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297B1 - 수술 제조용 유직기 - Google Patents

수술 제조용 유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297B1
KR102553297B1 KR1020210149401A KR20210149401A KR102553297B1 KR 102553297 B1 KR102553297 B1 KR 102553297B1 KR 1020210149401 A KR1020210149401 A KR 1020210149401A KR 20210149401 A KR20210149401 A KR 20210149401A KR 102553297 B1 KR102553297 B1 KR 102553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ase
case member
cutting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4145A (ko
Inventor
이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도트림아트
Priority to KR1020210149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29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48Auxiliary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 D04D7/08Tassels or tasselled fr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 제조용 유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의 직조와 절단을 동시에 수행하여, 직조된 직물의 절단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였던 종래 공정 대비 생산성 및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술 제조용 유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술 제조용 유직기{Brading machine for fringe}
본 발명은 수술 제조용 유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의 직조과 절단을 동시에 수행하여, 직조된 직물의 절단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였던 종래 공정 대비 생산성 및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술 제조용 유직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여성용 내의나 기타 의류의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수술 장식은 전용 직조장치(이하, 유직기라 함)에 의해 직조된다.
이러한 장식용 수술이 짜여지는 상태를 보면 먼저,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술 직물을 직조하되 한 단위의 무늬가 시작되기 전에 일정구간 만큼 위사를 공급하지 아니하여 위사가 없이 경사만 있는 부분을 반복적으로 만든 후, 그러한 경사만으로 된 부분의 중간을 절단하여 절단된 경사가 수술과 같이 자유단 형태를 띄게 한다.
즉, 전용 유직기에 의해 제조된 수술 직물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끝단이 자유단 형태가 되는 수술 직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술 장식은 전술한 직조 방식 외에도, 편조 방식으로도 제조될 수 있는데, 통상, 편조장치의 일종인 환편기를 통해 원통형의 직물을 직조한 뒤 원통형 직물의 폭 중심을 기준으로 절단하게 되면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직물 수술 장식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술 장식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직조 내지 편조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더라도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을 통해 직물 또는 직물로 제조된 부재를 적절히 절단을 해야 했기 때문에, 수술 장식의 제조 공정 및 제조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 있었다.
등록특허 10-0767141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직물의 직조와 절단을 동시에 수행하여, 직조된 직물의 절단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였던 종래 공정 대비 생산성 및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술 제조용 유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통형으로 직물을 직조하는 직조부, 상기 직조부에서 직조된 직물을 연속적으로 당겨 빼내는 배출부 및 상기 직조부의 직물배출구에 장착되어 직조부로부터 배출되는 직물의 내부에서 직물을 반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수술 제조용 유직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하단으로 상기 직물배출구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연장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양 측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통형으로 직물을 직조하는 직조부, 상기 직조부에서 직조된 직물을 연속적으로 당겨 빼내는 배출부 및 상기 직조부의 직물배출구에 장착되어 직조부로부터 배출되는 직물의 내부에서 직물을 반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수술 제조용 유직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하단으로 상기 직물배출구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가 연장 형성되며 양측에 제1 슬롯이 관통 형성되는 제1 케이스부재 및 상기 제1 케이스부재와 대칭되는 구조로서, 제1 케이스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부재와 제2 케이스부재 사이에 장착되되 상기 제1 슬롯을 통해 케이스의 양 측으로 노출되어 직물을 절단하는 복수 개의 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케이스부재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칼날 각각은 각각의 가이드홈 상에 가이드되어 위치조절됨으로써 케이스 외측으로의 노출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홈 각각은, 상하 직선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 및 상기 수직구간의 상단에서 사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선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칼날 각각은, 상기 수직구간과 사선구간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홈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탄성견인줄; 상기 탄성견인줄의 일단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판형의 디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견인줄의 이동에 따라 사선구간에서 이동하는 디스크는 케이스 외측으로의 노출량이 점진적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탄성견인줄의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제2 케이스부재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압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부재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압착돌기를 압착 고정하는 압착판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에 장착되며 반으로 절단된 직물에 기능액를 침투시키는 액침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침투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며 기능액이 저장되는 기능액챔버;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장착되며 반으로 절단된 각각의 직물과 접촉되는 스펀지 재질의 퍼프; 및 상기 기능액챔버와 퍼프를 연결하며, 기능액챔버의 기능액이 이송되는 이송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스부재와 제2 케이스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는 상기 퍼프를 끼움 고정하는 고정대가 형성되며, 상기 퍼프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절개 형성되며, 상기 이송배관은 케이스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고정대에 직결되며 상기 고정대에는 이송배관으로부터 이송된 기능액을 고정대의 외측으로 결합된 퍼프를 향해 사방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라인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 상에는 가이드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인접한 상기 걸림턱 사이에 접지되며, 상기 압착판은 표면에 미세 돌기가 돌출되어 거칠기가 부여된 판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절단부가 직조부에서 외부로 연속적으로 당겨져 배출되는 직물의 경로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절단을 수행하고, 원통형의 직물이 반으로 절단되어진 상태에서 배출부로 그대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직물의 직조와 절단을 동시에 수행하여 높은 생산성을 보장한다.
둘째, 원사의 종류, 편직 방식, 밀도 등에 따라, 직물의 두께감이나, 질감 등이 차이가 나는 각각의 직물에 맞게, 디스크의 노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직물의 절단면 마감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고, 디스크의 불필요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직물의 절단과 동시에, 항균, 방향 등의 기능을 하는 기능액의 도포를 가능케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제조용 유직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직물이 절단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절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절단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케이스부재와 칼날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디스크의 노출량이 점진적으로 가변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디스크의 노출량을 서로 다르게 구성한 절단부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절단부에 의한 직물의 절단 및 기능액의 도포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제조용 유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원통형으로 직물을 직조하는 직조부(10), 상기 직조부(10)에서 직조된 직물을 연속적으로 당겨 빼내는 배출부(20) 및 상기 직조부(10)의 직물배출구(11)에 장착되어 직조부(10)로부터 배출되는 직물의 내부에서 직물을 반으로 절단하는 절단부(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직조부(10)는 원형으로 배열된 실패들을 지지하고, 지지된 실패로부터 공급되는 실을 기계적으로 꼬아 원통형의 직물을 직조할 수 있다.
직조부(10)에서 직조된 직물은 직조부(10)의 상단부 중앙에 마련된 직물배출구(11)에서 배출되어질 수 있는데, 이때, 배출되는 직물은 배출부(20)와 연결되어, 직물배출구(11)를 통과해 연속적으로 당겨짐으로써 직조부(10)로부터 배출되어질 수 있다.
직물배출구(11)는 원형 링 형태의 구조로서, 내부로 원통형의 직물이 통과할 수 있으며, 후술 될 절단부(30)가 결합되어질 수 있다.
배출부(20)는 예컨대, 직조부(10)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동기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러를 이용하여, 직조된 직물을 감아 회수한다.
전술한 직조부(10)와 배출부(20)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주요 특징구성인 절단부(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절단부(30)는 직조부(10)에서 외부로 당겨져 배출되는 직물의 경로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직물이 연속적으로 당겨져 이동함에 따라, 절단부(30)와 접촉된 부분에서부터 절단이 일어나, 원통형의 직물이 반으로 절단되어진 상태에서 배출부(20)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절단부(30)는 원통형 직물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직물을 절단함으로써 직물의 배출동선을 간섭하지 아니하며, 특히 직물 주변에 복잡한 장치구조물의 배치를 배제함으로써 직물의 절단과정을 육안으로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단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100) 및 칼날(2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하단으로 상기 직물배출구(11)로 삽입되는 삽입부(111)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직물배출구(11) 내로 삽입되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직조부(10)에는 상기 삽입부(111)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연속적으로 직조되어 외측으로 배출되는 원통형 직물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며, 직물배출구(11)와의 사이 공간으로 직물을 통과시킬 수 있다.
칼날(200)은 케이스(100)에 내장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양 측으로 노출되어,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직물의 양 쪽을 동시에 절단한다.
칼날(200)은 케이스(100)에 내장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케이스(100)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다.
칼날(200)은 케이스(100)를 중앙에 두고 좌우 양 측에 대칭적으로 마련되어 직물의 좌우 양 쪽을 동시에 절단함으로써, 원통형으로 구성된 입체적 직물이 두 개의 평면적인 수술로서 등분되어질 수 있으며, 각각 등분되어진 수술은 배출부(20)에 의해 겹쳐진 상태로 회수되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절단부(3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절단부(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100) 및 칼날(2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케이스(100)는 하단으로 상기 직물배출구(11)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111)가 연장 형성되며 양측에 제1 슬롯(112)이 관통 형성되는 제1 케이스부재(110) 및 상기 제1 케이스부재(110)와 대칭되는 구조로서, 제1 케이스부재(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케이스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케이스(100)는 서로 대칭 형성되는 제1 케이스부재(110)와 제2 케이스부재(120)로 분할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내부를 쉽게 개방하도록 마련되며, 서로 마주하여 결합한 생태에서는 내부로 후술 될 칼날(200)을 지지 수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케이스부재(110)와 제2 케이스부재(120)는 힌지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일측이 서로 연결 구성되어지거나, 홈돌기 구조로서 서로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출 수 있다.
제1 슬롯(112)은 제1 케이스부재(110)의 좌우 양 측면에 대칭 형성되며, 제1 슬롯(112)을 통하여 케이스(100)에 수용된 칼날(200)의 디스크(230)가 외부로 노출되어질 수 있다.
제1 케이스부재(110)는 함체 형태로 마련되어 내부로 칼날(200)을 지지 수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하부 구성인 제1 삽입부(111)는 반원 형태의 구조로서, 제2 케이스부재(120)의 제2 삽입부(122)와 결합하였을 때 원통형의 외형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제2 케이스부재(120)는 하단으로 상기 직물배출구(11)로 삽입되는 제2 삽입부(122)가 연장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제1 슬롯(112)의 대응개소에 제2 슬롯(123)이 관통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즉, 제2 케이스부재(120)는 제1 케이스부재(110)와 대칭되는 구조로서, 이하, 제1 케이스부재(110)의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다시, 제1 케이스부재(110)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11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홈(113)으로는 후술 될 칼날(20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홈(113)을 타고 칼날(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복수 개의 칼날(200) 각각은 각각의 가이드홈(113) 상에 가이드되어 위치조절됨으로써 케이스(100) 외측으로의 노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칼날(200)은 제1 케이스부재(110)와 제2 케이스부재(120) 사이에 장착되되 상기 제1 슬롯(112)과 제2 슬롯(123)을 통해 케이스(100)의 양 측으로 노출되어, 배출부(20)에 의해 당겨져 배출되는 직물에 접촉해 직물을 연속적으로 절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칼날(200)은 복수 개의 가이드홈(113)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113) 내에서 개별적으로 위치조절 가능한 구조를 갖춤으로써, 각각 케이스(100) 외측으로의 노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가이드홈(113) 각각은 상하 직선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113a) 및 상기 수직구간(113a)의 상단에서 사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선구간(113b)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수직구간(113a)과 사선구간(113b)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단일 채널을 구성한다. 특히, 사선구간(113b)은 후술 될 칼날(200)의 일단 부위를 사선으로 가이드하여, 사선구간(113b) 내에서의 이동에 따라 칼날(200)의 외부 노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다시, 복수 개의 칼날(200) 각각은 크게 탄성견인줄(210), 가이드돌기(220) 및 디스크(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탄성견인줄(210)은 수직구간(113a)과 사선구간(113b)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홈(113)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때, 탄성견인줄(210)의 일단과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일단에는 가이드돌기(22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 케이스부재(120)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압착돌기(2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돌기(220)는 가이드홈(113) 내측으로 삽입되어 가이드홈(113) 상에서 가이드될 수 있고, 압착돌기(211)는 가이드홈(113)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압착돌기(211)로 하여금 사용자가 가이드홈(113) 내측으로 삽입된 탄성견인줄(210)을 이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한다.
다음으로, 가이드돌기(220)는 탄성견인줄(210)의 일단에 결합되며, 디스크(2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돌기(220)는 가이드홈(113) 상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탄성견인줄(210)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홈(113)에서 가이드될 수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13) 상에는 가이드홈(113)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걸림턱(114)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220)는 인접한 상기 걸림턱(114) 사이에 접지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가이드돌기(220)가 인접한 한 쌍의 걸림턱(114) 사이에 걸림 지지될 경우, 탄성견인줄(210)의 임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탄성견인줄(210)을 임의로 이동시키게 될 경우 인접한 걸림턱(114)을 타고 가이드돌기(220)가 걸림턱(114) 사이를 빠져나오게 되면서 탄성견인줄(210)을 가이드홈(113)의 연장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위치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탄성견인줄(210)의 고정위치가 결정되면 가이드돌기(220)가 걸림턱(114) 사이에 접지됨으로써 칼날(200) 자체가 가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케이스부재(12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압착돌기(211)를 압착 고정하는 압착판(1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케이스부재(120)를 제1 케이스부재(110)의 마주보는 방향에서 결합하여 케이스(100)를 구성하게 되면 압착판(121)이 각각의 압착돌기(211)들을 넓은 면적에서 한번에 압착 고정함으로써, 가이드홈(113) 내에서 탄성견인줄(210)의 임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홈(113) 내측에서 가고정된 각각의 탄성견인줄(210)을 일제히 고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압착판(121)은 압착돌기(211)를 보다 강하게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표면에 미세 돌기가 돌출되어 거칠기가 부여된 판상의 구조로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압착돌기(211)를 향해 마찰저항을 가해줌으로써 탄성견인줄(210)의 임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다음으로, 디스크(230)는 원판형의 구조로서, 둘레부분이 날카롭게 마련되어 원단 등을 무리 없이 절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가이드돌기(22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탄성견인줄(210)의 고정위치에 따라 케이스(100)의 외측을 향해 선택적으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크(230)는 탄성견인줄(210)의 이동에 따라 이와 함께 가이드홈(113)을 이동하면서 외부 노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탄성견인줄(210)의 이동에 따라 사선구간(113b)에서 이동하는 디스크(230)는 케이스(100) 외측으로의 노출량이 점진적으로 가변되어질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견인줄(210)을 하방으로 당겨주게 되면 사선구간(113b)에서의 디스크(230)가 사선구간(11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선으로 점진적으로 하향 이동하면서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디스크(230)의 외부 노출량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키거나, 완전히 케이스(100) 내부로 수용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탄성견인줄(210)을 상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사선구간(113b)에서의 디스크(230)가 사선구간(11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선으로 점진적으로 상향 이동하면서, 제1 슬롯(112)을 통해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디스크(230)의 외부 노출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원사의 종류, 편직 방식, 밀도 등에 따라, 직물의 두께감이나, 질감 등이 차이가 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디스크(230)의 노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직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디스크(230) 노출량을 임의로 세팅할 수 있게 되는 구조를 갖춘다.
예컨대, 직물의 두께에 비해, 디스크(230)의 노출량이 작을 경우, 직물의 절단을 정확하게 못하여, 절단면 부분의 마감이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없고, 반대로, 직물의 두께 대비 디스크(230)를 과도하게 노출시키게 되면 불필요한 부분에까지 절단면이 형성되거나, 디스크(230)의 불필요한 마모를 불러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복수 개의 칼날(200)은 좌측 두 개와 우측 두 개가 서로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좌측 두 개의 칼날(200) 각각의 디스크(230)는 상하로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우측 두 개의 칼날(200) 각각의 디스크(230) 또한 상하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230)의 마모 정도를 고려해 상부 또는 하부의 디스크(230) 중 하나의 디스크(230)만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다른 하나의 디스크(230)를 케이스(100) 내측으로 수용되게 하거나,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의 두께가 두껍거나, 조직이 치밀하게 직조된 직물을 절단할 경우 상부와 하부 디스크(230)를 모두 케이스(100) 외측으로 노출시키되, 상부 디스크(230)의 노출량을 하부 디스크(230)의 노출량보다 크게 하여, 직물의 절단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액침투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침투부(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30)에 장착되며 반으로 절단된 직물에 기능액를 침투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설명에서의 기능액이라 함은 항균제가 포함된 수용액이나, 방향제가 포함된 수용액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침투부(40)는 케이스(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기능액이 저장되는 기능액챔버(41), 케이스(100)의 상단에 장착되며 반으로 절단된 각각의 직물과 접촉되는 스펀지 재질의 퍼프(42) 및 기능액챔버(41)와 퍼프(42)를 연결하며, 기능액챔버(41)의 기능액이 이송되는 이송배관(4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디스크(230) 부분에서 반으로 절단된 직물은 퍼프(42)를 통과하여 퍼프(42)에 흡수된 기능액에 노출됨으로써, 직물의 절단과 기능액 도포의 절차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서 직물은 2점쇄선으로, 기능액이 이동되는 경로는 1점쇄선으로 각각 도시하였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액침투부(40)는 기능액챔버(41)에 저장된 기능액을 퍼프(42)를 향해 압송할 수 있는 펌프 구성을 더 포함하거나, 기능액을 모세관 효과로 퍼프(42)에 흡수되도록 하는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스부재(110)와 제2 케이스부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는 상기 퍼프(42)를 끼움 고정하는 고정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송배관(43)은 기능액챔버(41)에서부터 시작해 케이스(100)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고정대(115)에 직결되는 구조를 갖추고, 고정대(115)에는 이송배관(43)으로부터 이송된 기능액을 고정대(115)의 외측으로 결합된 퍼프(42)를 향해 사방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라인(116)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에 따라, 퍼프(42)의 내부로 유출된 기능액을 퍼프(42)가 고루 흡수하여 머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퍼프(42) 상에 절단된 직물이 접촉되어지면 직물의 표면으로 기능액이 자연스럽게 도포되어질 수 있다.
한편, 퍼프(42)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대(115)가 삽입되는 고정홈(42a)이 절개 형성되어, 퍼프(42)가 고정대(115) 상에서 특별한 이동 없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퍼프(42)를 고정대(115) 상에서 제거할 경우 기능액의 도포 없이 직물의 절단만을 단독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직조부
20: 배출부
30: 절단부
40: 액침투부

Claims (5)

  1. 원통형으로 직물을 직조하는 직조부, 상기 직조부에서 직조된 직물을 연속적으로 당겨 빼내는 배출부 및 상기 직조부의 직물배출구에 장착되어 직조부로부터 배출되는 직물의 내부에서 직물을 반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수술 제조용 유직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하단으로 상기 직물배출구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연장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양 측으로 노출되는 한 쌍의 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제조용 유직기.
  2. 원통형으로 직물을 직조하는 직조부, 상기 직조부에서 직조된 직물을 연속적으로 당겨 빼내는 배출부 및 상기 직조부의 직물배출구에 장착되어 직조부로부터 배출되는 직물의 내부에서 직물을 반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수술 제조용 유직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하단으로 상기 직물배출구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가 연장 형성되며 양측에 제1 슬롯이 관통 형성되는 제1 케이스부재 및 상기 제1 케이스부재와 대칭되는 구조로서, 제1 케이스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부재와 제2 케이스부재 사이에 장착되되 상기 제1 슬롯을 통해 케이스의 양 측으로 노출되어 직물을 절단하는 복수 개의 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제조용 유직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재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칼날 각각은 각각의 가이드홈 상에 가이드되어 위치조절됨으로써 케이스 외측으로의 노출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제조용 유직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홈 각각은,
    상하 직선으로 형성되는 수직구간; 및
    상기 수직구간의 상단에서 사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선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칼날 각각은,
    상기 수직구간과 사선구간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홈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탄성견인줄;
    상기 탄성견인줄의 일단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판형의 디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견인줄의 이동에 따라 사선구간에서 이동하는 디스크는 케이스 외측으로의 노출량이 점진적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제조용 유직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견인줄의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제2 케이스부재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압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부재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압착돌기를 압착 고정하는 압착판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에 장착되며 반으로 절단된 직물에 기능액를 침투시키는 액침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침투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며 기능액이 저장되는 기능액챔버;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장착되며 반으로 절단된 각각의 직물과 접촉되는 스펀지 재질의 퍼프; 및
    상기 기능액챔버와 퍼프를 연결하며, 기능액챔버의 기능액이 이송되는 이송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스부재와 제2 케이스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에는 상기 퍼프를 끼움 고정하는 고정대가 형성되며, 상기 퍼프의 하면에는 상기 고정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절개 형성되며,
    상기 이송배관은 케이스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고정대에 직결되며 상기 고정대에는 이송배관으로부터 이송된 기능액을 고정대의 외측으로 결합된 퍼프를 향해 사방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라인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 상에는 가이드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복수 개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인접한 상기 걸림턱 사이에 접지되며,
    상기 압착판은 표면에 미세 돌기가 돌출되어 거칠기가 부여된 판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제조용 유직기.
KR1020210149401A 2021-11-03 2021-11-03 수술 제조용 유직기 KR102553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401A KR102553297B1 (ko) 2021-11-03 2021-11-03 수술 제조용 유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401A KR102553297B1 (ko) 2021-11-03 2021-11-03 수술 제조용 유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145A KR20230064145A (ko) 2023-05-10
KR102553297B1 true KR102553297B1 (ko) 2023-07-07

Family

ID=8638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401A KR102553297B1 (ko) 2021-11-03 2021-11-03 수술 제조용 유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8967B1 (ko) 2023-10-06 2024-07-29 주식회사 두지 유연한 신축력을 갖는 머리끈 제조용 유직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141B1 (ko) 2007-04-23 2007-10-15 현두식 통끈 제조용 유직기
CN105040264A (zh) 2015-05-20 2015-11-11 东莞百宏实业有限公司 一种三维扭曲变化绳带织物的制造方法以及装置
KR102270270B1 (ko) 2020-12-10 2021-06-25 박웅서 커팅 기능을 구비한 레이스 직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72699D1 (de) * 1987-09-21 1992-08-13 Textilma Ag Webmas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141B1 (ko) 2007-04-23 2007-10-15 현두식 통끈 제조용 유직기
CN105040264A (zh) 2015-05-20 2015-11-11 东莞百宏实业有限公司 一种三维扭曲变化绳带织物的制造方法以及装置
KR102270270B1 (ko) 2020-12-10 2021-06-25 박웅서 커팅 기능을 구비한 레이스 직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8967B1 (ko) 2023-10-06 2024-07-29 주식회사 두지 유연한 신축력을 갖는 머리끈 제조용 유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145A (ko) 202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3297B1 (ko) 수술 제조용 유직기
CA1224917A (en) Device for applying a treatment medium, especially in foam form, to a running web of material
CN107109729B (zh) 用于圆形针织机的针保持元件
KR20090059129A (ko) 편물 기계용, 특히 환편기용 얀 공급 장치
KR102537575B1 (ko) 입체감이 부여된 수술 제조용 토션 유직기
US3803878A (en) Yarn cutte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2801501A (en) Apparatus for perforating paper
BRPI0903325B1 (pt) Aparelho para aplicar meio fluido sobre uma trama de material
KR920004242B1 (ko) 편물기의 바늘을 선택하고 제어하기 위한 기계장치와 그를 위한 바늘
KR101181339B1 (ko) 커터 연마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모 시스템
KR20180002936U (ko) 2중 변형 능직을 이용한 다운원단
JP3219417U (ja) プレスベルト、及び、ロングニップの装置
KR102213796B1 (ko) 환편기용 얀가이드
JP2872961B2 (ja) キルティングマシン
KR101683035B1 (ko) 원형직기용 바디 장치와 이를 구비한 원형직기
CN109159208A (zh) 一种可调式面料打孔装置
CN213055096U (zh) 一种方便定位的三明治布生产用裁剪平台
KR101538057B1 (ko) 천공부 직조를 용이하게 하는 직기의 바디 및 이를 구비하는 직기
KR101503050B1 (ko) 파일직물 전모장치
US2851833A (en) Honing device
KR100256145B1 (ko) 평면 실층용 클램핑 장치 및 클램핑 방법
CN1103119A (zh) 圆编机切毛装置
KR20240153483A (ko) 러빙포 누름장치
KR101932464B1 (ko) 가변 패턴 형성기능을 갖는 원단 가공장치
JP2000034688A (ja) 繊維系材料のティッシュの縁取りくず除去方法と同ティッシュ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