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751B1 - 경사센서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경사센서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751B1
KR100767751B1 KR1020060058249A KR20060058249A KR100767751B1 KR 100767751 B1 KR100767751 B1 KR 100767751B1 KR 1020060058249 A KR1020060058249 A KR 1020060058249A KR 20060058249 A KR20060058249 A KR 20060058249A KR 100767751 B1 KR100767751 B1 KR 10076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base plate
main body
contac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박영복
Original Assignee
이근호
(주)테스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주)테스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06005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01C15/008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combined with inclination sensor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9/00Housing or supporting of instruments or other apparatus
    • G12B9/08Supports; Devices for carrying
    • G12B9/10Instruments boards; Panels; Desks; Ra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센서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측정대상의 경사각을 측정하는 경사센서를 지지하기 위한 경사센서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경사각의 측정을 위한 측정대상의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며, 한 쌍의 장변 및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장방형의 형상을 이루며 장변 및 단변이 경사각의 측정을 위한 측정면을 이루는 경사센서의 측정면과 접촉된 상태로 경사센서를 지지하는 면접촉부와, 본체에 설치되어 측정면을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센서지지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는 장방형의 경사센서의 측정면이 장변 또는 단변이 될 때, 장변 또는 단변이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시킴으로써, 경사센서가 안정적으로 경사각을 측정함과 아울러 보다 정확하게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경사, 센서, 지지, 토목, 건설

Description

경사센서지지장치 {APPARATUS FOR SUPPORTING TILT SENS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사센서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경사센서가 측정대상의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대상에 설치된 상태의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경사센서가 측정대상의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대상에 설치된 상태의 다른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경사센서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측정대상 10: 경사센서지지장치
20: 경사센서 100: 베이스플레이트
200: 면접촉부 300: 정렬부
본 발명은 경사센서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측정대상의 경사각을 측정하는 경사센서를 지지하기 위한 경사센서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사센서란 기준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정도(기울기)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중력에 따른 액체 또는 진자의 거동으로부터 경사각을 계산하여 기준면의 경사각을 측정한다.
경사센서는 자동차는 물론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건설 또는 토목 시공에도 시설물, 바닥면 등의 경사각을 측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한편 건설·토목 시공시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대상인 바닥면 또는 기둥 등의 표면이 일반적으로 편평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경사각의 측정을 위하여 경사센서지지장치를 측정대상의 표면에 설치한다. 그리고 경사센서는 경사센서지지장치에 지지설치되어 측정대상의 경사각을 측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사센서는 액체 또는 진자를 사용하여 측정하게 되므로 그 측정범위에 제한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사센서는 측정범위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측정면을 가지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외형에 의하여 측정대상의 표면에 따라서 측정면을 달리하여 측정대상의 경사각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는 종래의 경사센서는 측정면의 크기가 다르므로, 측정대상의 경사각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경사센서를 지지하기 위한 경사센서지지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필요성에 착안하여, 직사각형의 경사센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경사센서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경사각의 측정을 위한 측정대상의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며, 한 쌍의 장변 및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장방형의 형상을 이루며 장변 및 단변이 경사각의 측정을 위한 측정면을 이루는 경사센서의 측정면과 접촉된 상태로 경사센서를 지지하는 면접촉부와, 본체에 설치되어 측정면을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센서지지장치를 개시한다.
본체는 측정대상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면접촉부는 단변의 폭보다 작은 간격을 가지고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접촉기둥으로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기둥은 측정면과 접촉되는 부분의 단면이 측정면과 선접촉되도록 호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사센서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이루어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드플레이트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정렬부는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제 1 결합공 및 제 2 결합공과, 제 1 결합공 또는 제 2 결합공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스토퍼를 포함하며, 제 1 결합공은 경사센서의 단변이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될 때 정렬스토퍼가 장변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결합공은 경사센서의 장변이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 될 때 정렬스토퍼가 단변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렬부는 제 1 고정단과 제 2 고정단을 가지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과, 가디이드 슬롯을 따라서 이동하여 제 1 고정단과 2 고정단에 위치되도록 가이드슬롯과 결합되는 정렬스토퍼를 포함하며, 제 1 고정단은 경사센서의 단변이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될 때 정렬스토퍼가 장변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고정단은 경사센서의 장변이 접촉부의 중앙에 정렬될 때 정렬스토퍼가 단변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는 장방형의 경사센서의 측정면이 장변 또는 단변이 될 때, 장변 또는 단변이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시킴으로써, 경사센서가 안정적으로 경사각을 측정함과 아울러 보다 정확하게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본체(100)에 설치되는 면접촉부(200)와, 본체(100)에 설치되는 정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10)는 도 1 내지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또는 시설물과 같은 측정대상(1)의 표면의 경사각(θ)을 측정하는 경사센서(20)를 지지하는 조립체이다. 여기서 경사각(θ)은 중력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G)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각을 의미한다.
경사센서지지장치(1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대상(1)의 표면 중 경사각(θ)을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설치되어 경사각(θ)의 측정이 필요할 때마다 경사센서(20)를 경사센서지지장치(10)의 후술할 면접촉부(200)에 위치시켜 경사각(θ)을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10)는 측정대상(1)의 표면이 편평하지 않은 경우 경사센서(20)가 측정대상(1) 표면의 경사각(θ)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데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10)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경사각(θ)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경사센서지지장치(10)에 의하여 지지되는 경사센서(20)는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장변(21) 및 한 쌍의 단변(22)을 가지는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장변(21) 및 한 쌍의 단변(22)은 경사각(θ)의 측정을 위한 측정면(21, 22)을 이룬다. 그리고 경사센서(20)는 액체 또는 진자를 사용하여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경사센서(20)에 의하여 측정되는 경사각(θ)은 측정원리상 그 측정값에 한계치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θ)의 측정 범위에 따라서 경사센서(20)의 측정면(21, 22)을 장변(21) 또는 단변(22)으로 하여 경사각(θ)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경사센서(20)는 측정되는 경사각(θ)을 표시하기 위한 외부에 표시부(23)가 설치된다. 표시부(23)는 경사각(θ)의 수치 및 경사방향 등을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23)는 그 표시방법에 따라서 전자식 또는 아날로그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10)의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T)를 가지는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1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측정대상(1)의 표면에 설치되며, 측정대상(1) 표면의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강성을 가지는 부재로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금속 부재로 제작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측정대상(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통상 볼트 또는 나사(111)에 의하여 측정대상(1)의 표면에 결합된다.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양단에는 측정대상(1)의 표면에 나사(111)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111)가 삽입되는 나사공(112)들이 각각 형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110) 양측면에는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폭(W)은 가이드플레이트(120)가 결합되어 경사센서(20)가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경사센서(20)의 두께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가이드플레이트(120)는 베이스프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나사(121)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된다. 가이드플레이트(120)의 재질은 베이스플레이트(110)와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장방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한편 본체(100)에 설치되는 면접촉부(200)는 경사센서(20)의 측정면(21, 22)과 접촉된 상태로 경사센서(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면접촉부(200)는 본체를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표면 자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경사각(θ)의 정 밀한 측정을 위하여 경사센서(20)의 측정면(21, 22)과 접촉되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밀한 경사각(θ)의 측정을 위하여 면접촉부(200)는 경사센서(20)의 측정면(21, 22)과 선접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측정대상(1)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측정대상(1)의 변형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으므로,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변형이 경사각(θ)의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면접촉부(200)는 경사센서(20)의 단변(22)의 폭보다 작은 간격을 가지고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접촉기둥(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촉기둥(210)은 측정면(21, 22)과 접촉되는 부분의 단면이 측정면(21, 22)과 선접촉되도록 호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기둥(21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나사(211)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된다.
한편 경사센서(20)는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경사각(θ)의 측정 범위에 따라서 장변(21) 또는 단변(22)을 측정면하여 면접촉부(200)에 접촉되어 경사각(θ)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장변(21)과 단변(22)의 길이가 다르므로 면접촉부(200)와의 접촉 상태에 따라서 경사각(θ)의 측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에 설치되는 정렬부(300)는 도 3과 도 4에경사센서(20)의 측정면(21, 22)의 길이에 따라서 측정면(21, 22)이 면접촉부(200)의 중앙에 정렬시키도록 구성된다.
정렬부(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정렬부(300)는 경사센서(20)의 장변(21) 또는 단변(22)의 길이에 대응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0) 상에서 이동하여, 장변(21)이 측정면으로 사용되는 경우 장변(21)이 면접촉부(200)의 중앙에 정렬되고 단변(22)과 면접촉하도록 위치되고, 단변(22)이 측정면으로 사용되는 경우 단변(22)이 면접촉부(200)의 중앙에 정렬되고 장변(21)과 면접촉하도록 위치된다.
즉, 정렬부(300)는 베이스플레이트(100) 상에 이동 가능하며 장변(21) 또는 단변(22)을 중앙에 정렬시키고 단변(22) 또는 장변(21)과 면접촉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그 구성은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정렬부(300)의 구성을 예시하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제 1 결합공(311) 및 제 2 결합공(312)과, 제 1 결합공(311) 또는 제 2 결합공(312)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스토퍼(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결합공(311)은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센서(20)의 단변(22)이 면접촉부(200)의 중앙에 정렬될 때 정렬스토퍼(313)가 장변(21)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결합공(312)은 경사센서(20)의 장변(21)이 면접촉부(200)의 중앙에 정렬될 때 정렬스토퍼(313)가 단변(22)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정렬스토퍼(313)은 나사(314)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된다.
또한 정렬부(300)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단(321a)과 제 2 고정단(321a)을 가지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321)과, 가이드 슬롯(321)을 따라서 이동하여 제 1 고정단(321a)과 제 2 고정단(321b) 에 위치되도록 가이드 슬롯(321)과 결합되는 정렬스토퍼(3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단(321a)은 경사센서(20)의 단변(22)이 면접촉부(200)의 중앙에 정렬될 때 정렬스토퍼(323)가 장변(21)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고정단(321b)은 경사센서(20)의 장변(21)이 면접촉부(200)의 중앙에 정렬될 때 정렬스토퍼(323)가 단변(22)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정렬스토퍼(323)는 나사(324)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10)는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 등 경사각(θ)을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대상(1)의 표면에 설치된다. 경사각(θ)의 측정은 통상 특정 지점이 정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경사센서지지장치(10)는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대상(1)의 표면의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
이때 측정대상(1)의 표면의 경사진 상태에 따라서 경사센서(20)의 장변(21) 또는 단변(22)이 측정면이 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렬부(300)의 정렬스토퍼(313, 323)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대상(1)에 설치되는 조건(측정값이 한계치를 넘는지 여부)에 따라서 장변(21) 또는 단변(22)이 면접촉부(200)의 중앙에 정렬되도록 그 위치가 조정된다.
도 3의 경우에는 표시부(23)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θ)은 33.35˚이며, 도 4의 경우에는 표시부(23)에 표시된 각 30.00˚으로부터 경사각(θ)은 60.00˚(=90˚- 30.00˚)임을 알 수 있다. 물론 경사센서(20)에 따라서 도 4의 경사각 (θ)이 직접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센서지지장치는 장방형의 경사센서의 측정면이 장변 또는 단변이 될 때, 장변 또는 단변이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시킴으로써, 경사센서가 안정적으로 경사각을 측정함과 아울러 보다 정확하게 경사각을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경사각의 측정을 위한 측정대상의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한 쌍의 장변 및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장방형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장변 및 상기 단변이 경사각의 측정을 위한 측정면을 이루는 경사센서의 상기 측정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경사센서를 지지하는 면접촉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면을 상기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측정대상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면접촉부는 상기 단변의 폭보다 작은 간격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접촉기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센서지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기둥은 상기 측정면과 접촉되는 부분의 단면이 상기 측정면과 선접촉되도록 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센서지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센서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설치된 가이드플레이트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센서지지장치.
  6. 경사각의 측정을 위한 측정대상의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한 쌍의 장변 및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장방형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장변 및 상기 단변이 경사각의 측정을 위한 측정면을 이루는 경사센서의 상기 측정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경사센서를 지지하는 면접촉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면을 상기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측정대상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제 1 결합공 및 제 2 결합공과; 상기 제 1 결합공 또는 상기 제 2 결합공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정렬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합공은 상기 경사센서의 단변이 상기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될 때 상기 정렬스토퍼가 상기 장변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공은 상기 경사센서의 장변이 상기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될 때 상기 정렬스토퍼가 상기 단변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센서지지장치.
  7. 경사각의 측정을 위한 측정대상의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한 쌍의 장변 및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장방형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장변 및 상기 단변이 경사각의 측정을 위한 측정면을 이루는 경사센서의 상기 측정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경사센서를 지지하는 면접촉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면을 상기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시키는 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측정대상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부는 제 1 고정단과 제 2 고정단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과; 상기 가디이드 슬롯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제 1 고정단과 상기 2 고정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슬롯과 결합되는 정렬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고정단은 상기 경사센서의 단변이 상기 면접촉부의 중앙에 정렬될 때 상기 정렬스토퍼가 상기 장변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단은 상기 경사센서의 장변이 상기 접촉부의 중앙에 정렬될 때 상기 정렬스토퍼가 상기 단변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센서지지장치.
KR1020060058249A 2006-06-27 2006-06-27 경사센서지지장치 KR10076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249A KR100767751B1 (ko) 2006-06-27 2006-06-27 경사센서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249A KR100767751B1 (ko) 2006-06-27 2006-06-27 경사센서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751B1 true KR100767751B1 (ko) 2007-10-18

Family

ID=3881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249A KR100767751B1 (ko) 2006-06-27 2006-06-27 경사센서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7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60U (ko) 1973-04-29 1975-01-08
JPS62199623U (ko) 1986-06-11 1987-12-19
JPH09196668A (ja) * 1996-01-18 1997-07-31 Nikon Corp 傾斜角センサの取り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60U (ko) 1973-04-29 1975-01-08
JPS62199623U (ko) 1986-06-11 1987-12-19
JPH09196668A (ja) * 1996-01-18 1997-07-31 Nikon Corp 傾斜角センサの取り付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599B1 (ko) 교량 탄성받침 변위 측정장치
US7841102B2 (en) Measurement apparatus
KR101695324B1 (ko) 교량 안전진단시 교좌장치의 연단거리 측정장비
JP2008185358A (ja) 平坦度測定具
CN105806197B (zh) 一种壁板类零件弯曲及翘曲变形量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GB2381583A (en) Measuring and levell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60265895A1 (en) Leveling device
KR102149499B1 (ko) 경사도 측정값을 이용한 변위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변위 측정방법
KR100767751B1 (ko) 경사센서지지장치
JPH1194503A (ja) 深さ測定器
KR102014848B1 (ko) 직각도 및 평행도 검사 장치
CN212133531U (zh) 一种用于房建主体检测的墙缝宽度测量装置
KR100423051B1 (ko) 단차 측정 장치
KR20080071677A (ko) 블록 게이지
JP7287296B2 (ja) 測定器用治具
CN109323689B (zh) 全站仪测量辅助装置和全站仪测量系统
CN114674198B (zh) 硬横梁基础扭转角度测量装置及测量系统
JPH0886646A (ja) 傾斜測定器
JPH11183166A (ja) 垂直水平検出器
CN219934949U (zh) 一种多功能水平尺
KR200323991Y1 (ko) 수준기
JP6603392B1 (ja) 測量用ターゲット
JP2001235304A (ja) 真直度測定装置の真直運動精度測定方法
KR200473240Y1 (ko) 엔드바 길이 측정장치
JP2024053902A (ja) 測定器具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