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205B1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205B1
KR100769205B1 KR1020010087095A KR20010087095A KR100769205B1 KR 100769205 B1 KR100769205 B1 KR 100769205B1 KR 1020010087095 A KR1020010087095 A KR 1020010087095A KR 20010087095 A KR20010087095 A KR 20010087095A KR 100769205 B1 KR100769205 B1 KR 10076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forming
film
void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6796A (ko
Inventor
신주한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20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35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dielectric layers having a low dielectric const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 H01L21/0213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the material being halogen doped silicon oxides, e.g. FS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간 절연막(IMD : Inter-Metal Dielectric)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줄이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절연 기판상에 복수개의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 배선간 공간의 저부에서 진공의 제 1 보이드를 갖는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상기 금속 배선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의 금속 배선간 공간에 진공의 제 2 보이드를 갖는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절연막상에 캡핑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금속간 절연막(IMD), 보이드(Void)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of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절연 기판 12 : 금속 배선
13 : 제 1 보이드 14 : 제 1 FSG막
15 : 제 2 보이드 16 : 제 2 FSG막
17 : 캡핑막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간 절연막(IMD : Inter Metal Dielectric)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를 감소시키어 소자 동작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바이스(Device)의 사이즈(Size)가 작아지면서 RC 딜레이(Delay)를 줄이고자 금속간 절연막으로 사용되는 산화막으로 유전율이 낮은 물질을 이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금속간 절연막으로 유전율이 3.7인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계열의 FSG(Fluorinate Silica Glass)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금속간 절연막으로 유전율이 낮은 절연 물질을 사용하더라도 캐패시턴스를 줄이는데 한계를 가지므로 RC 딜레이(Delay)를 감소시키기 어려워 소자 동작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금속간 절연막의 캐패시턴스를 줄이어 소자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절연 기판상에 복수개의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 배선간 공간의 저부에서 진공의 제 1 보이드를 갖는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상기 금속 배선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의 금속 배선간 공간에 진공의 제 2 보이드를 갖는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절연막상에 캡핑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우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기판(11)상에 복수개의 금속 배선(1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금속 배선(12)은 소자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종횡비(Aspect Ratio)가 증가하게 되며, 그들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이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mTorr의 진공에 가까운 분위기로 HDP CVD(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증착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금속 배선(12) 사이의 공간 하부에서 제 1 보이드(13)를 갖는 제 1 FSG(Fluorinate Silica Glass)막(14)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FSG막(14)은 유전율을 낮추기 위해 일반적인 USG(Undoped Silicate Glass)에 플루오르(F)를 첨가하여 유전율을 3.7로 낮춘 FSG 물질이며, 상기 제 1 FSG막(14) 내부의 상기 제 1 보이드(13)는 수 mTorr의 진공에 가까운 분위기에서 형성되어 유전율이 거의 1에 가까운 값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제 1 보이드(13)를 포함하는 제 1 FSG막(14)의 유전율은 더욱더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보이드(13)는 진공에 가까운 분위기에서 형성되므로 이후 열처리 공정을 거치더라도 팽창을 통해 터지지 않게 된다.
이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mTorr의 진공에 가까운 분위기의 HDP CVD 공정으로 상기 금속 배선(12) 사이에서 제 2 보이드(15)를 갖는 제 2 FSG막(16)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보이드(15)는 상기 금속 배선(12)의 상면보다 낮게 되도록 컨트롤(Control)하여 이후의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으로 상기 제 2 보이드(15)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 2 FSG막(16)도 상기 제 1 FSG막(14)과 동일한 이유로 유전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FSG막(16)상에 소정 두께의 캡핑막(17)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캡핑막(17)으로는 FSG 및 기타 옥사이드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캡핑막(17)을 상기 제 2 FSG막(16)의 증착 공정에서 사용한 장비와 동일 장비를 이용하여 인-시튜(In-Situ)로 진행하면, 증착 시간을 줄이고 장비 투자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장비가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다른 증착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금속 배선 사이의 절연막에 진공의 보이드를 형성하여 금속 배선 사이 절연막의 유전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금속 배선간의 캐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보이드를 2번의 증착 공정을 통해 2중으로 형성하므로 금속 배선 높이 하부로의 보이드 형성 제어가 용이하다.
셋째, 금속 배선간의 캐패시턴스를 줄이어 RC 딜레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 로 소자의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절연 기판상에 복수개의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배선간 공간의 저부에서 진공의 제 1 보이드를 갖는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상기 금속 배선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의 금속 배선간 공간에 진공의 제 2 보이드를 갖는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절연막상에 캡핑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절연막은 FSG(Fluorinate Silica Glass)막으로, 수 mTorr에서 HDP CVD(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을 통해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막은 상기 제 2 절연막과 동일 증착 장비를 이용한 인-시튜(In-situ) 공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10087095A 2001-12-28 2001-12-28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6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095A KR100769205B1 (ko) 2001-12-28 2001-12-28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095A KR100769205B1 (ko) 2001-12-28 2001-12-28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796A KR20030056796A (ko) 2003-07-04
KR100769205B1 true KR100769205B1 (ko) 2007-10-23

Family

ID=3221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095A KR100769205B1 (ko) 2001-12-28 2001-12-28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51B1 (ko) * 2007-12-26 2009-10-21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92863B1 (ko) 2013-12-30 2020-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683A (ko) * 1997-06-28 1999-01-2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층간 절연막 형성방법
KR19990061043A (ko)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9990062465A (ko) * 1997-12-31 1999-07-26 구본준 반도체 소자의 배선 구조 및 형성 방법
US6080649A (en) * 1996-01-08 2000-06-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Fusible link in an integrated semiconductor circui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fusible lin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0649A (en) * 1996-01-08 2000-06-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Fusible link in an integrated semiconductor circui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fusible link
KR19990004683A (ko) * 1997-06-28 1999-01-2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층간 절연막 형성방법
KR19990061043A (ko)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9990062465A (ko) * 1997-12-31 1999-07-26 구본준 반도체 소자의 배선 구조 및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796A (ko)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656B1 (ko) 금속배선의 형성 방법 및 그에 의해 형성된 금속배선을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KR100815952B1 (ko)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US7482684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 dopant region in a lower wire
KR10076920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9990061043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443148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567021B1 (ko) 반도체 장치의 fsg의 층간 절연막 형성방법
KR20020010807A (ko) 반도체소자의 층간절연막 형성 방법
KR100399903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시의 층간 평탄화방법
KR100571394B1 (ko) 금속 패턴 상에 연결되는 콘택 형성 방법
KR100250731B1 (ko)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형성방법
KR100652316B1 (ko)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제조 방법
KR100637965B1 (ko) Fsg 절연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020047523A (ko)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KR20070048820A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367499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KR100620153B1 (ko)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KR100604412B1 (ko) 반도체 제조 공정의 평탄화 방법
KR100392896B1 (ko) 반도체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55141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59063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의 층간 절연막 제조 방법
KR100272661B1 (ko) 반도체디바이스의층간절연막형성방법
US2007021587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230052682A (ko) 기판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756863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