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217B1 -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 Google Patents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217B1
KR100766217B1 KR1020060139166A KR20060139166A KR100766217B1 KR 100766217 B1 KR100766217 B1 KR 100766217B1 KR 1020060139166 A KR1020060139166 A KR 1020060139166A KR 20060139166 A KR20060139166 A KR 20060139166A KR 100766217 B1 KR100766217 B1 KR 100766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e sole
outsole
gait
mid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9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903A (ko
Inventor
이은재
Original Assignee
(주)지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코일 filed Critical (주)지코일
Priority to KR1020060139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2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79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밑창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걸음걸이 교정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충격흡수기능도 가지며 밑창의 불균등한 마모를 완화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기술이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연질의 전방미드솔과 상기 전방미드솔 하면에는 전방아웃솔이 형성되어 전족부를 이루고, 상기 전방미드솔의 상면과 연결되어 후족부를 구성하는 경질의 후방미드솔로 구성되는 메인밑창과; 탄성체의 저면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후방아웃솔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체의 상면에는 상기 후방미드솔의 저면에 연결하기 위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구속돌기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보조밑창과; 상기 후방미드솔 하부면에 상기 구속돌기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홈들의 중심부에 상기 암나사부에 볼트체결을 위해 후방미드솔 상부면까지 천공되는 관통공이 마련되는 결합좌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메인밑창에 대해 보조밑창을 사용자의 걸음걸이 특성에 맞게 결합위치를 변경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신발, 걸음걸이교정, 신발밑창, 충격흡수, 스프링, 보조밑창

Description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Gait correction shoe sole}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링 경기화의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밑창을 이용하여 완성된 신발의 개략적인 모식도.
도3은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4는 보조밑창의 사시도.
도5는 탄성체로서 원뿔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후방아웃솔의 경도 분포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밑창에 있어서 보조밑창의 구성도.
도7은 제3실시예에서의 보조밑창의 평면도.
도8은 제3실시예에서의 보조밑창의 측면도.
도9는 제3실시예에서의 보조밑창의 경도 분포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10은 정상적인 걸음걸이를 가지는 사람의 경우에 적용되는 보조밑창의 결합위치 관계도.
도11은 회내형 걸음걸이를 가지는 사람인 경우에 적용되는 보조밑창의 결합위치 관계도.
도12는 회외형 걸음걸이를 가지는 사람인 경우에 적용되는 보조밑창의 결합 위치 관계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메인밑창 110 : 전방미드솔
115 : 전방아웃솔 120 : 후방미드솔
200 : 보조밑창 210 : 연결부재
210a: 암나사부 210b: 구속돌기
211 : 메인너트 212 : 와이어너트
215 : 아암 220 : 탄성체
230 : 후방아웃솔 235 : 결합홈
237 : 강화부재 240 : 보호벽
300 : 결합좌대 310 : 관통공
320 : 구속홈 400 : 갑피
500 : 인솔
본 발명은 신발밑창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걸음걸이 교정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충격흡수기능도 가지며 밑창의 불균등한 마모를 완화시킬 수도 있는 특성을 가지는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의 필수품의 하나인 신발은 디자인뿐 아니라 그 기능도 급속하게 발 전되고 있다. 신발의 디자인은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부분이므로 매년 새로운 상품이 출시된다. 그리고 근래에는 기능성 신발이 많이 보급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운동시에 착용하는 특수목적화나 사람의 질병을 치료 내지는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은 선천적으로 혹은 후천적으로 걸음걸이가 비정상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특히, 후천적인 걸음걸이 이상은 초기에 잘못된 걸음걸이를 제대로 교정치 못함에 따라 더욱 가속화될 수 있어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인간의 걸음걸이를 대략적으로 분류해 보면 발이 지면에 닿을 때 지면과 직각을 이루는 정상형 걸음걸이(neutral gait), 발이 안쪽으로 굽는 회내형 걸음걸이(pronation gait), 발이 바깥쪽으로 굽는 회외형 걸음걸이(supination gait)로 나눌수 있다.
회내형 또는 회외형 걸음걸이를 갖는 사람들은 정상적인 걸음걸이를 갖은 사람을 위해 제조된 일반적인 신발을 신어서는 걸음걸이를 교정할 수 없었으며, 오히려 잘못된 걸음걸이를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자신의 잘못된 걸음걸이를 인식하고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자신의 발에 맞는 별도의 안창(shoe insole) 또는 보조심(shoe insert)을 구매하거나, 발 전문 병.의원에 가서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적합한 안창이나 보조심을 제작하여 착용해야만 했었다. 즉, 잘못된 걸음걸이를 가진 사람들은 비용이나 시간상의 문제로 걸음걸이 교정을 제대로 받을 수 없었다.
한편, 정상적인 걸음걸이를 갖는 사람들도 신발을 오래 신다 보면 신발의 뒷굽 부분에서 좌우가 불균형되게 마모되는 현상이 생긴다. 신발 뒷굽의 편마모 현상은 신발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킬 뿐 아니라 걸음걸이에도 영향을 줄 수 있고, 특히 걸음걸이가 비정상적인 사람의 경우에는 이런 문제는 더욱 크게 부각된다.
신발밑창 뒷굽부의 편마모 현상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불가능한 것인 바, 종래기술에서는 이런 편마모 현상을 보상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그 대책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하,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종래기술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184556호, 일본공개특허 평9-224704호, 일본공개실용 소61-179905호, 일본공개실용 소57-012006호, 미국공개특허 2006-213082호 등이 있다.
상기 미국공개특허 2006-213082호는 신발 밑창 뒷굽부분에 코일스프링과 나사산으로 결합된 플렛폼이 덮여져 있어 뒷굽의 높이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나,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기능은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나머지 종래기술들에서는 뒷굽의 일부분이 회전되게 결합하여 편마모시 회전되게하여 특정부위의 과다마모 현상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다. 하지만, 이런 기술들로는 단지 뒷굽의 편마모 현상을 완화할 수 있을 뿐이며, 적극적으로 잘못된 걸음걸이를 교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 하나의 관련기술로는 미국특허번호 5435079호의 "스프링 경기화"가 있으 며, 도1은 이에 대한 측면도를 보여준다.
이것은 신발밑창을 뒷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는 공간부 뒷굽에 상당하는 부위에 스프링을 고정설치한 구조를 이룬다. 이 기술의 목적은 충분한 충격흡수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상기 스프링이 고정 설치되므로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주요한 구성으로 하면서 기본적으로는 충격흡수기능도 보유하며 뒷굽부위의 편마모 현상을 완화할 수 있고, 동시에 잘못된 걸음걸이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밑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밑창에 대해 보조밑창이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어 교체나 방향전환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신발밑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연질의 전방미드솔과 상기 전방미드솔 하면에는 전방아웃솔이 형성되어 전족부를 이루고, 상기 전방미드솔의 상면과 연결되어 후족부를 구성하는 경질의 후방미드솔로 구성되는 메인밑창과; 탄성체의 저면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후방아웃솔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체의상면에는 상기 후방미드솔의 저면에 연결하기 위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구속돌기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보조밑창과; 상기 후방미드솔 하부면에 상기 구속돌기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홈들의 중심부에 상기 암나사부에 볼트체결을 위해 후방미드솔 상부면까지 천공되는 관통공이 마련되는 결합좌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메인밑창에 대해 보조밑창을 사용자의 걸음걸이 특성에 맞게 결합위치를 변경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원뿔형 코일 스프링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상이한 재질의 소재를 사출하여 4개의 이질영역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원뿔형 코일 스프링의 상단부에서 사출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하단측 가장자리에 90도 간격으로 네개의 아암이 형성되어져 상이한 소재로 된 탄성체 형성을 위한 사출시 상기 아암에 의해 사출 소재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밑창은 상기 후방아웃솔 상측으로 탄성체를 감싸는 보호벽을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암나사부를 이루는 메인너트와; 상기 메인너트에 결합되어 볼트와 체결되며 진동에 의한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와이어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원뿔형 코일 스프링은 스프링을 이루는 선재의 단면모양이 직사각형, 8각형, 원형, 튜브형 중의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원뿔형 코일 스프링은 스프링을 이루는 선재의 재질이 금속제와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를 함유하는 복합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미드솔은 나일론66 수지에 유리섬유를 10 ~ 15 중량부로 섞어서 고온사출성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방아웃솔은 내부에 메쉬망 형태로 직조된 강화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은 운동화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신발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는 당업자에 의한 단순한 구조적 변경 등의 변화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이하, "신발밑창" 이라 한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한 하나의 실시가능 형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제1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밑창을 이용하여 완성된 신발의 개략 적인 모식도이며, 도3은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보조밑창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밑창은 크게 메인밑창(100), 보조밑창(200) 그리고 결합좌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밑창(100)의 상부로 갑피(400)가 결합되어 하나의 신발을 이루게 된다. 상기 메인밑창(100)에 갑피(400)를 결합하고 갑피(400) 내부에는 인솔(500) 등을 설치하여 착용을 하면 된다. 물론, 메인밑창(100)에 결합되는 보조밑창(200)의 교체 등을 위해서 갑피 (400) 내부에서 메인밑창(100)에 설치되는 볼트(b)에 접근이 가능하여 조이거나 풀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상기 메인밑창(100)을 세분하면 전방미드솔(110)과 후방미드솔(120)로 구분되며, 상기 후방미드솔(120)은 전방미드솔(110)의 상면에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미드솔(110)은 후방미드솔(120)에 비교하여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방미드솔(110)의 하면에는 고무재질로 된 전방아웃솔(115)이 결합 되어있다. 상기 전방미드솔(110)은 전족부를 이루게 되며, 후방미드솔(120)은 후족부를 이루게 된다. 전방미드솔(110)은 충격흡수기능을 담당하며, 전방아웃솔(115)은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전방미드솔(11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후방미드솔(120)은 전방미드솔(110)에 비교하여 경질인 특성이 있고, 본 예의 경우 나일론66 수지에 유리섬유를 10 ~ 15 중량부로 섞은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일론66수지와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약 250℃로 사출성형한 다음, 냉각처리하여 후방미드솔(120)을 완성하였다. 바람직하게는 고 온 사출성형된 제품을 약 100℃의 물에서 15분 정도 방치하여 제품을 얻도록 하였다.
상기 전방미드솔(110)은 일반적인 발포체나 E.V.A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후방미드솔(120)도 언급한 나일론66수지 및 유리섬유 외에 공지된 합성수지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미드솔(120)의 저면에는 보조밑창(200)이 결합되는데, 상기 보조밑창(200)의 연결을 위해서 후방미드솔(120)의 저면에 결합좌대(300)를 두도록 한다. 상기 결합좌대(300)는 타 부위보다 돌출되게 할 수 있으며 그 하부면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면을 이루고 있다. 상기 결합좌대(300)의 중심부에는 후방미드솔(120)의 상면까지 천공되는 관통공(310)이 갖추어지며, 상기 관통공(310) 외측으로 다수의 구속홈(320)들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10)을 통해서는 볼트(b)가 삽입되고, 상기 볼트(b)는 후술할 보조밑창(200)의 연결부재(210)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처럼 상기 구속홈(320)으로 8개의 구속홈을 원형으로 배치하였으며, 상기 구속홈(320)들을 이용하여 보조밑창(200)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결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결합좌대(300)에서 볼트(b)를 이용하여 메인밑창(100)과 일체로 결합되는 보조밑창(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보조밑창(200)은 탄성체(220)를 중심으로 그 하부에는 후방아웃솔(230)이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220)의 상부에는 연결부재(2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220)로 원뿔형 코일 스프링을 활용하였으며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 원뿔형 코일 스프링의 형태적 특성으로 인해 후방아웃솔(230)의 가장자리에 작용하는 힘은 다르다. 즉, 다수의 상이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탄성체를 연결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첨부되는 도5는 탄성체로서 원뿔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후방아웃솔의 경도 분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원뿔형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쿠션능력은 대략 4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각 구간이 도면과 같이 90도의 간격을 두고 확연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나 경험에 의한 상대적인 쿠션능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S 구간은 소프트(soft)한 것으로 경도가 가장 낮은 구간이며, MS(Middle soft) 구간은 2번째로 경도가 낮은 것이며, MH(Middle hard)구간은 3번째로 경도가 낮은 구간이 되고, H(Hard)구간은 경도가 가장 높은 구간이 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보조밑창(200)은 메인밑창(100)에 대한 결합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걸음걸이에 이상이 있거나, 후방아웃솔(230)에 편마모가 생기는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 적절히 보조밑창(200)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걸음걸이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또한 후방아웃솔(230)의 편마모 현상도 완화시킬 수 있다.
원뿔형 코일 스프링의 하부에는 후방아웃솔(230)이 결합되는데, 상기 후방아웃솔(230)은 전방아웃솔(115)과 같은 고무재질로 함이 적합하다. 그리고 후방아웃솔(230)의 상면에는 원뿔형 코일 스프링의 하단측과의 결합을 위해 결합홈(235)을 두도록 하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홈(235)에 원뿔형 코일 스프링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원뿔형 코일 스프링의 재질로는 탄소강과 같은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예에서는 금속제 외에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를 함유하는 복합재질로써 원뿔형 코일 스프링을 성형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원뿔형 코일 스프링을 이루는 선재의 단면 형상도 여러 형태로 적용할 수 있고, 그 예로는 직사각형, 8각형, 원형, 튜브형 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튜브형이라 함은 내부가 빈 중공부재를 의미한다.
상기 후방아웃솔(230)의 보다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후방아웃솔의 내부에 메쉬망 형태의 얇은 강화부재(237)를 두도록 한다. 상기 강화부재(237)는 후방아웃솔(23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며, 합성수지를 메쉬망 형태로 직조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합성수지를 이용한 강화부재(237)인 경우에는 불연처리를 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합성수지의 예로는 나일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강화부재(237)로 본 예에서는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강화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탄성체(220)인 원뿔형 코일 스프링의 상부에는 연결부재(210)가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부재(210)의 중심부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210a)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암나사부(210a) 주위에는 다수의 구속돌기(210b)가 원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인 상기 연결부재(210)의 구조를 보면, 중심부에 암나사부(210a)를 형성하는 메인너트(211)가 위치되고, 상기 메인너트(211)의 내부에 와이어너트(212)가 결합된다. 메인너트(211)와 와이어너트(212)가 결합된 것을 적당한 금형에 설치하고,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면 다수의 구속돌기(210b)가 갖추어진 연결 부재(210)가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금형에 원뿔형 코일 스프링과 메인너트(211)를 위치시키고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연결부재(210)와 원뿔형 코일 스프링이 일체가 되도록 제작한다. 상기 메인너트(211) 내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너트(212)는 메인밑창(100)에 보조밑창(200)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b)가 직접 체결되는 부위가 되는데, 진동에 의한 상기 볼트(b)의 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너트(212)는 용수철과 같은 형태로 가공되어진 것이며, 그 단면은 볼트의 나사산과 결합이 가능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구속돌기의 갯수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부분이다.
<제2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신발밑창의 제2실시예는 도6과 같은 구성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6은 제2실시예의 주요한 특징을 보여주는 보조밑창의 구성도에 해당된다.
언급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그 기본구성으로는 메인밑창(100), 보조밑창(200) 및 결합좌대(300)를 포함하게 되며, 특히 상기 보조밑창(200)에는 탄성체(220)를 감싸는 보호벽(2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벽(240)으로는 폴리우레탄 스펀지 폼이나 이와 유사한 것을 이용하여 성형함이 바람직하고 그 경도는 쇼어 경도(HS)로 약 20~25 정도로 함이 좋다. 상기 보호벽(240)은 탄성체(220)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후방아웃솔(23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되어 탄성체(220)를 감싸게 되고, 따라서 외부에서는 탄성체가 보 이지 않게 된다. 상기 보호벽(240)은 그 자체가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도 한다..
<제3실시예>
도7은 제3실시예의 주요한 특징인 보조밑창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8은 측면도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경우도 기본적으로 메인밑창(100)과 결합좌대(300)를 갖추며, 보조밑창(200)에 주요한 특징을 두고 있다. 본 제3실시예에서의 보조밑창(200)은 상부로부터 연결부재(210), 탄성체(220) 그리고 후방아웃솔(230)을 구비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 연결부재(210)에는 타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연결부재(210)의 하단측 가장자리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네개의 아암(215)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220)로는 폴리우레탄 스펀지 폼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이용하도록 한다. 본 예에서는 폴리우레탄 스펀지 폼을 사용하였으며, 금형에서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가 되게 사출성형하게 된다. 탄성체(220)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스펀지 폼은 4개의 구간으로 구분되며, 각 구간 마다 그 경도는 상이한 특징을 가진다. 폴리우레탄 스펀지 폼을 사출시 경도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성분비율 등을 조절하여 사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220)의 하부면에는 후방아웃솔(230)이 부착되는 것은 타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밑창을 구성하는 탄성체로서의 폴리우레탄 스펀지 폼은 S 구간, MS 구간, MH 구간, H 구간으로 구분되며 각 구간의 경도는 다르다. S 구간의 경도가 가장 낮고 반시계방향을 따라 H 구간으로 갈수록 그 경 도는 증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발밑창을 신발에 적용한 경우 잘못된 걸음걸이를 교정하는 작용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메인밑창(100)에 대해 보조밑창(200)을 분리결합시킬 수 있고, 그 결합 위치는 자유롭게 변경가능하다는 점이다. 보조밑창(200)을 메인밑창(100)에 대해 탈부착하는 방법은 연결부재(210)에 형성되는 구속돌기(210b)를 결합좌대(300)에 마련된 구속홈(320)에 맞추고, 메인밑창(100) 상면으로부터 결합좌대(30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310)을 통해서 볼트(b)를 끼워 보조밑창(200) 상측에 마련되는 연결부재(210)의 암나사부(와이어너트)(210a)와 체결시키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보조밑창을 필요에 맞게 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통째로 교환도 가능하다.
첨부되는 도10은 정상적인 걸음걸이를 가지는 사람의 경우에 적용되는 보조밑창의 바람직한 결합위치를 보여준다. 도면에는 좌우발의 경우를 동시에 나타내고 있으며, (a)는 제1실시예에 적용된 보조밑창을 보여주고, (b)는 제2실시예의 보조밑창이며, (c)는 제3실시예의 보조밑창을 보여주는 평면도에 해당된다.
정상적인 걸음걸이를 가지는 사람의 경우 특별히 내측 혹은 외측으로 힘이 집중되지 않으므로 S 구간과 H 구간을 수직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은 회내형 걸음걸이를 갖는 사람인 경우에 잘못된 걸음걸이의 교정을 위해 보조밑창을 설치하는 형태를 보여준다. 회내형 걸음걸이를 갖는 사람은 지면 과 접촉시 대부분의 하중이 안쪽방향으로 집중되므로 내측부분의 보강이 필요하게 된다. 역시 (a)는 제1실시예에 적용된 보조밑창을 보여주고, (b)는 제2실시예의 보조밑창이며, (c)는 제3실시예의 보조밑창을 보여주는 평면도에 해당된다. 회내형 걸음걸이의 교정을 위해서는 탄성체(220)의 H 구간과 S 구간이 수평방향으로 놓이게 하며 동시에 H 구간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메인밑창(100)에 보조밑창(200)을 결합시켜야 한다.
도12는 회외형 걸음걸이를 갖는 사람의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보조밑창의 설치형태를 보여준다. 회외형 걸음걸이는 지면과 접촉시 하중의 대부분이 외측방향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H 구간과 S 구간을 수평방향으로 두되, H 구간이 외측에 오도록 보조밑창을 조정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잘못된 걸음걸이를 갖는 사람들은 점진적으로 걸음걸이 교정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밑창은 보조밑창을 자유롭게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걸음걸이를 갖는 사람들도 장기간 착용에 따른 후방아웃솔의 편마모 현상이 진행되면 보조밑창의 위치를 바꾸어 착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신발밑창을 이용한 신발을 착용하게되면 잘못된 걸음걸이를 가지는 사람의 걸음걸이를 교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잘못된 걸음걸이로 인해 유발되는 각종 신체질환을 치료하는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자유롭게 보조밑창의 교체 및 위치변경이 가능하므로 후방아웃솔의 편마모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적절한 경도를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보조밑창만을 별도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연질의 전방미드솔과 상기 전방미드솔 하면에는 전방아웃솔이 형성되어 전족부를 이루고, 상기 전방미드솔의 상면과 연결되어 후족부를 구성하는 경질의 후방미드솔로 구성되는 메인밑창과;
    탄성체의 저면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후방아웃솔이 결합되며, 상기 탄성체의상면에는 상기 후방미드솔의 저면에 연결하기 위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 주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구속돌기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보조밑창과;
    상기 후방미드솔 하부면에 상기 구속돌기에 대응하는 다수의 구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홈들의 중심부에 상기 암나사부에 볼트체결을 위해 후방미드솔 상부면까지 천공되는 관통공이 마련되는 결합좌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메인밑창에 대해 보조밑창을 사용자의 걸음걸이 특성에 맞게 결합위치를 변경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원뿔형 코일 스프링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이한 재질의 소재를 사출하여 4개의 이질영역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원뿔형 코일 스프링의 상단부에서 사출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하단측 가장자리에 90도 간격으로 네개의 아암이 형성되어져 상이한 소재로 된 탄성체 형성을 위한 사출시 상기 아암에 의해 사출 소재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6.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밑창은,
    상기 후방아웃솔 상측으로 탄성체를 감싸는 보호벽을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암나사부를 이루는 메인너트와;
    상기 메인너트에 결합되어 볼트와 체결되며 진동에 의한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와이어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 코일 스프링은,
    스프링을 이루는 선재의 단면모양이 직사각형, 8각형, 원형, 튜브형 중의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9. 제2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 코일 스프링은,
    스프링을 이루는 선재의 재질이 금속제와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를 함유하는 복합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미드솔은,
    나일론66 수지에 유리섬유를 10 ~ 15 중량부로 섞어서 고온사출성형한 것임 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11. 제1항, 제2항, 제4항, 제7항,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아웃솔은,
    내부에 메쉬망 형태로 직조된 강화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KR1020060139166A 2006-02-03 2006-12-30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KR100766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166A KR100766217B1 (ko) 2006-02-03 2006-12-30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KR2006/000371 2006-02-03
KR2006000371 2006-02-03
KR1020060139166A KR100766217B1 (ko) 2006-02-03 2006-12-30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903A KR20070079903A (ko) 2007-08-08
KR100766217B1 true KR100766217B1 (ko) 2007-10-10

Family

ID=3790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9166A KR100766217B1 (ko) 2006-02-03 2006-12-30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35240B2 (ko)
EP (1) EP1815764B1 (ko)
JP (1) JP5008995B2 (ko)
KR (1) KR100766217B1 (ko)
CN (1) CN100534348C (ko)
AT (1) ATE489014T1 (ko)
BR (1) BRPI0700346A (ko)
DE (1) DE602007010675D1 (ko)
ES (1) ES2356781T3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521B1 (ko) 2010-02-11 2010-06-08 남궁진 뒤꿈치 충격흡수와 보호장치
KR100992375B1 (ko) * 2008-05-19 2010-11-04 (주)지코일 신발밑창
KR100999900B1 (ko) * 2008-04-15 2010-12-09 (주)아이젝스티비 스프링 완충 신발
KR100999898B1 (ko) 2008-04-15 2010-12-09 (주)아이젝스티비 분리형 스프링 완충 신발
KR101020012B1 (ko) 2008-09-11 2011-03-15 (주)아이젝스티비 기능성 신발
KR101056200B1 (ko) * 2010-12-08 2011-08-11 권동혁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
KR101702806B1 (ko) 2016-02-17 2017-02-06 (주)지코일 기능성 신발밑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6042B2 (en) * 2005-03-23 2010-06-01 Meschan David F Athletic shoe with removable resilient element
US20100095553A1 (en) * 2007-02-13 2010-04-22 Alexander Elnekaveh Resilient sports shoe
KR100877555B1 (ko) * 2007-05-22 2009-01-09 박철수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KR100826921B1 (ko) * 2007-09-14 2008-05-06 (주)채널티비 밸런스 기능성 스프링 신발
US20090126224A1 (en) 2007-11-19 2009-05-21 Greene Pamela S Differential-stiffness impact-attenuation members and products including them
US8510970B2 (en) 2010-03-30 2013-08-20 Howard Baum Shoe sole with energy restoring device
ES2366253B1 (es) * 2008-11-10 2012-09-14 Pascual SORIA ROLDÁN Tapa de tacón para calzado.
US8065817B2 (en) * 2009-02-11 2011-11-29 Francis Edward Levert Cushioning apparatus for ambulatory use
KR101051044B1 (ko) * 2009-09-29 2011-07-21 안인태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WO2012108553A1 (ko) * 2011-02-08 2012-08-16 Park Jun Seob 근력 강화 및 유산소 운동을 촉진시키는 신발
US9943133B2 (en) 2012-06-27 2018-04-17 Barry A. Butler Energy return orthotic systems
KR101340327B1 (ko) * 2012-07-09 2013-12-11 권시혁 완충 신발에 적용되는 스프링 홀더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US20150047224A1 (en) * 2013-08-16 2015-02-19 Jing Zhao Shoe having carbon fiber composite spring soles and upper support
CN105192994B (zh) * 2014-06-24 2018-01-23 黄英俊 可组装于鞋底的配件结构
CN104257005A (zh) * 2014-09-30 2015-01-07 瞿德成 加工减震弹簧鞋底或鞋垫的方法
KR101686862B1 (ko) * 2015-05-22 2016-12-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걸음걸이 교정장치, 이를 구비한 밑창 및 이 밑창을 포함하는 신발
US11523659B2 (en) * 2017-04-14 2022-12-13 Angela M. Yangas Heel tip cushion with anchoring mechanism inside heel stem
US9943432B1 (en) * 2017-04-24 2018-04-17 Barry A. Butler Energy return orthotic systems
AU2017412260B2 (en) 2017-04-24 2021-03-25 Barry A. BUTLER Energy return orthotic systems
JP7207746B2 (ja) 2020-05-26 2023-01-18 株式会社レーベン 保護具付き装着品及び保護具
KR102377445B1 (ko) * 2021-07-22 2022-03-22 서경배 자세교정 및 케겔운동 장치
USD982304S1 (en) 2022-06-24 2023-04-04 Blakely Ventures, LLC Shoe last
USD1000773S1 (en) 2022-06-24 2023-10-10 Blakely Ventures, LLC Shoe
USD1000795S1 (en) 2022-06-24 2023-10-10 Blakely Ventures, LLC Shoe
USD1000774S1 (en) 2022-06-24 2023-10-10 Blakely Ventures, LLC Sho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704A (ja) * 1996-02-26 1997-09-02 Hirotake Itou かかとの角度を変える事ができる靴
KR19990037534U (ko) * 1998-03-07 1999-10-05 방우홍 신발 뒷굽
KR200184556Y1 (ko) * 1999-12-27 2000-06-01 김경환 회전식 구두뒷굽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456A (en) 1914-06-01 1915-02-09 Robert Kurz Spring-heel.
US1977777A (en) * 1932-07-20 1934-10-23 Rhodes John William Detachable heel cap
US2208260A (en) * 1939-07-31 1940-07-16 Harry Hardy Reversible heel
US2943404A (en) * 1956-10-19 1960-07-05 Sultan Robert Replaceable heel construction
US3478447A (en) * 1968-05-27 1969-11-18 J Foster Gillead Shoe heel with rotatable lift
ES185992Y (es) 1972-11-23 1974-07-16 Saurina Pavia Calzado perfeccionado con tacon basculante.
US3996677A (en) 1976-06-11 1976-12-14 Lawrence Peska Associates, Inc. Exercise skate
US4296557A (en) 1980-01-31 1981-10-27 Pajevic Paul D Shoe with sole cushioning assembly
US4492046A (en) 1983-06-01 1985-01-08 Ghenz Kosova Running shoe
US4566206A (en) 1984-04-16 1986-01-28 Weber Milton N Shoe heel spring support
US4592153A (en) 1984-06-25 1986-06-03 Jacinto Jose Maria Heel construction
JPS61179905A (ja) 1985-02-04 1986-08-12 岩崎 富三 境界縁石
US5918384A (en) * 1993-08-17 1999-07-06 Akeva L.L.C. Athletic shoe with improved sole
US5435079A (en) 1993-12-20 1995-07-25 Gallegos; Alvaro Z. Spring athletic shoe
US5511324A (en) * 1994-04-01 1996-04-30 Smith; Roosevelt Shoe heel spring
JP3588851B2 (ja) 1995-03-17 2004-11-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往復動型圧縮機
US6631570B1 (en) * 2002-02-07 2003-10-14 Lisa Walker Rotationally detachable low to high heel shoes
US7055264B2 (en) * 2002-07-25 2006-06-06 Gallegos Alvaro Z Ventilating footwear and method of ventilating footwear
BR0305659A (pt) * 2003-12-08 2004-11-03 Sao Paulo Alpargatas Sistema amortecedor ajustável para solado de calçados
US20060112592A1 (en) * 2004-11-29 2006-06-01 Nike, Inc. Impact-attenuating elements removably mounted in footwear or other products
US7726042B2 (en) 2005-03-23 2010-06-01 Meschan David F Athletic shoe with removable resilient 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704A (ja) * 1996-02-26 1997-09-02 Hirotake Itou かかとの角度を変える事ができる靴
KR19990037534U (ko) * 1998-03-07 1999-10-05 방우홍 신발 뒷굽
KR200184556Y1 (ko) * 1999-12-27 2000-06-01 김경환 회전식 구두뒷굽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900B1 (ko) * 2008-04-15 2010-12-09 (주)아이젝스티비 스프링 완충 신발
KR100999898B1 (ko) 2008-04-15 2010-12-09 (주)아이젝스티비 분리형 스프링 완충 신발
KR100992375B1 (ko) * 2008-05-19 2010-11-04 (주)지코일 신발밑창
KR101020012B1 (ko) 2008-09-11 2011-03-15 (주)아이젝스티비 기능성 신발
KR100961521B1 (ko) 2010-02-11 2010-06-08 남궁진 뒤꿈치 충격흡수와 보호장치
KR101056200B1 (ko) * 2010-12-08 2011-08-11 권동혁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
WO2012077934A2 (ko) * 2010-12-08 2012-06-14 Kwon Dong-Hyuk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
WO2012077934A3 (ko) * 2010-12-08 2012-07-05 Kwon Dong-Hyuk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
JP2013523207A (ja) * 2010-12-08 2013-06-17 クォン、ドンヒョク 校正バランススプリング靴
KR101702806B1 (ko) 2016-02-17 2017-02-06 (주)지코일 기능성 신발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7010675D1 (de) 2011-01-05
ES2356781T3 (es) 2011-04-13
CN101011195A (zh) 2007-08-08
EP1815764A1 (en) 2007-08-08
JP5008995B2 (ja) 2012-08-22
CN100534348C (zh) 2009-09-02
ATE489014T1 (de) 2010-12-15
US7735240B2 (en) 2010-06-15
EP1815764B1 (en) 2010-11-24
KR20070079903A (ko) 2007-08-08
US20070180733A1 (en) 2007-08-09
BRPI0700346A (pt) 2007-11-06
JP2007203069A (ja)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217B1 (ko)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US11622601B2 (en) Footwear with flexible cage and wedge
CA2522011C (en) Shoe with a composite insole
US8590178B2 (en) Stability and comfort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146272B2 (en) Outsole having grooves forming discrete lugs
US20110010964A1 (en) Footwear suspension system
US6092305A (en) Footwea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090019729A1 (en) Footwear sole construction
WO2003013301A1 (en) An improved footwear structure
CA3037209C (en) Midsole with incorporated orthotic support
KR20110112975A (ko) 신발 밑창
WO2001082732A1 (en) Footwea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20070060634A (ko) 복수의 스프링을 갖는 신발
KR20090109392A (ko)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KR200332257Y1 (ko) 안전화의 토우캡 지지구조
KR200370556Y1 (ko) 신발용 깔창
KR20110062034A (ko) 구형의 탄성체를 겸비한 충격 흡수용 중창의 신발
KR20090007621U (ko) 충격흡수기능을 가지는 신발용 중창, 이러한 중창을 구비한신발창 및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