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288Y1 -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288Y1
KR200447288Y1 KR2020090003639U KR20090003639U KR200447288Y1 KR 200447288 Y1 KR200447288 Y1 KR 200447288Y1 KR 2020090003639 U KR2020090003639 U KR 2020090003639U KR 20090003639 U KR20090003639 U KR 20090003639U KR 200447288 Y1 KR200447288 Y1 KR 200447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ain body
pressing member
voice notification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하철
Original Assignee
임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하철 filed Critical 임하철
Priority to KR2020090003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2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2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버튼 조립체가 눌린 상태가 유지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신호등 시스템과 입력신호를 전송하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며, 버튼 조립체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본체 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눌림부를 포함하는 눌림부재와,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베이스부가 수용되어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수용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눌림부재의 눌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 내에 배치된 것으로, 눌림부재가 외력에 의해 눌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눌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본체 내에 배치되어 눌림부재의 눌림에 의해 조작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눌림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눌린 다음 원래의 위치로 안정적으로 복귀함으로써, 사용자가 눌림부재를 누른 경우에만 스위치가 조작(on)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Input apparatus for voice noticing apparatus}
보행자 신호의 작동상태 및 작동시간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게 하는 음성알림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교차로에 설치되는 신호등은 적색, 황색, 녹색이 일정한 주기 마다 바뀌도록 한 것으로 차량통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신호등은 적색, 녹색이 일정한 주기 마다 바뀌어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게 한다.
한편, 신호등을 보기 어려운 보행자, 특히 시각장애인은 횡단보도를 건너도 되는지 여부를 타인이 알려주지 않으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너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고자, 보행자가 버튼을 조작하면 신호등의 점등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알림장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알림장치는 별도로 설치된 입력장치를 통해 조작될 수 있다.
한편, 신호등에 녹색이 점등된 상태에서 횡단보도에 도착한 보행자가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를 조작하는 경우, 음성알림장치로부터 "녹색불이 켜졌습니다. 건너가셔도 좋습니다." 라는 음성을 출력하고, 적색이 점등된 상태에서 보행자가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를 조작하는 경우, 음성알림장치로부터 "적색불 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요."라는 음성을 출력한다.
도 1은 종래의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을 도 1의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고하면,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의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는 본체(20)와, 본체(20)의 일측에 형성된 버튼(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버튼(30)은 눌림부재(31)와, 눌림바(32)와, 스위치(33)를 포함한다.
눌림부재(31)는, 하측에 인입되게 형성된 것이다. 눌림바(32)는 눌림부재(31)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눌림부재(31)의 눌림과 연동되어 이동되는 것으로 끝단이 상기 본체(20)에 관통되도록 배치된다. 스위치(33)는 눌림바(32)의 하측에 배치되어 눌림바(32)의 이동에 의해 on / off 된다. 그리고, 본체(20)에는 상기 눌림부재(31)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에서는, 눌림부재(31)가 눌림바(3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눌림부재(31)가 외력에 의해 상하로 눌리는 과정에서 상기 눌림부재(31)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 커버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눌림바(32)가 눌려져서 상기 스위치(33)가 조작(on)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로부터 현재 신호등의 동작 상태를 알려주는 멘트가 반복적으로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눌림부재(31)가 반복적으로 커버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커버 또는 눌림부 재(31)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버튼 조립체가 눌린 상태가 유지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신호등 시스템과 입력신호를 전송하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조립체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눌림부를 포함하는 눌림부재와,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가 수용되어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수용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눌림부재의 눌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 내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눌림부재가 외력에 의해 눌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눌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눌림부재의 눌림에 의해 조작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는, 눌림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눌린 다음 원래의 위치로 안정적으로 복귀함으로써, 사용자가 눌림부재를 누른 경우에만 스위치가 조작(on)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에서 IV-IV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신호등 시스템과 입력신호를 전송하는 버튼 조립체(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버튼 조립체(300)은 눌림부재(310)와, 가이드 부재(320)와, 탄성부재(330)와, 제1 스위치(340)를 포함한다.
눌림부재(310)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리는 것이다. 이러한 눌림부재(310)는 베이스부(311)와, 눌림부(31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11)는 사용자와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 원형기둥 또는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눌림부(312)는 상기 베이스부(311)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200) 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베이스부(311)와 눌림부(312)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따로 제조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1)가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눌림부(312)도 베이스부(311)에 의해 제1 스위치(340)를 향하여 이동된다.
가이드 부재(320)는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311)가 수용되어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수용부(321)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눌림부재(310)의 눌림부(312)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탄성부재(330)는 상기 가이드 부재(320) 내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눌림부 재(310)가 외력에 의해 눌리는 방향과 반대방향, 도 3에서는 눌림부재(310)가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눌림부재(310)를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탄성부재(33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압축 스프링의 일측은 눌림부재(310)의 베이스부(311)에 고정되고, 타측은 가이드 부재(320)의 저면에 고정된다.
제1 스위치(340)는 상기 본체(200) 내에 배치되어 상기 눌림부재(310)의 눌림에 의해 조작된다. 즉, 상기 눌림부재(310)가 외력에 의해 눌려서 제1 스위치(340)를 향하여 이동되고, 제1 스위치(340)는 눌림부재(310)에 의해 미도시된 접점이 맞닿게 되어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입력신호는 신호등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신호등 시스템은 현재의 동작상태가 포함된 데이터를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로 전송하여 신호등의 동작상태가 상기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로부터 음성으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는, 베이스부(311)와 눌림부(312)가 일체로 이루어진 눌림부재(31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320)가 눌림부재(31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며, 눌림부재(310)는 탄성부재(330)에 의해 본체(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형성된다. 상기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눌림부재(310)가 사용자에 의해 눌린 다음 원래의 위치로 안정적으로 복귀함으로써, 사용자가 눌림부재(310)를 누른 경우에만 스위치가 조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버튼 조립체(300)은 본체(200)에 관통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너트(3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부 재(320)에서 본체(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가이드 부재(320)에서 본체(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본체(200)의 외면에 접촉되고, 너트(370)는 상기 나사선에 결합되어 본체(200)의 내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00)는 커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240)는, 버튼 조립체가 본체(200)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를 위한 커버(240)는 가이드 부재(320)의 걸림턱(323)과 본체(2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버튼 조립체(300)이 커버(240)에 의해 본체(200)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본체(200)에서 버튼 조립체(300)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눌림부재(310)는 걸림부(313)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320)에는 제2 수용부(32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313)는 상기 눌림부(312)의 둘레에 상기 관통홀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수용부(322)는 상기 걸림부(313)가 수용되어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322)는 걸림부(313)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걸림부(313)가 일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걸림부(313)와 제2 수용부(322)는 상기 눌림부재(310)가 사용자의 눌림에 의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눌림부재(310)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버튼 조립체(300)은 제2 스위치(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350)는 상기 제1 스위치(34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스위 치(350)는 상기 눌림부재(310)의 눌림에 의해 조작되어 미도시된 신호등 시스템으로 입력신호를 전달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제2 스위치(350)에서 생성된 입력신호는 신호등 시스템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신호이다. 이와 같이, 신호등 시스템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은 차량의 이동이 특정 시간에만 몰리는 지역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심 외곽지역이나 학교 앞 등은 평소에는 보행자가 거의 없고 학생들의 등하교 시간 및 직장인의 출퇴근 시간에는 보행자가 많은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가 많은 시간에만 신호등이 동작되게 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황색을 반복적으로 점등하여 차량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기를 원하는 경우, 보행자는 버튼 조립체(300)을 눌러서 제2 스위치(350)로부터 입력신호가 생성되게 한다. 신호등 시스템은 생성된 입력신호를 전송 받아서 녹색을 점등시키고,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버튼 조립체(300)은 신호등 시스템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제2 스위치(350)를 포함함으로써, 신호등 시스템을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별도의 수동 조작 버튼을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200)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용 광원(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용 광원(210)은 상기 신호등 시스템과 연동되어 적색 및 녹색으로 점등된다. 보행자가 버튼 조립체(300)을 눌러서 신호등 시스템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 신호등에 적색이 점등된 상태이면, 상기 알림용 광원(210)도 적색으로 점등된다. 그리고, 신호등에 녹색이 점등된 상태이면, 상기 알림용 광원(210)도 녹색으 로 점등된다. 이에 따라, 보행자는 상기 알림용 광원(210)의 점등된 색을 확인하여 신호등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알림용 광원(210)은 본체(200)의 외면, 바람직하게는 본체(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보행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200)는 점자판(370)을 구비할 수 있다. 점자판(370)은 첨자가 형성된 것으로, 시각장애인이 손으로 만져서 본 물체가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임을 알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는 결합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220)는 본체(200)의 후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이다. 결합부재(220)는 상기 본체(200)가 고정되는 물체에 형성된 홀에 고정된다. 여기서, 본체(200)가 고정되는 물체는 신호등이 설치되는 지지대일 수 있다. 단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본체(200)가 고정되는 물체는 인도에 설치된 가로등 또는 가로수 등으로,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한 위치에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종래의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는 와이어 또는 금속띠에 의해 지지대에 고정되어 신호등 시스템과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가 지지대에 대해 회전되어 케이블이 단선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결합부재(220)는 지지대에 본체(200)를 고정시켜서 외력에 의해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가 지지 대로부터 회전되어 케이블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220)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100)와 신호등 시스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200)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플레이트(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플레이트(230)는 본체(200)의 후면으로부터 적어도 한번 이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200)가 고정되는 부재의 외면을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200)가 고정되는 물체는 신호등이 설치되는 지지대일 수 있는데, 미도시된 지지대는 원형 기둥 또는 팔각형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본체(200)의 후면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본체(200)와 지지대는 유격 없이 밀착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탄성 플레이트(230)는 지지대의 외면을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본체(200)와 지지대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고 접촉되는 면적을 넓게 하여, 본체(200)와 지지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에서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에서 IV-IV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200: 본체
210: 알림용 광원 220: 결합부재
230: 탄성 플레이트 240: 커버
300: 버튼 조립체 310: 눌림부재
311: 베이스부 312: 눌림부
313: 걸림부 320: 가이드부재
321: 제1 수용부 322: 제2 수용부
330: 탄성부재 340: 제1 스위치
350: 제2 스위치

Claims (5)

  1. 삭제
  2.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신호등 시스템과 입력신호를 전송하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는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체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눌림부를 포함하는 눌림부재;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가 수용되어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수용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눌림부재의 눌림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 내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눌림부재가 외력에 의해 눌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눌림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눌림부재의 눌림에 의해 조작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눌림부재는, 상기 눌림부의 둘레에 상기 관통홀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걸림부가 수용되어 왕복 이동되면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용부와 일체로 이루어진 제2 수용부가 형성된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체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눌림부재의 눌림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신호등 시스템으로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신호등 시스템과 연동되어 적색 및 녹색으로 점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림용 광원을 더 포함하는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후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고정되는 물체에 형성된 홀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KR2020090003639U 2009-03-30 2009-03-30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KR200447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639U KR200447288Y1 (ko) 2009-03-30 2009-03-30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639U KR200447288Y1 (ko) 2009-03-30 2009-03-30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288Y1 true KR200447288Y1 (ko) 2010-01-14

Family

ID=4421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639U KR200447288Y1 (ko) 2009-03-30 2009-03-30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2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018B1 (ko) 2011-08-23 2012-12-04 주식회사 케이텔 화재발신기
KR101994176B1 (ko) * 2018-07-03 2019-06-2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포브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5392A (ja) 2002-07-22 2004-02-19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KR20070090572A (ko) * 2006-03-03 2007-09-06 주식회사 신호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5392A (ja) 2002-07-22 2004-02-19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KR20070090572A (ko) * 2006-03-03 2007-09-06 주식회사 신호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766487B1 (ko) * 2006-03-03 2007-10-12 주식회사 신호 교통신호 제어기의 보행자 작동 스위치를 인식하고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018B1 (ko) 2011-08-23 2012-12-04 주식회사 케이텔 화재발신기
KR101994176B1 (ko) * 2018-07-03 2019-06-2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포브키
US20200013568A1 (en) * 2018-07-03 2020-01-0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ructure of a fob key for increasing the operating force of a button (as amended)
CN110670952A (zh) * 2018-07-03 2020-01-10 大陆汽车有限责任公司 用于车辆的遥控钥匙
US10796864B2 (en) 2018-07-03 2020-10-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ructure of a fob key for increasing the operating force of a butt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367Y1 (ko) 플런저 타입 키보드 스위치
US20170178830A1 (en) Modular Photoelectric-switch Keyboard Key
US7857481B2 (en) Multi-functional traffic signal stick
US7287874B2 (en) Portable signal light, vehicle guidance tool and vehicle guidance method
KR200457921Y1 (ko) 다기능 신호봉
KR200447288Y1 (ko) 음성알림장치용 입력장치
CN102246253A (zh) 按钮开关
WO2007117868A3 (en) Remote control electrical switch
LT2003020A (en) Signal lighting device
US4743724A (en) Wall switch extension operator
KR101772209B1 (ko)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KR101661964B1 (ko) 차량 신호전용 경보 점멸등을 활용한 횡단보도 신호등
KR101805151B1 (ko) 차량용 비상 신호장치
KR100652527B1 (ko) 보행자 유도 블록
KR200468484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477695Y1 (ko) 집회 관리용 폴리스 라인 안전 경고등
KR102025549B1 (ko) 점등블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5079B1 (ko) 다기능 교통신호봉
KR20180088177A (ko) 원격제어에 의한 스위치 구동장치
KR102055775B1 (ko) 멀티 기능을 가진 전자 신호봉
KR101700046B1 (ko)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KR20190103110A (ko) 다기능 랜턴
US10961098B1 (en) Lift assembly guidance device
CN2786869Y (zh) 遥控开关
CN219873271U (zh) 一种发光按钮开关以及储能电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