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141B1 - 통끈 제조용 유직기 - Google Patents

통끈 제조용 유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141B1
KR100767141B1 KR1020070039327A KR20070039327A KR100767141B1 KR 100767141 B1 KR100767141 B1 KR 100767141B1 KR 1020070039327 A KR1020070039327 A KR 1020070039327A KR 20070039327 A KR20070039327 A KR 20070039327A KR 100767141 B1 KR100767141 B1 KR 100767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everse rotation
sensor
forward rotation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두식
Original Assignee
현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두식 filed Critical 현두식
Priority to KR1020070039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04C3/14Spool carriers
    • D04C3/16Spool carriers for horizontal spoo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02Braiding or lacing machines with spool carriers guided by track plates or by bobbin heads exclusively
    • D04C3/14Spool carriers
    • D04C3/18Spool carriers for vertical spoo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48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화나 구두 등의 신발용 통끈 제조용 유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한가지 형태의 무늬만 제조 가능하던 구조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형태의 무늬를 가지는 통끈의 제조가 가능한 개선된 유직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운동화 및 구두 등의 신발류에 사용되는 통끈을 제조하는 유직기에 있어서, 상면에 다수의 원형의 실패 안내홈(112a)이 마련되어 원사(114)가 감긴 실패(112)가 상기 실패 안내홈(112a)을 따라 '8' 자 형태로 이송되면서 코어(115)의 표면을 감쌈과 동시에 원사(114)가 꼬아지도록 하는 작업대(110), 상기 작업대(110)의 상부에 마련되며 꼬아진 통끈(150)이 통과하기 위한 가이드구멍(116a)이 형성되는 편직 가이드편(116), 상기 편직 가이드편(116)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통끈(150)에 일정한 장력을 주어 외부로 인출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며 연동하는 한 쌍의 인출롤러(152,154) 및 상기 편직 가이드편(116)과 상기 한 쌍의 인출롤러(152,154)의 중간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실린더 형상의 마주하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상기 통끈(150)이 물려서 상기 롤러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통끈(150)에 곡선무늬를 형성하는 꼬임무늬조절용 제1롤러(182) 및 제2롤러(184) 및 상기 꼬임무늬조절용 제1롤러(182) 및 제2롤러(184)에 왕복 직선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끈 제조용 유직기를 제공한다.
유직기, 작업대, 실패, 실패 안내홈, 편직 가이드편, 꼬임무늬조절 제1롤러 및 제2롤러, 제1 및 제2 인출롤러, 구동모터, 회전판, 회전날개, 정회전 센서, 역회전 센서, 정회전 타이머용 센서, 역회전 타이머용 센서, 엔코더, 정회전 카운터, 역회전 카운터, 정회전 타이머, 역회전 타이머

Description

통끈 제조용 유직기{Braider for a shoe strings}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통끈 제조용 유직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끈 제조용 유직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중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의 구동부분을 나타낸 부분 개략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절단선 'V-V'을 따라 절단한 개략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절단선 'VI-VI'을 따라 절단한 개략 단면도.
도 7은 도 2의 제어부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유직기에 의하여 생산된 다양한 무늬의 통끈의 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유직기 112: 실패
114: 원사 115: 코어
116: 편직 가이드편 150: 통끈
152,154: 제1 및 제2 인출롤러 160: 구동모터
162: 회전판 162a: 회전날개
170: 제어부 171: 정회전 센서
171a: 정회전 카운터 172: 역회전 센서
172a: 역회전 카운터 173: 정회전 타이머용 센서
173a: 정회전 타이머 174: 역회전 타이머용 센서
174a: 역회전 타이머 182: 꼬임무늬조절 제1롤러
184: 꼬임무늬조절 제2롤러
본 발명은 운동화나 구두 등에 사용되는 통끈을 제조하기 위한 유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정해진 하나의 무늬만을 가지는 통끈을 제조하던 유직기를 개선하여 무늬의 길이 및 폭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다른 미감을 가지는 다양한 문양의 표현이 가능한 통끈을 제조할 수 있는 개선된 유직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통끈 제조용 유직기의 사시도이다. 종래에는 원사(72)가 감긴 다수의 보빈(12)이 캐리어 궤도(22) 상에 형성되는 원형의 궤도홈(22a)을 따라 '8'자 형태로 이송되면서 중심의 코어(74) 표면을 감싸면서 꼬아져서 브레이드(70)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직기에서는 매번 동일한 무늬의 브레이드(70)만을 제조할 수 있을 뿐이어서 요즘 같이 소비자들의 패션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어려웠다. 특히, 구두, 등산화, 운동화 등의 신발류에 사용되는 끈에 있어서는 그 자체가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잡게 되면서 다양한 무늬를 가지는 신발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천편일률적인 단순한 패턴의 통끈에서 벗어나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가지는 곡선무늬의 표현이 가능한 통끈을 제조할 수 있는 통끈 제조용 유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엔코더 및 여러 센서와 연결된 제어부의 조작을 통하여 즉석에서 통끈의 직조 무늬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조작의 편리성이 증대된 통끈 제조용 유직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운동화 및 구두 등의 신발류에 사용되는 통끈을 제조하는 유직기에 있어서, 상면에 다수의 원형의 실패 안내홈(112a)이 마련되어 원사(114)가 감긴 실패(112)가 상기 실패 안내홈(112a)을 따라 '8' 자 형태로 이송되면서 코어(115)의 표면을 감쌈과 동시에 원사(114)가 꼬아지도록 하는 작업대(110), 상기 작업대(110)의 상부에 마련되며 꼬아진 통끈(150)이 통과하기 위한 가이드구멍(116a)이 형성되는 편직 가이드편(116), 상기 편직 가이드편(116)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통끈(150)에 일정한 장력을 주어 외 부로 인출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며 연동하는 한 쌍의 인출롤러(152,154), 상기 편직 가이드편(116)과 상기 한 쌍의 인출롤러(152,154)의 중간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실린더 형상의 마주하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상기 통끈(150)이 물려서 상기 롤러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통끈(150)에 곡선무늬를 형성하는 꼬임무늬조절용 제1롤러(182) 및 제2롤러(184) 및 상기 꼬임무늬조절용 제1롤러(182) 및 제2롤러(184)에 왕복 직선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끈 제조용 유직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직기는 상기 구동모터(160)의 일단에 연결되는 엔코더와 상기 구동모터(160)의 타단에 축결합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다수의 회전날개(162a)가 형성되는 회전판(162), 상기 회전날개(162a)의 정방향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정회전 센서(171) 및 역방향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역회전 센서(172), 상기 회전날개(162a)의 일정각도의 정회전 종료 후 정지상태 유지시간 계측을 위한 정회전 타이머용 센서(173) 및 일정각도의 역회전 종료 후 정지상태 유지시간 계측을 위한 역회전 타이머용 센서(174) 및 정회전 카운터(171a), 역회전 카운터(172a), 정회전 타이머(173a) 및 역회전 타이머(174a)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160)에 연결된 엔코더와 연결되며, 상기 정회전 센서(171), 역회전 센서(172), 정회전 타이머용 센서(173) 및 역회전 타이머용 센서(174)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카운터(171a,172a) 및 상기 타이머(173a,174a)에 입력된 값에 상응하여 상기 구동모터(16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동일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끈 제조용 유직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중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의 구동부분을 나타낸 부분 개략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절단선 'V-V'을 따라 절단한 개략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절단선 'VI-VI'을 따라 절단한 개략 단면도, 도 7은 도 2의 제어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직기(100)는 우선 크게 작업대(110), 편직 가이드편(116),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182,184), 제1 및 제2 인출롤러(152,154), 구동모터(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업대(1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원형의 실패 안내홈(112a)이 형성되며, 원사(114)가 감긴 실패(112)가 상기 실패 안내홈(112a)을 따라 '8'자 형태의 이송운동을 함에 따라 코어(115)의 표면을 감싸며 원사(114)가 꼬여져 통끈(150)이 제조된다. 상기 실패는(112) 여러 가지 색깔과 재질의 원사(114)로 구성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사(114)로 부터 꼬아져 제조되는 통끈(150)은 상기 편직 가이드편(116)의 가이드구멍(116a)을 관통하게 되고 이어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182,184)에 물리게 된다.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182,184)는 후술할 구조에 의하여 좌·우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데 그 운동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즉, 꼬임무늬조절 제1롤러(182)가 우로 이동하면 꼬임무늬 조절 제2롤러(184)는 좌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두 롤러의 상대 운동으로 인하여 다수 가닥의 원사(114)가 더 빨리 꼬아지게 되어 결국 단위 길이당 곡선 무늬의 갯수가 많아지게 된다. 이에 관하여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182,184)를 통과한 통끈(150)은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182,184)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인출롤러(152,154)에 감기고 이어서 권취용 휠(156)에 감긴다. 상기 제1 및 제2 인출롤러(152,154)는 회전하면서 상기 통끈(150)을 감게 되는데, 이때 상기 통끈(150)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유직기(100)의 동력전달체계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부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한 구동력이 외부구동벨트(102)에 전달되고 이어서 구동기어(104)를 통하여 웜기어축(120)의 일단에 마련되는 종동기어(124)에 전달된다. 종동기어(124)의 회전은 동축상의 웜기어(122)를 회전시키게 되고 웜기어와 치합되는 웜휠(130)이 회전하게 된다. 웜휠(130)의 회전력은 동축상의 동축기어(131)에 의하여 연동기어(132)에 전달된다. 연동기어(132)의 회전과 함께 동축상에 축결합된 제1 인출롤러(152) 및 권취용 제1풀리(133)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제2 인출롤러(154) 및 권취용 제2풀리(134)가 회전하게 된다. 권취용 제1 및 제2풀리(133,134)는 권취용 벨트(135)에 의하여 동력연결된다.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182,184)는 좌·우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데 각각 롤러축(182a,184a) 및 베어링(182b,184b)에 의하여 프레임(190)에 직선 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구동모터(160)의 상단부에는 엔코더(미도시)가 연결되고 타단은 감속기(164)와 연결되며, 감속기(164)의 회전축(160a)에는 원주상에 다수의 회전날개(162a)를 구비한 회전판(162)이 축결합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감속기 회전축(160a)에는 구동풀리(160b)가 결합하고 그 아래에 상기 회전판(162)이 결합한다. 상기 구동풀리(160b)의 회전력은 모터구동벨트(188)에 의하여 종동풀리(165)에 전달된다. 상기 종동풀리(165)는 상단의 제1종동풀리(165a)와 하단의 제2종동풀리(165b)로 구성된다. 상기 제2종동풀리(165b)의 회전력은 종동벨트(186)에 의하여 제1 보조풀리(167a) 및 제2 보조풀리(167b)를 거쳐 제1 롤러축(182a) 및 제2 롤러축(184a)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2 종동풀리(165b)가 정회전(반시계방향)하면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롤러(182)는 우로 직선운동하게 되고, 역회전(시계방향)하면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롤러(182)가 좌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2롤러(184)는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롤러(182)와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상기 제2 종동풀리(165b)의 회전운동을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182,184)의 직선운동으로 원활하게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롤러축(182a,184a)과 만나는 부분의 종동벨트(186) 부분은 벨트 자체에 강성을 부여하거나 벨트 배면에 금속 등의 보강판을 덧댈 수 있다.
상기 회전판(162)의 외주면 바깥쪽에는 상기 회전날개(162a)에 인접하여 정회전 센서(171) 및 역회전 센서(172)가 마련되며, 상기 웜기어축(120) 상에는 2개의 돌출부(126)가 상·하로 마련된다. 상기 돌출부(126)와 인접한 위치에는 정회전 타이머용 센서(173) 및 역회전 타이머용 센서(174)가 상·하로 마련된다. 상기 정 회전 센서(171), 역회전 센서(172), 정회전 타이머용 센서(173) 및 역회전 타이머용 센서(174)는 각각 상기 제어부(170)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70)의 전면에는 정회전 카운터(171a), 역회전 카운터(172a), 정회전 타이머(173a) 및 역회전 타이머(174a)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상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직기에 의하여 생산된 다양한 무늬의 통끈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서 "P" 는 단위곡선 마디의 피치를 나타내며, "H"는 단위곡선의 기저부에서부터 정점까지의 높이를 나타낸다.
먼저 상기 정회전 카운터(171a), 역회전 카운터(172a), 정회전 타이머용 센서(173a) 및 역회전 타이머용 센서(174a)에 원하는 값을 수동으로 입력한다. 예를들어, 정회전 카운터(171a)의 숫자를 '5', 역회전 카운터(172a)의 숫자를 '3', 정회전 타이머(173a)의 숫자를 '10', 역회전 타이머(174a)의 숫자를 '7'에 맞추면 정회전 센서(171)가 회전날개(162a)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숫자 '5'에 해당하는 만큼만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롤러(182) 및 제2롤러(184)가 각각 우측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182,184)의 이동폭은 상기 회전날개(162a) 회전거리에 비례한다. 이어서 상기 꼬임조절무늬 제1 및 제2롤러(182,184)의 이동이 종료한 후 상기 정회전 타이머(172a)의 숫자 '10'에 상응하는 시간 동안 정지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인출롤러(152,154)는 정지하지 않고 계속해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웜기어축(120)도 계속 회전하므로 상기 웜기어축(120) 상에 마련되는 돌출부(126)의 회전을 상기 정회전 타이머용 센 서(173)가 감지하여 상기 정회전 타이머(173)의 숫자 '10' 만큼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어서 회전날개(162a)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 센서(172)에 의하여 상기 역회전 카운터(172a)의 숫자 '3'에 대응하는 만큼 상기 회전날개(162a)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182,184)는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에도 상기 직선 이송폭은 회전날개(162a)의 회전거리에 비례한다. 이어서 상기 역회전 타이머(174a)의 숫자 '7'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꼬임무늬조절 제1 및 제2롤러(182,184)는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이 동작이 모두 끝나면 별도의 수치 재입력이 없는 한 위의 과정을 자동으로 되풀이하게 된다.
상기 정·역회전 타이머(173a,174a)의 수치가 높을수록 상기 통큰(150)에 형성되는 무늬의 피치(P)가 커지게 된다. 즉, 도 8의 (a)와 같은 패턴의 무늬를 가지는 통끈(150)이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정·역회전 카운터(171a,172a)의 수치가 높을수록 단위곡선의 높이 "H"가 커지게 된다. 즉, 더 꼬뿔꼬불한 곡선의 무늬 패턴을 가지는 통끈(150)이 제조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정·역회전 카운터(171a,172a)의 수치를 증가시키고, 정·역회전 타이머(173a,174a)의 수치를 낮게 할수록 꼬불꼬불한 정도가 많은 곡선 무늬가 형성되며, 그 반대일수록 완만한 곡선의 무늬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각 카운터(171a,172a) 및 타이머(173a,174a)의 값은 원하는 곡선 무늬의 패턴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의 각 카운터(171a,172a) 및 타이머(173a,174a)의 수치를 변경하면 다양한 형태의 곡선 무늬를 가지는 통끈(150)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유직기에서 두가지 이상의 원사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곡선 무늬를 통끈에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유직기로서 여러대의 유직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유직기의 작동중에도 제어부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통끈의 무늬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통끈에 다양한 무늬 패턴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신발류에 사용되는 통끈을 제조하는 유직기에 있어서,
    상면에 다수의 원형의 실패 안내홈(112a)이 마련되어 원사(114)가 감긴 실패(112)가 상기 실패 안내홈(112a)을 따라 '8' 자 형태로 이송되면서 코어(115)의 표면을 감쌈과 동시에 원사(114)가 꼬아지도록 하는 작업대(110);
    상기 작업대(110)의 상부에 마련되며 꼬아진 통끈(150)이 통과하기 위한 가이드구멍(116a)이 형성되는 편직 가이드편(116);
    상기 편직 가이드편(116)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통끈(150)에 일정한 장력을 주어 외부로 인출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며 연동하는 한 쌍의 인출롤러(152,154);
    상기 편직 가이드편(116)과 상기 한 쌍의 인출롤러(152,154)의 중간부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실린더 형상의 마주하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상기 통끈(150)이 물려서 상기 롤러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통끈(150)에 곡선무늬를 형성하는 꼬임무늬조절용 제1롤러(182) 및 제2롤러(184); 및
    상기 꼬임무늬조절용 제1롤러(182) 및 제2롤러(184)에 왕복 직선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끈 제조용 유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60)의 일단에 연결되는 엔코더와 상기 구동모터(160)의 타단에 축결합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다수의 회전날개(162a)가 형성되는 회전판(162);
    상기 회전날개(162a)의 정방향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정회전 센서(171) 및 역방향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역회전 센서(172);
    상기 회전날개(162a)의 일정각도의 정회전 종료 후 정지상태 유지시간 계측을 위한 정회전 타이머용 센서(173) 및 일정각도의 역회전 종료 후 정지상태 유지시간 계측을 위한 역회전 타이머용 센서(174);및
    정회전 카운터(171a), 역회전 카운터(172a), 정회전 타이머(173a) 및 역회전 타이머(174a)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160)에 연결된 엔코더와 연결되며, 상기 정회전 센서(171), 역회전 센서(172), 정회전 타이머용 센서(173) 및 역회전 타이머용 센서(174)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정회전 카운터(171a), 역회전 카운터(172a) 및 상기 정회전 타이머(173a), 역회전 타이머(174a)에 입력된 값에 상응하여 상기 구동모터(16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끈 제조용 유직기.
KR1020070039327A 2007-04-23 2007-04-23 통끈 제조용 유직기 KR10076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327A KR100767141B1 (ko) 2007-04-23 2007-04-23 통끈 제조용 유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327A KR100767141B1 (ko) 2007-04-23 2007-04-23 통끈 제조용 유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141B1 true KR100767141B1 (ko) 2007-10-15

Family

ID=3942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327A KR100767141B1 (ko) 2007-04-23 2007-04-23 통끈 제조용 유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141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440B1 (ko) 2013-08-26 2014-10-06 김란숙 고무줄끈 제조장치
KR101595450B1 (ko) 2014-09-23 2016-02-18 창일산업주식회사 도선 삽입 직조 보강튜브 제조장치
KR101595459B1 (ko) 2014-09-23 2016-02-18 창일산업주식회사 도선 삽입 직조 보강튜브 제조방법
KR20160093870A (ko) * 2015-01-30 2016-08-09 김성태 신발끈 제조장치
KR20160117042A (ko) * 2015-03-31 2016-10-10 여숙자 32사 탄성 스트링 제조용 편조장치
KR101853230B1 (ko) * 2017-04-20 2018-06-20 밍-쳉 천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KR101985165B1 (ko) 2018-12-25 2019-06-07 홍관기 유리섬유 권취장치
KR102270270B1 (ko) 2020-12-10 2021-06-25 박웅서 커팅 기능을 구비한 레이스 직조 장치
KR102372420B1 (ko) * 2021-10-15 2022-03-10 안수빈 고무줄 권취장치
KR20230041453A (ko) * 2021-09-17 2023-03-24 손근식 내압성 고무호스용 니트유직기 및 이 니트유직기로 제작된 내압성 고무호스
KR20230064145A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수술 제조용 토션 유직기
KR20230067160A (ko)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입체감이 부여된 수술 제조용 토션 유직기
KR20240045637A (ko) 2022-09-30 2024-04-08 정철균 보빈의 고속 회전이 가능하면서 보빈의 회전 여부를 자동 조절이 가능한 끈 제조용 유직기 보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9749A (ja) 1987-04-06 1988-10-17 桜井 国重 組紐機
JPH071092U (ja) * 1993-06-03 1995-01-10 村田機械株式会社 ブレイダー
US5520084A (en) 1990-08-17 1996-05-2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raided suture products
KR0131235Y1 (ko) * 1996-01-09 1998-12-01 진태주 고무심사 끈 직기의 스핀들
JP2002339210A (ja) 2001-05-17 2002-11-27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編組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9749A (ja) 1987-04-06 1988-10-17 桜井 国重 組紐機
US5520084A (en) 1990-08-17 1996-05-2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raided suture products
JPH071092U (ja) * 1993-06-03 1995-01-10 村田機械株式会社 ブレイダー
KR0131235Y1 (ko) * 1996-01-09 1998-12-01 진태주 고무심사 끈 직기의 스핀들
JP2002339210A (ja) 2001-05-17 2002-11-27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編組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440B1 (ko) 2013-08-26 2014-10-06 김란숙 고무줄끈 제조장치
KR101595450B1 (ko) 2014-09-23 2016-02-18 창일산업주식회사 도선 삽입 직조 보강튜브 제조장치
KR101595459B1 (ko) 2014-09-23 2016-02-18 창일산업주식회사 도선 삽입 직조 보강튜브 제조방법
KR20160093870A (ko) * 2015-01-30 2016-08-09 김성태 신발끈 제조장치
KR101703047B1 (ko) 2015-01-30 2017-02-10 김성태 신발끈 제조장치
KR20160117042A (ko) * 2015-03-31 2016-10-10 여숙자 32사 탄성 스트링 제조용 편조장치
KR101706248B1 (ko) * 2015-03-31 2017-02-27 여숙자 32사 탄성 스트링 제조용 편조장치
KR101853230B1 (ko) * 2017-04-20 2018-06-20 밍-쳉 천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KR101985165B1 (ko) 2018-12-25 2019-06-07 홍관기 유리섬유 권취장치
KR102270270B1 (ko) 2020-12-10 2021-06-25 박웅서 커팅 기능을 구비한 레이스 직조 장치
KR20230041453A (ko) * 2021-09-17 2023-03-24 손근식 내압성 고무호스용 니트유직기 및 이 니트유직기로 제작된 내압성 고무호스
KR102659174B1 (ko) * 2021-09-17 2024-04-18 손근식 내압성 고무호스용 니트유직기 및 이 니트유직기로 제작된 내압성 고무호스
KR102372420B1 (ko) * 2021-10-15 2022-03-10 안수빈 고무줄 권취장치
KR20230064145A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수술 제조용 토션 유직기
KR102553297B1 (ko) 2021-11-03 2023-07-07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수술 제조용 유직기
KR20230067160A (ko)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입체감이 부여된 수술 제조용 토션 유직기
KR102537575B1 (ko) 2021-11-09 2023-06-01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입체감이 부여된 수술 제조용 토션 유직기
KR20240045637A (ko) 2022-09-30 2024-04-08 정철균 보빈의 고속 회전이 가능하면서 보빈의 회전 여부를 자동 조절이 가능한 끈 제조용 유직기 보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141B1 (ko) 통끈 제조용 유직기
US8371143B2 (en) Hose reinforcement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process
JP5993153B2 (ja) トーションレース機
KR101772994B1 (ko)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제작 장치
CN104213297A (zh) 一种整经装置
EP1686207B1 (en) Textile machine with yarn feeding control
CN101195942B (zh) 提花链整经机和用于生产提花链的方法
EP1520922B1 (en) Textile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81610B1 (ko) 다기능 커버링 복합 기계
JP6794358B2 (ja) 編み物の製造のための機械および方法
CN201605482U (zh) 半自动多头多股可控绳索制造机
CN105040264A (zh) 一种三维扭曲变化绳带织物的制造方法以及装置
CN104131386A (zh) 雪尼尔蜈蚣纱设备
Kanade et al. Designing a cartridge winder with electronic control
KR101406310B1 (ko) 꼬임실 제조장치
KR100967513B1 (ko) 어망사 제조용 다중 연사장치와 다중 연사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어망사
KR101446440B1 (ko) 고무줄끈 제조장치
CN1584162A (zh) 具有结头排列装置的整经机
KR100555776B1 (ko) 장식사의 장식보풀 가변 형성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07457A (ko) 위사용 필름사의 꼬임방지장치
KR101310874B1 (ko) 털이 빠지지 아니하는 날개사 제조장치
KR20190020245A (ko)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KR200366376Y1 (ko) 장식사의 장식보풀 성형장치
TWI461580B (zh) 包紗裝置
KR200305698Y1 (ko) 정경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