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855B1 -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855B1
KR100768855B1 KR1020050092601A KR20050092601A KR100768855B1 KR 100768855 B1 KR100768855 B1 KR 100768855B1 KR 1020050092601 A KR1020050092601 A KR 1020050092601A KR 20050092601 A KR20050092601 A KR 20050092601A KR 100768855 B1 KR100768855 B1 KR 100768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control signal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261A (ko
Inventor
김선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85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7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2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기에 장착된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 동작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와, 단말기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230)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말기 전체 동작을 제어하면서 단말기 동작 상태를 판단하며, 대기(idle) 상태로 확인되면 발광제어신호를 시간적으로 가변시켜 출력하고 슬립(sleep) 상태로 확인되면 일정레벨의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말제어부(220)와,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승압/감압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를 조정하는 챠지펌프(2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CONDITION DISPLAY CIRCUIT FOR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도1은 일반적인 이동단말기의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동작상태 표시 회로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동작상태 표시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0 : 챠지펌프 220 : 단말제어부
230 : 프로그램 메모리 LED : 발광다이오드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작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MP3와 같은 이동단말기에서는 전원 온/오프(On/Off), 기기 상태, 동작 상황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즉,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소등시키거나 또는 깜빡거림 등으로 전원 온/오 프, 기기 상태, 동작 상황 등을 표시하거나,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자판 등을 밝게 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편리하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이동단말기의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와, 이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시키는 구동부(110)와, 단말기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130)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말기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대기(idle)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110)에 구동신호를 출력시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점등을 제어하는 단말제어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제어부(120)는 CPU 또는 MSM(Mobile Station Modem)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110)는 단말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턴오프되어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점멸시키는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이동단말기의 발광다이오드 구동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제어부(120)가 발광다이오드(LED)의 점등/점멸을 위해 구동부(110)에 출력하는 신호는 하이(high) 또는 로우(low)의 2개 신호 레벨을 갖는다.
우선, 단말제어부(120)는 대기 상태가 되면 GPIO 단자로 하이신호 또는 로우신호를 일정주기로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제어부(120)가 하이신호를 출력하면 구동부(120)에 구비된 트랜지스터(TR)가 턴온되어 발광다이오드(LED)에 전류흐름이 발생함으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는 켜지게 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는 저항(R)에 의해 결정된다.
반대로, 단말제어부(120)가 로우신호를 출력하면 구동부(120)에 구비된 트랜지스터(TR)가 턴오프되어 발광다이오드(LED)에 전류흐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는 꺼지게 된다.
따라서, 단말제어부(120)가 일정주기로 하이신호와 로우신호를 출력하면 발광다이오드(LED)는 일정주기로 깜박이게 된다.
즉, 종래에는 전화가 왔을 때 또는 MP3 재생 시에 발광다이오드(LED)를 일정주기와 일정 밝기로 구동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일정주기와 일정밝기로 발광다이오드를 온/오프시키는 동작을 수행함으로 사용자에게 지루함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조정함이 없이 단순히 온/오프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에 장착된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 동작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창안한 이동단말기의 동작 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발광다이오드로 표시할 때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서서히 밝게 변화시키거나 서서히 어둡게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와, 단말기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에 따라 발광제어신호를 가변시켜 출력하는 단말제어부와,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구동을 시간적으로 가변시키는 챠지펌프(charge pump)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제어부는 단말기 동작이 대기(idle) 상태인 경우 시간적으로 발광제어신호를 가변시켜 출력하고 슬립(sleep) 상태인 경우 일정레벨로 고정된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CPU 또는 MSM(Mobile Station Modem)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챠지펌프는 단말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발광제어신호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와, 상기 레지스터의 값에 따라 승압/감압 동작을 수행하는 승압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말기 동작을 점검하는 단계와, 단말기 동작이 대기 상태로 확인되면 발광제어신호를 시간적으로 가변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간적으로 가변되는 발광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조정하는 단계와, 단말기 동작이 슬립 상태로 확인되면 발광제어신호를 일정레벨로 출력하여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일정레벨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지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설명들을 기재함은 물론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동작상태 표시 회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와, 단말기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230)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말기 전체 동작을 제어하면서 단말기 동작 상태를 판단하며, 대기 상태로 확인되면 발광제어신호를 시간적으로 가변시켜 출력하고 슬립 상태로 확인되면 일정레벨의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말제어부(220)와,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승압/감압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를 조정하는 챠지펌프(210)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도 종래와 동일하게 발광다이오드(LED)가 일정주기로 깜박거리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즉, 단말제어부(220)가 일정주기로 일정레벨의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챠지펌프(210)가 상기 발광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일정레벨의 구동신호를 일정주기마다 출력하여 발광다이오드(LED)의 전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LED)가 일정주기로 깜박거리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챠지펌프(210)의 전류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LED)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를 서서히 변화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이 과정을 도3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단말제어부(220)는 단말기가 대기(idle) 상태가 되는지 확인한다.
이후, 단말기가 대기상태가 되면 단말제어부(220)는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 조정을 시간적으로 서서히 조정하는 기능(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숨쉬기 기능'이라 함)을 위해 발광제어신호의 레벨을 시간적으로 점차 높이거나 낮추어 출력하게 된다.
이때, 챠지펌프(210)는 내부 레지스터에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저장한 후 그 발광제어신호에 대응되게 발광구동신호의 레벨이 시간적으로 가변되도록 승압 또는 감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제어부(220)가 발광제어신호의 레벨을 시간적으로 서서히 상승시키면 챠지펌프(210)가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레벨에 대응되게 승압 동작을 수행하여 발광다이오드(LED)의 전류 흐름을 서서히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가 점차 밝아지게 된다.
즉, 단말제어부(220)는 대기(idle) 상태가 된 횟수(예로 10회) 이상이 될 때마다 최대밝기의 목표 레지스터 값이 되었는지 판단하고 챠지펌프(210)의 내부 레지스터 값이 최대밝기의 목표 레지스터 값이 되지 않은 경우 상기 내부 레지스터 값을 '1'씩 증가시키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LED)를 서서히 밝게 구 동시키게 된다.
반대로, 단말제어부(220)가 발광제어신호의 레벨을 시간적으로 서서히 감소시키면 챠지펌프(210)가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레벨에 대응되게 감압 동작을 수행하여 발광다이오드(LED)의 전류 흐름을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가 점차 어두워지게 된다.
즉, 단말제어부(220)는 대기(idle) 상태가 된 횟수(예로 10회) 이상이 될 때마다 최소밝기의 목표 레지스터 값이 되었는지 판단하고 챠지펌프(210)의 내부 레지스터 값이 최소밝기의 목표 레지스터 값이 되지 않은 경우 상기 내부 레지스터 값을 '1'씩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LED)를 서서히 어둡게 구동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단말제어부(220)는 대기(idle) 상태를 확인하면 챠지펌프(210)의 내부 레지스터 값을 점차적으로 가변시켜 발광다이오드(LED)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를 가장 밝은 상태까지 서서히 조정한 후 다시 가장 어두운 상태까지 서서히 조정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시키게 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가장 밝은 상태와 가장 어두운 상태 그리고, 발광다이오드(LED)의 밝기를 서서히 조정하는 반복 동작은 사용자가 반복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가 슬립 상태가 되면 단말제어부(220)는 일정레벨의 발광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내부 레지스터에 저장한 챠지펌프(210)는 발광다이오드(LED)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를 일정 밝기로 발광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 동작 상태에 따라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서서히 가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동작 상태에 따라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서서히 가장 밝은 상태까지 그리고 다시 가장 어두운 상태까지 반복적으로 가변함으로써 단말기에 생동감을 주어 사용자가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의 동작이 대기(idle) 상태인 경우 발광제어신호를 시간적으로 가변시켜 출력하는 단말제어 수단과,
    상기 시간적으로 가변되는 발광제어신호에 따라 발광다이오드의 구동을 시간적으로 가변시키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수단은 챠지펌프(charge pump)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 수단은 상기 단말기의 동작이 슬립(sleep) 상태인 경우 상기 발광제어신호를 일정레벨로 고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 수단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된 횟수만큼 발광다이오드 밝기 가변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 수단은 CPU 또는 MSM(Mobile Station Mod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8. 단말기 동작을 점검하는 단계와,
    단말기 동작이 대기(idle) 상태로 확인되면 발광제어신호의 레벨을 시간적으로 가변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간적으로 가변되는 발광제어신호를 기반으로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점차적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동작이 슬립(sleep) 상태로 확인되면 발광제어신호를 일정레벨로 출력하여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일정레벨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신호의 레벨 조정은 대기(idle) 상태가 되는 횟수와 목표 레벨 값을 기준으로 일정값만큼씩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는 미리 설정된 가장 밝은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가장 어두운 상태까지 소정시간 반복적으로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반복 횟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방법.
KR1020050092601A 2005-09-30 2005-09-30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 KR100768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601A KR100768855B1 (ko) 2005-09-30 2005-09-30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601A KR100768855B1 (ko) 2005-09-30 2005-09-30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261A KR20070037261A (ko) 2007-04-04
KR100768855B1 true KR100768855B1 (ko) 2007-10-22

Family

ID=3815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601A KR100768855B1 (ko) 2005-09-30 2005-09-30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70B1 (ko) * 2007-10-18 2009-09-15 주식회사 케이씨텍 이송제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096A (ko) * 2000-12-22 2002-06-28 구자홍 이동영상 단말기의 화면 밝기 조절장치
KR20020096109A (ko) * 2001-06-16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증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096A (ko) * 2000-12-22 2002-06-28 구자홍 이동영상 단말기의 화면 밝기 조절장치
KR20020096109A (ko) * 2001-06-16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사용시간 증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261A (ko)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3745B2 (en) Brightness control of a status indicator light
US746872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display brightness with ambient light correction
US72390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of an LED lamp
US20030123521A1 (en) Operating a light emitting diode
JP6606288B2 (ja) バックライト回路、電子機器、及びバックライト調節方法
KR20070080399A (ko) 주변조도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방법 및장치
KR100768855B1 (ko)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표시 회로 및 방법
JP6226592B2 (ja) Led表示装置
JP2004274570A (ja) 携帯機器におけるキーバックライトの制御方法
JP4023423B2 (ja) 携帯機器
CN111741563A (zh) 调节环境光的护眼方法及装置、终端设备、可读存储介质
KR101360201B1 (ko)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27946A (ko) Led 등에 부착되어 전원 스위치 조작으로 디밍 레벨을 제어할 수 있는 범용 조명 장치
CN108510930B (zh) 电子装置
KR100455165B1 (ko) 휴대 단말기 발광소자 제어 방법
CN117615494A (zh) 灯具的亮暗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CN112750404B (zh) 指示灯和背光灯的亮度调节电路、方法和显示装置
TWI672074B (zh) 發光系統、控制裝置以及控制方法
JP2004031283A (ja) 光源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2023016460A (ja) 発光体制御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KR1006207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백색 엘이디 밝기 조정 방법
JP2003195990A (ja) バッテリ搭載型携帯用電子機器
JP2003068477A (ja) 照明制御装置
KR20090022401A (ko) 휴대 단말기 및 발광소자 밝기 제어 방법
KR20010038341A (ko) 단말기의 백-라이트 밝기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