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487B1 -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487B1
KR100766487B1 KR1020060020446A KR20060020446A KR100766487B1 KR 100766487 B1 KR100766487 B1 KR 100766487B1 KR 1020060020446 A KR1020060020446 A KR 1020060020446A KR 20060020446 A KR20060020446 A KR 20060020446A KR 100766487 B1 KR100766487 B1 KR 100766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switch
light
light emitting
traffi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572A (ko
Inventor
양준모
이장효
오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호
(주)태양전업공사
(주)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호, (주)태양전업공사, (주)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호
Priority to KR102006002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487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에 사용되는 보행자 작동 스위치(Push Button Switch) 박스 외측에 발광장치를 하여 보행자 작동 스위치 설치 유, 무와 설치 위치를 안내(표시)하며 보행자(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시켰을 때에 정상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 표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행자(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60)이 설치되는 스위치 박스(1) 외부에 발광 다이오드 등과 같은 제1·제2발광체(80a·80b)를 형성하여 평상(Normal)의 상태에서 특정의 색을 발광하여 주간 및 특히 야간에 보행자 작동 스위치 설치 유무와 설치 위치를 보행자(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식별하게 하고 보행자(사용자)가 스위치(60)를 작동시키면 보행자 작동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1·제2발광체(80a·80b)가 평상시(Normal)의 상태에서 발광되는 특정의 색을 소등시키고 다른 색을 발광하게 함으로서 보행자(사용자)가 제1·제2발광체(80a·80b)의 반전된 불빛을 보고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는지 여부를 즉시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다.
Figure 112006015514703-pat00001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 보행자 작동 스위치, 발광체, 발광 다이오드

Description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도 1은 종래 스위치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 박스 10 : 케이스
20 : 커버 30 : 제1스위치
30a : 제2스위치 40 : 회로부
60 :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 70 : 발광 확산체
80a : 제1발광체 80b : 제2발광체
본 발명은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에 사용되는 보행자 작동 스위치(Push Button Switch) 박스 외측에 발광장치를 하여 보행자 작동 스위치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며, 보행자(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시켰을 때에 정상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교통신호제어기에서는 차량 및 보행자의 적색·황색·녹색의 신호등이 일정한 주기로 점등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신호를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신호 운영 방법은 보행신호의 경우 보행자 녹색 신호가 점등될 때까지 보행자는 일정한 시간을 기다려야 하고, 보행자가 없을 경우에도 일정한 주기로 보행자 녹색 신호를 부여함으로서 불필요하게 차량의 소통을 방해하고, 운전자가 교통신호를 무시하는 요인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교통신호 운영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를 설치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횡단하고자 할 때에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직접 작동시켜서 차량을 정지시키고 보행자 횡단(녹색)신호가 점등되게 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횡단할 수 있게 하고, 보행자가 없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차량 녹색신호를 유지하여 차량 소통을 원활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신호운영 방법에서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콘트롤러의 교통신호 주기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는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요구에 의해 보행자 횡단 신호를 부여하는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에서 종래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치 박스(100)에 전면에 푸쉬 스위치(Push Switch, 200)가 형성되는 단순한 구조로 되는 것으로 보행자가 작동스위치(200)를 누르면 제어회로에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여 차량 정지 신호를 출력시키면서 보행자 횡단 신호가 점등되도록 신호가 바뀌게 되어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횡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에서는 보행자가 작동 스위치(200)를 눌렀을 때에 정상적으로 스위치가 작동하였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주간은 물론이고, 특히 야간에 보행자 작동 스위치의 설치 유무와 그 설치된 위치를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보행자에게 불편과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렇게 보행자의 편의를 위하여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가 설치되어 운영되는 곳에서 보행자가 신호등 철주에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설치되었음을 인식하지 못하여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아무리 기다려도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는 차량 진행 신호를 계속 유지할 것이며 보행자는 이를 무시하고 도로를 횡단하여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행자가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켰다 해도 정상적인 작동여부를 인식하지 못하면 보행자는 조급함과 보행자 작동 스위치의 신뢰감 저하로 반복적으 로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스위치는 내구성이 반감되어 고장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목적에 부합하지도 못할 뿐 아니라 전체적인 시스템 결함으로 이어져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고,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평상시에도 발광하여 주간은 물론이고, 특히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야간에도 발광하여 설치 유무 및 설치 위치를 표시하여 안내할 수 있는 교통신호 제어기를 필요로 한다.
만일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에 사용되는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제작하면서 스위치 박스 외측에 발광체를 배치하여 평상시에는 발광체가 특정한 색을 지속적으로 발광하여 보행자가 보행자 작동 스위치 설치 유무와 스위치가 설치된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고, 보행자가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다른 색으로 대체 발광하여 보행자가 스위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켰는지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를 사용할 수 있고, 빈번한 작동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행자가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킨 후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는지에 대한 여부를 시각적으로 즉시 알 수 있게 하여 보행자에게 사용상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 시스템의 고 급화는 물론 보행자가 시스템의 신뢰성을 믿고 사용함으로써,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목적을 최적화 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보행자에게 편익과 신뢰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보행자 작동 교통신호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 표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행자가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킨 후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는지에 대한 여부를 시각적으로 즉시 알 수 있게 하여 보행자에게 사용상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 시스템의 고급화는 물론 보행자가 시스템의 신뢰성을 믿고 사용함으로서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목적을 최적화 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보행자에게 편익과, 신뢰성,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보행자 작동 교통신호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행자 작동 교통신호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 표시 방법은:
보행자 작동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 박스 전면에 서로 다른 색채의 불빛을 발산하는 제1발광체 및 제2발광체를 형성하여 서로 교대로 점등 및 소등되게 배치하는 제1단계(S1);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된 보행자 작동 스위치 박스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발광체 중에서 제1발광체를 점등시키는 제2단계(S2);
상기 제2단계에서 제1발광체의 점등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보행자 작동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여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OFF이면 제1발광체가 점등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고, 스위치가 ON이 되어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보행자 횡단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2단계에서 점등된 제1발광체가 소등됨과 동시에 제2발광체가 점등되는 제3단계(S3);
상기 제3단계에서 제2발광체의 점등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교통신호제어기의 타이머에서 입력된 보행자 횡단 신호의 작동 설정 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보행자 횡단신호가 종료되고 차량 주행신호가 출력되면 제2발광체가 소등됨과 동시에 제1발광체가 점등되는 제4단계(S4);
그리고 전원이 OFF 될 때 까지 상기 제2단계와 제4단계를 반복 수행하게 되어 보행자 작동 스위치의 위치와 작동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발광체는 평상시에 전원이 인가되어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특정한 색광을 계속 발광하는 상태에서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이 눌려져서 제1·제2스위치가 ON 이 되면 소등되고, 제2발광체는 평상시에 전원이 OFF 상태가 되어 발광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이 눌려져서 제1·제2스위치가 ON 이 되면 제1발광체가 소등됨과 동시에 점등되어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와 현재 신호등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특정한 색광을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서로 다른 색상의 불빛을 발산하는 상기 제1발광체와 제2발광체의 색채가 한 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발광체는 보행자 횡단 금지신호와 같이 적색의 불빛이 발산되게 하고, 제2발광체는 보행자 횡단신호와 같이 녹색의 불빛이 발산되게 하는 것이 보행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적색, 녹색의 색채는 발광체 자체가 가지고 있는 색상이나, 발광체 표면을 코팅한 색채에 의하여 표현 가능하며, 기타 다른 수단에 의하여서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제어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은 교통신호등을 일정한 주기로 등화시키는 교통신호제어기에 보행자 작동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보행자가 조작하는 보행자 작동 스위치 박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박스 외측에 발광체를 배치하고, 신호등의 수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접점시키는 스위치 버튼의 누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체의 발광색상을 변화시켜주는 수단을 포함하여서 되는 것이다.
상기 발광체는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LED)가 적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가 채택되는 것이다.
상기 발광체는 제1발광체와 제2발광체로 나누어 구성된다.
발광체의 발광색상을 변화시켜주는 수단은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누를 때에 제1발광체와 제2발광체를 교호로 발광시킨다.
상기 제1발광체는 평상시에 전원이 인가되어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특정한 색광, 예를 들면 차량은 횡단보도를 주행할 수 있고, 보행자는 횡단할 수 없는 상태를 보행자에게 알려주는 적색을 계속하여 발광하고, 버튼이 눌려져서 스위치가 ON 이 되면 소등된다.
제2발광체는 평상시에 전원이 OFF 상태가 되어 발광하지 않는 상태에서 버튼이 눌려져서 스위치가 ON 이 되면 제1발광체가 소등됨과 동시에 점등되어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와 현재 신호등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특정한 색광, 예를 들면 차량은 횡단보도에 정지하고, 보행자는 횡단보도를 횡단할 수 있는 상태를 보행자에게 알려주는 녹색을 발광하게 된다.
또한 횡단보도를 두고 양쪽 인도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의 어느 한쪽만 작동시켜도 양쪽의 발광체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보행자 작동 스위치 박스 외측에 배치된 발광체는 평상시에는 특정한 색, 예를 들면 적색이 지속적으로 발광하여 설치 유무 및 설치 위치를 표시 및 안내하고, 보행자에 의해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작동되어지면 평상시 상태의 적색이 소등되고 다른 색, 예를 들면 녹색이 발광하여 보행자에게 스위치 작동 후 정상적인 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식시켜 주어 보행자 작동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어 차량 정지 및 보행자 횡단 신호가 출력되었음을 즉시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위치 작동 후 발광체의 색채는 지속적으로 동일한 색상으로 발광되며 보행자 횡단신호가 소등되면 평상시 상태의 적색으로 바뀌어 발광을 유지한다.
횡단보도는 두 개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마주보고 1조로 설치되어 운영되며, 같은 횡단보도 상에 설치된 보행자 작동 스위치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하며 한쪽만 작동시켜도 맞은편에 설치된 보행자 작동 스위치도 동일하게 발광되어 또 다른 보행자가 색상만 인지하고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장치는, 콘트롤러에 의하여 신호등을 일정한 주기로 점멸시키는 교통신호장치에서 수동 제어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보행자가 조작하는 스위치에 의하여 교통신호 주기를 정하여진 시간 동안 임의로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교통신호 수동 제어기의 스위치 박스를 형성함에 있어서,
교통신호 제어기에 보행자 횡단 신호를 출력토록 하는 제1스위치와 연동되어 릴레이를 여자시키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에 여자되는 릴레이 스위치를 구비하여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 작동 스위치가 설치된 위치를 인지시켜주고, 제2스위치 작동시 소등되는 제1발광체;
상기 제2스위치 작동시 상기 제1발광체를 소등시키고, 제2발광체를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교통신호의 수동 제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1발광체가 소등되고, 상기 제2발광체가 점등됨으로써 수동 제어 신호가 출력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1발광체를 소등시키고, 제2발광체를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칭수단이 상기 제2스위치에 여자되는 릴레이 스위치와, 보행자 횡단신호가 녹색일 때에 접점을 형성하고 보행자 횡단신호가 적색으로 바뀔 때에 이탈되었다가 다시 접점되는 타이머 스위치를 구비하여 점등 및 소등되는 제2발광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보행자 작동 스위치 박스를 분해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박스(1)는 케이스(10)와 커버(20)로 구성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11)에는 제1스위치(30)와 제2스위치(30a)가 나란하게 고정되면서 회로부(40)를 구성하는 회로기판(50)이 형성되고, 커버(20)에는 상기 제1·제2스위치(30·30a)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스위치(30)는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인터럽트되는 보행자 작동 신호와 차량 정지신호가 출력되게 하고, 제2스위치(30a)는 교통신호제어기에 보행자 작동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었음을 인지시켜주기 위하여 상기 회로기판(50) 상의 회로부(40)에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 표시 장치는 교통신호제어기의 제어로직과 다르고, 전압강하 등의 요인이 있기 때문에 각각 다른 제1·제2스위치(30·30a)를 형성하며, 스위치 박스(1)에 인가되는 전원은 각각의 제1·제2스위치(30·30a)에 분리되어 입력된다.
커버(20)는 케이스(10)에 나사(21)로 고정되는데, 그 중앙에 형성되는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60)의 바깥쪽이 되는 전면에는 발광 확산체(70)를 나사(22)로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24)과 발광체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통공(25)이 원주 방향으로 적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광체는 제1발광체(80a)와 제2발광체(80b)로 구성된다.
제1발광체(80a)는 평상시에 전원이 인가되어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특정한 색광, 예를 들면 차량은 횡단보도를 주행할 수 있고, 보행자는 횡단할 수 없는 상태의 적색을 계속하여 발광하고,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60)이 눌려져서 스위치(30,30a)가 ON 이 되면 소등된다.
제2발광체(80b)는 평상시에 전원이 OFF 상태가 되어 발광하지 않는 상태에서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60)이 눌려져서 제1·제2스위치(30·30a)가 ON 이 되면 제1발광체(80a)가 소등됨과 동시에 점등되어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와 현재 신호등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특정한 색광, 예를 들면 차량은 횡단보도에 정지하고, 보행자는 횡단보도를 횡단할 수 있는 녹색을 발광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보행자 작동 스위치 박스(1)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교통신호제어기(9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회로부(40)는 필터부(41), 정류부(42), 안정부(43), 스위치 부(44) 및 발광부(45)로 구성된다.
필터부(41)는 AC 110V 또는 220V가 입력되는 전원 입력단으로부터 저항(R1,R2)과 노이즈 제거용 콘덴서(C1)로 구성된다.
정류부(42)는 필터부(41)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브리지 다이오드(D1)가 AC전원을 DC전원으로 정류시켜준다.
안정부(43)는 정류부(42)의 출력단에 형성되는데, 평활콘덴서(C2) 및 스위치부(44)에서 스위치(30a)의 ON/OFF 작동시 역기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D2,D3)로 구성된다.
스위치부(4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두개의 제1·제2스위치(30·30a)로 구성되어 제1스위치(30)는 교통신호제어기(90)에 연결되고, 제2스위치(30a)는 제1발광부(45a)와 제2발광부(45b)에 연결된다.
제1발광부(45a)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D4)로 되는 제1발광체(80a)로 구성되어 정류부(42)의 출력측과 타이머 스위치(T-b)입력측 사이에서 분기되어 제2스위치(30a)에 의하여 작동하는 릴레이(RY)에 여자되는 B접점의 릴레이 스위치(R-b)에 의하여 ON/OFF된다.
제2발광부(45b)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D5)로 되는 제2발광체(80b)로 구성되어 제2스위치(30a)에 의하여 작동하는 릴레이(RY)에 여자되는 a접점의 릴레이 스위치(R-a)와 타이머 스위치(R-b)에 의하여 ON/OFF된다.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60)은 보행자에 의하여 눌려지면서 탄성부재에 축적된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하는 공지된 구조로 작동되며, 제1·제2스위치 (30·30a)를 향하는 누름편(61)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 제1·제2스위치(30·30a)를 동시에 눌러줄 수 있도록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발광체(80a,80b) 밖으로 이탈할 수 없도록 플랜지(62)가 형성되어 있다.
발광 확산체(70)의 중앙에는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60)이 놓여지는 공간(71)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제1발광체(80a)와 제2발광체(80b)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삽입홈(72)과 커버(20)에 나사로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공(73)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홈(72)은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60)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서 적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커버(20)의 통공(25)과 수평 방향으로 중심이 일치되게 형성되고, 나사공(73) 또한 커버(20)의 나사공(24)과 수평 방향으로 일치하는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제1발광체(80a)와 제2발광체(80b)는 기판(50)에 고정된 상태에서 발광 확산체(70)의 삽입홈(71)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홈(71)에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단자(81)가 커버(20)에 형성되는 통공(25)을 통하여 회로부(4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한 구성이 조립된 스위치 커버(1)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80)가 내장된 발광체(70)는 커버(20)에 나사(22)로 고정되면서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60)의 외주면에 놓여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의 운영 상태에서 평상시에는 전원이 투입되어 정류부(42)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타이머 스위치(T-b) 직전에 분기되어 b접점을 이루고 있는 릴레이 스위치(R-b)를 통하여 제1발광부(45a)에 공급되어 제1발광체(80a)가 항상 발광(적색)하고 있고, 제2발광체(80b)는 제2스위치(30a)가 떨어져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발광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보행자가 횡단보도 횡단을 위하여 보행자 작동 스위치 박스(1)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60)을 누르면 누름편(61)이 제1·제2스위치(30·30a)를 접점시켜서 공지된 바와 같이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9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보행자 횡단(녹색)신호를 부여하게 된다.
이때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9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제1스위치(30)와 본 발명을 위한 제2스위치(30a)가 서로 나란하게 고정되어 있고, 보행자 작동 스위치 버튼(60)의 누름편(61)은 이들 두 개의 제1·제2스위치(30·30a)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보행 신호 제어를 위한 제1·제2스위치(30·30a)가 접점이 되어 제1스위치(30)은 교통신호제어기(90)로부터 보행자 횡단(녹색)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2스위치(30a)는 타이머와 릴레이(RY)가 동작하여 릴레이 스위치(R-a)가 접점되어 녹색의 제2발광체(80b)가 켜지고, 릴레이 스위치(R-b)는 이탈되어 적색의 제1발광체(80a)가 꺼진다.
타이머 동작 후 일정 시간 동안 릴레이 스위치(R-b)가 동작하여 타이머 스위치(T-b)는 횡단보도 신호가 녹색에서 적색으로 바뀔 때에 떨어졌다가 다시 접점되 어 최초 상태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제1·제2스위치(30·30a)가 ON/OFF 됨에 따라 보행자 횡단 신호 주기가 바뀌게 됨에 따라서 릴레이 스위치(R-a, R-b)와 타이머 스위치(Y-b)에 의하여 제1발광체(80a)와 제2발광체(80b)가 교대로 점등 및 소등되고, 이 불빛은 발광 확산체(70)에 확산됨으로써 보행자는 교통신호등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30)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음을 즉시 알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사용자 작동 스위치의 설치 여부와 설치된 위치 및 현재 작동 상황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스위치부(44,44a)가 병렬로 형성되고, 각각의 스위치부(44,44a)가 횡단보도를 두고 양쪽 인도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에 의하여 각각 작동하게 되어 어느 한쪽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켜도 양쪽의 발광체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행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 운영에 사용되는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평상시 및 스위치를 작동시켰을 경우 서로 다른 색을 지속적으로 발광 유지함으로써 보행자가 보행자 작동 스위치 설치 유무 및 설치위치를 주간에는 물론 특히 야간에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정상적인 작동 여부를 육안으로 발광체에서 발생되는 불빛을 보고 즉시 확인 및 인지할 수 있어서 보행자가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 보행 자 작동식 교통신호제어기를 설치 운영하는 목적에 더욱 더 부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콘트롤러에 의하여 신호등을 일정한 주기로 점멸시키는 교통신호장치에서 수동 제어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보행자 횡단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보행자가 조작하는 스위치에 의하여 교통신호 주기를 정하여진 시간 동안 임의로 조작할 수 있게 되고, 보행자 신호의 점멸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보행자 작동 스위치 박스 전면에 발광체를 구비하여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었는지의 여부를 보행자에게 알려주는 공지된 보행자 작동 교통신호 제어기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색채의 불빛을 발산하는 제1발광체와 제2발광체가 서로 교대로 점등 및 소등되게 배치하여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오프(OFF)일 때 상기 발광체 중에서 제1발광체의 점등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온(ON)이 되어 보행자 횡단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1발광체가 소등됨과 동시에 제2발광체가 점등되고;
    상기 제2발광체의 점등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교통신호제어기의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보행자 횡단신호가 종료되고 차량 주행신호가 출력되면 제2발광체가 소등됨과 동시에 제1발광체가 점등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어 보행자 작동 스위치의 위치와 작동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2. 콘트롤러에 의하여 신호등을 일정한 주기로 점멸시키는 교통신호장치에서 수동 제어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보행자 횡단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보행자가 조작하는 스위치에 의하여 교통신호 주기를 정하여진 시간 동안 임의로 조작할 수 있게 되고, 보행자 신호의 점멸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발광체를 구비하여 보행자 작동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었는지의 여부를 보행자에게 알려주는 공지된 보행자 작동 교통신호 제어기의 스위치 박스에 있어서,
    교통신호 제어기에 보행자 횡단 신호를 출력토록 하는 제1스위치(30)와 연동되어 릴레이(RY)를 여자시키는 제2스위치(30a)와;
    상기 제2스위치(30a)에 여자되는 릴레이 스위치(R-b)를 구비하여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 작동 스위치가 설치된 위치를 인지시켜주고, 제2스위치(30a) 작동시 소등되는 제1발광체(80a)와;
    상기 제2스위치(30a) 작동시 상기 제1발광체(80a)를 소등시키고, 제2발광체(80b)를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교통신호의 수동 제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1발광체(80a)가 소등되고, 상기 제2발광체(80b)가 점등됨으로써 수동 제어 신호가 출력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발광체(80a)를 소등시키고, 제2발광체(80b)를 점등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이 제2스위치(30a)에 여자되는 릴레이 스위치(R-a)와, 보행자 횡단신호가 녹색일 때에 접점을 형성하고 보행자 횡단신호가 적색으로 바뀔 때에 이탈되었다가 다시 접점되는 타이머 스위치(T-b)를 구비하여 점등 및 소등되는 제2발광체(8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제1·제2스위치(30·30a)의 주변에 커버(20)의 외측으로 제1발광체(80a)와 제2발광체(80b)가 배치되고, 상기 제1발광체(80a)와 제2발광체(80b)가 발광확산체(70)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스위치부(44,44a)가 병렬로 형성되고, 각각의 스위치부(44,44a)가 횡단보도를 두고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보행자 작동 스위치에 의하여 작동하게 되어 어느 한쪽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켜도 양쪽의 발광체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장치.
KR1020060020446A 2006-03-03 2006-03-03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76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446A KR100766487B1 (ko) 2006-03-03 2006-03-03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446A KR100766487B1 (ko) 2006-03-03 2006-03-03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572A KR20070090572A (ko) 2007-09-06
KR100766487B1 true KR100766487B1 (ko) 2007-10-12

Family

ID=3868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446A KR100766487B1 (ko) 2006-03-03 2006-03-03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88Y1 (ko) * 2009-03-30 2010-01-14 임하철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044B1 (ko) * 2010-08-03 2011-06-03 대한신호 주식회사 교통신호제어기용 보행자 작동스위치의 엘이디표시장치
KR102124314B1 (ko) * 2019-02-01 2020-06-18 모루시스템 주식회사 디지털 교통신호 제어기 평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613A (ko) * 2000-12-28 2001-03-05 김태길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차량신호 종료 표시장치
KR200285549Y1 (ko) 2002-05-17 2002-08-13 권정관 교통신호등의 음성안내 작동신호장치
KR200410149Y1 (ko) 2005-11-22 2006-03-07 진우산전 주식회사 보행자 신호등 제어장치
KR20060031435A (ko) * 2004-10-08 2006-04-12 주식회사 이룩스앤라이트가드코리아 보행자누름버튼을 이용한 교통표지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613A (ko) * 2000-12-28 2001-03-05 김태길 보행자 작동신호기의 차량신호 종료 표시장치
KR200285549Y1 (ko) 2002-05-17 2002-08-13 권정관 교통신호등의 음성안내 작동신호장치
KR20060031435A (ko) * 2004-10-08 2006-04-12 주식회사 이룩스앤라이트가드코리아 보행자누름버튼을 이용한 교통표지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0410149Y1 (ko) 2005-11-22 2006-03-07 진우산전 주식회사 보행자 신호등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88Y1 (ko) * 2009-03-30 2010-01-14 임하철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572A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4741C2 (ru) Лампа для чт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настройкой света низкой интенсивност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лампой
US20130119861A1 (en) Actuation of a Lighting Module
JP6316923B2 (ja) 発光ダイオード灯具
KR100766487B1 (ko)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186460B1 (ko) 조명 및 랜턴 겸용 엘이디 램프 및 그 제어방법
KR102192593B1 (ko) 압전 블록을 이용한 보행 신호등 구동 제어 시스템
KR101184624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
KR100715440B1 (ko) 보행신호등
KR20110092725A (ko) 비상등 겸용 가로등
JP4047345B2 (ja) Led式歩行者用信号灯器
KR20180114317A (ko) 점등블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점등블록
KR20120004441U (ko) 엘이디 교통 신호등
KR200291713Y1 (ko) 황색신호 기능을 갖는 led형식의 보행자 신호등
KR100487840B1 (ko) 잔여시간표시 기능을 갖는 교통신호등
KR200410149Y1 (ko) 보행자 신호등 제어장치
KR101851320B1 (ko) 점멸 신호등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31523A (ko) 표시장치
KR200258729Y1 (ko) 신호등
KR200391981Y1 (ko) 스위치 패널의 조명장치
KR200322122Y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
JP6980343B2 (ja) 信号灯器の点灯制御装置および信号機
KR200181912Y1 (ko) 잔여시간표시 신호등
KR102025707B1 (ko) 도로상황 인지 시선 유도장치
JPH08185593A (ja) 交通信号灯器
JP3108810U (ja) Ledブレーキ表示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