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000B1 -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000B1
KR101701000B1 KR1020140090884A KR20140090884A KR101701000B1 KR 101701000 B1 KR101701000 B1 KR 101701000B1 KR 1020140090884 A KR1020140090884 A KR 1020140090884A KR 20140090884 A KR20140090884 A KR 20140090884A KR 101701000 B1 KR101701000 B1 KR 101701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atching relay
battery
power supply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066A (ko
Inventor
백상은
Original Assignee
백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은 filed Critical 백상은
Priority to KR102014009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0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가 개시되고, 더 구체적으로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배터리로 구동되는 무선 벽면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본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및 스위치를 ON/OFF 하기 위한 래칭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SWITCH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가 개시되고, 더 구체적으로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배터리로 구동되는 무선 벽면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가 개시된다.
홈 오토메이션에서 벽면 스위치가 장착된다. 벽면스위치는 주로 전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벽면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AC LIVE 파워 라인과 NEUTRAL 라인이 필요하다. 이로부터 DC 전원을 만들어 릴레이가 포함된 스위치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이처럼 홈 오토메이션 스위치는 AC LIVE 파워라인과 NEUTRAL 라인을 이용하여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주택의 벽면 스위치에는 AC LIVE 라인만이 배선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NEUTRAL 라인을 천정 등으로부터 배선하는 등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설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구 자체에 무선 스위치 모듈을 내장하거나 전원소켓에 추가로 장치를 부착하고 이를 통하여 전원기기를 제어하는 방식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주택의 전등을 교체하거나 교체가 안되는 경우 아예 전등을 바꿀수 밖에 없고, 전원소켓 방식은 외부에 모듈을 부착하고 전원기기를 또 연결하여야 하므로 미관상 매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 제 2002-0071485호는 인체 감지 벽면 스위치를 개시한다. 상기 공개특허는 작동이 용이하고 다양한 디자인 상의 변화를 가할 수 있는 벽면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배터리로 작동하여 적은 비용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래칭 릴레이를 사용하여 배터리를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하기와 같은 스위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본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및 스위치를 ON/OFF 하기 위한 래칭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배터리를 덮는 개방 가능한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를 개방하여 상기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 래칭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특정 전압 이하일 때 상기 수동 래칭 릴레이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 장치의 수동조작에 의한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상태 변화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펄스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기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공급하는 전원이 차단될 때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 장치의 수동조작에 의한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상태 변화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는 본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스위치를 ON/OFF 하기 위한 래칭 릴레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및 상기 스위치 장치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는 배터리로 작동하여 적은 비용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는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는 래칭 릴레이를 사용하여 배터리를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부가 배치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래칭 릴레이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래칭 릴레이의 배치를 나타내는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펄스 발생기를 나타내는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여러 태양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송수신부(110), 제어부(120), 전원공급부(130) 및 래칭 릴레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0)는 홈 오토메이션 본체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체는 스위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110)는 무선 송수신 장치로서 Zigbee, Z-wave, Bluetooth, Wifi일 수 있다.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송수신부(110)는 홈 오토메이션 본체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거나 벽면 스위치의 상태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송수신부(110)로부터 정보를 받아 래칭 릴레이(140)를 제어하거나,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전원공급부(130)의 상태를 본체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위치 상태 변화를 홈 오토메이션 본체에 전달할 수 있다. 스위치 장치는 홈 오토메이션으로 자동 제어되거나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스위치 장치의 상태 변화가 발생하면 홈 오토메이션 본체에 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홈 오토메이션 본체와 스위치 장치가 계속 정보를 송수신 하지 않으므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30)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를 사용하여 스위치 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스위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배터리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부(130, 230)가 배치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2(a)는 전원공급부(130)가 스위치 장치 내에 위치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도 2(b)는 전원공급부(230)가 스위치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여, 전원공급부(130)는 스위치 장치(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30)는 배터리를 덮는 개방 가능한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는 슬라이딩 형태 또는 뚜껑이 열리는 형태일 수 있다.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배터리 커버는 개방가능하여 배터리가 쉽게 교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원공급부(130)의 배치를 통하여 일반 스위치와 동일한 형태로 스위치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무선 스위치 설치에 추가적인 공간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여, 전원공급부(230)는 스위치 장치(2)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30)는 스위치 장치(2)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2)는 본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스위치를 ON/OFF 하기 위한 래칭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조립체는, 스위치 장치(2)와 및 이와 이격 배치되고 스위치 장치(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장치(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스위치 장치(2)와 전원공급부(230)는 전선(27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선(270)은 배터리로부터 벽 내부로 연장되어 스위치 장치(2)와 연결되거나 도 2(b)에 도시된 형태로 벽 외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원 공급부(230)의 형태를 사용하여 기존의 스위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전원 공급부(230)를 연결하여 스위치 장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a) 또는 도 2(b)를 참조하여,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는 배터리 상태, 전원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수단(160, 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수단(160, 260)은 LED 램프 또는 LCD 일 수 있다. 표시수단(160, 260)에 표시되는 전원공급부(130, 230) 정보를 파악하여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는 배터리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스위치 장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른 형태로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송수신부, 제어부, 래칭 릴레이, 배터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기존의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 장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통하여 기존의 스위치를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래칭 릴레이(140)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래칭 릴레이(140)는 스위치를 ON/OFF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고 배터리가 공급하는 전력은 제한적일 수 있다. 일반 릴레이는 릴레이 코일에 계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해야 하므로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래칭 릴레이(140)는 한번의 펄스만으로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일반 릴레이와 달리 릴레이 코일에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하지 않고도 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소비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배터리를 사용하는 스위치 장치에 유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래칭 릴레이(150)의 배치를 나타내는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 래칭 릴레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반 릴레이 대신 래칭 릴레이를 사용하여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스위치 장치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배터리가 방전되면 스위치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가 방전되면 스위치를 전혀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수동 래칭 릴레이(150)는 배터리가 방전되면 스위치가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배터리 전원이 특정 전압 이하로 내려가면 수동조작 ON/OFF 신호를 제어하여 수동 래칭 릴레이(1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기 전에 제어부(120)가 수동 조작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수동 래칭 릴레이(150)가 작동되면 수동으로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배터리가 방전되어 스위치를 조작할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펄스 발생기(160)를 나타내는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펄스 발생기(160)는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는 순간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펄스 발생기(160)는 래칭 릴레이(140) 또는 수동 래칭 릴레이(15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가 갑자기 분리되는 경우 펄스를 발생시켜, 래칭 릴레이(140) 또는 수동 래칭 릴레이(150)를 작동 시킬 수 있다. 전원이 갑자기 차단되어 스위치 장치를 작동시킬 수 없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펄스 발생기(160)가 래칭 릴레이(140) 또는 수동 래칭 릴레이(150)를 작동시킬 수 있고, 전원이 차단되어도 수동으로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 되었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을 변형 또는 응용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변형 또는 응용도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서 묘사된 특정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110 송수신부
120 제어부
130 전원공급부
140 래칭릴레이
150 수동래칭릴레이
160 펄스 발생기

Claims (10)

  1. 본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스위치를 ON/OFF 하기 위한 래칭 릴레이;
    상기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 래칭 릴레이; 및,
    상기 수동 래칭 릴레이에 연결되는 펄스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특정 전압 이하일 때 펄스를 발생시켜 상기 수동 래칭 릴레이를 작동시키고,
    상기 펄스 발생기는 상기 배터리가 분리 되는 경우 펄스를 발생시켜 상기 수동 래칭 릴레이를 작동시키고,
    상기 수동 래칭 릴레이가 작동되면, 상기 스위치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스위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배터리를 덮는 개방 가능한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를 개방하여 상기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 장치의 수동조작에 의한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상태 변화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기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공급하는 전원이 차단될 때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10. 본체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와,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스위치를 ON/OFF 하기 위한 래칭 릴레이와, 상기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 래칭 릴레이와, 상기 수동 래칭 릴레이에 연결되는 펄스 발생기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및
    상기 스위치 장치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특정 전압 이하일 때 펄스를 발생시켜 상기 수동 래칭 릴레이를 작동시키고,
    상기 펄스 발생기는 상기 배터리가 분리 되는 경우 펄스를 발생시켜 상기 수동 래칭 릴레이를 작동시키고,
    상기 수동 래칭 릴레이가 작동되면, 상기 스위치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스위치 조립체.
KR1020140090884A 2014-07-18 2014-07-18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 KR101701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884A KR101701000B1 (ko) 2014-07-18 2014-07-18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884A KR101701000B1 (ko) 2014-07-18 2014-07-18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066A KR20160010066A (ko) 2016-01-27
KR101701000B1 true KR101701000B1 (ko) 2017-01-31

Family

ID=55309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884A KR101701000B1 (ko) 2014-07-18 2014-07-18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3215B (zh) * 2018-03-21 2024-02-09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电池切断单元、电池系统及电动汽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007A (ja) * 2001-03-09 2002-09-20 Ohira Giken Kogyo Kk 電源制御装置
KR200435650Y1 (ko) * 2006-09-27 2007-02-05 주식회사 서비전자 조명 스위치 제어용 리모콘과 조명 스위치 제어장치 및조명 스위치 장치
KR101283370B1 (ko) * 2012-02-20 2013-07-08 유한회사 컴체크 리모콘 타입 조명 스위치 모듈
JP2014036370A (ja) * 2012-08-09 2014-02-24 Sharp Corp 端末網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007A (ja) * 2001-03-09 2002-09-20 Ohira Giken Kogyo Kk 電源制御装置
KR200435650Y1 (ko) * 2006-09-27 2007-02-05 주식회사 서비전자 조명 스위치 제어용 리모콘과 조명 스위치 제어장치 및조명 스위치 장치
KR101283370B1 (ko) * 2012-02-20 2013-07-08 유한회사 컴체크 리모콘 타입 조명 스위치 모듈
JP2014036370A (ja) * 2012-08-09 2014-02-24 Sharp Corp 端末網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066A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1240B1 (en) Lighting device for powering from a main power supply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JP529967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9295137B1 (en) Integrated lighting load and skylight control
EP3567990A1 (en) Wireless lamp driving device having independent power supply and lamp system thereof
KR101701000B1 (ko)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
KR101039580B1 (ko) 스마트 조명 제어 스위치 장치 및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
TWI604753B (zh) 開關裝置及開關系統
JP2008228427A (ja) スイッチングシステム
US9287708B2 (en) Actuator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uch actuators
JP4710706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制御端末器
JP2016081701A (ja) 照明器具
KR101677131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JP2020027785A (ja) 負荷制御システム
KR200490046Y1 (ko) 3접점 릴레이를 이용한 센서등 구동 장치
JP6997608B2 (ja) スイッチ回路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6185601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915828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5581185B2 (ja) 負荷制御スイッチ及び負荷制御スイッチシステム
JP5306913B2 (ja) 照明制御スイッチ
KR20120055749A (ko) 조명 및 콘센트 제어장치
JP4981489B2 (ja) エアスイッチングシステム
JP5795876B2 (ja) タイムスイッチ
JP6997634B2 (ja) Nc接点スイッチを使用した回路制御装置
KR20120077662A (ko) 주택 조명 기구의 원격 제어 시스템
CN107978139B (zh) 无线遥控开关装置及无线遥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