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317B1 -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 Google Patents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317B1
KR100769317B1 KR1020070033658A KR20070033658A KR100769317B1 KR 100769317 B1 KR100769317 B1 KR 100769317B1 KR 1020070033658 A KR1020070033658 A KR 1020070033658A KR 20070033658 A KR20070033658 A KR 20070033658A KR 100769317 B1 KR100769317 B1 KR 100769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oling tower
casing
casing portion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대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Priority to KR1020070033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31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10Buildings forming part of cooling plants
    • E04H5/12Cooling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ross-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를 냉각하거나 냉매를 응축하는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측부케이싱부와 상부케이싱부를 구성하여 형성하는 것과, 측부케이싱부 만 구성하여 형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열교환영역과; 측부케이싱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영역으로 급기를 유입하는 급기구와; 급기구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급기를 안내하고 외부로 이탈되는 냉각수 물방울을 제지하여 열교환영역내로 유도하는 루버와; 열교환영역과 연통하게 형성되는 배기구와; 열교환영역에 배치되며 냉각수와 공기가 상호 유동하며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와; 열교환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냉각수를 살수하는 살수부와; 열교환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하는 냉각팬부와; 배기구를 향하여 비산되는 물방울을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열교환부를 통해 낙하되는 냉각수를 집수하며, 일영역에 냉각수유출구가 마련되는 집수조로 구성되는 냉각탑에 있어서, 열교환영역은, 주건물의 벽체와, 옥탑건물의 벽체와, 담벽의 벽체와, 옹벽의 벽체와, 상부개방냉각탑실의 벽체와, 냉각탑외곽벽의 벽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벽체의 1면과, 벽체의 2면과, 벽체의 3면 중 어느 하나를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고, 측부케이싱부는, 벽체케이싱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 벽부지지부재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조립식측부케이싱부와, 벽체케이싱부와 일체하게 형성되는 일체식측부케이싱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열교환영역과 연통하게 상기 배기구를 형성하는 상부케이싱부는, 벽체케이싱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제2 벽부지지부재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조립식상부케이싱부와, 벽체케이싱부와 일체하게 형성되는 일체식상부케이싱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옥외와 면하는 벽체를 냉각탑의 케이싱부로 이용할 수 있고, 지지구조의 강화와 설치공간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부개방냉각탑실 및 냉각탑외곽벽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옥상 편의시설의 공간을 현격하게 확대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미관을 향상하기 위한 건축화가 용이하고, 원가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화재손실 및 환경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벽체를 케이싱부으로 이용하는 냉각탑을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07026343683-pat00001
옥상, 건물 벽체, 냉각탑, 케이싱부

Description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the cooling tower which uses a wall by cas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1면과, 2면과, 3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각 냉각탑의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1면 및 2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각 냉각탑의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벽체 2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벽부지지부재와 케이싱부지지부재 및 조립식 케이싱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적용하는 조립식 케이싱부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벽부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냉각수안내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벽체 2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벽부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벽체 2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건축화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벽체 3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벽체 1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7은 종래 냉각탑의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8은 종래 냉각탑의 다른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a, 2a, 3a : 조립식냉각탑 1b, 2b, 3b 일체식냉각탑
5 : 열교환영역 10a, 10b, 10c : 조립식측부케이싱부
10a', 10b' 10c' : 조립식상부케이싱부
11a, 11b, 11c : 케이싱 12, 32, 33, 63 : 체결공
13 : 케이싱부체결부재 14 : 플랜지부
15 : 차음재 16, 22 : 급기구
17 : 격벽 18a : 조립식배기구
18b : 상부개구배기구 26 : 일체식배기구
20 : 일체식측부케이싱부 25 : 일체식상부케이싱부
30a, 30a' : 제1 벽부지지부재 30b, 30b' : 제2 벽부지지부재
31a, 31b : 지지형강 34 : 제1 체결부
35 : 제2 체결부 36 : 앵커체결부재
37 : 지지부체결부재 38 : 매립앵커
40a, 40a' : 제1 케이싱부지지부재 40b, 40b' :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
50a : 제1 실러 50b : 제2 실러
55 : 방진부재 60 : 냉각수안내부재
61 : 장착부 62 : 안내부
70a, 70b : 열교환부 71 : 루버
73 : 냉각수 유입구 74a : 일체식살수부
74b : 조립식살수부 75 : 엘리미네이터
80a, 80b : 냉각팬부 85a : 제1 소음기
85b : 제2 소음기 86 : 챔버
87 : 플랜지 88 : 흡음재
89 : 플랜지체결부재 90a : 일체식집수조
90b : 조립식집수조 91 : 냉각수유출구
95 : 집수조지지부 110 : 주건물
111, 121, 131, 136, 141, 151 : 벽체케이싱부
120a, 120b :옥탑건물 130 : 담벽
135 : 옹벽 140 : 상부개방냉각탑실
150 : 냉각탑외곽벽 160 : 냉각탑 기초
170 : 방수부 210, 220, 230 : 종래 냉각탑
310 : 급기유동공간 311 : 후면설치/보수공간
312 : 측면설치/보수공간
본 발명은, 냉각수의 냉각 또는 냉매를 냉각 응축하는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옥외와 면하는 주건물의 벽체와, 옥탑건물의 벽체와, 상부개방냉각탑실의 벽체와, 냉각탑외곽벽의 벽체와, 담벽의 벽체와, 옹벽의 벽체 중 어느 하나를 케이싱부로 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냉각탑은, 공기가 수직상향으로 유동되고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는 대향류형(counter flow type)냉각탑과, 공기가 수평으로 유동되고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는 직교류형(cross flow type) 냉각탑으로 구분되며, 냉각수의 유동 방식은, 냉각수와 공기가 개방된 충진재(fillers)를 유동하면서 증발 열교환하는 개방식(open circuit type)과, 냉각유체(냉각수 또는 냉매)가 관내로 유동하는 밀폐된 전열관의 외표면 상에 냉각수와 공기를 접촉시키면서 증발 열교환하는 밀폐식(close circuit type)과, 개방식과 밀폐식을 겸비한 혼용식(hyb rid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통풍방식에 있어서는, 열교환부(이를 테면, 충진재 또는 전열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흡입통풍식(induced draft type)과 , 열교환부를 향해 외부공기를 압입 통풍하고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공기를 배기구로 배출하는 압입통풍식(forced draft type)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흡입통풍식 냉각팬은 낮은 정압의 축류팬이고, 압입통풍식 냉각팬은 대개 높은 정압을 갖는 원심팬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공장조립형의 종래형 냉각탑에 있어, 흡입통풍식 냉각탑은 4면을 이루는 조립식측부케이싱부 및 상부케이싱부의 구성으로 열교환영역을 형성하는 반면에,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냉각탑은 4면을 이루는 조립식측부케이싱부 만으로 열교환영역을 형성하고 상부 전면은 개구되어 배기구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종래 냉각탑의 측부케이싱부와 상부케이싱부는 상하 및 좌우 단부에 상호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합성수지(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등)재의 단판 케이싱 또는 철재의 단판 케이싱으로 몸체를 이룬다.
다음으로, 통상 냉각탑에 주류를 이루는 FRP 케이싱부는, 가격에 비해 요구 물성이 탁월하고, 기계적 물성(강도 등), 내식성, 내약품성, 내열성, 내산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며, 성형작업성이 용이한 반면에, 물체의 충격 및 볼트조임에 약하여 균열 및 파손을 초래하고, FRP 케이싱부 구조의 냉각탑은, 참고사진 1.과 같이, 화재가 발생되면 전소될 수 있으며, 화재시 유독가스(염화수소, 다이옥신 등)를 발생시키어 2차 공해물질의 유발은 물론 인명사고(질식사율 40%)를 초래시킬 수 있으며, 노화 및 파손으로 교체되는 폐기 FRP는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폐기물 처리비용을 부담하여야 한 단점이 있다.
참고로, 냉각탑의 화재 원인은, 대개 전기 구성부(팬모터, 동파방지 히터, 순환펀프 등)의 과열과, 전기합선과, 용접 불티이며 원인 중 용접 불티로 인한 화재가 지배적이다.
그리고 냉각탑의 구성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인화성 부재 (FRP케이싱부, 플라스틱 재질의 필러 및 엘리미네이터, 루버 등)와, 화재시 연돌 효과를 제공하는 급기구와 배기구가 맞물려 인화되면 화염이 순식간으로 확산되어 화재진압이 어렵기 때문에 전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냉각탑화재의 위험성을 감소하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설치되는 것이 FRP 케이싱부 대비 화재에 더 안전하고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화재손실 및 유해물질 유출이 낮은 철재 케이싱부 구조의 냉각탑이지만, 철재 케이싱부는, 내구성이 높고,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손상부 보수가 간편하고, 폐기 철재 케이싱부의 재활용 등 장점이 있는 반면에, 내식성이 약해 부식에 의한 냉각수계의 오염을 초래하고, 화재시 변형되어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참고사진 1. FRP 케이싱부 구조 냉각탑의 화재 광경
Figure 112007026343683-pat00002
또한, 통상 산업 플랜트의 지상(ground)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케이싱부 구조의 산업용 냉각탑은 현장에서 직접 건설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콘크리트 케이싱부는 내구성이 높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 어느 케이싱부의 재질보다 화재에 안전적이며,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냉각탑 내부에 인화성 부재만 손실되고 콘 크리트 케이싱부의 손상은 미미하여 방수층 및 표면을 보수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재로 인한 손실이 낮으며, 화재 냉각탑에 대한 복구기간 및 비용면에서도 경제적이다.
그리고 건물의 냉각탑에 화재가 나면 화재로 인한 물질적 손실뿐만이 아니라 건물의 이미지도 손상(불난 건물, 위험한 건물)시키는 피해를 주므로 FRP 케이싱부 구조의 냉각탑의 설치를 회피하는 건물주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렇지만, FRP 케이싱부(cost rate:100%/ 기준)와 철재 케이싱부(cost rate: 120%)를 갖는 냉각탑은 초기비용이 저렴한 반면에 화재가 발생되면 재사용이 불가능해 새로운 냉각탑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콘크리트 케이싱부 (cost rate: 140%) 구조의 냉각탑은 초기비용이 높은 반면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일부만 보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반영구적이어서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건물에 설치되는 냉각탑의 화재를 억지하고 화재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궁극적인 대안은 콘크리트 케이싱부 구조의 냉각탑이 될 수 있고, 보다 더 경제적인 다른 대안으로서는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벽체를 냉각탑의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통상의 흡입통풍식 대향류형 냉각탑은 4 측면에 급기구를 갖는 단일 유닛과, 양측면에 급기구를 갖는 확장식 유닛 구조로 구성되고,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냉각탑은 일측면에 급기구를 갖는 단일 유닛 및 확장식 유닛 구조로 구성되며, 흡입통풍식 직교류형 냉각탑은 일측면에 급기구(편흡입)를 갖는 유닛과 양측면 에 급기구를 갖는 유닛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설치면적에 제약을 받는 건물에 주로 설치되는 일측면에 급기구를 갖는 흡입통풍식 직교류형 냉각탑과,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냉각탑은, 그 구조(급기구의 반대방향 면을 폐쇄하는 케이싱부)상 건물 벽체로부터 최소한의 설치/ 보수공간을 두고 건물 벽체에 근접하게 설치함에 따라 양흡입 급기구를 갖는 냉각탑 대비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급기구와 마주하는 후면에 폐쇄 케이싱부가 구성되므로 강풍으로부터 받는 악영향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각탑은 건물의 미관고려(지상에서 보이지 않도록 노출을 억지) 와, 냉각탑의 환경적요인(소음, 비산, 백연, 레지오넬라 세균 전파 등)에 따른 민원 발생 방지와, 원활한 냉각공기의 도입 등의 이유로 옥상의 설치되는 것이 기본이 된다.
그러나 과거와는 달리, 옥상은, 건물의 공간 활용 효율화를 위해 생태공원 및 정원용도로 시설되는 옥상녹화, 휴식시설, 스포츠시설 및 주차장 등의 용도(이하부터는 "편의시설"이라 칭함)로 전환하는 추세이어서, 냉각탑의 옥상설치는 갈수록 제약이 따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옥상을 편의시설로 이용하는 건물에서는 기계적인 혐오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냉각탑의 외관을 위장(camouf)하는 냉각탑외곽벽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고층건물에서는, 옥상과 접하는 강풍 기류(높은 풍압 및 풍속과 돌풍 등)가 냉각탑에 구조가 약한 구성부(루버 블레이드, 필러, FRP케이싱부 등)를 손상시킬 수 있고, 일측 급기구를 통해 타측 급기구로 강풍이 통과하면서 낙하되는 냉 각수를 동반하여 냉각탑 외부로 유출과 배기구를 향하는 배기유로를 변동시키는 등 냉각탑에 악영향(냉각성능저하) 발생시킬 수 있다.
강풍 기류로부터 냉각탑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참고사진 2.와 같이, 계단실, 물탱크실, 엘리베이터 기계실, 변전실, 공기조화 기계실 등의 용도로 옥상에 건설되는 옥탑 건물의 벽체가 바람막이(windbreak)가 되도록 벽체와 근접하게 냉각탑을 설치하는 것과,
강풍기류가 냉각탑의 급기구에 직접 접하지 못하도록 옥탑 건물 내에 상부가 개방된 냉각탑실을 구비하여 상부개방냉각탑실에 냉각탑을 설치하는 것과,
옥상에 설치된 냉각탑의 외곽으로부터 소정의 거리(공간)를 두고 측면을 에워싸는 바람막이 벽체(windbreak wall)로 이루어지는 냉각탑외곽벽을 구비하여 냉각탑외곽벽내에 냉각탑을 설치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아울러 냉각탑은, 냉각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대기 공기를 원활히 공급받아야 되고, 대기 환경에 항시 노출되어 구성부의 노화 및 손상을 초래시킴과,냉각수 및 대기 공기의 유동에 따른 누수 및 오염 등으로 보수 빈도가 높은 특성으로, 상부개방냉각탑실 및 냉각탑외곽벽은 충분한 급기유동공간과 설치/보수 공간을 갖는 크기로 건설되어야 한다.
참고사진 2: 냉각탑이 설치된 옥상 광경
Figure 112007026343683-pat00003
또한, 비교적 강풍기류에 영향을 덜 받는 저층 건물의 옥상을 편의시설 용도로 사용하지 않아 옥상 공간이 충분한 경우에는 통풍이 자유스런 위치에 냉각탑을 그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옥상을 편의시설 용도로 건설하는 경우, 참고사진 3.과 같이, 편의시설과 격리되게 냉각탑외곽벽 또는 울타리(fence)를 건설하고 그 내부에 냉각탑을 설치하여, 냉각탑의 기계적인 혐오감을 해소함과, 냉각탑 주변에 접근을 차단시키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탑 주위에 나무를 심어 냉각탑을 위장하는 경우, 냉각탑의 일부분을 은폐시키어 미관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낙엽 등이 냉각탑내에 유입되어 냉각수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냉각탑을 옥상에 설치할 수 없을 때에는 건물내에 급배기 덕트로 통풍하는 냉각탑실를 마련하여 냉각탑을 설치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추가적인 시설(냉각탑실, 급배기 덕트, 전기설비 증가 등) 비용과 정압 상승에 따른 팬모터의 운전비용이 증가되고, 건물 내로 냉각탑 운전소음이 전달되며, 냉각탑의 화재시 건물 내로 번질 위험이 따를 뿐만이 아니라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사고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냉각탑은 지상의 지면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냉각탑이 설치되는 값비싼 대지를 제공하여야 함으로,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
참고사진 3: 옥상 및 지상 설치 냉각탑 광경
Figure 112007026343683-pat00004
이상과 같이, 냉각탑의 설치환경에 있어, 건물공간 및 부지이용의 효율화와냉각탑 주변의 부대시설(상부개방냉각탑실 및 냉각탑외곽벽) 비용의 감소는 전적으로 냉각탑의 설치공간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과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냉각탑의 설치공간을 보다 더 감소시키는 대안으로서는,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벽체를 냉각탑의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녹화옥상에 대한 잠재성과 냉각탑과의 상관관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대도시의 지속적인 땅값 상승과 나대지 보존율의 감소로 인해 녹지조성을 위한 새로운 토지를 확보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옥상녹화는 대도시의 자연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최선의 대안으로서, 그 관심과 수요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서울시청 푸른도시국의 "10만 녹색지붕 만들기" 보도자료(2007.02.28)를 인용하여 참고하면, 서울시 전체의 옥상면적은 166㎢(서울시 면적의 1/4)이며, 이중 보일러실, 승강기 기계실, 냉각탑 등 옥상구조물을 제외하고 옥상녹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면적은 55㎢(서울시 면적의 9%) 정도로 추정하며, 이는 서울시 면적의 1/4로, 외곽의 산들을 모두 합친 서울시내 공원녹지의 총 면적과 동일한 수준이라고 옥상녹화 규모의 잠재성을 공표하고 있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주도로 시행되는 옥상녹화사업은, 건물 및 도시 경관 향상과, 도시의 녹지 증가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저감 및 산소 생산량 증가와, 생물의 서식지(Bio-rooftop)제공과, 건물의 난방(겨울철) 및 냉방(여름철)의 에너지 절 감과, 건물 이용자들에게 휴식처 제공과, 도시의 열섬화 현상 완화하는 등의 건물 내외적인 효과는 물론, 옥상 녹화 면적의 2/3에 해당되는 면적을 건축법상 대지안의 의무조경 면적으로 인정하는 것과, 옥상녹화에 따른 설계비와 공사비의 일부를 지방자치단체에서 무상 지원함으로써, 건물주와 지방자치단체 모두에게 이익을 제공함은 물론, 참고사진 4.에서 서울시의 "10만 녹색지붕 만들기"의 녹화옥상 시뮬레이션과, 모든 건물옥상에 자연생태공간을 조성하는 행정도시의 정부청사 단지 조감도(국제공모 1등 당선작-FLAT CITY, LINK CITY, ZERO CITY) 등을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대도시의 건물 옥상의 녹화 수요는 증가일로로 성장될 것임에는 의심에 여지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날로 증가되는 옥상 편의시설 건설에 가장 큰 걸림돌은 옥상에 설치된(설치되는) 냉각탑이 될 수 있고, 냉각탑은 무리한 영역 변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옥상 편의시설과, 옥상에 설치되는 냉각탑은 상호 이루려는 목적과 효과에 상관관계가 있다.
옥상 편의시설 측면에서는 그 시설의 공간 영역의 극대화(일예로, 냉각탑을 옥탑 건물 벽체에 보다 더 근접하게 설치 요구)와 미관 유지(냉각탑의 기계적인 혐오감 해소)를 중시할 것이고, 냉각탑 측면에서는 성능유지를 전제하여 충분한 공간 확보와 장해물(공기 유동에 영향을 주는 나무, 벤치, 조형물 등)의 접근을 배제하는 설치요건을 중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자 간의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논의에서 냉각탑의 설치요건이 수용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냉각탑을 옥탑 건물 벽체에 보다 더 근접하게 설치하거나, 냉각탑이 은폐되도록 냉각탑외곽벽을 설치하거나, 냉각탑을 옥상이 아닌 다른 장소(급배기 덕트로 통풍하는 건물내 냉각탑실, 건물벽과 인접한 지상 등)에 설치하는 것 중 어느 하나가 채택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방식으로 냉각탑을 설치하더라도, 양흡입 냉각탑이 확보하여야하는 벽체와 급기구 사이의 급기유동 공간과, 또는 편흡입 냉각탑이 확보하여야 하는 벽체와 냉각탑 폐쇄 케이싱부사이에 후면설치/보수공간은 냉각탑의 성능 유지와 설치/보수를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어서, 벽체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독립적인구조(즉, 벽체와 전혀 관련이 없는 별개의 구조)의 종래 냉각탑은 설치면적과 상부개방냉각탑실 및 냉각탑외곽벽의 크기(건설비용)를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참고사진4 : 옥상(지붕) 녹화
Figure 112007026343683-pat00005
다음은, 종래 냉각탑의 구조 및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종래 냉각탑의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8은 종래 냉각탑의 다른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일 설치 예로서, 통상 냉각탑의 설치 요건에 따라, 옥탑 건물(120a)의 벽체(121)와 냉각탑(210, 220) 사이에 급기유동공간(310)과 후면 및 측면 설치/보 수공간(311, 312)을 두고 벽체(121)와 이격되게 종래의 편흡입식 직교류형 냉각탑 (210)과 4면에 급기구를 갖는 대향류형 냉각탑(220)을 설치하고 있다.
다른 설치 예로서, 옥탑 건물(120a)의 벽체로부터 후면 설치/보수공간(311)을 두고 이격되게 3 유닛을 확장 조합한 종래의 편흡입식 직교류형 냉각탑(210)을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200CRT(냉각톤) 단위 유닛을 3 유닛으로 확장 조합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종래 냉각탑(210)이 확보하여야하는 벽체방향의 설치/보수공간의 크기와, 벽체방향의 폐쇄 케이싱부 면적의 크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급 냉각용량의 편흡입식 직교류형 냉각탑(210)일지라도 그 크기는 제조업체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특정 제품의 치수를 적용하면, 냉각탑(크기: 길이 4 m/ 폭 3.3 m/ 높이 2.5 m) 3 유닛을 연이어 확장 설치할 경우, 냉각탑의 바닥 단면적은 40 ㎡(4 m x 3.3 m x 3)가 되고, 여기에 더하여 옥탑건물(120a)의 벽체(121)로부터 확보되어야 하는 설치/보수공간(311)의 면적은 12㎡(1 m x 4 m x 3)가 되므로 냉각탑(210)의 설치면적은 52 ㎡ (40 ㎡ + 12 ㎡) 되며, 벽체(121) 방향의 폐쇄 케이싱부의 면적은 30㎡ (2.5 m x 4 m x 3)가 된다.
또 다른 설치예로서, 옥상(100) 하부에 건설된 옥탑건물(120b)내에 마련된 상부개방냉각탑실(140)의 벽체로부터 급기유동공간(310)과, 후면 설치/보수공간(311)과, 양측에 측면 설치/보수공간(312)을 두고 이격되게 압입통풍식 대향류형냉각탑(230)을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200CRT(냉각톤) 단위 유닛을 3 유닛으로 확장 조합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종래 냉각탑(230)이 확보하여야하는 벽체방향의 후면 설치/보수공간 및 측면 설치/보수공간의 크기와, 벽체방향의 폐쇄 케이싱부 면적의 크기를 살펴보면,
동급 냉각용량의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냉각탑(230)일지라도 그 크기는 제조업체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특정 제품의 치수를 적용하면, 냉각탑(크기: 길이 3.6 m/ 폭 2.4 m/ 높이 3.39 m) 3 유닛을 연이어 확장 설치할 경우, 냉각탑의 바닥 단면적은 26 ㎡(3.6m x 2.4m x 3)가 되고, 여기에 더하여 벽체로부터 확보되어야 하는 후면 설치/보수공간(311)의 면적은 10.8㎡(1m x 3.6m x 3)가 되고, 양측면의 측면 설치/보수공간(312)의 면적은 6.8㎡(1m x 3.4m x 2)가 되므로, 급기유동공간(310) 면적을 제외한 냉각탑(230)의 설치면적은 43.6 ㎡ (26 ㎡ + 10.8 ㎡ + 6.8㎡) 되고, 벽체 방향의 후면 폐쇄 케이싱부의 면적은 36.6㎡(3.6m x 3.39m x 3)가 되며, 벽체 방향의 측면 폐쇄 케이싱부의 면적은 16.2㎡(2.4m x 3.39m x 2)가 되므로, 이를 합한 벽체 방향의 폐쇄 케이싱부의 총 면적은 52.8㎡ (36.6㎡ + 16.2㎡)가 된다.
이상에서는, 옥상(100)면의 아래로 함몰된 구조로 건설되는 상부개방냉각탑실(140)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옥상(100) 면의 상부로 기립된 구조로 건설되는 냉각탑외곽벽(150)에도 냉각탑(210, 230)을 설치하며, 냉각탑(210, 230)의 설치요건과 양자의 건설 구조는 대등하기 때문에 냉각탑외곽벽(150) 및 여기에 설치되는 냉각탑(210, 230)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에서는 편의상 공조용 수요에 주류를 이루는 냉각능력이 200CRT인 단위 유닛 및 3 유닛을 확장 조합한 600CRT의 냉각탑(210, 230)을 비교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냉각탑 용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급기유동공간(310) 및 설치/보수공간(311, 312)을 포함한 냉각탑의 설치면적은 그 변동이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로부터 소정의 급기유동공간(310) 및 설치/보수공간(311, 312)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독립적인 구조의 종래 냉각탑(210, 230)은, 그 구조상 날로 증가되는 옥상 편의시설의 공간확대에 여지를 제공할 수 없음은 물론, 건축구조로 건설되는 상부개방냉각탑실(140) 또는 냉각탑외곽벽(150)의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냉각탑의 측부케이싱부 감소를 통한 현격한 원가 및 유지보수비용의 절감도 실현할 수 없으며, 냉각탑 외표면에 건축화가 불리하고, 화재손실 및 환경비용의 감소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외와 면하는 벽체를 냉각탑의 케이싱부로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구조의 강화와 설치공간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개방냉각탑실 및 냉각탑외곽벽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옥상 편의시설의 공간을 현격하게 확대할 수 있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화가 용이한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가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화재손실 및 환경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부케이싱부와 상부케이싱부를 구성하여 형성하는 것과, 상기 측부케이싱부 만 구성하여 형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열교환영역과; 상기 측부케이싱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영역으로 급기를 유입하는 급기구와; 상기 급기구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급기를 안내하고 외부로 이탈되는 냉각수 물방울을 제지하여 상기 열교환영역내로 유도하는 루버와; 상기 열교환영역과 연통하게 형성되는 배기구와;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며 냉각수와 공기가 상호 유동하며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냉각수를 살수하는 살수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하는 냉각팬부와;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비산되는 물방울을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낙하되는 냉각수를 집수하며, 일영역에 냉각수유출구가 마련되는 집수조로 구성되는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영역은, 주건물의 벽체와, 옥탑건물의 벽체와, 담벽의 벽체와, 옹벽의 벽체와, 상부개방냉각탑실의 벽체와, 냉각탑외곽벽의 벽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벽체의 1면과, 벽체의 2면과, 벽체의 3면 중 어느 하나를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고, 상기 측부케이싱부는, 상기 벽체케이싱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 벽부지지부재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조립식측부케이싱부 와, 상기 벽체케이싱부와 일체하게 형성되는 일체식측부케이싱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열교환영역과 연통하게 상기 배기구를 형성하는 상기 상부케이싱부는, 상기 벽체케이싱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제2 벽부지지부재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조립식상부케이싱부와, 상기 벽체케이싱부와 일체하게 형성되는 일체식상부케이싱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을 제공한다.
여기서, 측부케이싱부와 상부케이싱부를 구성하여 열교환영역을 형성하는 구조는, 상기 열교환부와 연통하게 상기 상부케이싱부의 일영역을 관통하여 냉각팬부가 수용 설치되는 배기구를 구성하는 흡입통풍식 냉각탑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측부케이싱부만으로 열교환영역을 형성하는 구조는, 상기 측부케이싱부의 하부에 구성된 급기구에 냉각팬이 구성되고, 상기 측부케이싱부의 상부 전면이 개구되어 상부개구배기구가 되는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냉각탑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열교환영역에 구성되는 열교환부는, 개방형 냉각탑인 경우에는 충진재(직교류식 또는 대향류식)인 것이 바람직하고, 밀폐형 냉각탑인 경우에는 냉각유체(냉각수 또는 냉매)가 관내로 유동되는 전열관(직교류식 또는 대향류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살수부는, 대향류형 냉각탑인 경우, 냉각수분배관과 살수노즐로 구성되는 압력살수식 살수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직교류형 냉각탑인 경우에는, 상부가 개구된 살수수조 저부를 관통하여 복수의 살수공(또는 살수노즐)형성하고, 살수수조에 채워진 냉각수의 중력으로 살수하는 중력살수식 살수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압력살수식 살수부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팬부는, 팬날개와, 팬모터와, 동력전달 수단(구동벨트 또는 감속기)이 포함되며, 흡입통풍식 냉각탑인 경우에는, 축류팬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냉각탑인 경우에는, 원심팬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집수조는, 합성수지재 또는 철재로 제조되는 조립식집수조인 것이 바람직하나, 벽체와 바닥(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기초)에 일체하여 구성되는 일체식 집수조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벽체는, 옥외와 면하는 벽체로 한정하며, 주건물의 벽체와, 옥탑건물의 벽체와, 담벽의 벽체와, 옹벽의 벽체, 상부개방냉각탑실의 벽체와, 냉각탑외곽벽의 벽체 중 최적의 설치여건이 될 수 있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 다른 용도의 건축물의 벽체로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탑 측부케이싱부의 높이 보다 상기 벽체케이싱부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낮은 높이에 해당하는 조립식측부케이싱부 또는 일체식측부케이싱부를 를 상기 벽체케이싱부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벽체의 3면을 이용하는 즉, "ㄷ"형상의 측부케이싱부의 내면 길이와 폭이 설치하고자하는 표준 냉각탑의 길이 및 폭과 꼭 맞는 경우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ㄷ"형상의 측부케이싱부의 내면 길이와 폭 20%이내의 증감 차이에 있을 경우 냉각탑의 높이 및 길이와 폭을 설계 변경하여 그 여건 내에 냉각탑을 설치함에 무리는 없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벽체케이싱부는, 상기 열교환영역을 유동하는 냉각수가 벽체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하는 방수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수부는 냉각탑의 외각의 넓이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술할 제1 벽부지지부재 및 제2 벽부지지부재와, 냉각수안내부재가 고정되는 상기 벽체케이싱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매립앵커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매립앵커는, 벽체 시공후 벽체에 구멍을 뚫어 매립 고정되는 팽창앵커(expansion anchors)인 것이 바람직하나, 벽체 시공시 매립설치되는 인서트 (inserts) 또는 앵커볼트(anchor bolts)로도 적용할 수 있고, 다른 방식의 매립앵커라도 그 적용에는 제한을 받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벽체케이싱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 벽부지지부재와 수평으로 고정되는 제2 벽부지지부재는, 그 몸체가 "ㄷ" 자 형상인 지지형강인 것이 바람직하나, "L" 자형상 등 다른 형상의 지지형강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형강의 양단부에는 상대 벽부지지부재를 결합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한 제1 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양측 제1 체결부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는 후술할 제1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가 결합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한 제 2체결부를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체케이싱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매립되는 매립앵커에 앵커체결 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상기 벽체케이싱부와 마주하는 지지형강의 면에는 상기 매입앵커와 일치하게 복수의 체결공(3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 및 상부케이싱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공(12)과 마주하는 지지형강의 면에는 케이싱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케이싱부의 체결공(12)과 일치하게 복수의 체결공(3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앵커체결부재는, 와셔를 일체하는 헤드 볼트(Head bolts)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개의 와셔와 헤드볼트로도 적용할 수 있고, 와셔 및 너트와 양측에 나사부를 갖는 스터드 볼트(stud bolts)로도 적용할 수 있으며, 벽체케이싱부에 매립된 앵커볼트에 와셔와 너트를 체결하는 것으로도 적용할 수 있 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에는,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 및 조립식상부케이싱부를 지지하며,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케이싱부지지부재와,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는, 그 몸체가 "ㄷ" 자 형상인 지지형강인 것이 바람직하나, "L" 자형상 등 다른 형상의 지지형강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형강의 양단부에는 상대 벽부지지부재 및 케이싱지지부재를 결합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한 제1 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양측 제1 체결부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는 추가되는 보강지지부재를 결합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한 제 2체결부를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벽체케이싱부와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의 면과,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 및 상부케이싱부와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의 면에는 상기 냉각팬부의 진동이 상기 벽체케이싱부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수밀을 유지하는 "L"자형상의 제1 실러를 더 포함하여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평판형인 한 쌍의 제 2실러로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실러는, 탄성과 수밀성을 갖는 재질로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벽체케이싱부와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제 1실러를 개재하여 상기 앵커체결부재로 고정하면, 상기 제1 실러의 탄성에 의하여 냉각팬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면적인 진동은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상기 앵커체결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국소적인 진동은 차단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부로부터 앵커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벽체케이싱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체결공(32)의 면과 상기 앵커체결부재의 접촉을 격리하며, 상기 앵커체결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체결공(32)에 고정되는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진부재는 탄성과 수밀성을 갖는 재질로서, 일측은 상기 체결공(32) 면에 삽입 밀착되어 상기 체결공(32)과 앵커체결부재의 접촉을 격리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체결공(32) 면과 앵커체결부재의 접촉을 격리하고 수밀을 유지하며 상기 체결공(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수밀턱을 형성하며, 중앙에는 상기 앵커체결부재가 관통되도록 중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조립식측부케이싱부 및 상부케이싱부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와 결합하는 복수의 체결공(12)이 형성된 플랜지부를 상하 및 좌우 단부에 마련하는 합성수지재 성형의 단판 케이싱이나, 철재 단판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합성수지재(또는 알루미늄판재 및 방식코팅된 철판)의 양면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소음전달을 차단하는 차음재가 충전된 소음저감 케이싱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조립식 케이싱부를 상기 각 벽부지지부재 및 케이싱부지지부재에 체결하는 케이싱체결부재는, 볼트와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양 체결공 (12, 33)에 회전 삽입되면서 나사를 형성하여 체결되는 나선 볼트(tapping screw bolts) 등 다른 체결부재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일체식측부케이싱부 및 상부케이싱부는, 신축일 경우에는 상기 벽체케이싱부(벽체)의 시공과 동시에 동일한 재질로 일체 하게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벽체케이싱부(벽체)의 시공 후인 경우에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일체식측부케이싱부와 일체식상부케이싱부가 결합되는 상기 벽체케이싱부(벽체)의 면에 치핑(chipping)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체식상부케이싱부의 일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일체식배기구는 상기 상부케이싱부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일체식상부케이싱부의 일영역에 배기구멍 만 형성하고, 배기구멍 상에 조립식배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립식집수조의 상단과 인접한 상부에는, 상기 벽체케이싱부 의 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조립식집수조내로 안내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63)을 형성한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으로부터 내향으로 굴곡된 안내판으로 구성되는 냉각수안내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착판과 벽체케이싱부면 사이에는 제2 실러를 개재하여 상기 벽체케이싱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매립된 매립앵커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탑은, 직교류식 냉각탑과, 흡입 통풍형 대향류식 냉각탑과,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냉각탑인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형식의 냉각탑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냉각탑의 급기구 및 상부개구배기구 각각에는 소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직교류식 냉각탑과, 흡입통풍식 대향류형 냉각탑과에도 필요에 따라 소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함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예에서는 일실시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1면과, 2면과, 3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각 냉각탑의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1면 및 2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의 각 설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은, 옥탑건물(120a)의 벽체의 2면을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21)에 결합되어 편흡입식 직교류형 조립식냉각탑(1a)이 설치되어 있고, 옥탑건물(120a)의 벽체의 1면을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21)에 결합되어 3면의 급기구를 갖는 흡입통풍식 대향류형 조립식냉각탑(2a)이 설치되어 있으며, 주건물(110)의 벽체의 2면을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11)에 결합되어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조립식냉각탑(3a)이 설치되어 있고, 주건물(110)의 벽체의 1면과, 담벽(130)의 벽체 2면을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11, 131)에 결합되어, 편흡입식 직교류형 조립식냉각탑(1a)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옥탑건물(120a)의 벽체 1면을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21)에 결합되어 편흡입식 직교류형 조립식냉각탑(1a) 3 유닛이 확장 조합되어 설치되어 있다.의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옥탑건물(120b)에 구성된 상부개방냉각탑실(140)의 벽체 2면을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41)에 결합되는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조립식냉각탑(3a) 3 유닛이 확장 조합되어 소정의 폭을 갖는 급기유동공간(31)과 일측의 설치/보수공간(312)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편흡입식 직교류형 조립식냉각탑(1a)과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조립식 냉각탑(3a)은 냉각 용량이 200CRT(냉각톤)인 단위 유닛을 3 유닛으로 확장 조합하여 설치한 것으로서, 벽체의 1면 및 2면을 이용한 벽체 케이싱부(121, 141) 면적(즉, 종래 냉각탑의 벽체 방향 폐쇄 케이싱부의 대체 면적)과, 벽체의 1면 및 2면을 벽체 케이싱부(121, 141) 이용함에 따라, 감소되는 후면 설치/보수공간(311)과 측면 설치/보수공간(312)의 면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비교대상이 되는 동급 냉각용량의 편흡입식 직교류형 조립식냉각탑(1a)과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조립식 냉각탑(3a)일지라도 그 크기는 제조업체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차이는 종래 냉각탑(210, 230)에도 동일한 치수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유리하고 다른 하나가 불리한 편견을 없을 것이다.
먼저, 3 유닛을 연이어 확장 설치한 상기 편흡입식 직교류형 조립식냉각탑(1a)에 있어, 냉각탑(1a)의 바닥 단면적은 40 ㎡(4 m x 3.3 m x 3)가 되고, 벽체(121)로부터 확보되어야 하는 설치/보수공간(311)의 면적은 배제됨으로 냉각탑(1a)의 설치면적은 40 ㎡ 가 되며, 벽체 1면을 이용한 벽체케이싱부(121)의 면적은 30㎡ (2.5 m x 4 m x 3)가 된다. 그리고 양측에 구성되는 조립식측부케이싱부의 면적은 49.5 ㎡(3.3 m x 2.5 m x 2 x 3 유닛)가 되어 벽체케이싱부(121)와 조립식측부케이싱부를 합한 총 폐쇄 측부케이싱부의 면적은 79.5㎡(30 ㎡ + 49.5 ㎡)가 된다.
즉, 종래 냉각탑(210)의 설치면적(52 ㎡) 대비, 12㎡(23%)의 설치면적을 감소 할 수 있고, 종래 냉각탑(210)의 벽체방향의 후면 폐쇄 케이싱부를 벽체케이싱부(121)로 대체하여, 종래 냉각탑(210)에서 열교환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후면 폐쇄 케이싱부(30 ㎡)를 배제(총 폐쇄 측부케이싱부 면적에서 38% 감소)함으로, 이 부분을 통한 원가와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또한, 3 유닛을 연이어 확장 설치한 상기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조립식냉각탑(3a)에 있어, 냉각탑(3a)의 바닥 단면적은 26 ㎡(3.6 m x 2.4 m x 3)가 되며, 벽체(121)로부터 확보되어야 하는 후면 설치/보수공간(311)과 일측의 측면 설치/보수공간(311)의 면적은 배제됨으로, 일측 측면 설치/보수공간 면적 3.4 ㎡(1 m x 3.4 m)를 합한 냉각탑(1a)의 설치면적은 29.4 ㎡ 되며, 벽체 2면을 이용한 벽체케이싱부(141)의 면적은 30㎡ (2.5 m x 4 m x 3)가 된다. 그리고 냉각탑(3a)의 양측에 구성되는 조립식측부케이싱부의 면적은 40.7 ㎡(2.4 m x 3.39 m x 5면)가 되어 벽체케이싱부(141)와 조립식측부케이싱부를 합한 총 폐쇄 측부케이싱부의 면적은 70.7㎡(30 ㎡ + 40.7 ㎡)가 된다.
즉, 종래 냉각탑(230)의 설치면적(43.6 ㎡) 대비, 13.6㎡(31%)의 설치면적을 감소 할 수 있고, 종래 냉각탑(230)의 벽체방향의 후면 폐쇄 케이싱부와 일 측면 폐쇄 케이싱부를 벽체케이싱부(141)로 대체하여, 종래 냉각탑(210)에서 열교환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후면 폐쇄 케이싱부(30 ㎡) 및 일측면 폐쇄 케이싱부(8.1 ㎡)를 배제(총 폐쇄 측부케이싱부 면적에서 54 % 감소)함으로, 이 부분을 통한 원가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조립식측부케이싱부를 갖는 조립식냉각탑(1a, 2a, 3a)과, 상부개방냉각탑실(140)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도면 1. 및 도면 2.에 ( )부호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케이싱부(111, 121, 131, 141, 151)에 일체하게 결합되는 일체 식측부케이싱부를 갖는 일체식냉각탑(1b, 2b, 3b)과, 냉각탑외곽벽(150)은, 냉각탑의 치수와, 설치 면적과, 감소되는 측부케이싱부의 면적이 대등한 것이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에서는, 상기 주건물(110)의 벽체와, 옥탑건물(120a)의 벽체와, 개방냉각탑실(140)의 벽체를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여, 조립식 냉각탑(1a, 2a, 3a)이 설치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도면 1. 및 도면 2.에 ( ) 부호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식냉각탑(1b, 2b, 3b)으로도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의 1면 내지 3면을 벽체케이싱부(111, 121, 131,141, 151)로 이용하는 조립식냉각탑(1a, 2a, 3a) 및 일체식냉각탑(1b, 2b, 3b)은, 날로 증가되는 옥상 편의시설의 공간확대에 여지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건축구조로 건설되는 상부개방냉각탑실(140) 또는 냉각탑외곽벽(150)의 크기를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냉각탑(1a, 2a, 3a, 1b, 2b, 3b)의 측부케이싱부 감소를 통한 현격한 원가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냉각탑 외표면에 건축화가 용이하고, 화재손실 및 환경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벽체 2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벽부지지부재와 케이싱부지지부재 및 조립식 케이싱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적용하는 조립식 케이싱부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벽부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냉각수안내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편흡입식 직교류형 조립식냉각탑(1a)은, 옥탑건물(120a)의 벽체 2면을 이용하여 열교환영역(5)을 형성하는 벽체케이싱부(121)와,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에 결합되는 2면의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와,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의 상부에 결합되는 조립식상부케이싱부(10a')를 마련하고 있고, 일측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의 하부에는 상기 열교환영역(5)으로 급기를 유입하는 급기구(16)를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급기구(16)로 급기를 안내하고 외부로 이탈되는 냉각수 물방울을 제지하여 상기 열교환영역(5)내로 유도하는 루버(71)가 상기 급기구(16)와 인접하게 마련하고 있고, 상기 조립식상부케이싱부(10a')의 일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열교환영역(5)과 연통하게 조립식배기구(18a)를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열교환영역(5)에는 냉각수와 공기가 상호 유동하며 열교환하며 직교류식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열교환부(70b)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부(70b)의 상부영역에는 냉각수유입구(73)을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중력 살수하는 조립식살수부(74b)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식배기구(18a)에는 상기 열교환부(70b)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공기를 배기하는 냉각팬부(80a)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립식배기구(18a)를 향하여 비산되는 물방울을 상기 열교환영역(5)내로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75)가 상기 열교환부(70b)의 배기측과 인접하게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열교환부(70b)의 하부에는 상기 열교환부(70b)를 통해 낙하되는 냉각수를 집수하며, 일영역에 냉각수유출구(91)를 마련한 조립식집수조(90b)가 집수조지지부(95)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 고,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를 결합하는 복수의 제1 벽부지지부재(30a)가 상기 벽체케이싱부 (121)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식상부케이싱부 (10a')를 결합하는 복수의 제2 벽부지지부재(30b)가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에는, 상기 열교환영역(5)을 유동하는 냉각수가 벽체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탑(1a)의 외각의 넓이보다 더 넓게 방수하는 방수부(170)를 더 포함하여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에는, 상기 제1 벽부지지부재 및 제2 벽부지지부재(30a, 30b)와, 후술할 냉각수안내부재(60)가 고정되는 복수의 매립앵커 (38)가 소정의 간격으로 매립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매립앵커(38)는, 벽체가 시공된 후에는 벽체케이싱부(121)에 구멍을 뚫어 매립 고정되는 팽창앵커를 적용할 수 있고, 벽체 시공시에는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에 매립설치 되는 인서트 또는 앵커볼트(미도시)로도 적용할 수 있으며, 다른 방식의 매립앵커라도 그 적용에는 제한을 받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 및 상부케이싱부(10a')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단판 케이싱을 본체로 하여, 각 상하 및 좌우 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30a, 30b)와, 후술할 제1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40a, 40b)와 결합하는 플랜지부(14)가 케이싱부체결부재(13)가 관통되는 복수의 체결공(12)을 형성하여 마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부체결부재(13)는, 통상의 것이어서 구체적인 설명을 생 략하고 있지만, 볼트와 너트로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양 체결공 (12, 33)에 회전 삽입되면서 나사를 형성하여 체결되는 나선 볼트 등 다른 체결부재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단판 케이싱을 본체로 하는 통상의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 및 상부케이싱부(10a')를 적용하여 상술하고 있으나,이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 4 내지 6.에서( )부호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통상의 구성으로서, 철재 단판 케이싱을 본체로 하는 조립식 측부케이싱 부(10b) 및 상부케이싱부(10b')와, 합성수지재(또는 알루미늄판재 및 방식코팅된 철판)로 성형된 양면 케이싱을 본체로 하여 내부공간에 소음전달을 차단하는 차음재가 충전된 소음저감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c) 및 상부케이싱부(10c')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의 높이 보다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낮은 높이에 해당하는 조립식측부케이싱부를 별도로 제조하여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의 상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열교환영역(5)에 구성되는 열교환부(70b)는, 직교류식 충진재로 적용하고 있으나, 냉각유체(냉각수 또는 냉매)가 관내로 유동되는 밀폐식 전열관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립식살수부(74b)는 통상의 것이어서,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부가 개구된 살수수조(미부호) 저부를 관통하여 복수의 살수노즐(미부호)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팬부(80a)는 통상의 것이어서,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팬날개(미부호)와, 팬모터(미도시)와, 구동벨트 또는 감속기 등의 동력전달 수단(미도시)은 당연히 마련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조립식집수조(90b)의 상단부와 인접한 벽체케이싱부(121)에는,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의 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조립식집수조(90b)내로 안내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 (63)을 형성한 장착판(61)과, 상기 장착판(61)으로부터 내향으로 굴곡된 안내판 (62)으로 구성되는 냉각수안내부재(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냉각수안내부재(30)는, 상기 장착판(61)과 벽체케이싱부(121) 면 사이에는 제2 실러 (50b)를 개재하여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에 소정의 간격으로 매립된 매립앵커(미도시)에 앵커체결부재(36)를 체결하여 설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벽부지지부재(30a) 및 제2 벽부지지부재(30b)는, 몸체를 이루는 "ㄷ" 자 형상인 지지형강(31a)과, 상대 벽부지지부재를 결합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미부호)을 형성한 제1 체결부(34)가 상기 지지형강(31a)의 양단부에 마련하고 있고, 상기 지지형강(31a)의 양단부에 마련된 제1 체결부(34)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는 후술할 제1 케이싱부지지부재(40a)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40b)를 지지부체결부재(37)을 체결하여 결합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미부호)을 형성한 제 2체결부(35)를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에 소정의 간격으로 매립되는 매립앵커(38)에 앵커체결부재(36)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와 마주하는 지지형강(31a)의 면에는 상기 매입앵커(38a 또는 38b)와 일치하게 복수의 체결공(3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 및 상부케이싱부(10a')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체결공(12)과 마주하는 상기 지지형강(31a)의 면에는 케이싱부체결부재(13)가 관통하는 체결공(12)과 일치하게 복수의 체결공(33)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앵커체결부재(36)는 통상의 것이어서 구체적인 상술을 생략하였지만, 와셔를 일체하는 헤드 볼트(Head bolts)로 적용할 수 있고, 별개의 와셔와 헤드볼트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와셔 및 너트와 양측에 나사부를 갖는 스터드 볼트(stud bolts) 또는 벽체케이싱부(121)에 매립된 앵커볼트(미도시)에 와셔와 너트를 체결하는 것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30a, 30b)에는,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와 상기 조립식상부케이싱부(10a')를 지지하며,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케이싱부지지부재(40a)와,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40b)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40a, 40b)는, 몸체를 이루는 "ㄷ" 자 형상의 지지형강(31a)과, 상대 벽부지지부재 및 케이싱부지지부재를 결합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미부호)을 형성한 제1 체결부(34)가 상기 지지형강(31a)의 양단부에 마련하고 있고, 상기 지지형강(31a)의 양단부에 마련된 제1 체결부(34)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추가되는 보강지지부재(미도시)를 결합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한 제 2체결부(미도시)를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와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30a, 30b)의 면과,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 및 상부케이싱부(10a')와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30a, 30b)의 면에는 상기 냉각팬부(80a)의 진동이 상기 벽체케이싱부(121)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수밀을 유지하는 "L"자형상의 제1 실러(50a)를 더 포함하여 개재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실러(50a)는, 탄성과 수밀성을 갖는 재질로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와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30a, 30b) 사이에 상기 제 1실러(50a)를 개재하여 상기 앵커체결부재(36)로 고정하면, 상기 제1 실러(50a)의 탄성에 의하여 냉각팬부(80a)로부터 전달되는 전면적인 진동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는 있지만, 상기 앵커체결부재(36)를 통해 전달되는 국소적인 진동은 차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냉각팬부(80a)로부터 앵커체결부재(36)를 통해 상기 벽체케이싱부(121)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체결공(32)의 면과 상기 앵커체결부재(36)의 접촉을 격리하며, 상기 앵커체결부재(36)를 수용하여 상기 체결공(32)에 고정되는 방진부재(5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방진부재(55)는 탄성과 수밀성을 갖는 재질로서, 일측은 상기 체결공(32) 면에 삽입 밀착되어 상기 체결공(32)과 앵커체결부재(36)의 접촉을 격 리하는 밀착부(미부호)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체결공(32) 면과 앵커체결부재(36)의 헤드(또는 와셔)와 접촉을 격리하고 수밀을 유지하며 상기 체결공(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수밀턱(미부호)을 형성하며, 중앙에는 상기 앵커체결부재(36)가 관통되도록 중공(미부호)을 형성하고 있다.
전술에서, 본 발명의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편흡입식 직교류형 조립식냉각탑(1a)의 벽체케이싱부(121)는 옥탑건물(120a)의 벽체 2면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 일예로 상술하였으나, 주건물(110)의 벽체와, 담벽(130)의 벽체와, 옹벽(135)의 벽체와, 상부 개방냉각탑실(140)의 벽체와, 냉각탑외곽벽(150)의 벽체를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11, 136, 141, 151)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전술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30a, 30b)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40a, 40b)는, "ㄷ" 자 형상의 지지형강(31a)으로 몸체를 이루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후술할 도면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L" 자 형상의 지지형강(31b)로도 적용할 수 있고, 다른 형상의 지지형강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전술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30a, 30b)에 앵커체결부재(36)의 체결을 내측(즉 열교환 영역내)에서 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앵커체결부재(36)를 외측에서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30a, 30b)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에서는, 벽체케이싱부(121)와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 재(30a, 30b)의 면과,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 및 상부케이싱부(10a')와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30a, 30b)의 면에는 "L"자형상의 제1 실러(50a)가 개재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제1 실러(50a)를 대신하여 평판 형상의 제2 실러(50b)를 각각 개재할 수도 있다.
전술에서는, 조립식집수조(90b)를 구성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와 일체하는 일체식집수조로도 구성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편흡입식 직교류형 조립식냉각탑(1a)의 조립 설치 및 분리 해체의 바람직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벽체케이싱부(121)는 시공 후의 벽체를 이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먼저, 상기 조립식집수조(90b)의 배치위치와 맞게 집수조지지부(95)를 시공한다.
그 다음, 벽체에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의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제1 및 제 2 벽부지지부재(30a,30b)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32)과, 상기 냉각수안내부재(60)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63)과 일치하게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에 구멍을 뚫고 앵커부재(38a)를 매립하여 견고히 고정시킨다.
그 다음, 상기 벽체케이싱부(121) 영역에 바람직한 공법으로 방수공사를 한다.
그 다음, 상기 집수조지지부(95)에 조립식집수조(90b)를 설치한다.
그 다음, 상기 제1 및 제 2 벽부지지부재(30a,30b)와 상기 냉각수안내부재(60)에 제1 및 제2 실러(50a, 50b)를 개재하여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에 매립고정된 앵커부재(38a)에 앵커체결부재(36)를 체결하여 견고하게 설치한다.
그 다음, 상기 제1 및 제 2 벽부지지부재(30a,30b)에 상기 제1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40a, 40b)를 지지부체결부재(37)의 체결로 조립설치 한다.
그 다음, 상기 엘리미네이터(75)와 상기 루버(71)를 포함하는 상기 열교환부(70b)를 상기 열교환 영역내 소정 위치에 조립 설치한다.,
그 다음, 상기 제1 및 제 2 벽부지지부재(30a,30b)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40a, 40b) 사이와, 상기 제1 케이싱부지지부재(40a)와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40b) 사이에 필요되는 보강지지부재(미도시)를 조립 설치한다.
그 다음, 상기 제 1 벽부지지부재(30a)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40a, 40b)와, 보강지지부재(미도시)의 측면을 결합부로 하여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를 케이싱부체결부재(13)의 체결로 조립 설치한다.
그 다음, 상기 제 2 벽부지지부재(30b)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40a, 40b)와, 보강지지부재(미도시)의 상부면을 결합부로 하여 상기 조립식상부케이싱부(10a')와 상기 조립식살수부(74b)를 케이싱부체결부재(13)로 체결하여 조립 설치한다.
그 다음, 상기 냉각팬부를 조립 설치함으로서 조립식냉각탑(1a)의 조립 설치는 완료된다.
전술에서는,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기 위하여 각 구성부를 반제품으로 현장에 납입하여 현장에서 조립설치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각 구성부 모두를 공장 조립하여 완제품으로 납입하고, 조립된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30a, 30b)를 상기 벽체케이싱부(121) 매립고정된 앵커부재(38)에 앵커체결부재(36)를 체결하여 설치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분리 해체는 조립의 역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벽체의 2면을 벽체케이싱부(121)로 이용하는 조립식냉각탑(1a)은, 날로 증가되는 옥상 편의시설의 공간확대에 여지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냉각탑(1a)의 조립식측부케이싱부 감소를 통한 현격한 원가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화재손실 및 환경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벽체 2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벽부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조립식냉각탑(3a)은, 전술한 제 1실시 예와는 달리, 각 구성부 모두를 공장 조립하여 완제품으로 납입하고, 조립된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를 벽체케이싱부에 매립고정된 앵커부재(38)에 앵커체결부재(36)을 체결함으로서 설치가 완료되는 구조로서,
그 구성은, 열교환영역(5)을 형성하는 주건물(110)의 벽체 2면을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11)와, 상기 벽체케이싱부(111)에 고정되는 제1 및 제 2 벽부지지부재(30a',30b')와 제1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40a', 40b')가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 2 벽부지지부재(30a',30b')와 상기 제1 및 제2 케 이싱부지지부재(40a', 40b')는, "L" 자 형상의 지지형강(31b)로 몸체를 이루고, 상기 제1 및 제 2 벽부지지부재(30a',30b')는, 상기 벽체케이싱부(111)에 매립고정된 매립앵커(38)에 고정하는 앵커체결부재(36)의 체결을 외측(즉, 열교환영역 외부)에서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케이싱부(111)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40a', 40b')사이에는 제2 실러(50b)를 개재하고 있다.
또한,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c)의 상부에는 전면이 개구된 상부개구배기구(18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개구배기구(18b)에는 흡음재(88)가 수용설치되는 챔버(86)와 상기 챔버(86)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플랜지(87)로 구성되는 제1 소음기(85a)를 더 포함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일측 조립식 케이싱부(10c)의 하부에는 급기구(16)가 마련되고, 상기 급기구(16)의 내측 소정의 영역에는 상기 열교환 영역(5)과 격리하는 격벽(17)이 마련되어 냉각팬부(80b)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급기구(16)에는 급기측 소음기(85a)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영역(5)에는 냉각수와 공기가 상호 유동하며 열교환하며 대향류식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열교환부(70a)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부 (70a)의 상부영역에는 냉각수유입구(73)을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압력 살수하는 조립식살수부(74a)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식살수부(74a)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개구배기구(18b)를 향하여 비산되는 물방울을 상기 열교환영역(5)내로 회 수하는 엘리미네이터(75)를 마련하고 있다.
전술에서, 본 발명의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조립식냉각탑(3a)의 벽체케이싱부(111)는 주건물(110)의 벽체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일예로 상술하였으나, 옥탑건물(120a)의 벽체와, 담벽(130)의 벽체와, 옹벽(135)의 벽체와, 상부 개방냉각탑실(140)의 벽체와, 냉각탑외곽벽(150)의 벽체를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21, 136, 141, 151)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전술에서는, 양면 케이싱을 본체로 하여 내부공간에 소음전달을 차단하는 차음재가 충전된 소음저감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c)를 구성하는 것에 대해 일예로 상술하였으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단판 케이싱을 본체로 하는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a)와, 철재 단판 케이싱을 본체로 하는 조립식측부케이싱부(10b), 일체식측부케이싱부(20)로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전술에서는, 상부개구배기구(18b)와 급기구(16)에 제1 소음기(85a)와 제1 소음기(85b)를 각각 설치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소음기는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도 있고 설치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는 선택적인 구성으로서, 제1 소음기(85a)와 제1 소음기(85b)를 제외하고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조립식냉각탑(3a)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조립식냉각탑(3a)의 설치 및 분리 해체의 바람직한 방법은 매우 간단한 것이어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벽체의 2면을 벽체케이싱부(121)로 이용하는 조립식냉각탑(3a)은, 날로 증가되는 옥상 편의시설의 공간확대에 여지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냉각탑(1a)의 조립식측부케이싱부 감소를 통한 현격한 원가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화재손실 및 환경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냉각탑의 운전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공장 조립 완제품을 설치함에 따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벽체 2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건축화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흡입통풍식 직교류형 일체식냉각탑(1b)은, 전술한 실시 예들과는 달리, 옥탑건물(120a)의 벽체 2면을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21)와 일체하게, 일체식측부케이싱부(20)와, 상부에 일체식배기구(26)를 열교환영역과 연통하게 형성하는 일체식상부케이싱부(25)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와 일체식측부케이싱부(20)의 하부에는 일영역에 냉각수유출구(91)를 갖는 일체식집수조(90a)가 벽체케이싱부(121)의 하부 및 냉각탑기초(160)와 일체하게 마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옥탑건물(120a)의 벽체가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시공되는 경우, 상기 냉각탑(1b)의 구조물이 되는 상기 일체식측부케이싱부(20)와, 일체식배기구(26)와, 일체식상부케이싱부(25)와, 일체식 집수조(90a)는 옥탑건물(120a)의 벽체와 동일한 재질 및 시공방법으로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 다 른 재질 및 시공방법으로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옥탑건물(120a)의 벽체가 벽돌(brick)과 같은 구조로 시공될 경우에는 상기 일체식측부케이싱부(20)는 옥탑건물(120a)의 벽체와 동일한 구조로 시공되고, 상기 일체식배기구(26) 및 일체식상부케이싱부(25)와, 일체식살수부(80b)와, 일체식집수조(90a)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시공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방수부에 대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와, 일체식측부케이싱부(20)와, 일체식배기구(26) 및 일체식상부케이싱부(25)와, 일체식살수부(80b)와, 일체식집수조(90a)의 내면 등 냉각수가 누출될 수 있는 모든 부분에는 방수를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탑(1b)의 외표면에는 상기 옥탑건물(120a)의 벽체 외표면의 마감재와 동일하게 상기 냉각탑(1b)의 외표면을 마감 시공하여 기계적인 혐오감을 해소하는 건축화를 이루고 있다.
다음은, 냉각탑(1b)의 시공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건축설계시 냉각탑(1b)에 대한 구조도면을 냉각탑제조자가 제공하여 건축설계에 반영한다.
그 다음, 건축업자에 의해 건물 신축(시공)시 설계도면에 따라 상기 냉각탑(1b)의 구조물과 방수 및 마감공사가 시공된다.
그 다음, 냉각탑제조자에 의해 열교환부(70b), 루버(710 및 엘리미네이터(75), 냉각팬부(80a) 등의 구성부가 조립 설치된다.
전술에서는, 일체식배기구(26)와, 일체식살수부(80b)와, 일체식집수조(90a)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이를 대신하여 조립식배기구(18a)와, 조립식살수부(80a)와, 조립식집수조(90b)로도 적용할 수도 있다.
전술에서는, 상기 옥탑건물(120a)의 벽체 시공시 동시에 상기 냉각탑(1b)의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에 대해 일예로 상술하였으나, 옥탑건물(120a)의 벽체 시공 후에도 냉각탑(1b)의 구조물과 방수 및 마감공사를 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일체식측부케이싱부(20)와, 일체식상부케이싱부(25)와, 일체식살수부(80b)와, 일체식집수조(90a)와, 일체식살수부(80b)가 결합되는 상기 벽체케이싱부(121)의 면을 치핑(chipping)하고, 드러낸 철근과 냉각탑(1b) 구조물의 철근을 결합(용접 또는 결속)하여 견고히 시공할 수 있다.
전술에서, 본 발명의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편흡입식 직교류형 조립식냉각탑(1b)의 벽체케이싱부(121)는 옥탑건물(120a)의 벽체 2면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 일예로 상술하였으나, 주건물(110)의 벽체와, 담벽(130)의 벽체와, 옹벽(135)의 벽체와, 상부 개방냉각탑실(140)의 벽체와, 냉각탑외곽벽(150)의 벽체를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11, 136, 141, 151)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벽체의 2면을 벽체케이싱부(121)로 이용하는 일체식냉각탑(1b)은, 날로 증가되는 옥상 편의시설의 공간확대에 여지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냉각탑(1b)의 일체식측부케이싱부 감소를 통한 현격한 원가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화재손실 및 환경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냉각 탑(1b)의 외표면을 건축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벽체 3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편흡입식 직교류형 일체식냉각탑(1b)은, 전술한 실시 예들과는 달리, 주건물(110)의 벽체 1면과, 담벽(130)의 벽체 2면을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11, 131)와 일체하게, 급기구(미도시) 상부를 폐쇄하는 일체식측부케이싱부(20)와, 상부에 일체식배기구(26)을 열교환영역과 연통하게 형성하는 일체식상부케이싱부(25)를 마련하고 있다.
전술에서는, 주건물(110)의 벽체 1면과, 담벽(130)의 벽체 2면을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11, 131)에 대하여 일예로 상술하였으나, 옥탑건물(120a)의 벽체와, 옹벽(135)의 벽체와, 상부 개방냉각탑실(140)의 벽체와, 냉각탑외곽벽(150)의 벽체를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21, 136, 141, 151)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벽체의 3면을 벽체케이싱부(111, 131)로 이용하는 일체식냉각탑(1b)은, 날로 증가되는 옥상 편의시설의 공간확대에 여지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전술한 다른 냉각탑보다, 냉각탑(1b)의 일체식측부케이싱부 1면을 더 감소시키어 현격한 원가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화재손실 및 환경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냉각탑(1b)의 외표면을 건축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벽체 1면을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흡입통풍식 대향류형 일체식냉각탑(2b)은, 전술한 실시 예들과는 달리, 옥탑건물(120a)의 벽체 1면을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21)와 일체하게, 급기구(22)를 형성하는 일체식측부케이싱부(20)와, 상부에 일체식배기구(26)을 열교환영역과 연통하게 형성하는 일체식상부케이싱부(25)를 마련하고 있다.
전술에서는, 옥탑건물(120a)의 벽체 1면을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21)에 대하여 일예로 상술하였으나, 주건물(110)의 벽체와, 담벽(130)의 벽체와, 옹벽 (135)의 벽체와, 상부 개방냉각탑실(140)의 벽체와, 냉각탑외곽벽(150)의 벽체를 이용하는 벽체케이싱부(111, 136, 141, 151)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벽체의 1면을 벽체케이싱부(121)로 이용하는 일체식냉각탑(2b)은, 급기구(22)를 확대시키어 냉각공기의 유입 및 유동을 보다 더 균등화 할 수 있고, 날로 증가되는 옥상 편의시설의 공간확대에 여지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일체식측부케이싱부 감소를 통한 현격한 원가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화재손실 및 환경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냉각탑(1b)의 외표면을 건축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이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더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 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술 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추구하는 목적과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의 치환, 조합 및 변형 등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옥외와 면하는 벽체를 냉각탑의 케이싱부로 이용할 수 있고, 지지구조의 강화와 설치공간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부개방냉각탑실 및 냉각탑외곽벽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옥상 편의시설의 공간을 현격하게 확대할 수 있으며, 냉각탑의 미관을 향상하기 위한 건축화가 용이하고, 원가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화재손실 및 환경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측부케이싱부와 상부케이싱부를 구성하여 형성하는 것과, 상기 측부케이싱부 만 구성하여 형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열교환영역과;
    상기 측부케이싱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영역으로 급기를 유입하는 급기구와;
    상기 급기구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급기를 안내하고 외부로 이탈되는 냉각수 물방울을 제지하여 상기 열교환영역내로 유도하는 루버와;
    상기 열교환영역과 연통하게 형성되는 배기구와;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며 냉각수와 공기가 상호 유동하며 열교환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어 냉각수를 살수하는 살수부와;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공기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하는 냉각팬부와;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비산되는 물방울을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열교환부를 통해 낙하되는 냉각수를 집수하며, 일영역에 냉각수유출구가 마련되는 집수조로 구성되는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영역은, 주건물의 벽체와, 옥탑건물의 벽체와, 담벽의 벽체와, 옹벽의 벽체와, 상부개방냉각탑실의 벽체와, 냉각탑외곽벽의 벽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벽체의 1면과, 벽체의 2면과, 벽체의 3면 중 어느 하나를 벽체케이싱부로 이용하고 ,
    상기 측부케이싱부는, 상기 벽체케이싱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제1 벽부지지부재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조립식측부케이싱부와, 상기 벽체케이싱부와 일체하게 형성되는 일체식측부케이싱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열교환영역과 연통하게 상기 배기구를 형성하는 상기 상부케이싱부는, 상기 벽체케이싱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제2 벽부지지부재에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조립식상부케이싱부와, 상기 벽체케이싱부와 일체하게 형성되는 일체식상부케이싱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는, "ㄷ" 자 형상과, "L" 자형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지지형강과, 상기 지지형강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지지형강의 양단부사이 소정의 위치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체결부와, 상기 벽체케이싱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매립되는 매립앵커에 앵커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상기 벽체케이싱부와 마주하는 지지형강의 면에 형성하는 복수의 체결공(32)과,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 및 상부케이싱부와 마주하는 지지형강의 면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 및 상부케이싱부를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공(33)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공(32)에는, 상기 냉각팬부로부터 앵커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벽체케이싱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체결공(32)의 면과 상기 앵커체결부재의 접촉을 격리하며, 상기 앵커체결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체결공(32)에 고정되는 방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는, 상기 벽체케이싱부에 매립고정된 매립앵커에 고정되는 앵커체결부재의 체결을, 상기 열교환영역의 내측에서 하도록 구성되는 것과, 상기 열교환영역의 외측에서 하도록 구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케이싱부와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의 면과,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 및 상부케이싱부와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의 면에는 상기 냉각팬부의 진동이 상기 벽체케이싱부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수밀을 유지하는 "L"자형상의 제1 실러와, 평판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실러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 는 냉각탑.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에는,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 및 조립식상부케이싱부를 지지하며, "ㄷ" 자 형상과, "L" 자형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지지형강의 양단부와 양단부사이 소정의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가 구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제1 케이싱부지지부재와, 수평 방향으로 지지되는 제2 케이싱부지지부재가 더 포함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측부케이싱부와 조립식상부케이싱부는, 상기 제1 및 제2 벽부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공(12)을 형성한 플랜지부를 마련하며,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케이싱(11a)과, 철판재의 케이싱(11b)과, 내부공간에 차음재가 충전되고 양면 판재로 구성되는 케이싱(11c)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식측부케이싱부 및 일체식상부케이싱부는, 상기 벽체의 시공시에 일체 하게 시공되는 것과, 상기 벽체의 시공 후 벽체 면과 일체하게 결합하여 시공 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는, 상기 벽체케이싱부와 별개로 구성되는 조립식집수조와, 상기 벽체케이싱부와 일체하게 형성되는 일체식집수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집수조의 상부에는, 상기 벽체케이싱부의 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조립식집수조내로 안내하며,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63)을 형성한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으로부터 내향으로 굴곡된 안내판으로 구성되는 냉각수안내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장착판과 벽체케이싱부면 사이에는 제2 실러를 개재하여 상기 벽체케이싱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매립된 매립앵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직교류식 냉각탑과, 흡입 통풍형 대향류형 냉각탑과,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냉각탑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12. 제 1항 또는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은,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현장에 납입하여 상기 벽체케이싱부에 조립설치되는 것과, 반제품으로 현장에 납입하여 상기 벽체케이싱부에 조립설치되는 것과, 상기 벽체케이싱부와 일체하게 현장에서 설치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통풍식 대향류형 냉각탑의 급기구 및 배기구 각각에는 소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충진재로 구성되는 개방식 열교환부와, 전열관으로 구성되는 밀폐식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KR1020070033658A 2007-04-05 2007-04-05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Expired - Fee Related KR100769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658A KR100769317B1 (ko) 2007-04-05 2007-04-05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658A KR100769317B1 (ko) 2007-04-05 2007-04-05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317B1 true KR100769317B1 (ko) 2007-10-24

Family

ID=3881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6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69317B1 (ko) 2007-04-05 2007-04-05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3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573B1 (ko) * 2012-02-21 2013-08-14 서호성 냉각기용 송풍팬 조립체
KR101338641B1 (ko) 2012-02-21 2013-12-06 서호성 직교류형 냉각탑
KR101338650B1 (ko) 2012-02-21 2013-12-09 서호성 직교류형 냉각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7192A (ja) 1983-09-07 1985-04-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乾・湿式冷水塔
US4788013A (en) 1987-05-11 1988-11-29 The Marley Cooling Tower Company Four-way airflow induced draft crossflow cooling tower
KR200412707Y1 (ko) 2005-12-26 2006-03-31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냉각탑 제어시스템
KR100681314B1 (ko) 2006-03-24 2007-02-15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소음저감 케이싱을 갖는 냉각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7192A (ja) 1983-09-07 1985-04-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乾・湿式冷水塔
US4788013A (en) 1987-05-11 1988-11-29 The Marley Cooling Tower Company Four-way airflow induced draft crossflow cooling tower
KR200412707Y1 (ko) 2005-12-26 2006-03-31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냉각탑 제어시스템
KR100681314B1 (ko) 2006-03-24 2007-02-15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소음저감 케이싱을 갖는 냉각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573B1 (ko) * 2012-02-21 2013-08-14 서호성 냉각기용 송풍팬 조립체
KR101338641B1 (ko) 2012-02-21 2013-12-06 서호성 직교류형 냉각탑
KR101338650B1 (ko) 2012-02-21 2013-12-09 서호성 직교류형 냉각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272B1 (ko) 모듈형 냉각탑
KR100834903B1 (ko) 백연감쇄 흡입통풍식냉각탑
KR101128668B1 (ko) 다단 설치 냉각탑의 구조
KR100834902B1 (ko) 백연감쇄 압입통풍식냉각탑
KR100769317B1 (ko) 벽체를 케이싱부로 이용하는 냉각탑
CN1654758B (zh) 太阳能系统房屋
JP5945127B2 (ja) 建物
CN205141456U (zh) 室内变电站的组合式通风系统
CN208526121U (zh) 一种用于煤场的覆盖膜除尘装置
CN106017129A (zh) 适用于地下单向气流空间内的冷却塔
CN215260300U (zh) 一种用于地下封闭空间的一体化装配式通风装置
CN207160679U (zh) 带有通风采光井的地下车库
CN217155048U (zh) 带高温热水装置防白烟及消声降噪冷却塔
CN113776351B (zh) 鼓风式通风冷却塔及冷却塔排布系统
JP2001254492A (ja) 建物換気装置構造
CN205314398U (zh) 智能型排风散热装置
JP5379758B2 (ja) 二重屋根増設構造、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省エネ型屋根または消雪屋根
JP2000297502A (ja) 住宅の環境維持システム
CN101230749B (zh) 室内空调安装、散热专用通道
CN201024648Y (zh) 室内空调安装、散热专用通道
CN209874585U (zh) 一种航改机型分布式能源站分布系统
JP656236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CN221276815U (zh) 阻燃保温箱式活动房
KR100514946B1 (ko) 조경화 냉각탑
CN102052728A (zh) 一种保温型弧形通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