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981B1 - 정보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981B1
KR100765981B1 KR1020067013241A KR20067013241A KR100765981B1 KR 100765981 B1 KR100765981 B1 KR 100765981B1 KR 1020067013241 A KR1020067013241 A KR 1020067013241A KR 20067013241 A KR20067013241 A KR 20067013241A KR 100765981 B1 KR100765981 B1 KR 10076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information
area
record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773A (ko
Inventor
가즈오 구로다
도시로 다니카와
에이지 무라마쓰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정보 기록 장치(300)는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제1 기록층 또는 상기 제2 기록층에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디바이스(352); 상기 제1 기록층의 기록된 영역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록층의 기록 영역인 제1 대상 영역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디바이스(354); 및 상기 기록된 영역에 양 단부가 인접하는 미기록 영역 중, 소정의 폭보다도 작은 제1 기록층의 미기록 영역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록층의 기록 영역인 제2 대상 영역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기록층, 대상 영역, 제어 디바이스, 기록 정보, 기록 영역, 미기록 영역

Description

정보 기록 장치{INFORMATION RECORD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DVD 레코더 등의 정보 기록 장치, 및 컴퓨터를 이와 같은 정보 기록 장치로서 기능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CD-R(Compact Disc-Recordable), DVD-ROM 등의 광디스크 등의 정보 기록 매체에서는, 동일 기판상에 복수의 기록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형의 광디스크 등도 개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층형의 광디스크는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될 때 레이저광의 조사 측으로부터 보아 가장 바로 앞쪽(즉, 광픽업에 가장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제1 기록층(본 출원에서는 적당히 "L0층"이라고 칭한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기록층의 뒤쪽(즉, 레이저광의 조사 측으로부터 보아 더 먼 쪽)에 위치하는 반투과 반사막을 가진다. 상기 2층형의 광디스크는 상기 반투과 반사막의 뒤쪽에 접착층 등의 중간층을 통하여 위치하는 제2 기록층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기록층을 본 출원에서는 적당히 "L1층"이라고 칭한다. 또한, 제2 기록층의 뒤쪽에 위치하는 반사막을 가진다.
이와 같은 2층형의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CD 레코더 등의 정보 기록 장치에서는, L0층 또는 L1층에 대해서 기록용의 레이저광을 집광(또는, 조사)함으로써, 가열 등에 의한 비가역 변화 기록 방식이나 재기입 가능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0-31134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이와 같은 2층형의 광디스크에 있어서는,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LO층을 통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레이저광을 개입시키는 L0층에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도 있고, 또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L0층의 기록 상태는 반드시 통일되어 있지 않고, 그에 따라 L1층에 조사되는 레이저광 상태가 변화해 버린다. 그러므로 L0층의 기록 상태에 따라서는, L1층에 적절히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다는 기술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복수의 기록층을 가지는 정보 기록 매체라도, 적절히 정보의 기록을 행할 수 있는 정보 기록 장치 및 컴퓨터를 이와 같은 정보 기록 장치로서 기능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기록 정보가 기록되는 제1 기록층 및 상기 제1 기록층을 통하여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기록 정보가 기록되는 제2 기록층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정보 기록 장치는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제1 기록층 또는 상기 제2 기록층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디바이스; 상기 제1 기록층 중 상기 기록 정보가 기록 완료된 기록된 영역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록층의 기록 영역인 제1 대상 영역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디바이스; 및 상기 기록된 영역에 인접하는 미기록 영역 중, 소정의 폭보다도 작은 미기록 영역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록층의 기록 영역인 제2 대상 영역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따르면, 기록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제1 기록층 및 제2 기록층의 각각에 바람직하게 기록 정보가 기록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기록 디바이스는 제1 제어 디바이스 및 제2 제어 디바이스의 각각의 제어를 받으면서 기록 정보를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기록 정보가 기록된 제1 기록층의 기록된 영역에 대향하는(또는, 대응하는) 제1 대상 영역에 기록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측으로부터 보아 제1 기록층으로부터 뒤쪽(또는, 먼 쪽)에 위치하는 제2 기록층에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기록 정보가 기록된 제1 기록층을 통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으로 된다. 환언하면, 기록 정보가 미기록의 제1 기록층을 통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제2 기록층에 기록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거의 또는 전혀 없다. 따라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조건을 변경하지 않고, 제2 기록층에 적절히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제2 기록층에 있어서 양호한 기록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제2 기록층의 기록 상태와 관계없이, 제1 기록층에 적절히 기록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더하여, 제2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소정의 폭보다 작은 제1 기록층의 미기록 영역에 대향하는 제2 기록층의 제2 대상 영역에 기록 정보가 기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록층 상에 존재하는 미기록 영역의 폭(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정보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에서의 폭 또는 기록 정보의 기록의 진행 방향에 따른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폭 등)이, 소정의 폭(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기록층에 레이저광을 포커싱 한 경우의 상기 레이저광의 제1 기록층 상에서의 빔 반경 등)보다 작은지(또는, 같은지) 여부가 판정된다. 그 결과, 미기록 영역의 폭이 소정의 폭보다도 작으면(또는, 같으면), 제2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미기록 영역이 제1 기록층에 존재하고 있다고 해도, 제2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해 미기록 영역에 대향하는 제2 기록층의 제2 대상 영역에 기록 정보가 기록된다. 즉, 제1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제어에 의하면, 미기록 영역에 대향하는 제2 대상 영역에 기록 정보는 기록되지 않지만, 제2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제어를 조합함으로써, 제2 대상 영역에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기록층의 기록 용량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미기록 영역에 대향하는 제2 대상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해도,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기록층을 투과하는 레이저광의 투과율에 큰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즉, 기록된 영역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 및 미기록 영역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에서, 기록 정보의 기록 품질에 큰 차이를 생기게 하는 정도로까지 그 성질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제2 대상 영역에 기록된 기록 정보의 재생 품질은, 제1 대상 영역에 기록된 기록 정보의 재생 품질과 대체로 동일시할 수 있는 정도의 양호한 값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하면, 제2 기록층에 적절히 기록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기록층의 기록 용량을 더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의 하나의 관점에서, 상기 기록된 영역에 이어서, 상기 미기록 영역을 작성하면서 상기 제1 기록층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폭보다도 작은 폭을 가지는 상기 미기록 영역을 작성하면서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3 제어 디바이스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관점에서는, 제1 기록층에 미기록 영역을 작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3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소정의 폭(예를 들면, 레이저광의 빔 반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미기록 영역이 작성된다. 환언하면, 소정의 폭보다도 큰 폭을 가지는 미기록 영역이 작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미기록 영역에 대향하는 제2 기록층의 제2 대상 영역에 기록 정보를 기록해도, 제1 기록층을 투과하는 레이저광의 투과율에 큰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제2 대상 영역에 기록된 기록 정보의 재생 품질은, 기록된 영역에 대향하는 제2 기록층의 제1 대상 영역에 기록된 기록 정보의 재생 품질과 대체로 동일시할 수 있는 정도의 양호한 값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대상 영역에도 바람직하게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이 관점에 있어서 작성되는 미기록 영역의 폭은, 소정의 폭보다도 작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미기록 영역의 폭의 대소를 판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더욱 간편한 동작에 의해, 전술한 각종 이익을 향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소정의 폭보다도 큰 폭을 가지는 미기록 영역이 작성되지 않기 때문에, 대체로 제2 기록층의 전체 면에 걸쳐 기록 정보를 바람직하게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을 더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의 다른 관점에서, 상기 소정의 폭은 상기 기록 정보의 기록 단위에 의해 정해진 수치이다.
이 관점에 의하면, 1개의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고정된 또는 가변인 수치에 기초하여, 제2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이 행해진다. 특히, 실제로 미기록 영역의 폭을 측정하지 않아도, 정보 기록 장치가 인식하기 쉬운 기록 정보의 기록 단위(또는, 데이터 크기, 데이터 용량 등)에 따라, 전술한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용이하게, 미기록 영역의 폭이 소정의 폭보다도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의 다른 관점에서, 상기 소정의 폭은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반경 위치에 따라 정해진 수치이다.
이 관점에 의하면, 소정의 폭으로서 반경 위치에 따라 적당히 변화하는 수치에 따라, 제2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고정선속도(Constant Liner Velocity; CLV) 기록 방식에서와 같이, 단위면적에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정보의 데이터 크기가, 그 기록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 기록 매체 등에 있어서도, 전술하는 판정 동작을 바람직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의 다른 관점에서, 상기 소정의 폭은,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제2 기록층에 조사한 경우의 상기 레이저광의 상기 제1 기록층 상에서의 빔 반경의 크기에 상당한다.
이 관점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록된 영역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 및 미기록 영역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에서, 투과율에 큰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즉, 기록 정보의 기록 품질에 큰 차이를 생기게 하는 정도로까지 그 성질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제2 대상 영역에 기록된 기록 정보의 재생 품질은, 제1 대상 영역에 기록된 기록 정보의 재생 품질과 대체로 동일시할 수 있는 정도의 양호한 값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관점에서는, 상기 수치는,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반경 위치와 상기 기록 단위로 기재된 수치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테이블 또는 관계식에 의해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관점에 의하면, 적당히 변화하는 수치를, 테이블이나 관계식(또는, 함수 등)을 사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취득 또는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폭이, 기록 정보의 기록 단위에 의해 정해진 수치인 정보 기록 장치의 관점에서는,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상기 기록 정보가 기록되고 또한 동심원형으로 또는 스파이럴형으로 분포하는 기록 트랙을 가지고 있고, 상기 수치는, 상기 소정의 폭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상기 기록 트랙에 기록할 수 있는 상기 기록 정보의 데이터 크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미기록 영역의 폭이 소정의 폭보다도 작은지 여부를 바람직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기록층의 소정의 폭에 포함된 기록 트랙 전체에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정보의 데이터 크기가 미기록 영역에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정보의 데이터 크기보다 크면, 미기록 영역의 폭은 소정의 폭보다도 작은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의 다른 관점에서는, 상기 수치를 나타낸 크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 디바이스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들 관점에 의하면, 크기 정보를 참조하여, 전술한 판정 동작을 바람직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소정의 폭을 나타낸 크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의 다른 관점에서, 상기 기록 디바이스는 상기 미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이 관점에 의하면, 위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미기록 영역의 위치(또한, 미기록 영역의 데이터 크기나 폭 등)를 비교적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판정 동작을 바람직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의 다른 관점에서, 상기 기록된 영역에 이어서 상기 소정의 폭보다도 상기 폭이 큰 상기 미기록 영역을 작성하면서 상기 제1 기록층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폭보다도 작은 폭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상기 미기록 영역을 작성하면서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4 제어 디바이스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관점에 의하면, 소정의 폭보다도 폭이 큰 미기록 영역이 제1 기록층에 작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보 기록 장치는, 제1 기록층 전체에 기록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제2 기록층에 기록 정보를 바람직하게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관점에서는, 상기 제4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해 작성되는 하나의 상기 미기록 영역과 다른 미기록 영역 사이의 폭은, 상기 소정의 폭 이상의 크기를 가지도록 상기 기록 정보가 기록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장치의 다른 관점에서, 상기 제1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대상 영역의 단부 부분 중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대상 영역 부분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이 관점에 의하면, 기록 정보가 기록된 제1 기록층의 기록된 영역보다 거의 1회 정도 작은 기록 영역인 대상 영역 부분에 기록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일 제1 기록층과 제2 기록층이 서로 적절히 대응하지 않는(예를 들면 편심 등이 있는) 경우라도, 상기 1회 작은 기록 영역인 대상 영역 부분에 있어서는, 기록 정보가 기록된 제1 기록층을 통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제1 기록층과 제2 기록층 사이에 위치적인 오차가 있다고 해도, 또는 각각의 기록층에 있어서 동일 어드레스 또는 동일 트랙으로 되는 기록 영역이 적절히 대응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위치적인 오차가 있다고 해도, 단부 부분을 제외함으로써 오차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상기 제2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대상 영역과 인접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부 부분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단부 부분을 제외한 대상 영역 부분에 기록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단부 부분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기록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에 의해 단부 부분에 기록 정보를 기록했다고 해도, 상기 단부 부분에 대향하는 제1 기록층 및 그 근방에는 기록 정보가 기록되어 있고, 또 빔 반경 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미기록 영역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기록 정보의 재생 품질에 특별한 악영향을 미칠 것은 없다. 이로써, 제2 기록층의 기록 용량을 더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기록 정보가 기록되는 제1 기록층 및 상기 제1 기록층을 통하여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기록 정보가 기록되는 제2 기록층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정보 기록 장치에서의 정보 기록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정보 기록 방법은 상기 제2 기록층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상기 제1 기록층 중 상기 기록 정보가 기록 완료 상태인 기록된 영역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록층의 기록 영역인 제1 대상 영역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1 제어 공정과, 상기 기록된 영역에 인접하는 미기록 영역의 폭이, 소정의 폭보다도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공정과, 상기 판정 공정에서 상기 소정의 폭보다도 작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미기록 영역에 대향하는 상기 제2 기록층의 기록 영역인 제2 대상 영역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2 제어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방법에 의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와 마찬가지의 각종 이익을 향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의 각종 관점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정보 기록 방법도 각종 관점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그 각종 관점을 포함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구비된 컴퓨터를 제어하는 기록 제어용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를, 상기 기록 디바이스, 상기 제1 제어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제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서 기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면,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CD-ROM, DVD-ROM,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읽어들여 실행시키거나 또는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컴퓨터에 다운로드한 후에 실행시키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를 비교적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의 각종 관점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도 각종 관점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그 각종 관점을 포함하는) 전술한 정보 기록 장치에 구비된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을 명백하게 구현하고, 상기 컴퓨터를, 상기 기록 디바이스, 상기 제1 제어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제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서 기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하면,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는 ROM, CD-ROM, DVD-ROM,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컴퓨터에 읽어들이거나, 또는, 예를 들면 전송파인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컴퓨터에 다운로드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를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로서 기능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로 구성되어 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작용 및 다른 이득은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예로부터 밝혀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는, 기록 디바이스, 제1 제어 디바이스 및 제2 제어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 기록층에 적절히 기록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기록층의 기록 용량을 더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의 실시예에 관한 복수의 기록 영역을 가지는 광디스크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상기 광디스크의 개략 단면도와 이것에 대응한, 그 반경 방향에서의 기록 영역 구조의 도식적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실시예의 기본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한 제1 동작예 전체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의 제1 동작예로부터, 오포짓트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관점에서의 하나의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의 제1 동작예로부터, 오포짓트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관점에서의 다른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의 제1 동작예로부터, 오포짓트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관점에서의 다른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7은 미기록 영역의 폭이 빔 스폿 반경보다 작은 경우의, 레이저광의 L0층 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변화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미기록 영역의 폭이 빔 스폿 반경보다 큰 경우의, 레이저광의 LO층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변화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레이저광의 빔 스폿이 횡단하는 또는 조사되는 그루브 트랙에 의해 구성되는 기록 영역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크기 정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의 동작에 의해, 패러렐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관점에서의 하나의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의 동작에 의해, 패러렐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관점에서의 다른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한 제2 동작예로부터, 광디스크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관점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14 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한 제2 동작예로부터, 광디스크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관점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광디스크
102, 112 리드인 영역
105, 115 데이터 기록 영역
108, 118 리드아웃 영역
109, 119 중간 영역
116 미기록 영역
120 크기 정보
300 정보 기록 장치
352 광 픽업
354 CPU
355 메모리
α 편심
d 반경 방향에서의 미기록 영역의 폭
r 빔 스폿 반경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 실시예마다 순서대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L1층(제2 기록층)에 레이저광을 조사한 경우에, LO층(제1 기록층) 상에 형성되는 빔 스폿 반경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정의 폭"의 하나의 구체예로서 예시하면서 설명을 진행시킨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정의 폭"은 빔 스폿 반경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보 기록 매체의 실시예)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장치에 의해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지는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시킨다. 여기서, 도 1(a)는 본 발명의 정보 기록 매체의 실시예에 관한 복수의 기록 영역을 가지는 광디스크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도 1(b)는 상기 광디스크의 개략 단면도와 이것에 대응하는, 그 반경 방향에서의 기록 영역 구조의 도식적 개념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디스크(100)는, 예를 들면, DVD와 동일하게 반경 12cm 정도의 디스크 본체 위의 기록면에, 센터 홀(101)을 중심으로 하여 리드인 영역(102)(112) 또는 리드아웃 영역(118), 데이터 기록 영역(105)(115) 및 리드아웃 영역(108)(118) 또는 중간 영역(109)(11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디스크(100)의 각 기록층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투명 기판(110) 상에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록층의 각 기록 영역에는, 예를 들면, 센터 홀(101)을 중심으로 스파이럴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예를 들면, 그루브 트랙 및 랜드 트랙 등의 트랙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트랙 상에는, 데이터가 ECC 블록의 단위로 분할되어 기록된다. ECC 블록은, 기록되는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프리 포맷 어드레스에 의한 데이터 관리 단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세 개의 영역을 가지는 광디스크에 특히 한정되 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리드인 영역(102)(112), 리드아웃 영역(108)(118) 또는 중간 영역(109)(119)이 존재하지 않아도, 이하에 설명하는 데이터 구조 등의 구축은 가능하다. 또, 리드인 영역(102)(112), 리드아웃 영역(108)(118) 또는 중간 영역(109)(119)은 더 세분화된 구성이라도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100)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투명 기판(110)에, 본 발명에 관한 제1 및 제2 기록층의 일례를 구성하는 LO층 및 L1층이 적층된 구조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은 2층형의 광디스크(100)의 기록 재생시에는, 도 1(b)에서,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 조사되는 레이저광 LB의 집광 위치를 어느 기록층에 맞추느냐에 따라, L0층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행해지거나 또는 L1층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행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100)는, 2층 한쪽 면, 즉, 듀얼 층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층 양면, 즉 듀얼 층 더블 사이드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2층의 기록층을 가지는 광디스크에 한정되는 일 없이, 3층 이상의 다층형의 광디스크이어도 된다.
그리고 2층형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오포짓트 트랙 경로 방식 및 패러렐 트랙 경로 방식에 의한 기록 재생 스텝 및 각 층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정보 기록 장치의 실시예)
이어서,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보 기록 장치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시킨다.
(1) 기본 구성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의 기본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정보 기록 장치(300)는 광디스크(100), 스핀들 모터(351), 광픽업(352), 신호 기록 재생 디바이스(353), CPU(드라이브 제어 디바이스)(354), 메모리(355), 데이터 입출력 제어 디바이스(356), LD 드라이버(358) 및 버스(35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핀들 모터(351)는 광디스크(100)를 회전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 광디스크에의 액세스 시에 동작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핀들 모터(351)는, 도시하지 않은 서보 유닛 등에 의해 스핀들 서보를 받으면서 소정 속도로 광디스크(100)를 회전 및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픽업(352)은 본 발명의 "기록 디바이스"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광디스크(100)에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것이며, 레이저 장치와 렌즈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 픽업(352)은 광디스크(100)에 대해서 레이저광 등의 광빔을, 재생시에는 판독 광으로서 제1의 파워로 조사하고, 기록시에는 기입 광으로서 제2의 파워로 또한 변조시키면서 조사한다.
신호 기록 재생 디바이스(353)는 스핀들 모터(351)와 광픽업(352)을 제어함으로써 광디스크(100)에 대해서 기록을 행한다. 또, 광디스크(10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CPU(드라이브 제어 디바이스)(354)는 본 발명의 "제1 제어 디바이스", "제2 제어 디바이스", "제3 제어 디바이스" 및 "제4 제어 디바이스"의 하나의 구체예에서, 신호 기록 재생 디바이스(353), 메모리(355)와 버스(357)를 통하여 접속되고, 각 구성 요소에 지시를 행함으로써, 정보 기록 장치(300)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통상, CPU(354)가 동작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메모리(355)에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355)는 기록/재생 데이터의 버퍼 영역이나, 신호 기록/재생 디바이스(353)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할 때의 중간 버퍼로서 사용되는 영역 등 정보 기록 장치(300)에 있어서의 데이터 처리 전반에 사용된다. 또, 메모리(355)는 이들 레코딩 디바이스로서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 영역과, 영상 데이터의 압축/신장에 사용되는 버퍼나 프로그램 동작에 필요한 변수가 저장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영역 등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입출력 제어 디바이스(356)는, 예를 들면 외부 기기 등으로부터, 광디스크(100)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의 입력이 행해진다.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디바이스(356)는 입력된 데이터를 버스(357)를 통하여 신호 기록 재생 디바이스(353)에 출력한다. 그리고 광디스크(100)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경우, 데이터 입출력 디바이스(356)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외부 출력 기기로 재생된 데이터를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LD 드라이버(358)는 광픽업(352)의 레이저 다이오드 등을 소정의 주파수로 발진시키는 것으로, 상기 광픽업(352)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제어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300)는 정 보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도 겸한다. 즉, 신호 기록 재생 디바이스(예를 들면, 헤드 앰프나 RF 검출기 등)을 통하여, 기록 정보를 재생 가능하며, 본 실시예는 정보 재생 장치의 기능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기능을 포함한다.
(2) 제1 동작예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300)에 의한 기록 동작의 제1의 관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제1 동작예 전체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광디스크(100)가 정보 기록 장치(300)에 로딩되어 디스크 체크를 한다(스텝 S101). 여기서, 예를 들면 데이터의 기록에 필요한 각종 제어 정보가 취득되거나, 또는 OPC 처리 등이 행해지거나 한다. 또는, 로딩된 광디스크(100)가 2층형의 광디스크인지 아닌지 등이 판정되어도 된다.
이어서, 각 기록층으로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칙으로서, 처음에 LO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고(스텝 S102), 그 후 데이터가 기록된 L0층의 기록 영역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는, 실제로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하기에 앞서, CPU(354)의 제어 하에, 대향하는 LO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 상태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03).
이 판정의 결과, 대향하는 L0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 상태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03: Yes), 데이터가 기록 완료 상태인 LO층의 기록 영역(즉, 기록된 영역)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된다(스텝 S104).
다른 한편, 대향하는 L0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03: No), 이어서, CPU(354)의 제어 하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 상태가 아닌 L0층의 기록 영역(즉, 후술하는 미기록 영역(116))의 광디스크(100)의 반경 방향에서의 폭 d(또는, 레이저광의 진행 방향인 기록 방향과 평행한 방향 또는 직행하는 방향에서의 폭)가, 레이저광 LB의 초점을 L1층에 맞추었을 때의 상기 레이저광의 L0층 상에서의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은지(또는, 같은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05). 그리고 이하 특별히 별다른 지적이 없으면, "빔 스폿 반경 r"이라고 할 때는, 레이저광 LB를 L1층에 포커싱 했을 때의 상기 레이저광 LB의 L0층 상에서의 빔 스폿 반경 r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빔 스폿 반경 r = 36μm이면, 미기록 영역(116)의 반경 방향에서의 폭 d가 36μm보다 작은지(또는 같은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의 결과, 미기록 영역의 폭 d가 빔 스폿 반경 r 보다 작은(또는 같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05: Yes), 상기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에 대해서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진다(스텝 S106). 즉, 대향하는 L0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아도, L1층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다른 한편, 미기록 영역(116)의 폭 d가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05: No), 상기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지지 않고, 동작 흐름은 스텝 S107로 진행된다.
그 후, CPU(354)의 제어 하에,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 다(스텝 S107). 이 판정의 결과, 종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07: No), 광디스크(100)에의 데이터의 기록을 계속한다.
다른 한편, 종료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07: Yes), 기록 동작을 종료하고, 필요에 따라 마무리 처리를 행해도 되고, 광디스크(100)를 정보 기록 장치(300)로부터 이젝트 해도 된다.
여기서, 실제의 광디스크(100)에의 데이터의 기록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300)에 의해 광디스크(100)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관점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그리고 여기서는 오포짓트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100)를 구체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300)의 동작에 의해, 먼저 L0층의 원하는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도 4에서 (1)로 나타나 있는 데이터 기록 영역(105a)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그 후, L1층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는, 데이터가 기록된 L0층의 기록 영역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도 4에서 (2)로 나타나 있는 데이터 기록 영역(115a)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 데이터 기록 영역(115a)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대상 영역"의 하나의 구체예를 구성한다. 이때, 데이터 기록 영역(115a)의 양단 각각이 데이터 기록 영역(105a)의 양단 각각으로부터 광디스크(100)의 편심 α에 상당하는 폭 만큼 각각 작아지도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L0층에 있어서, N1 트랙으 로부터 N2 트랙까지의 데이터 기록 영역(105a)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광디스크(10O)의 편심이 α트랙 분에 상당하는 반경 방향의 폭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L1층에 있어서는, CPU(354)의 제어 하에, N1+α 트랙으로부터 N2-α 트랙까지의 데이터 기록 영역(115a)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더하여, 데이터 기록 영역(105a) 및 데이터 기록 영역(115a)의 기록 개시 위치나 기록 종료 위치 등을 나타낸 어드레스 정보가, 예를 들면 리드인 영역(102)의 기록 관리 영역(Recording Management Area:RMA) 등에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각 데이터 기록 영역(105b, 105b) 등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편심 α에 상당하는 폭의 마진(즉, 본 발명에서의 "단부 부분"의 하나의 구체예)을 취하는 것은 이하와 같은 이유에서이다. 상기 마진은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 기록 영역이다. 즉, L0층과 L1층 사이에 편심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기록층의 동일 트랙 번호를 가지는 기록 영역들이 광픽업(352)으로부터 보아 반드시 서로 대응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가 기록된 L0층의 하나의 트랙과 동일한 트랙 번호를 가지는 L1층의 다른 트랙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반드시 하나의 트랙을 통하여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편심 α의 크기에 상당하는 마진을 채용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사태를 막는 것이다. 요점은, 데이터가 기록된 L0층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한 하나의 구체적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심 α에 상당하는 폭의 마진을 취해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하면, 데이터가 기록된 L0층에 대응하는 L1층에 적절히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즉, 데이터가 기록된 L0층을 통하여 조사된 레이저광에 의해,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단, 반드시 편심 α에 상당하는 폭의 마진을 취하지 않아도 된다.
이 편심 α의 폭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편심 검출기의 동작에 의해 검출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편심 검출기의 동작에 의하지 않아도, 최대 허용 편심량을 의사적으로 편심 α라고 해도 된다. 예를 들면, 광디스크(100)의 하나의 구체예인 DVD에 있어서는, 이 최대 허용 편심량은, 규격에 의해 최대 70μm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α= 70μm로서 정해지는 L1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는, 해당 편심량에 소정의 마진에 상당하는 폭을 더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L0층으로부터 L1층에 층간 점프하는 경우에는, 스핀들 모터(351) 등의 고정밀도에 따라서는, 반드시 대응하는 위치로 점프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층간 점프에 의한 정밀도 오차를 마진이라고 해도 된다.
그 후, 다시 L0층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는, 먼저 기록된 데이터(즉, 데이터 기록 영역(105a)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계속해서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 기록 영역(105a)의 뒤로부터 소정의 폭 d의 빈 영역(즉, 미기록 영역(116))을 확보하고나서, 계속 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데이터 기록 영역(105b) 및 데이터 기록 영역(105a) 사이의 폭 d의 미기록 영역(116)을 가지는 데이터 기록 영역(105b)(도 5에서 (3)으로 나타나 있는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 미기록 영역(116)은, 예를 들면 리저브드 R 존 등으로서 사용되어, 광디스크(100)의 마무리 처리 등을 수행할 때에 각종 제어 정보 등이 기록된다. 또는, 예를 들면 데이터 기록 영역(105)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각 블록마다 설치되는 경계인 영역(또는, 경계 아웃 영역이나 층간 완충 영역 등)으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이어서, 다시 L1층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는, 먼저 기록한 데이터(즉, 데이터 기록 영역(115a)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이어서 데이터가 데이터 기록 영역(115b)에 기록된다. 이때, 데이터 기록 영역(115b)의 외주측에 있어서는, 편심 α에 상당하는 폭의 마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 내주측에 있어서는, L0층에는 미기록 영역(116)이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미기록 영역(116)의 반경 방향에서의 폭 d가, L0층 상에서의 레이저광 LB의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으면, 상기 미기록 영역(116)에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진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기록 영역(115a)에 계속하여 연속적으로(즉, 편심 α의 폭에 상당하는 폭의 마진을 확보하지 않고)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진다. 그리고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제2 기록층의 기록 영역(도 5에서 망 부분으로 나타낸 기록 영역(11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대상 영역"의 하나의 구체예를 구성하고 있다.
이때, 미기록 영역(116)의 폭 d는, 기록 관리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기록 영역(105a) 등의 기록 개시 위치나 기록 종료 위치 등에 따라서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빔 스폿 반경 r은, 광픽업(352)의 개구수 NA나 레이저광 LB의 파장 λ, L0층과 L1층 사이의 거리 D 및 굴절률 n(즉, 광디스크(100)의 재질 등) 등에 따라서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판정 동작의 때마다, 빔 스폿 반경 r을 산출하지 않아도, 예를 들면 정보 기록 장치(300)를 제조한 시점에서, 이들 각 파 라미터를 고려하여 수학적으로 또는 통계적으로 산출되는 빔 스폿 반경 r에 따라 판정 동작을 행해도 된다.
다른 한편, 미기록 영역(116)의 반경 방향에서의 폭 d가, L0층 상에서의 레이저광 LB의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지 않으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117) 및 상기 L1층의 기록 영역(117)의 양단에 위치하는 편심 α에 상당하는 폭의 마진에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다.
그리고 데이터 기록 영역(105 및 115)에의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한 후에는, 리드인 영역(102) 및 리드아웃 영역(118), 및 중간 영역(109 및 119)에,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정보 등이나 더미 데이터(예를 들면, "00h"데이터 등) 등이 기록된다. 이 경우도, L0층의 리드인 영역(102)에 제어 정보 등을 기록한 후에, 제어 정보 등이 기록된 L0층에 대응하는 L1층의 리드아웃 영역(118)에 제어 정보 등을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L0층의 중간 영역(109)에 제어 정보 등을 기록한 후에, 제어 정보 등이 기록된 L0층에 대응하는 L1층의 중간 영역(119)에 제어 정보 등을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 미기록 영역(116)에 각종 제어 정보 등이 기록되어도 되고, 또는 예를 들면 더미 데이터 등이 기록되어도 된다.
그리고 리드인 영역(102)(특히, 데이터 기록 영역(105a)과의 경계 부근)에 미리 제어 정보 등이 프리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인 경우, L1층의 데이터 기록 영역(115a)의 내주측에 있어서, 편심 α를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중간 영역(109)(특히, 데이터 기록 영역(105b)과의 경계 부근)에 미리 제어 정보 등이 프리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인 경우, L1층의 데이터 기록 영역(115b)의 외주측에 있어서, 편심 α를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LO층에 존재하는 미기록 영역(116)의 폭 d의 대소에 의해, 상기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117)에 데이터를 기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로부터이다. 이 이유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미기록 영역(116)의 폭 d가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은 경우의, 레이저광 LB의 LO층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변화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8은 미기록 영역(116)의 폭 d가 빔 스폿 반경 r보다 큰 경우의, 레이저광 LB의 L0층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변화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기록 영역(116)의 폭 d가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은 경우, 레이저광 LB에 대한 투과율의 변화는 그렇게 크고 되지 않는다. 즉, 미기록 영역(116)에 레이저광 LB가 조사됨으로써, 레이저광 LB의 L0층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감소하여도, 미기록 영역(116)의 폭 d가 작기 때문에, 투과율의 감소의 정도는 작아진다. 즉, 데이터의 기록에 악영향을 끼칠 정도(예를 들면, 최적 파워가 변화해 버리는 등의 악영향을 미치거나 각종 재생 품질의 수치를 악화시키는 정도)까지 레이저광 LB의 L0층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감소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미기록 영역(116)의 폭 d가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으면, 미기록 영역(116)을 투과할 때의 레이저광 LB의 LO층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기록된 영역을 투과할 때의 레이저광 LB의 L0층에 있어서의 투과율과 대체로 동일시할 수 있는 정도 밖에 감소 하지 않는다. 이 결과, 해당 미기록 영역(116)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 LB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얻어지는 RF 신호는,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영역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 LB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얻어지는 RF 신호와 대체로 동등하게 된다.
다른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기록 영역(116)의 폭 d가 빔 스폿 반경 r보다 크면, 투과율의 변화는 커진다. 즉, 빔 스폿 반경 r보다 큰 폭 d를 가지는 미기록 영역(116)에 레이저광 LB가 조사됨으로써, 레이저광 LB의 L0층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크게 감소하고, L1층에의 데이터의 기록에 악영향을 줄 정도로까지 투과율이 감소하여 버린다. 이 결과, 해당 미기록 영역(116)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 LB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얻어지는 RF 신호는,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영역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 LB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얻어지는 RF 신호와 대체로 동등할 수 없는 정도로까지, 그 파형이 악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경우는,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지 않는다.
이상 요약하면,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300)에 의하면, 데이터가 기록된 L0층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 LB에 의해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2층형의 광디스크에 있어서는, 데이터가 기록된 L0층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 LB에 의해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와, 데이터가 미기록인 L0층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 LB에 의해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L1층에 기록된 데이터의 품질이 상이한 것이 알려져 있다. 즉, 동일한 레이저 조건으로 조사된 레이저광 LB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상기 경우들 중 어느 한쪽은 양호한 기록 특성을 얻어진다고 해도, 어느 다른 한쪽도 반드시 양호한 기록 특성이 얻어진다고 할 수 없다고 하는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300)에 의하면, 데이터가 기록된 L0층을 통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 LB에 의해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가 기록된 L0층을 통하여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최적인 기록 레이저 파워에서, L1층의 어느 기록 영역에도 적절한 기록을 행할 수 있다. 특히, 기록 레이저 파워를 전환할 필요도 없고, L0층의 기록 상태를 판단하면서 데이터를 기록하여 가면 되므로, 기록 동작 자체도 간략화된다고 하는 이점도 가진다. 더하여, 이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양호한 재생 특성(예를 들면, 양호한 대칭 값, 양호한 지터 값, 양호한 변조도 또는 양호한 재생 에러 레이트 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편심 α의 영향을 고려하여, 편심 α에 상당하는 폭의 마진을 취하면서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L1층의 어느 기록 영역에 있어서도 더욱 적절한 기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300)에 의하면, LO층에 미기록 영역(116)이 존재하고 있어도, 그 반경 방향에서의 폭 d의 대소에 따라서는,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117)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원칙적으로,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기록 영역(117)에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다. 또한, 원칙적으로, 그 기록 영역(117)의 양단의 마진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300)에 의하면, 그 기록 영역(117)에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L1층의 기록 용량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광디스크(100) 전체에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의 데이터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117)에 데이터를 기록해도,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동작에 악영향을 미칠 것은 없다. 즉, 미기록 영역(11C)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117)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여도, 그 재생 품질(예를 들면, 대칭 값, 지터 값 등)은, 기록된 영역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재생 품질과 대체로 동일시할 수 있는 정도의 양호한 값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정상적인 기록 동작 등에 필요한 미기록 영역(116)을 설치(즉, 전술한 바와 같이 리저브드 R 존 등의 설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정보 기록 장치(300)의 동작 트러블 등에 기인하여, LO층에 미기록 영역(116)이 예기치 않게 생긴 경우에도, 그 미기록 영역(116)의 폭 d의 대소를 판정하고,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117)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동작 트러블 등이 생긴 경우라도, 광디스크(100)의 기록 용량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미기록 영역(116)의 폭 d와 빔 스폿 반경 r을 비교함으로써,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에의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있다. 물론 이것에 대신하여, 소정의 정수와 미기록 영역(116)의 폭 d를 비교함으로써,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에의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양호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미기록 영역(116)의 폭 d가 소정의 정수 50μm 미만(바람직하게는, 20μ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μm 미만)인 경우에는,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에의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고, 미기록 영역(116)의 폭 d가 소정의 정수 50μm 이상(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인 경우에는,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에의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 정수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광디스크(100)의 재질이나 품질, 크기 등에 각종 특성 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300)의 사양 등의 각종 특성 등에 따라, 실험적, 경험적, 수학적 또는 이론적으로, 또는 시뮬레이션 등을 사용하여 개별 구체적으로 더 적절한 소정값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미기록 영역(116)의 폭 d를 기준으로 하여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였다. 그렇지만, 실제의 정보 기록 장치(300)에 있어서는, 미기록 영역(116)의 데이터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루브 트랙이 있고, 또한 빔 스폿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미기록 영역(116)의 데이터 크기가, 빔 스폿이 횡단하는 또는 조사되는 그루브 트랙(즉, 도 9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그루브 트랙)에 의해 구성되는 기록 영역의 데이터 크기보다 작은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빔 스폿 반경 r이 36μm이며, 데이터를 기록하는 그루브 트랙의 트랙 피치가 0.74μm이며, 트랙 1주의 데이터 크기가 32KB 인 것으로 하면, 이 빔 스폿이 횡 단하는 또는 조사되는 그루브 트랙에 의해 구성되는 기록 영역의 데이터 크기는, 36/0.74×32=1556KB≒1.5MB로 된다. 따라서, L0층 상에 존재하는 미기록 영역(116)의 데이터 크기가 1.5MB 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117)에 데이터를 기록하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관리 영역에 기록되는 데이터 기록 영역(105a) 등의 기록 개시 위치나 기록 종료 위치에 따라, 예를 들면 소정의 테이블이나 함수 등을 사용하여 미기록 영역(116)의 데이터 크기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미기록 영역(116)의 데이터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해도, 결과적으로 미기록 영역(116)의 폭 d를 기준으로 하여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는 것과 차이가 없다. 요점은, 미기록 영역(116)의 폭 d를 직접적으로 판정의 기준으로 할 것인지, 폭 d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크기를 판정의 기준으로 할 것인지의 차이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L0층의 미기록 영역(116)의 데이터 크기를 나타낸 크기 정보(12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크기 정보(1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예를 들면 미기록 영역(116)의 데이터 크기가 1.5MB 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경우에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크기 정보(120a)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크기 정보(120a)는, 예를 들면 메모리(355)에 미리 기록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유선이나 무선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크기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는, 관계되는 크기 정보(120a)가 광디스크(100)에 미리 기록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예를 들면 CLV 기록 방식이나 존 CLV(Zone CLV:ZCLV) 기록 방식을 채용하는 광디스크에 있어서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위치(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내주측인가 또는 상대적으로 외주측인가) 등에 따라, 같은 폭(또는, 같은 면적)을 가지는 기록 영역에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가 상이하다. 따라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면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크기를 나타낸 크기 정보(120b)를 가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어드레스가 N1 내지 N2에 의해 나타나는 상대적으로 내주측의 기록 영역에서는, "1.5MB"라는 수치를 기준으로 하여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또, 예를 들면 어드레스가 N2 내지 N3에 의해 나타나는 상대적으로 중앙측의 기록 영역에서는, "3.0MB"라는 수치를 기준으로 하여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또 예를 들면 어드레스가 N3 내지 N4에 의해 나타나는 상대적으로 외주측의 기록 영역에서는, "4.5MB"라는 수치를 기준으로 하여 기록할 수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오포짓트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100)에 한정되지 않고,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러렐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100)이어도 된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300)에 의해, 패러렐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100a)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관점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300)의 동작에 의해, 먼저 LO층의 원하는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도 11에서 (1)로 나타나 있는 데이터 기록 영역(105a)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그 후, L1층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는, 데이터가 기록된 L0층의 기록 영역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도 11에 (2)로 나타나 있는 데이터 기록 영역(115a)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때, 전술한 도 4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기록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기록 영역(115a)의 양단이, 데이터 기록 영역(105a)보다 광디스크(100)의 편심 α에 상당하는 크기만큼 각각 작아지도록,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다시 L0층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는, 먼저 기록된 데이터(즉, 데이터 기록 영역(105a)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계속해서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 기록 영역(105a) 사이에 소정의 폭 d의 미기록 영역(116)을 확보하고나서, 계속 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데이터 기록 영역(105a) 사이에 폭 d의 미기록 영역(116)을 가지는 데이터 기록 영역(105b)(도 12에 (3)으로 나타나 있는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어서, L1층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에는, 먼저 기록한 데이터(즉, 데이터 기록 영역(115a)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 계속해서 데이터가 데이터 기록 영역(115b)에 기록된다. 이때, 데이터 기록 영역(115b)의 외주측에 있어서 편심 α에 상당하는 폭의 마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 내주측에 있어서는, L0층에 미기록 영역(116)이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미기록 영역(116)의 반경 방향에서의 폭 d가, L0층 상에서의 레이저광 LB의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으면, 상기 미기록 영 역(116)에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진다. 즉,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기록 영역(115a)에 계속하여 연속적으로(즉, 편심 α의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마진을 확보하지 않고) 데이터의 기록이 행해진다.
다른 한편, 미기록 영역(116)의 반경 방향에서의 폭 d가, L0층 상에서의 레이저광 LB의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고, 상기 미기록 영역(116)에 대향하는 L1층의 기록 영역(117) 및 상기 L1층의 기록 영역의 양단에 위치하는 편심 α에 상당하는 폭의 마진에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다.
(3) 제2 동작예
이어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300)에 의한 제2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3 및 도 14의 각각은, 제2 동작예로부터 광디스크(100)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관점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도이다. 그리고 제2 동작예에서는, 오포짓트 트랙 경로 방식의 광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관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L0층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서, (1로 나타나는 데이터 기록 영역(105a)에 데이터가 기록되고, 이어서 (2) 로 나타나는 데이터 기록 영역(105b)에 데이터가 기록되고, 이어서 (3)으로 나타나는 데이터 기록 영역(105c)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때, 예를 들면 리저브드 R 존이나 보더인 영역(border-in area) 등을 설치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L0층에는 필요에 따라 미기록 영역(116a 및 116b)이 작성된다. 이때, 제2 동작예에서는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4 제어 디바이스"의 하나의 구체예인 CPU(354)의 제어 하에, 미기록 영역(116a)의 폭 d1 및 미기록 영역(116b)의 폭 d2의 각각이,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아지도록, L0층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환언하면, 미기록 영역(116a)의 폭 d1 및 미기록 영역(116b)의 폭 d2의 각각이,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아지도록, 데이터 기록 영역(105a, 105b 및 105c)의 각각이 설치된다.
또한, 빔 스폿 반경 r보다 큰 폭 x를 가지는 미기록 영역(116)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CPU(354)의 제어 하에, 폭 x를 가지는 미기록 영역(116)을,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복수의 미기록 영역(116)에 분할한다. 예를 들면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은 폭 x/3을 각각 가지는 분할된 3개의 미기록 영역(116a, 116b 및 116c)을 설치한다. 이로써, 분할된 하나하나의 미기록 영역(116a, 116b 또는 116c)의 폭 x/3은, 빔 스폿 반경 r보다 작게 되어 있는 동시에, 결과적으로 빔 스폿 반경 r보다 큰 폭 x를 가지는 1개의 미기록 영역(116)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2 동작예에서, LO층에 있어서, 빔 스폿 반경 r보다 큰 폭 d를 가지는 미기록 영역(116)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LO층에 계속하여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미기록 영역(116a 및 116b)의 존재를 대략 또는 대체로 고려하지 않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기록 영역(105a, 105b 및 105c), 및 미기록 영역(116a 및 116b)에 대향하는 데이터 기록 영역(115a)에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1 동작예에서 같이, 미기록 영역(116)의 폭 d와 빔 스폿 반경 r과의 대소 관계를 판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1 동작예와 마찬가지로, 데이터가 기록된 L0층을 통하여 L1층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최적의 기록 레이저 파워로, L1층의 어느 기록 영역에도 적절한 기록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L1층의 기록 용량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관계되는 이익을, 제1 동작예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쉬운 구성 및 동작으로 실현할 수 있는 라는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2 동작 예에 있어서도, 제1 동작예의 구성 및 동작의 관점을 채용해도 된다. 이로써, 제1 동작예가 가지는 각종 이익을 향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층형의 광디스크(100)를 구체예에 설명을 진행시켰지만, 2층형의 광디스크에 한정되지 않고, 3층 이상의 기록층을 가지는 다층형의 광디스크이어도,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으로, 전술한 각종 이익을 향수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정보 기록 매체의 일례로서 광디스크(100) 및 정보 기록 장치의 일례로서 광디스크(100)에 관한 레코더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광디스크 및 그 레코더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고밀도 기록 또는 고전송 레이트 대응의 각종 정보 기록 매체 및 그 레코더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을 따르는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제어용의 컴퓨터 프로그램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 기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DVD 레코더 등의 정보 기록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민생용 또는 업무용의 각종 컴퓨터 기기에 탑재되는 또는 각종 컴퓨터 기기에 접속 가능한 정보 기록 장치 등에도 이용 가능하다.

Claims (14)

  1.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기록 정보가 기록되는 제1 기록층 및 상기 제1 기록층을 통하여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기록 정보가 기록되는 제2 기록층을 구비하는 정보 기록 매체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제1 기록층 또는 상기 제2 기록층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디바이스;
    상기 제1 기록층 중 상기 기록 정보가 기록 완료된 기록된 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상기 제2 기록층의 기록 영역인 제1 대상 영역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디바이스; 및
    상기 기록된 영역에 인접하는 미기록 영역 중, 소정의 폭보다도 작은 미기록 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상기 제2 기록층의 기록 영역인 제2 대상 영역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기록 영역은 보더인 영역(border-in area)이고,
    상기 제2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보더인 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상기 제2 대상 영역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영역에 이어서 상기 미기록 영역을 작성하면서 상기 제1 기록층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폭보다도 작은 폭을 가지는 상기 미기록 영역을 작성하면서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3 제어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폭은 상기 기록 정보의 기록 단위에 의해 정해진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폭은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의 위치에 따라 정해진 수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폭은,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제2 기록층에 조사한 때의 상기 제1 기록층에서의 상기 레이저광의 빔 반경의 크기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동심원형 또는 스파이럴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기록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 트랙을 가지고 있고,
    상기 수치는, 상기 소정의 폭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상기 기록 트랙에 기록될 수 있는 상기 기록 정보의 데이터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정보 기록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를 나타내는 크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디바이스는, 상기 미기록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영역에 이어서 상기 소정의 폭보다도 큰 폭을 가지는 상기 미기록 영역을 작성하면서 상기 제1 기록층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폭보다도 작은 폭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상기 미기록 영역을 작성하면서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4 제어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해 각각 작성되는 하나의 미기록 영역과 다른 하나의 미기록 영역과의 사이의 폭이 상기 소정의 폭 이상의 크기를 가지도록 상기 기록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대상 영역의 단부 중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대상 영역 부분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대상 영역에 인접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에 상기 기록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14. 삭제
KR1020067013241A 2004-08-30 2005-08-26 정보 기록 장치 KR100765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0486 2004-08-30
JP2004250486 2004-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773A KR20070007773A (ko) 2007-01-16
KR100765981B1 true KR100765981B1 (ko) 2007-10-10

Family

ID=3599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241A KR100765981B1 (ko) 2004-08-30 2005-08-26 정보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39113B2 (ko)
EP (1) EP1785986A4 (ko)
JP (1) JP4502139B2 (ko)
KR (1) KR100765981B1 (ko)
CN (1) CN100428339C (ko)
TW (1) TWI267077B (ko)
WO (1) WO2006025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3192B2 (en) 2004-03-29 2011-04-26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05116996A1 (ja) * 2004-05-27 2005-12-08 Pioneer Corporation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050A (ja) * 2001-02-09 2002-08-23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装置
JP2004519810A (ja) * 2001-03-19 2004-07-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記録のためのシフトされた記録開始及び停止位置を備える多層記録担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6186B1 (en) * 1995-10-19 2000-06-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JP3720624B2 (ja) 1999-04-26 2005-11-30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と光ディスクの最適記録パワー値決定方法
US6940798B2 (en) * 2000-12-12 2005-09-06 Sony Corporation Optical-disk reproducing apparatus,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optical-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4215405B2 (ja) 2001-01-22 2009-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
JP2002245628A (ja) * 2001-02-14 2002-08-30 Tdk Corp 光ディスクおよび光記録再生方法
US20040156294A1 (en) * 2001-04-17 2004-08-12 Katsuya Watanabe Optical disc,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 apparatus using the same
US7180849B2 (en) * 2001-05-18 2007-02-20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storage medium enabling uniform light transmittance, optical read/write apparatus for same, and optical read/write method for same
US6801494B2 (en) * 2001-10-31 2004-10-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le sections for dual-layer optical recording medium
JP3699926B2 (ja) * 2001-12-03 2005-09-28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記録装置、光ディスク記録方法、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
JP3735594B2 (ja) * 2002-06-28 2006-01-18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装置と光ディスク装置の待機方法
JP3954556B2 (ja) * 2003-03-25 2007-08-0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用プログラを記憶する記憶媒体
TWI351691B (en) 2005-01-14 2011-11-01 Pioneer Corp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050A (ja) * 2001-02-09 2002-08-23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装置
JP2004519810A (ja) * 2001-03-19 2004-07-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記録のためのシフトされた記録開始及び停止位置を備える多層記録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5986A1 (en) 2007-05-16
JPWO2006025287A1 (ja) 2008-05-08
CN100428339C (zh) 2008-10-22
KR20070007773A (ko) 2007-01-16
US20070127345A1 (en) 2007-06-07
CN1910662A (zh) 2007-02-07
EP1785986A4 (en) 2008-08-20
WO2006025287A1 (ja) 2006-03-09
US7539113B2 (en) 2009-05-26
JP4502139B2 (ja) 2010-07-14
TWI267077B (en) 2006-11-21
TW200617946A (en)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0335B2 (ja) 情報記録媒体、並びに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JP4439521B2 (ja) 情報記録媒体
JP4462182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最適記録パワー値決定方法
US20070217313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and Record Controlling Computer Program
US7885162B2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and recording control computer program
KR100765981B1 (ko) 정보 기록 장치
US7817523B2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3954322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
US7800999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7957245B2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0869270B1 (ko)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JPWO2006004087A1 (ja) 情報記録媒体
US7697390B2 (en) Efficient recording of information on a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having a plurality of layers
US7706241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70230309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7760589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rding control
US7801007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70088310A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050169161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WO2009072179A1 (ja) 記録装置及び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