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230B1 -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 Google Patents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230B1
KR101853230B1 KR1020170051233A KR20170051233A KR101853230B1 KR 101853230 B1 KR101853230 B1 KR 101853230B1 KR 1020170051233 A KR1020170051233 A KR 1020170051233A KR 20170051233 A KR20170051233 A KR 20170051233A KR 101853230 B1 KR101853230 B1 KR 101853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heel
braid
sensor
strap
diffe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쳉 천
Original Assignee
밍-쳉 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쳉 천 filed Critical 밍-쳉 천
Priority to KR102017005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02G3/286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with alternatively "S" and "Z" direction of twist, e.g. Self-twist proces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3/00Braiding or lacing machines
    • D04C3/48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로서, 주로 가이드휠에 속도를 변경하여 회전할 수 있는 구동원이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휠에 적어도 하나의 식별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휠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유닛과 협동하는 센서가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센서를 지나가는 식별유닛의 수량을 계산하며, 상기 구동원과 상기 센서가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휠의 회전에 의해 지나가는 식별유닛의 수량을 계산하여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의 필요한 구간별 반출 길이를 알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로 상기 구동원이 상이한 회전 속도 변화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휠이 상이한 속도로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을 당기게 하여, 상기 캐리어의 원사가 상이한 편조 밀도로 상기 심사에 편조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의 상이한 구간별 길이에 요구되는 편조 밀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BRAIDING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ONE TWISTED ROPE WITH DIFFERENT BRAID DENSITIES}
본 발명은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조 시 동일한 브레이드 스트랩에 상이한 편조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드 스트랩은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를 이용하여 편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1)는 작업선반(11), 심사(A)를 작업선반(11)으로 반출하는 방사장치(12), 상기 작업선반(11)에서 이동하면서 원사를 반출하여 상기 심사(A)를 피복하고 브레이드 스트랩(A1)으로 편조하는 복수의 캐리어(13), 상기 캐리어(13) 상방에 설치되어 브레이드 스트랩(A1)을 반출하는 가이드휠(14), 상기 가이드휠(14)과 연결되는 모터(151)와 변속기어세트(152), 및 상기 가이드휠(14)이 반출하는 브레이드 스트랩(A1)을 권취하는 테이크업장치(16)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변속기어세트(152)는 외경이 상이한 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151)가 출력하는 동력이 상기 기어의 이 수(number of teeth) 변화에 따라 고정된 회전 속도로 상기 가이드휠(14)을 회전시켜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A1)이 등속으로 급송되도록 당김으로써, 상기 캐리어(13)들이 편조 작업을 수행한다.
종래의 구조는 전적으로 상기 변속기어세트(152)의 고정된 이 수 배율의 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151)의 동력을 고정된 작용력으로 상기 가이드휠(14)에 전달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 모드는 고정된 편조 밀도를 갖는 브레이드 스트랩(A1)만 편조할 수 있으며, 즉 전체적인 브레이드 스트랩(A1)의 원사는 편조된 후 단일한 규격의 견실도를 갖는다. 그러나 현재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A1)의 사용 종류에 있어 다변화가 요구됨에 따라, 단일한 고정 편조 밀도를 갖는 브레이드 스트랩(A1)은 이미 다변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에 상기 캐리어(13)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A1)의 편조 밀도를 조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러한 감속 방식은 현행 기계 설계 요소의 제약으로 인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유일하게 수동으로만 상기 캐리어(13)의 속도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늦출 수 있으나, 수동 모드로는 브레이드 스트랩(A1)에 요구되는 편조 밀도에 따라 길이를 구간별로 분할하여 정확히 제어할 수 없고, 오히려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A1)의 편조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확실히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조 과정에서, 동일한 브레이드 스트랩의 구간을 분할하여 상이한 편조 밀도의 형태로 편조하고, 요구되는 편조 밀도에 따른 구간별 길이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인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는 작업선반, 심사를 상기 작업선반으로 반출하는 방사장치, 상기 작업선반에서 이동하면서 원사를 반출하여 상기 심사를 피복하고 원사를 브레이드 스트랩으로 편조하는 복수의 캐리어, 상기 캐리어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을 반출하는 가이드휠, 상기 가이드휠과 연결되는 제어장치, 및 상기 가이드휠이 반출하는 브레이드 스트랩을 권취하는 테이크업장치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가이드휠과 연결되어 상이한 회전 속도 변화를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가이드휠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유닛, 상기 식별유닛과 협동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 상기 구동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을 상이한 밀도로 편조하고자 할 경우,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구동원의 회전속도 변화를 제어하여, 상기 가이드휠에 회전 변화가 동기적으로 발생하도록 구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가이드휠이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을 당기는 급송 속도를 변환할 수 있어, 상기 원사가 상이한 조밀도로 심사 둘레에 편조되기 유리하며, 동일한 브레이드 스트랩을 구간별로 분할하여 상이한 구간별로 상이한 편조 밀도의 정확한 제어효과를 갖는 동시에, 상기 센서는 상기 가이드휠의 회전 주기 사이에 상기 센서를 지나가는 식별유닛의 수량을 계산하여, 상기 가이드휠의 회전 상황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원이 상이한 회전속도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가이드휠이 각기 다른 속도로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을 당기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요구에 부합되도록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 상의 상이한 편조 밀도를 갖는 구간 길이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편조기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국부 설명도이다.
도 3A는 도 3의 국부 확대도로서 AA 부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으로 편조 성형한 상이한 편조 밀도를 갖는 브레이드 스트랩의 설명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5의 국부 확대도로서 각각 BBCC 부분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도이다.
도 6A는 도 6의 국부 확대도로서 DD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상기 및 기타 기술 내용, 특징과 효과는 이하 참고도면을 결합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3)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3)는 작업선반(31), 심사(B)를 상기 작업선반(31)으로 반출하는 방사장치(32), 상기 작업선반(31)에서 이동하면서 원사(C)를 반출하여 상기 심사(B) 주변을 피복하고 브레이드 스트랩(B1)으로 편조하는 복수의 캐리어(33), 상기 캐리어(33) 상방에 설치되어 편조된 후의 브레이드 스트랩(B1)을 반출하는 가이드휠(34), 상기 가이드휠(34)과 연결되는 제어장치(35), 및 상기 가이드휠(34)이 반출하는 브레이드 스트랩을 권취하는 테이크업장치(36)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3A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어장치(35)는 상기 가이드휠(34)과 연결되어 상이한 회전속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원(351), 상기 가이드휠(34)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유닛(352), 상기 가이드휠(34)에 대응하여 상기 식별유닛(352)과 협동하는 센서(353), 및 상기 센서(353), 상기 구동원(3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354)를 구비한다. 그 중,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원(351)은 서보모터로서, 상기 컨트롤러(354)는 상기 구동원(351)의 회전속도를 정확하게 조정하여 상이한 회전속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유닛(352)은 상기 가이드휠(34)에 개설되는 개구홀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식별유닛(352)이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센서(353)는 즉 가이드휠(34)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유닛(352)은 상기 가이드휠(34)의 회전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353)는 상기 센서(353)를 지나가는 상기 식별유닛(352)의 수량이 얼마인지 계산하여, 상기 가이드휠(34)이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B1)을 얼마의 길이만큼 반출하는지 환산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B1)의 구간별 길이 범위를 알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사용 시, 상기 방사장치(32)가 심사(B)를 반출하여 상기 심사(B)가 상기 작업선반(31)을 관통하면, 상기 캐리어(33)는 즉시 복수의 원사(C)를 반출하여 상기 심사(B)를 피복함과 동시에, 상기 캐리어(33)가 북(shuttle)을 교차하여 이동 시, 상기 원사(C)가 상기 심사(B)의 바깥 둘레에서 편조되어 브레이드 스트랩(B1)으로 성형되며,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B1)은 다시 상기 가이드휠(34)에 감겨 상기 테이크업장치(36)로 반출되어 권취된다.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B1)이 상이한 편조 밀도를 갖게 하려면, 상기 컨트롤러(354)를 통해 상기 구동원(35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원(351)으로 상기 가이드휠(34)의 회전속도를 동기적으로 조정해야 하며, 이에 더해 상기 캐리어(33)의 이동 속도는 고정 불변한 것이므로, 상이한 회전 속도의 변화는 브레이드 스트랩(B1)의 편조 밀도 크기를 정확하게 제어하기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휠(34)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킬 경우,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B1)이 당겨지는 속도가 느려지며, 이는 상기 심사(B)의 반출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나타내므로, 상기 캐리어(33)는 상기 원사(C)가 상기 심사(B)를 피복하고 편조하는 시간을 더욱 길게 확보하게 되어, 편조 상태가 비교적 조밀한 편조 모드를 형성할 수 있다(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가 상호 편조되는 간격이 작기 때문에, 편조 효과가 밀집된다). 반대로, 상기 가이드휠(34)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B1)이 당겨지는 속도가 빨라지며, 이는 상기 심사(B)의 반출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나타내므로, 상기 심사(B)가 비교적 빠른 속도로 상기 캐리어(33)을 통과하게 되어, 상기 캐리어(33)가 상기 심사(B)를 피복하고 편조하는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편조 상태가 비교적 밀집되지 않은 편조 모드를 형성한다(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가 상호 편조되는 간격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편조 효과가 비교적 밀집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가이드휠(34)을 회전시켜 편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353)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유닛(352)(즉 개구홀(352))이 상기 센서(353)를 지나가는 수량을 계수하여, 상기 가이드휠(34)의 운전 및 브레이드 스트랩(B1)의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으며, 즉 계산된 경과 수량은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B1)의 구간별 범위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B1)의 반출 길이를 산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B1)을 필요한 길이만큼 반출하였을 때, 상기 컨트롤러(354)가 동시에 상기 구동원(351)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므로, 동일한 브레이드 스트랩(B)을 상이한 길이를 갖는 구간별 설계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할할 수 있고, 또한 상이한 구간 분할은 도 5와 같이 사용 요구에 부합되도록 상이한 편조 밀도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각 구성부재 및 달성되는 동작, 목적과 효과는 모두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유닛(352)은 상기 가이드휠(34)에 설치되는 식별블록이며, 이와 동시에 상기 센서(353)는 상기 가이드휠(3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휠(34)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식별블록(352)이 상기 센서(353)를 지나갈 때, 상기 센서(353)가 상기 식별블록(352)의 경과 수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354)는 상기 센서(353)의 계수를 통해 상기 가이드휠(34)의 운전 상태를 알 수 있고, 나아가 상기 가이드휠(34)의 운전 속도를 동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354)의 제어와 상기 센서(353)의 계수 작업을 통해, 사용 요구에 부합되도록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B1)의 상이한 분할 구간에 필요한 상이한 편조 밀도를 신속하고, 편리하며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귀납해보면, 본 발명은 주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휠의 회전에 의해 지나가는 식별유닛의 수량을 계산하여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의 필요한 구간별 반출 범위를 알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로 상기 구동원이 상이한 회전 속도 변화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휠이 각기 다른 속도로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을 당기게 하여, 상기 캐리어들의 원사가 상이한 편조 밀도로 상기 심사에 직조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의 상이한 구간별로 요구되는 편조 밀도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편조 과정에서, 사용 요구에 부합되도록 동일한 브레이드 스트랩의 구간을 분할하여 각기 다른 편조 밀도 형태로 편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편조 밀도의 구간별 길이를 정확히 제어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이상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범위를 한정할 수는 없으며, 본 발명의 특허 출원범위 및 발명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실시되는 간단한 등가의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발명 특허의 범위 내에 속한다.
(종래)
1: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11: 작업선반
12: 방사장치 13: 캐리어
14: 가이드휠 15: 제어장치
16: 테이크업장치 151: 모터
152: 변속기어세트
A: 심사 A1: 브레이드 스트랩
(본 발명)
3: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31: 작업선반
32: 방사장치 33: 캐리어
34: 가이드휠 35: 제어장치
36: 테이크업 장치 351: 구동원
352: 식별 유닛 353: 센서
354: 컨트롤러 B: 심사
B1: 브레이드 스트랩 C: 원사

Claims (4)

  1. 작업선반, 심사를 상기 작업선반으로 반출하는 방사장치, 상기 작업선반에서 이동하면서 원사를 반출하여 상기 심사를 피복하고 원사를 브레이드 스트랩으로 편조하는 복수의 캐리어, 상기 캐리어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을 반출하는 가이드휠, 상기 가이드휠과 연결되는 제어장치, 및 상기 가이드휠이 반출하는 브레이드 스트랩을 권취하는 테이크업장치를 포함하는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가이드휠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휠에 상이한 회전 속도 변화가 발생하도록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가이드휠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유닛, 상기 식별유닛과 협동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 상기 구동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휠의 회전에 의해 지나가는 식별유닛의 수량을 계산함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로 상기 구동원의 상이한 회전 속도 변화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휠이 상이한 속도로 상기 브레이드 스트랩을 당기게 하여, 상기 캐리어들의 원사가 상이한 편조 밀도로 상기 심사의 둘레에 편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서보 모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유닛은 상기 가이드휠에 개설되는 개구홀이며, 상기 센서가 상기 가이드휠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센서를 지나가는 개구홀의 수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유닛은 상기 가이드휠에 설치되는 식별블록이며, 상기 센서가 상기 가이드휠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센서를 지나가는 식별블록의 수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편조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KR1020170051233A 2017-04-20 2017-04-20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KR101853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233A KR101853230B1 (ko) 2017-04-20 2017-04-20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233A KR101853230B1 (ko) 2017-04-20 2017-04-20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230B1 true KR101853230B1 (ko) 2018-06-20

Family

ID=6276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233A KR101853230B1 (ko) 2017-04-20 2017-04-20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9237A (zh) * 2020-06-28 2020-09-29 徐州恒辉编织机械有限公司 一种编织机的快速自动改变编织密度编织平台及编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451Y1 (ko) * 2000-01-04 2000-11-01 김임선 다각 편조된 브레이드 편조장치
US6453789B2 (en) * 2000-03-31 2002-09-24 John Leon Bettger Drive for braiding machine
KR100767141B1 (ko) * 2007-04-23 2007-10-15 현두식 통끈 제조용 유직기
JP4328913B1 (ja) * 2008-10-07 2009-09-09 株式会社葛生鉄工所 高速型ブレードマシ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451Y1 (ko) * 2000-01-04 2000-11-01 김임선 다각 편조된 브레이드 편조장치
US6453789B2 (en) * 2000-03-31 2002-09-24 John Leon Bettger Drive for braiding machine
KR100767141B1 (ko) * 2007-04-23 2007-10-15 현두식 통끈 제조용 유직기
JP4328913B1 (ja) * 2008-10-07 2009-09-09 株式会社葛生鉄工所 高速型ブレードマシ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9237A (zh) * 2020-06-28 2020-09-29 徐州恒辉编织机械有限公司 一种编织机的快速自动改变编织密度编织平台及编织方法
CN111719237B (zh) * 2020-06-28 2024-05-10 徐州恒辉编织机械有限公司 一种编织机的快速自动改变编织密度编织平台及编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0551B (zh) 电火花线切割中走丝双丝交换走丝系统
US20170298546A1 (en) Bobbin carrier for a braiding, winding or spiraling machine
CN106743980A (zh) 一种线缆自动化扭绕生产线及其精确控制节距的方法
KR101853230B1 (ko) 상이한 브레이드 스트랩 밀도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드 스트랩 성형기
CN108349682A (zh) 随绕线筒直径调节卷绕张力的装置和方法
US2830431A (en) Strand twisting machine
JP3211224U (ja) 組紐の密度を変化させられる組紐成形機
CN206768367U (zh) 可产生不同编织带密度变化的编织带成型机
US2918777A (en) Hose making apparatus
US3147580A (en) Controlling means for a double twist wire machine
US414112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a reed carriage during warping
US34459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yarn packages with a variable speed spindle
US5237805A (en) Yarn twisting machine control apparatus having a simplified control panel and a yarn twisting machine equipped therewith
US10513808B2 (en) Braiding apparatus capable of generating one rope with different braid densities
CN85103108A (zh) 针织圆机用的喂纱装置
IT8312697A1 (it) Dispositivo per la fabbricazione di rete metallica a maglie intrecciate
US2962756A (en) Machines for furnishing electric wires with a multi-colored plastic covering
TWM545793U (zh) 可產生不同編織帶密度變化之編織帶成型機
CN103147177A (zh) 一种直捻机
US2557215A (en) Continuous wire drawing machine
CN212611229U (zh) 一种窄织经线盘头装置
CN212771267U (zh) 一种编织花纹稀密及长度参数调控装置
JP2005336627A (ja) 特殊糸の製造方法
EP00630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balanced metallic strand
CN205222290U (zh) 一种络丝机定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