결국 폐쇄되는 문이 생기게 된다. 그런데 폐쇄된 문은 미관상 보기도 좋지 않고, 또 낯선 방문객들이 폐쇄된 문에 노크하거나 폐쇄된 문을 무리하게 열려고 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만약, 건축물의 문이 주위의 벽체와 조화되는 벽으로 전환된다면 바람직하겠다.
폐쇄된 문은 영구 폐쇄되는 것이 아니라 이용상황이나 임대 현황이 바뀌면 다시 문 역할을 해야 한다.
만약, 전환된 벽으로부터 다시 본래의 문으로 손쉽게 원상복귀되는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조립되는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면 더욱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문이 주위의 벽체와 조화되는 벽으로 전환되는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환된 벽으로부터 다시 본래의 문으로 손쉽게 원상복귀되는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되는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럭 결합부(100), 간격 블럭부(200), 전면 패널부(5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간격 블럭부(200), 전면 패널부(5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문(2500)의 상부와 하부가 움푹 파여진 기다란 홈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홈 부위는 타 블럭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블럭 결합부(100), 상기 타 블럭 부재인 네 개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문(2500)의 네 개의 코너 부분에서 상기 블럭 부재의 후면 부위는 상기 블럭 결합부(1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럭 부재의 전면 부위는 타 패널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간격 블럭부(200), 상기 타 패널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 블럭부(2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되 주위의 벽체(2100)과 같은 색채와 같은 질감으로 형성되어 주위의 상기 벽체(2100)와 조화되도록 형성되는 전면 패널부(500)를 포함한다.
제 2도는 본 발명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의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블럭 결합부(100)는 상기 문(2500)의 상부와 하부가 움푹 파여진 기다란 홈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홈 부위는 상기 문(2500)의 폭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는 결합부 오목부(101), 상기 결합부 오목부(101)의 좌우 양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형 홈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 내부로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부재인 볼트부(8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블럭 결합홈(10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 블럭부(200)는 상기 간격 블럭부(200)의 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부(500)의 두께와 합쳐져서 상기 전면 패널부(500)의 외부 표면이 주위의 상기 벽체(2100)의 외부 표면과 일치되어 조화되도록 형성되는 블럭부 몸체부(201), 상기 블럭부 몸체부(201)를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 결합부(100)에 형성되는 원형 홈 부위와 함께 볼트 부재인 볼트부(800)에 의해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블럭부 관통부(20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 블럭부(200)는 도 2와 같이 4개가 설치되는데, 그 두께는 상기 벽체(2100)의 두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부(500)는 상기 전면 패널부(500)의 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 블럭부(200)의 두께와 합쳐져서 상기 전면 패널부(500)의 외부 표면이 주위의 상기 벽체(2100)의 외부 표면과 일치되어 조화되도록 형성되는 패널부 몸체부(501), 상기 패널부 몸체부(501)의 네 개의 코너 부분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간격 블럭부(200)에 형성되는 관통구 부위와 함께 볼트 부재인 볼트부(800)에 의해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패널 결합 관통부(50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문 손잡이(2200)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문 손잡이(2200)가 상기 전면 패널부(500)에 의해 덮여 질 수 있다면 그대로 두어도 상관없겠지만, 상기 문 손잡이(2200) 때문에 상기 전면 패널부(500)를 설치할 수 없다면 상기 문 손잡이(2200)를 상기 문(2500)으로부터 분리해 주고 상기 전면 패널부(500)를 설치해야 한다.
상기 문 손잡이(2200)를 잠근 상태에서 상기 간격 블럭부(200), 상기 전면 패널부(500)를 설치해 주며, 상기 문 손잡이(2200)를 분리해 주어야 할 경우에는 상기 문(2500)을 쐐기와 같은 잡자재로 고정시켜 준 후에 상기 간격 블럭부(200), 상기 전면 패널부(500)를 설치해 준다.
상기 전면 패널부(500)과 상기 벽체(2100)는 같은 색채의 도료로 마감해 줄 수도 있고, 상기 전면 패널부(500)과 상기 벽체(2100) 사이의 틈이 있다면, 코킹처리로 마감해 줄 수도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건축물의 문(2500)에 형성되는 상기 블럭 결합부(100)와 상기 간격 블럭부(200), 상기 전면 패널부(500)가 결합하면, 건축물의 상기 문(2500)이 주위의 상기 벽체(2100)와 조화되도록 형성되는 벽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문이 주위의 벽체와 조화되는 벽으로 전환되는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전면 패널부(500)는 상기 패널부 몸체부(501)의 상부에 내장되는 비상구 표시등 부재인 비상구 표시등부(520), 상기 패널부 몸체부(501)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풍구 부재인 통풍 그릴부(55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구 표시등부(520)을 위한 배선은 별도로 설치되어야 한다.
제 3도는 본 발명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의 사시도로 구성요소인 블럭 결합부(100) 앞에 블럭결합부 덮개부(90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 4도는 제 3도에서 블럭 결합부(100)와 블럭결합부 덮개부(900)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 2,3,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으로 전환되었던 상기 문(2500)을 다시 본래의 문으로 원상복귀시키려면, 상기 간격 블럭부(200), 상기 전면 패널부(500)를 분리해 주고, 상기 블럭결합부 덮개부(900)를 상기 문(2500)의 상기 블럭 결합부(100)에 덮어주면, 손쉽게 원상복귀된다.
따라서, 전환된 벽으로부터 다시 본래의 문으로 손쉽게 원상복귀되는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간격 블럭부(200), 상기 전면 패널부(500)는 조립되는 부재이어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립되는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건축물의 문이 주위의 벽체와 조화되는 벽으로 전환되는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전환된 벽으로부터 다시 본래의 문으로 손쉽게 원상복귀되 는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조립되는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3)

  1. 건축물의 문(2500)의 상부와 하부가 움푹 파여진 기다란 홈 부위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홈 부위는 타 블럭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블럭 결합부(100);
    상기 타 블럭 부재인 네 개의 블럭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문(2500)의 네 개의 코너 부분에서 상기 블럭 부재의 후면 부위는 상기 블럭 결합부(1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럭 부재의 전면 부위는 타 패널 부재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간격 블럭부(200);
    상기 타 패널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 블럭부(2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되 주위의 벽체(2100)과 같은 색채와 같은 질감으로 형성되어 주위의 상기 벽체(2100)와 조화되도록 형성되는 전면 패널부(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결합부(100)는
    상기 문(2500)의 상부와 하부가 움푹 파여진 기다란 홈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홈 부위는 상기 문(2500)의 폭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는 결합부 오목부(101);
    상기 결합부 오목부(101)의 좌우 양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원형 홈 부위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홈 내부로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부재인 볼트부(80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블럭 결합홈(102);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블럭 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블럭부(200)는
    상기 간격 블럭부(200)의 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부(500)의 두께와 합쳐져서 상기 전면 패널부(500)의 외부 표면이 주위의 상기 벽체(2100)의 외부 표면과 일치되어 조화되도록 형성되는 블럭부 몸체부(201);
    상기 블럭부 몸체부(201)를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부로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블럭 결합부(100)에 형성되는 원형 홈 부위와 함께 볼트 부재인 볼트부(800)에 의해 체결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블럭부 관통부(202);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간격 블럭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
KR1020070085855A 2007-08-27 2007-08-27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 KR100769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855A KR100769466B1 (ko) 2007-08-27 2007-08-27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855A KR100769466B1 (ko) 2007-08-27 2007-08-27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466B1 true KR100769466B1 (ko) 2007-10-24

Family

ID=3881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855A KR100769466B1 (ko) 2007-08-27 2007-08-27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4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214B1 (ko) 2005-04-18 2007-05-1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부착물 부착이 용이한 석재 패널과 이를 이용한 도어 벽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214B1 (ko) 2005-04-18 2007-05-1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부착물 부착이 용이한 석재 패널과 이를 이용한 도어 벽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5810B2 (en) Kitchen appliance having a floating glass panel
US20160215493A1 (en) Panel with defined fastener location
US7766436B1 (en) Appliance panel with overlay panel and a method for mounting an overlay panel to an appliance panel
KR100769466B1 (ko) 벽체로 전환되는 기능성 건축 도어.
JP4465317B2 (ja) ハウジング開口をカバーするフロントフレームを備えたハウジング
KR200399757Y1 (ko) 조립식화장실 칸막이벽체 설치용 모서리 연결구
US20060230516A1 (en) Mounting points for a shower surround
KR200400254Y1 (ko) 조립식화장실용 벽체단부지지틀
KR200367887Y1 (ko) 장식판이 설치된 도어
JP5478301B2 (ja) パネル取付構造及びパネル取付具及びパネル組立体
KR20090009729U (ko) 가구 및 부스 조립용 조립부품
JPH05287959A (ja) ド ア
JPH0556821A (ja) 壁面への箱物の取付構造
KR200301203Y1 (ko) 물탱크용 외장재
KR200237257Y1 (ko) 글라스 샤워부스
KR200395858Y1 (ko) 가구용 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0647729B1 (ko) 조립식화장실용 벽체단부지지틀
KR200325904Y1 (ko) 가구
KR200330348Y1 (ko) 천장 등받이박스
KR19990036133U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의 보강재
JP2510056Y2 (ja) フ―ド用幕板取付装置
JP4974178B2 (ja) 浴室建具
KR200180784Y1 (ko) 문짝 설치용 경첩
KR200193215Y1 (ko) 조립식 화장실 칸막이용 지지바의 마감구조
JP201915209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