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122Y1 -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122Y1
KR200322122Y1 KR20-2003-0012402U KR20030012402U KR200322122Y1 KR 200322122 Y1 KR200322122 Y1 KR 200322122Y1 KR 20030012402 U KR20030012402 U KR 20030012402U KR 200322122 Y1 KR200322122 Y1 KR 2003221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voltage
emergency exi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흥섭
Original Assignee
미미라이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미라이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미라이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2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1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1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1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 램프 타입의 조명원을 저 구동전력 및 장수명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여 비상구 표시 장치를 구성하되, 정상시와 비상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원의 수명을 연장하고 비상전원장치의 용량을 감소시키며 비상시임을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는 장방형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투명창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비상구 안내 표지를 형성하도록 적색광 및 녹색광을 택일적으로 발생시키며, 상기 녹색광은 상기 적색광에 비해 휘도가 낮은 2색 LED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정상시와 비상시를 인식하여 상기 2색 LED를 다른 색으로 구동하는 구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emergency exit guiding apparatus by light emitting diode}
본 고안은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함에 있어서 다색 표현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평상시와 비상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행의 소방 관련 법규에 따르면,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반드시 비상구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나아가 이러한 비상구 주위에는 화재 또는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사람들이 이러한 비상구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표시 장치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비상구 표시 장치는 통상적으로 박스형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져서 비상구 주위의 벽에 매설 또는 현수되는데, 반투명의 아크릴 케이스로 이루어진 전면부를 갖는다. 나아가 이러한 전면부에는 녹색으로 비상구를 알리는 도형 또는 문자가 도장되어 있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조명원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조명원이 비상시에 점등되어 전면부를 밝게 함으로써 대피 안내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구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조명원으로 형광등이나 백열등과 같은 램프 타입을 사용하기 때문에 큰 소비 전력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비상전원장치에도 용량이 큰 충전회로나 배터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램프 타입의 조명원은 그 수명이 짧기 때문에 이를 수시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비상구 표시 장치는 정상시아 비상시를 구분하여 표시하지 못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건물의 다른 층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를 즉시 알지 못하여 대피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램프 타입의 조명원을 저 구동전력 및 장수명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여 비상구 표시 장치를 구성하되, 정상시와 비상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원의 수명을 연장하고 비상전원장치의 용량을 감소시키며 비상시임을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는 장방형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투명창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비상구 안내 표지를 형성하도록 적색광 및 녹색광을 택일적으로 발생시키며, 상기 녹색광은 상기 적색광에 비해 휘도가 낮은 2색 LED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정상시와 비상시를 인식하여 상기 2색 LED를 다른 색으로 구동하는 구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구동/제어 수단은 상용교류전원을 감압 및 정류하여 소정 크기의 직류전압을 발생시키는 직류전압 발생부; 비상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상기 직류전압 발생부의 전압을 체크하여 정전 여부를 감지하는 정전 감지부; 상기 직류전압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압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부; 상기 2색 LED를 적색광 또는 녹색광으로 점등시키는 색변환 구동부; 상기 직류전압 발생부로부터의 직류전압과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직류전압을 택일적으로 상기 색변환 구동부에 제공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정전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 신호에 의해 정전 여부를 판단하고, 정전인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를 상기 직류전압 발생부에서 상기 배터리 측으로 절환함과 아울러 상기 색변환 구동부에 적색 LED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2색 LED,
30: 투명창, 40: 다이오드 지지판,
50: 회로기판, 60: 트랜스포머,
110: 직류전압 발생부, 120: 정전 감지부,
130: 충전 회로부, 140: 배터리,
150: 제어부, 160: 스위칭부,
170: 색변환 구동부, 180: 전원 스위치,
190: 중앙 감시반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에 앞서 다색 발광 다이오드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발광 다이오드는 램프와는 달리 반도체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명이 길고, 구동 전원도 수[V] - 십수[V] 정도의 직류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용 기기나 산업용 기기의 동작 표시 소자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3색 발광 다이오드(이하, '3색 LED'라 한다)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LED)와 적색 발광 다이오드(LED)를 하나의 케이스에 함께 내장시킨 상태(물론 단자는 공통 접지 단자와 각각의 전원 단자 1개씩 해서 모두 3개이다)에서 녹색광, 적색광 또는 이들이 함께 구동되었을 때의 혼합색인 황색광을 발생할 수 있는 다이오드를 일컫는다. 본 고안에서는 단지 녹색광과 적색광만 사용, 즉 3색 다이오드를 택일적으로만 구동시키기 때문에 '2색 발광 다이오드'(2색 LED)라 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는 장방형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하우징(10)과 이러한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전장품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의 전면은 투명창(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재질로는 아크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명창(30)의 후방에는 하우징(10) 내부를 상하로 가로지르는 다이오드 지지판(40)이 설치되고, 이러한 다이오드 지지판(40)의 전면에 비상구 표지로 사용되는 2색 LED(20)가 설치된다. 비상구 표지는, 예를 들어 한글로 "비상구"라는 문자와 영문으로 "EXIT"라는 문자 및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들 문자를 구성하는 획을 따라 2색 LED(20)가 다수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색 중에서는 녹색이 시인성이 가장 높고, 적색은 시인성이 낮지만 장파장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공해가 심한 도시에서도 멀리서도 알아볼 수가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정상시에는 녹색 LED가 점등되도록 하고, 비상시에는 적색 LED가 점등되도록 하고 있는데, 특히 녹색 LED는 시인성이 높아서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색 LED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휘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오드 지지판(40)의 후방에는 각종 전장품, 예를 들어 상용교류전원을 감압하는 트랜스포머(60)와 트랜스포머(60)에서 감압된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비상 전원용 회로 부품 등이 탑재된 회로기판(50)이 하우징(10)의 후면에 지지된 채로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은 상용교류전원을 감압 및 정류하여 소정 크기, 예를 들어 12[V]의 직류전압을 발생시키는 직류전압 발생부(110), 비상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140), 직류전압 발생부(110)의 전압을 체크하여 정전 여부를 감지하는 정전 감지부(120), 직류전압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전압에 의해 배터리(140)를 충전하고 과충전을 방지하며 기타 배터리(140)의 저전압을 경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충전 회로부(130), 비상구 표지를 구성하는 다수의 2색 LED(20), 2색 LED(20)를 적색 또는 녹색으로 구동하는 색변환 구동부(170), 직류전압 발생부(110)로부터의 직류전압과 배터리(140)로부터의 직류전압을 택일적으로 색변환 구동부(170)에 제공하는 스위칭부(160) 및 정전 감지부(120)로부터 제공된 감지 신호에 의해 상용교류전원의 정상 공급 여부, 즉 정전 여부를 판단하고, 정전인 경우에는 스위칭부(160)를 직류전압 발생부(110)에서 배터리(140) 측으로 절환함과 아울러 색변환 구동부(170)에 적색 LED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스위칭부(160)는 릴레이와 같이 접점을 갖는 전기 기계적인 스위치 또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무접점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80은 상용교류전원이 정상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녹색 LED를 강제로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전원 스위치를 나타낸다. 미설명 부호 190은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감지 신호를 제공하는 중앙 감시반을 나타낸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용교류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정전 감지부(120)에서 정상임을 알리는 감지 신호가 제어부(150)에 출력되는데, 이에 따라 제어부(150)에서는 스위칭부(160)를 직류전압 발생부(110) 측으로 절환시키고, 나아가 색변환 구동부(170)에 녹색 LED를 점등하라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녹색 LED를 점등시킨다. 물론, 이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180)를 오프시키면 점등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용교류전원의 공급이 끊기면, 즉 정전이 발생하면 정전 감지부(12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알리게 되는데, 제어부(150)에서는 이후에 스위칭부(160)를 배터리(140) 측으로 절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색변환 구동부(17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적색 LED가 점등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사람들이 비상 상황임을 인식하여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어부(150)는 정전시 이외에 화재 등의 비상 사태시에도 색변환 구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중앙 감시반(190)에서 화재 신호를 제공받아 적색 LED를 점등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에 따르면, 조명원으로 저 구동전력 및 장수명을 갖는 2색 LED를 사용함으로써조명원의 수명을 연장하고 비상전원장치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나아가 정상시와 비상시를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비상시임을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장방형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투명창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비상구 안내 표지를 형성하도록 적색광 및 녹색광을 택일적으로 발생시키며, 상기 녹색광은 상기 적색광에 비해 휘도가 낮은 2색 LED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정상시와 비상시를 인식하여 상기 2색 LED를 다른 색으로 구동하는 구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 수단은 상용교류전원을 감압 및 정류하여 소정 크기의 직류전압을 발생시키는 직류전압 발생부;
    비상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상기 직류전압 발생부의 전압을 체크하여 정전 여부를 감지하는 정전 감지부;
    상기 직류전압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압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부;
    상기 2색 LED를 적색광 또는 녹색광으로 점등시키는 색변환 구동부;
    상기 직류전압 발생부로부터의 직류전압과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직류전압을 택일적으로 상기 색변환 구동부에 제공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정전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감지 신호에 의해 정전 여부를 판단하고, 정전인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를 상기 직류전압 발생부에서 상기 배터리 측으로 절환함과 아울러 상기 색변환 구동부에 적색 LED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
KR20-2003-0012402U 2003-04-22 2003-04-22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 KR2003221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02U KR200322122Y1 (ko) 2003-04-22 2003-04-22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02U KR200322122Y1 (ko) 2003-04-22 2003-04-22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122Y1 true KR200322122Y1 (ko) 2003-08-02

Family

ID=4933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402U KR200322122Y1 (ko) 2003-04-22 2003-04-22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1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269B1 (ko) 2012-09-12 2014-08-2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상황인지형 비상랜턴
KR102201223B1 (ko) 2019-12-04 2021-01-12 (주)태한이엔지 비상구 안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269B1 (ko) 2012-09-12 2014-08-2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상황인지형 비상랜턴
KR102201223B1 (ko) 2019-12-04 2021-01-12 (주)태한이엔지 비상구 안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7780B2 (en) Operating device having a test switch and status indicator
KR101861047B1 (ko) 릴레이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JP2009187845A (ja) 非常用照明装置
JP2007214037A (ja) 点灯装置及び照明モジュール
CN201051759Y (zh) Led隧道灯
RU2550741C2 (ru) Искробезопасный светильник
KR200322122Y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비상구 표시 장치
KR100884563B1 (ko)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
KR200322121Y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매입형 비상 조명 장치
US20020101362A1 (en) Backup traffic control in the event of power failure
KR100870707B1 (ko) 가로등 제어반
KR100629483B1 (ko) 복도용 조명장치
EP3128808A1 (en) Led lighting for an automobile
KR200322120Y1 (ko) 발광 다이오드를 비상 조명원으로 갖는 실내 조명 장치
JP2007022743A (ja) エレベータ表示装置
KR101113688B1 (ko) 조도 조절 가능 엘이디 조명 시스템
AU758695B2 (en) Display
JP2007331875A (ja) エレベータの照明装置。
JP2009040588A (ja) エレベータの階床表示器
JP2009158214A (ja) 非常用照明システム
CN215935133U (zh) Led灯具的色温及亮度控制装置
CN209930564U (zh) 一种基于手势传感控制图案的灯具
CN1157519A (zh) 翻转盖型盒式电话机面板灯的控制电路
KR200299844Y1 (ko) 철도용 발광다이오드 신호등
KR101209025B1 (ko) Led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