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556Y1 - 회전식 구두뒷굽 - Google Patents

회전식 구두뒷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556Y1
KR200184556Y1 KR2019990029774U KR19990029774U KR200184556Y1 KR 200184556 Y1 KR200184556 Y1 KR 200184556Y1 KR 2019990029774 U KR2019990029774 U KR 2019990029774U KR 19990029774 U KR19990029774 U KR 19990029774U KR 200184556 Y1 KR200184556 Y1 KR 200184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coupling
shoe
coupled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김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환 filed Critical 김경환
Priority to KR2019990029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5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A43B21/433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rotatably mounted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식 구두뒷굽에 관한 것으로서, 뒷굽의 구조를 착탈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의 형상으로 이룸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분리결합을 통한 사용이 가능하면서 마모시 회전사용을 통해 뒷굽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구두의 뒷축(1)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뒷굽(1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뒷굽(10)은, 회전이 가능한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면의 중심축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나사부(11)가 돌출. 고정되고; 상기 뒷굽(10)이 결합되는 뒷축(1)에는, 상기 뒷굽(10)이 안착되는 안착부(2)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2)에는 상기 결합나사부(11)가 회전 삽입 되면서 나사산간의 치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3)이 구비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구두뒷굽{A HOOF OF ROTARY TYPE}
본 고안은 구두뒷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두뒷굽의 사용가능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뒷굽을 회전식으로 구비함과 동시에 착탈이 용이토록 하여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구두는 그 밑창의 후단에 뒷굽을 접착제나 못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서 보행에 편리성을 추구하게 된다.
즉, 구두 착용자는 정상적인 보행시 발 뒷축이 앞부분에 비해 먼저 지면에 닿게 됨으로 쉽게 마모되는 특성을 갖게되므로, 1착의 구두를 오랜기간 착용하기 위해서는 뒷축 부분에 소정 두께의 뒷굽을 부착. 고정시키고 마모정도에 따라 뒷굽만을 교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교체를 위해 구두로 부터 탈거된 뒷굽의 마모형태를 살펴보면 대부분 끝단 모서리부분만이 마모됨을 알 수 있는데, 일부 마모에도 불구하고 뒷굽을 교체하게 됨으로 교체에 따른 비용 및 자원 재사용의 측면에서 보았을때 이 또한 불필요한 낭비의 요소를 갖게됨을 알 수 있다.
특히, 한쪽 다리가 불편한 장애인의 경우 뒷굽의 마모속도가 일반인들에 비해 빨리 진행되어 뒷굽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며, 좌,우측 구두뒷굽의 마모상태가 불균일하게 진행됨으로 일측의 구도뒷굽만 교체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양쪽 구두의 뒷굽을 동시에 교체해야 함으로 교체에 따른 뒷굽의 소요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뒷굽은 주로 끝단의 모서리부분만이 마모되는 형태로 부터 착안하여, 뒷굽의 일단이 마모되면 비 마모부위를 선택적으로 끝단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뒷굽을 회전식으로 구비함으로서, 뒷굽의 사용가능 기간을 더욱 증가시키고 이를 통한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구두뒷굽의 분리 사시도.
도 2의 a,b는 뒷굽의 결합후 회전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상기 뒷굽의 결합된 단면도.
도 4는 상기 뒷굽을 구두에 결합후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뒷축 2 : 안착부
3 : 결합홈 4 : 래치
10 : 뒷굽 10a : 편평부
10b : 미끄럼방지부 11 : 결합나사부
11' : 일자홈 12 : 돌기부
13 : 노출홈 14 : 압입마개
상기 목적은, 구두의 뒷축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뒷굽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뒷굽은, 회전이 가능한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면의 중심축에는 결합나사부가 고정되고;
상기 뒷굽이 결합되는 뒷축에는, 상기 뒷굽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결합나사부가 회전 삽입 되면서 나사산간의 치합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본 고안의 결합구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뒷축에,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래치가 소정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뒷굽에는, 상기 래치와 대응되도록 결합나사부 주변을 따라 톱니형상의 돌기가 연속 형성되되, 상기 래치와의 걸림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뒷굽의 회전방향이 단속되도록 상기 돌기는 편심된 톱니형상을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두 뒷굽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의 a,b는 뒷굽의 결합후 회전에 따른 사용상태를 저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상기 결합된 단면도이고, 도 4는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구두의 뒷축(1)에는 뒷굽(10)이 안착.고정될 안착부(2)가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3)이 형성되며, 안착부(3)의 소정부위에는 탄성력으로 지지되고 있는 래치(4)가 결합되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에 안착.고정될 뒷굽(1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결합홈(3)에 회전결합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나사부(11)가 고정되며, 그 주변 둘레를 따라 연속되는 톱니형상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상기 래치(4)와 걸려질 수 있게된다.
이때, 돌기부(12)는 편심된 톱니형상을 이룸으로 인해 래치(4)와의 걸림에 따른 일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또한, 도 2의 a,b에 도시된 바와같이 뒷굽(10)의 하면에는 상면으로 돌출된 결합나사부(11)의 후단 일자홈(11')이 노출되는 노출홈(13)이 형성되며, 노출홈(13)에는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기밀부재로서 압입마개(14)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도 2에서는 이해를 돕기위해 압입마개(14)가 분리된 상태에서 뒷굽(10)의 저면도를 나타내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뒷굽 탈.부착상태를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뒷굽(10)은 결합나사부(110가 안착부(2)의 결합홈(3)에 회전삽입 되면서 나사산간의 치합에 의해 결합되는데, 뒷굽(10)을 회전시킴으로 인해 안착부(2)에 거의 밀착될 즈음에는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래치(4)가 돌기부(12)의 톱니형상을 따라 걸려지면서 뒷굽(10) 자체의 역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돌기부(12)의 톱니형상은, 일측으로 기울어진 편심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톱니형상의 경사면을 따라 탄력지지되지만, 역방향으로는 회전을 단속하는 걸림쇠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같이 뒷굽(10)의 결합이 완료되면, 뒷굽(10) 하단에 형성된 노출홈(13)에 압입마개(14)를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삽입시킴으로 최종 결합구조가 완성되게 된다.
이후, 일정기간동안 사용에 따라 뒷굽(10) 끝단의 모서리부가 마모되었을 경우, 뒷굽(10)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마모부위는 내측으로 회전되고 비 마모부위가 끝단에 위치됨으로 인해 뒷굽의 교체없이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나의 뒷굽을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체 외주면을 따라 모서리가 마모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게됨으로 종래 뒷굽구조에 비해 적어도 4∼5배 이상의 기간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뒷굽(10)의 하면에는 일반적인 표면편평도를 갖는 편평부(10a)와 비교적 거칠은 표면도을 갖는 미끄럼방지부(10b)가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편평부(10a)를 끝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고, 길이 미끄러운 겨울철에는 도 2b와 같이 미끄럼방지부(10b)가 끝단에 위치되도록 뒷굽(10)을 회전시킴으로 노면 상태에 따른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연속적인 회전이용에 따라 뒷굽(10)의 전체 외주면이 모두 마모되었을 경우에는, 결합되어 있는 뒷굽을 탈거시킨 후 다시 새로운 뒷굽을 결합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압입마개(14)를 노출홈(13)으로 부터 강제 이탈시킨 후, 노출홈(13)내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결합나사부(11) 후단의 일자홈(11')을 회전시키면 결합나사부(11)와 결합홈(3)간의 역회전으로 인해 치합상태가 점차 해제되면서 안착부(2)에 밀착되어 있던 뒷굽(10)이 점차 이격되게 된다. 이때, 뒷굽(10)과 안착부(2) 간에 일정간격 이격이 발생되면 돌기부(12)가 탄성력을 받고 있는 래치(4)로 부터 자유로워 짐으로, 이후로 부터는 직접 뒷굽(10)을 탈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뒷축(1)으로 부터 뒷굽(10)이 완전히 탈거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새로운 뒷굽(10)을 상기한 순서와 마찬가지로 다시 뒷축(1)의 안착부(2)에 부착시킴으로서 다시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비교예로서, 즉 종래 탈착식 뒷굽구조의 경우는 탈착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나 그 사용기간에 있어서는 일반 뒷굽과 별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던 것에 비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뒷굽의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회전동작을 통해 마모부위를 감추어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뒷굽의 교체를 위해 처리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하게 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뒷굽의 마모가 일반인에 비해 심하게 일어나고, 또 마모상태가 양측 구두에서 불균일하게 발생되는 장애인의 경우, 자신이 직접 마모부위의 신발 뒷굽만을 수시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됨으로 뒷굽의 잦은 교체로 인힌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뒷굽 결합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은, 뒷굽의 구조를 착탈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의 형상으로 이룸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분리결합을 통한 사용이 가능하면서 회전에 따른 뒷굽의 수명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구두의 뒷축(1)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뒷굽(1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뒷굽(10)은, 회전이 가능한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면의 중심축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나사부(11)가 돌출. 고정되고;
    상기 뒷굽(10)이 결합되는 뒷축(1)에는, 상기 뒷굽(10)이 안착되는 안착부(2)가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2)에는 상기 결합나사부(11)가 회전 삽입 되면서 나사산간의 치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두뒷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뒷축(1)에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래치(4)가 소정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뒷굽(10)에는, 상기 래치(4)와 대응되도록 결합나사부(11) 주변을 따라 톱니형상의 돌기(12)가 연속 형성되되, 상기 래치(4)와의 걸림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뒷굽의 회전방향이 단속되도록 상기 돌기(12)는 편심된 톱니형상을 이루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두뒷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뒷굽(10)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나사부(11)의 후단이 노출될 수 있는 노출홈(13)이 형성되되, 상기 노출홈(13)에는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14)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두뒷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뒷굽은, 하면의 표면 거칠기를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두뒷굽.
KR2019990029774U 1999-12-27 1999-12-27 회전식 구두뒷굽 KR200184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774U KR200184556Y1 (ko) 1999-12-27 1999-12-27 회전식 구두뒷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774U KR200184556Y1 (ko) 1999-12-27 1999-12-27 회전식 구두뒷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556Y1 true KR200184556Y1 (ko) 2000-06-01

Family

ID=1960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774U KR200184556Y1 (ko) 1999-12-27 1999-12-27 회전식 구두뒷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5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736A (ko) * 2001-03-15 2002-09-28 천병선 구두 뒷굽의 결합구조
EP1815764A1 (en) 2006-02-03 2007-08-08 Z-Coil Ltd Shoe sole for correcting gait
KR101050749B1 (ko) 2009-07-14 2011-07-20 김경환 회전식 뒷굽을 갖는 신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736A (ko) * 2001-03-15 2002-09-28 천병선 구두 뒷굽의 결합구조
EP1815764A1 (en) 2006-02-03 2007-08-08 Z-Coil Ltd Shoe sole for correcting gait
KR100766217B1 (ko) * 2006-02-03 2007-10-10 (주)지코일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KR101050749B1 (ko) 2009-07-14 2011-07-20 김경환 회전식 뒷굽을 갖는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1975B (zh) 用於卡式踏板之扣片總成
JP3260365B2 (ja) スタッド付き履物用のスタッド及びソケット
US4318232A (en) Heel structure for shoes
US5655317A (en) Stud and washer system for golf shoe spikes
KR101371005B1 (ko) 탈착이 용이한 기능성 신발
JP2001512350A (ja) 運動靴用スタッド
KR200184556Y1 (ko) 회전식 구두뒷굽
US20080134542A1 (en) Shoe heel structure
US2300635A (en) Heel
KR200224478Y1 (ko) 회전식 구두뒷굽
US2776502A (en) Footwear construction
KR200238222Y1 (ko) 구두 뒷굽의 결합구조
GB1584161A (en) Footwear
KR870001397Y1 (ko) 회전식 구두굽
CN211631984U (zh) 防滑鞋底及其运动鞋
KR200331203Y1 (ko) 회전식구두굽
JP3012040U (ja) 靴底の構造
KR200325513Y1 (ko) 구두 뒷굽의 착탈구조
KR101050749B1 (ko) 회전식 뒷굽을 갖는 신발
JPH0682905U (ja) 靴底の構造
KR100512674B1 (ko) 롤러슈즈
KR200238466Y1 (ko) 편마모 방지용 신발 뒷창
KR200243206Y1 (ko) 구두용 보조굽
KR19990037534U (ko) 신발 뒷굽
KR20020073736A (ko) 구두 뒷굽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