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563B1 -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563B1
KR100884563B1 KR1020080048697A KR20080048697A KR100884563B1 KR 100884563 B1 KR100884563 B1 KR 100884563B1 KR 1020080048697 A KR1020080048697 A KR 1020080048697A KR 20080048697 A KR20080048697 A KR 20080048697A KR 100884563 B1 KR100884563 B1 KR 100884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witchboard
lighting
temperature
emitting di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태
Original Assignee
(주)제일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피앤피 filed Critical (주)제일피앤피
Priority to KR102008004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배전반에서 본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발광다이오드(LED) 램프로 구현하여, 효율을 높이면서도 설치의 복잡함을 해소하기 위한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배전반의 조명 장치는, 배전반 전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열리고 닫힘을 감지하는 접촉 스위치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의 소정 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접촉 스위치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 개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장치; 및 상기 배전반 본체에 내장된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다.
배전반, 조명장치, 발광다이오드, 배전반 이상상태 판단

Description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Lamp unit in a distributing board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배전반에서 본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발광다이오드(LED) 램프로 구현하여, 효율을 높이면서도 설치의 복잡함을 해소하기 위한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장치라 함은 분·배전반, 저압반, 고압반, 변압반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주로 차단기나 마그네틱과 같은 전력소자가 구비되어 외부의 전력을 개폐하거나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전력 장치의 함체 내부에는 장비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조명 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명 장치는 대부분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배전반을 실시 예로 설명한다.
배전반은 전력장치 중에서도 산업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전력장치로서,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이 필요로 하는 전력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주로 건 축물 등의 옥내 배선에 있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옥내의 각 요소로 제공함과 동시에 공급 전력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a에 일반적인 배전반의 개략 구성도가 도시되며, 도 1b에 도어가 열린 상태의 배전반의 개략 구성도가 도시되었다.
배전반은 본체(100)와, 고압부 또는 저압부의 도어(110)와, 상기 도어(110)에 설치되어 본체(100) 내부를 외부에서 식별하기 위한 투시 창(111)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100) 상부의 도어(110)가 접촉하는 부분에 도어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접촉 스위치(또는, 마이크로 스위치)(121)(122)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 중앙에 조명을 위한 할로겐 램프(120)가 설치된다. 조명을 위한 할로겐 램프(120)는 본체(100)를 기준으로 전면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후면부의 적당한 위치에도 추가로 설치된다.
그리고 할로겐 램프(120)와 접촉 스위치(121)(122) 간에는 상호 신호 전달을 위해 유선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배전반에서 조명 동작을 살펴보면, 양문 도어(110)가 모두 닫히게 되면, 2개의 접촉 스위치(121)(122)가 모두 눌러져 스위치 온신호(전기적인 하이신호)가 할로겐 램프(120)에 전달되며, 이러한 스위치 온 신호를 전달받은 할로겐 램프(120) 내의 제어 장치는 할로겐 램프(120)를 소등시키게 된다.
이와는 달리 양문 도어(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어가 열리게 되면, 해당하는 접촉 스위치가 접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스위치 오프신호(전기적인 로우신호)가 할로겐 램프(120)에 전달되며, 이러한 스위치 오프 신호를 전달받은 할로겐 램 프(120) 내의 제어장치는 할로겐 램프(120)를 즉시 점등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배전반에 적용된 조명 장치는,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램프의 수명이 짧아 자주 램프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접촉 스위치와 할로겐 램프 간에 신호 전달을 위해 유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선 설치에 따른 복잡함이 발생하였다.
또한, 신호 전달용 유선이 장비에 접촉되거나 낙후될 경우 단선이 발생하여 조명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였으며, 합선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배전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전반에서 본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발광다이오드(LED) 램프로 구현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고 효율을 높이면서도 설치의 복잡함을 해소하기 위한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에 도어 감지 센서(접촉스위치)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기존 도어 감지 센서와 램프 간의 유선 연결에 따른 설치의 복잡함을 해소하기 위한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조명 장치"는,
배전반 전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열리고 닫힘을 감지하는 접촉 스위치;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의 소정 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접촉 스위치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 개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조명 장치"는,
배전반 본체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램프 제어장치는, 접촉 스위치의 출력 신호를 분석하여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온도 검출기의 검출 온도와 이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온도와의 대소 여부에 따라 상기 다수 개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달리하여 점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 제어장치는, 상기 검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을 하고, 상기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백색으로 하여 점등시키고, 상기 검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을 하고, 상기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적색으로 하여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램프 제어장치는,
상기 접촉 스위치와 온도 검출기의 출력 신호를 분석하여 조명 점등으로 판단될 경우 조명 점등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한 조명 점등 신호를 발광다이오드(LED)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LED 구동부와;
상기 LED 구동부에 의해 발광다이오드 구동신호가 제공되면,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력을 조명 컬러에 대응하게 변환시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조명 장치"는,
배전반 본체에 내장된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조명 제어방법"은,
배전반 전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열리고 닫힘을 감지하는 접촉 스위치, 상기 접촉 스위치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 개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장치, 배전반 본체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기로 이루어진 배전반의 조명 장치에서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도어의 열리고 닫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온도 검출기를 통해 본체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온도와 배전반의 이상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그 대소 여부에 따라 상기 다수 개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달리하여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 컬러를 달리하여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을 하고, 상기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백색으로 하여 점등시키는 단계와;
상기 검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을 하고, 상기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적색으로 하여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반에서 본체 내부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발광다이오드(LED) 램프로 구현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 램프에 도어 감지 센서(접촉스위치)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기존 도어 감지 센서와 램프 간의 유선 연결에 따른 설치의 복잡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전반의 상태에 따라 조명의 컬러를 달리함으로써, 외부에서 조명의 컬러만을 확인하고도 배전반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전반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배전반과 동일하며, 단지 도 1a 및 도 1b에서 접촉 스위치(121)(122)와 할로겐 램프(120)가 제거되고, 할로겐 램프(120)의 위치에 도2와 같은 조명 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조명 장치(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 반 전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212)를 내장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210)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210)의 측면에 설치되어 도어(도1a 및 도1b의 110)의 열리고 닫힘을 감지하는 접촉 스위치(211)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210)의 소정 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접촉 스위치(211)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 개 발광다이오드(212)의 점등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장치(230)와; 배전반 본체(210)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기(240)와; 배전반 본체에 내장된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212)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220)는 본체에 내장된 발광다이오드(212)의 점등시 불빛이 외부에 최대한 표출되도록 투명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 제어장치(230)는 상기 접촉 스위치(211)와 온도 검출기(240)의 출력 신호를 분석하여 조명 점등으로 판단될 경우 조명 점등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231)와; 상기 제어부(231)에서 발생한 조명 점등 신호를 발광다이오드(LED)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LED 구동부(232)와; 상기 LED 구동부(232)에 의해 발광다이오드 구동신호가 제공되면, 전원 공급부(233)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력을 조명 컬러에 대응하게 변환시켜 발광다이오드(212)를 점등시키는 전력 변환부(2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도 검출기(240)는 통상의 온도 검출 센서를 이용하며, 조명 장치 본체(210)에 내장시켜 구현할 수도 있으나, 다른 방법으로는 배전반 본체(100)의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발광다이오드(212)는 본체(210)의 하부에 2열로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조명장치(200)는, 배전반의 본체 상부 중앙에 조명 장치(2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233)를 통해 구동용 전원을 조명 장치(200)의 각 부에 공급시킨다.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제어부(231)는 초기화를 수행하고, 초기화가 완료되면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인출하여 조명 제어 동작을 시작한다. 즉, 초기에 접촉 스위치(211)와 온도 검출기(240)의 출력 신호를 각각 제공받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배전반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관리자)가 배전반의 도어를 열게 되면 눌러진 접촉 스위치(211)가 접점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 감지 신호는 로우신호가 되어 제어부(231)에 전달된다.
제어부(231)는 로우신호가 전달되면 도어가 열린 것으로 인지하고, 온도 검출기(240)에서 출력되는 검출 온도(T℃)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배전반의 이상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설정 온도(예를 들어, 60℃)를 비교한다.
이 비교 결과 상기 검출 온도(T℃)가 상기 설정 온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을 하고, 상기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212)의 조명 컬러를 백색으로 점등하기 위한 점등 제어신호를 LED 구동부(232)에 제공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검출 온도(T℃)가 상기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을 하고, 관리자에게 이를 알려주기 위해서 상기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212)의 조명 컬러를 적색으로 점등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LED 구동부(232)에 제공한다.
LED 구동부(232)는 제공되는 발광다이오드 제어신호를 LED를 구동하기 위한 아날로그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전력 변환부(234)에 제공하게 되고, 전력 변환부(234)는 상기 아날로그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전원 공급부(233)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해당 LED 발광 색깔에 대응하는 전력으로 변환을 하여 발광다이오드(212)를 점등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배전반의 상태가 정상적일 경우에 발광다이오드(212)는 백색으로 점등되며, 배전반의 상태가 비정상적인 경우(검출온도가 60℃이상)에는 발광다이오드(212)는 적색으로 점등된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는 재료에 따라 컬러 변환이 가능하므로, 발광다이오드를 백색과 적색 발광다이오드로 구현하고 배전반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의 컬러를 선택하여 발광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전력 변환을 통해 컬러 변환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전력 변환부(234)에서 해당 컬러에 맞도록 발광다이오드 구동 전력을 가변시켜 발광다이오드를 구동시킴으로써, 단일의 발광다이오드로 복수의 컬러 표출이 가능하다. 전력 변환을 통해 컬러를 변환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 제어 장치가 필수적으로 부가되므로, 설계의 편의를 위해서는 전자의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리자는 배전반의 도어를 열고 조명되는 발광다이오드의 컬러만을 확인하고도 용이하게 배전반의 이상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 스위치(211)를 조명 장치(200)에 일체로 구현함으로써, 접촉 스위치와 조명 장치 간의 별도의 신호 전달을 위한 유선이 불필요하므로, 조명 장치를 배전반에 설치할 경우 설치의 편리함이 있음은 물론 설치의 복잡함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조명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접촉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도어의 열리고 닫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01 ~ S103)와; 상기 판단 결과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온도 검출기를 통해 본체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S107 ~ S109)와; 검출 온도와 배전반의 이상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그 대소 여부에 따라 상기 다수 개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달리하여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S111 ~ S115)와; 상기 판단 결과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될 경우, LED 램프를 오프시키는 단계 S10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조명 제어방법"은, 제어부(231)에서 단계 S101과 같이 접촉 스위치(211)의 상태를 검출하게 되고, 단계 S103에서는 상기 접촉 스위치(211)가 눌러졌는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접촉 스위치(211)가 눌러진 것으로 판단이 되면, 배전반의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을 하고, 단계 S105로 이동하여 발광다이오드(LED) 램프(212)를 오프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확인 결과 접촉 스위치(211)가 눌러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이 되면 즉, 접촉 스위치(211)가 오프된 것으로 검출되면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을 하고, 단계 S107로 이동하여 온도 검출기(240)를 통해 배전반의 내부 온도를 검출한다(T℃).
이후 단계 S109에서 검출한 온도(T℃)와 배전반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을 하고, 단계 S111로 이동하여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점등시키게 된다. 이때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컬러는 통상적인 컬러인 백색이다.
한편, 상기 검출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에는 단계 S113으로 이동하여 배전반의 이상상태로 판단을 하고, 단계 S115으로 이동하여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점등시키게 된다. 이때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컬러는 이상상태를 외부(특히, 관리자)에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해서 적색으로 점등된다.
배전반의 상태에 따라 발광다이오드의 컬러를 변환하는 기능은 주지한 배전반의 조명 장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기재를 회피하기 위해서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a는 일반적인 배전반의 개략 구성도.
도 1b는 도어가 열린 상태의 일반적인 배전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조명 장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조명장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조명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배전반의 조명장치
210… 본체
211… 접촉 스위치
220… 커버
230… 램프 제어장치
240… 온도 검출기

Claims (10)

  1. 배전반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전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열리고 닫힘을 감지하는 접촉 스위치;
    상기 배전반의 본체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기;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의 소정 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접촉 스위치의 출력 신호를 분석하여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온도 검출기의 검출 온도와 이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온도와의 대소 여부에 따라 상기 다수 개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달리하여 점등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조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장치는,
    상기 검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을 하고, 상기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백색으로 하여 점등시키고, 상기 검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을 하고, 상기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적색으로 하여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장치는,
    상기 접촉 스위치와 온도 검출기의 출력 신호를 분석하여 조명 점등으로 판단될 경우 조명 점등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한 조명 점등 신호를 발광다이오드(LED)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LED 구동부와;
    상기 LED 구동부에 의해 발광다이오드 구동신호가 제공되면,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력을 조명 컬러에 대응하게 변환시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전력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조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본체에 내장된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시 불빛이 외부에 표출되도록 투명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조명 장치.
  9. 배전반 전면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 발광다이오드 램프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열리고 닫힘을 감지하는 접촉 스위치, 상기 접촉 스위치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 개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장치, 배전반 본체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기로 이루어진 배전반의 조명 장치에서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촉 스위치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도어의 열리고 닫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온도 검출기를 통해 본체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온도와 배전반의 이상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그 대소 여부에 따라 상기 다수 개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달리하여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조명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컬러를 달리하여 점등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을 하고, 상기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백색으로 하여 점등시키는 단계와;
    상기 검출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배전반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을 하고, 상기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조명 컬러를 적색으로 하여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조명 제어방법.
KR1020080048697A 2008-05-26 2008-05-26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 KR100884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697A KR100884563B1 (ko) 2008-05-26 2008-05-26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697A KR100884563B1 (ko) 2008-05-26 2008-05-26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563B1 true KR100884563B1 (ko) 2009-02-19

Family

ID=4068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697A KR100884563B1 (ko) 2008-05-26 2008-05-26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5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7309A (zh) * 2013-10-19 2014-11-26 骆德元 一种能提示温度的墙壁开关
KR200484595Y1 (ko) 2016-06-20 2017-09-27 센시(주) 배전반용 조명기구
KR20200050634A (ko) 2018-11-02 2020-05-12 센시(주) 배전반 도어 개폐 연동형 배전반용 조명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129Y1 (ko) * 1999-10-01 2000-03-15 최공경 배전반용 조명등기구
KR200386954Y1 (ko) * 2005-02-04 2005-06-17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의 부스바 온도표시기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129Y1 (ko) * 1999-10-01 2000-03-15 최공경 배전반용 조명등기구
KR200386954Y1 (ko) * 2005-02-04 2005-06-17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의 부스바 온도표시기 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7309A (zh) * 2013-10-19 2014-11-26 骆德元 一种能提示温度的墙壁开关
KR200484595Y1 (ko) 2016-06-20 2017-09-27 센시(주) 배전반용 조명기구
KR20200050634A (ko) 2018-11-02 2020-05-12 센시(주) 배전반 도어 개폐 연동형 배전반용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60336A (zh) 照明和能源控制系统及模块
KR101861047B1 (ko) 릴레이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KR100884563B1 (ko) 배전반의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
JP529967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WO2018184517A1 (zh) 照明灯具
KR20080088016A (ko)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US20120104971A1 (en) Operating Device for Driving a Multicolored Light Source and Illumination Device
KR101016422B1 (ko) 차량용 실내 조명장치
JP6441574B2 (ja) 信号制御装置
WO2018157837A1 (zh) 照明灯具
WO2014091689A1 (ja) スイッチ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壁スイッチ
BR112012015146B1 (pt) Sistema de instalação elétrica
WO2013045189A1 (en) A sensing unit, a lighting device having the sensing unit and an illuminating system
KR100955244B1 (ko) 조명기능을 갖는 분전반 커버
KR200391718Y1 (ko) 댁내 조명 일괄 소등 스위치 구조
US10757788B2 (en) Illuminating lamp
CN202551452U (zh) 二线双控式控制电路
CN215935133U (zh) Led灯具的色温及亮度控制装置
KR20150003737U (ko) 수배전반용 조명등
CN213991109U (zh) 井道照明灯双控系统
KR200322120Y1 (ko) 발광 다이오드를 비상 조명원으로 갖는 실내 조명 장치
KR101701000B1 (ko)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
KR200420446Y1 (ko) 기존 건물용 조명 자동제어 장치
CN212905937U (zh) 一种磁控门开关
US11640216B2 (en) Wall mounted control device with tactile and touch sensing button combination to increase button configu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