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704B1 -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및 작성방법 - Google Patents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및 작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704B1
KR100765704B1 KR1020060068961A KR20060068961A KR100765704B1 KR 100765704 B1 KR100765704 B1 KR 100765704B1 KR 1020060068961 A KR1020060068961 A KR 1020060068961A KR 20060068961 A KR20060068961 A KR 20060068961A KR 100765704 B1 KR100765704 B1 KR 100765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accounting
computer
accoun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기
Original Assignee
이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기 filed Critical 이명기
Priority to KR102006006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704B1/ko
Priority to PCT/KR2006/004137 priority patent/WO2008013337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금 흐름과 장부잔액을 상호 비교하고 자금의 변동 내역을 장부에 반영하여 자금 잔액과 장부 잔액을 상호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회계장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 회계장부 시스템 및 작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실시간으로 작성되는 회계장부를 사업주와 외부전문가가 이중으로 점검하고 관리가능하도록 크로스 체킹을 함으로써 장부잔액과 자금 변동 내역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부잔액과 자금 변동 내역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알리미기능을 통해 사업주에게 연락하여 회계장부상 비리를 사전에 확인 할 수 있도록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수평적인 부서분리와 수직적인 직급분리 및 사후적인 검증분리를 통합함으로써 인원감축으로 인한 비용절감과 업무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회계장부, 자동알리미, 크로스체킹

Description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및 작성방법{Account book system using cross checking and mak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의 자금일보 서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과 연관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의 작성방법을 나타낸 실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작성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업주(컴퓨터) 2 : 자금일보
3 : 증빙인증기 4 : 관리서버
5 : 외부전문가(컴퓨터) 6 : 자동회계프로그램
7 : 알리미프로그램
본 발명은 자금흐름과 장부잔액을 비교하여 자금의 변동내역을 장부에 반영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사업주 혹은 외부 전문가가 체킹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회계장부 작성 및 검색이 가능함은 물론, 회계장부상 문제 발생시 이를 실시간으로 사업주에게 주지시킴으로써 회계상 발생되는 문제점의 실시간 파악이 가능하도록 한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및 작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을 관리하는 방법은 실물거래와 자금거래가 일어난 후에 그 결과를 증빙으로 처리하여 장부에 반영하는 절차를 따르게 된다.
이러한 기업 관리방법인 실물거래는 재화 및 용역을 판매하는 제반 거래인 수입과 물품구입비, 인건비, 경비 등 기업활동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 거래인 지출을 포함하고, 자금거래는 실물거래의 결과로 수반되는 현금수입 및 현금지출을 포함한다.
종래의 기업관리 흐름을 보면, 실무자가 실물거래와 자금거래를 이행하기 위해 대표자의 결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결재 서류에는 거래특성에 따라 이행해야 하는 규정과 절차를 반영한 내용이 포함되며, 대표자가 결재서류에 결재를 하면 실무자는 실무집행을 하게 된다.
실무집행 과정상 자금이 필요하면 자금부서에 신청하게 되고 자금부서에서는 대표자에게 품의를 올려 결재가 이루어지면 필요한 자금을 인출한 후 실무집행 부 서에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무부서에서는 실물거래와 자금거래를 이행한 후 증빙자료를 모아서 회계부서로 넘기면 회계부서에서는 증빙자료를 전산입력을 통해 회계규정에 적합하도록 장부를 작성하게 된다. 이러한 증빙자료를 통한 전산입력을 통해 1년 단위로 마감하고 감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회계장부가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회계장부는 회사내외의 필요한 곳에서 1년 동안 회사 정보로 활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급여 지급을 위한 종래 절차를 보면, 우선 급여부서에서 직원별급여금액을 계산하게 된다. 급여계산시 과세와 비과세부분을 구분하고 여기에 4대보험 및 소득세 등 세금을 계산하게 된다. 그 후, 개인부담분과 회사부담분을 구분하여 회사에서 내야하는 총급여액을 산출하여, 산출된 급여명세를 가지고 대표자에게 품의를 올려 결재가 이루어지면 경리부서에 가서 필요한 자금을 청구하게 된다. 이에 경리부서에서는 급여총액을 대표자에게 품의를 올려 결재가 이루어지면 필요한 자금을 인출하여 급여부서에 전달하게 된다.
급여부서에서 급여지급과 공과금 납부를 행하고 증빙을 회계부서에 넘기면 회게부서에서는 이를 전산회계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장부를 작성하게 된다.
이처럼 급여라는 실물거래와 지급이라는 자금거래가 분리 처리되고 증빙자료를 장부에 반영하는 마감행위가 분리되어 각각 별도로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처리방식은 통제와 관리목적상 분리해서 기업을 경영하는 것으로, 실무부서와 자금부서를 분리하고 담당, 대리, 과장, 부장, 임원 등 수직적인 단계를 부여함으로써 많은 인력과 상당한 시일을 소요하여야만 회계장부가 작성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과정을 거쳐 작성되는 회계장부는 1년이라는 시간이 지나야 작성 완료되므로 회사 내부의 자금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더라고 1년이 경과한 후에야 장부 확인이 가능하여 문제 발생에 대한 대처가 늦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금흐름과 온라인상의 장부잔액을 비교하여 자금의 변동 내역을 장부에 반영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사업주 혹은 외부 전문가가 체킹함으로써 실시간 회계장부 작성 및 검색이 가능함은 물론, 회계장부상 문제 발생시 이를 실시간으로 사업주에게 알리미 기능으로 알려줌으로써 회계상 발생되는 문제점의 실시간 파악이 가능하도록 한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및 작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적인 부서 분리와 수직적인 직급분리 및 사후적인 검증분리 단계를 통합함으로써 인원감축으로 인한 비용절감과 업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및 작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체킹을 통한 회계장부 시스템은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이 비교형식으로 온라인상에 기재되어 있는 자금일보를 온라인 전송받아 검토 및 결재하는 사업주컴퓨터; 상기 자금일보를 토대로 자금 결재를 수행하는 증빙인증기; 상기 자금일보의 잔액정보와 증빙인증기를 통한 자금 변동사항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러한 정보를 크로스체킹한 회계정보를 바탕으로 회계장부를 작성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회계정보를 온라인 전송받아 계정변환과 함께 회계장부에 반영토록 회계장부를 수시로 검증하는 외부전문가컴퓨터; 상기 자금일보를 토대로 증빙인증기를 통한 자금이동과 실물이동시 거래처의 속성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회계계정을 부여하는 자동회계프로그램; 상기 자금일보상의 장부와 시재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관리서버를 통해 이 내용을 사업주컴퓨터와 외부전문가컴퓨터에 전송하는 자동알리미프로그램; 및 상기 자동회계프로그램과 외부전문가컴퓨터를 통해 검증 완료된 회계정보를 토대로 관리서버에 의해 전자 장부로서 실시간 작성되는 회계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알리미프로그램은 휴대폰, 이메일, 메신저 등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에서 사업주와 외부전문가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체킹을 통한 회계장부 작성방법은 자금일보 양식으로 된 결재 품의가 온라인으로 사업주컴퓨터와 관리서버에 전송되는 제1단계; 상기 결재 품의된 자금일보를 토대로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의 일치여부가 사업주컴퓨터와 관리서버에 의해 확인되는 제2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의 잔액 비교결과, 이상이 있을 시 자동알리미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사업주컴퓨터에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의 불일치가 사업주컴퓨터에 온라인 전송될 경우 결재 품의를 다시 전송하도록 온라인 지시하는 제4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결재 품의된 자금일보상에 하자가 없을시 증빙인증기를 통해 자금을 이체하는 제5단계;상기 자금 이체내역이 관리서버로 전송되면 자동회계프로그램에 의해 회계 계정이 부여되는 제6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6단계의 과정 수행 후 계정변환과 함께 장부에 반영토록 관리서버로부터 외부전문가컴퓨터로 온라인 전송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에서의 검증 후 최종적으로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에 대한 비교검증을 외부전문가컴퓨터를 통해 수행하는 제8단계; 및 상기 제8단계에서의 비교 검증결과 이상이 있을시 정확한 자금이체가 재차 요구되고, 이상이 없을시 이를 회계장부에 반영하는 제9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의 자금일보 서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에 연관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의 자금일보 작성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작성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은, 회계 실무자가 온라인 상으로 사업주(1)에게 결재를 올림과 동시에 후술하는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이 비교형식으로 온라인 기재되어 있는 자금일보(2)와, 상기 자금일보(2)를 온라인으로 확인하고 사업주(1)(더욱 정확하게는 사업주컴퓨터)가 결재 가능하도록 하는 인증 수단인 증빙인증기(3)와, 상기 자금일보(2)의 잔액정보와 증빙인증기(3)를 통한 자금 변동사항을 온라인으로 전송받아 DB(데이터 베이스)로 저장함은 물론 이러한 정보를 후술하는 외부전문가에게 온라인으로 전송하고 외부전문가로부터 전송받은 회계정보를 바탕으로 회계장부를 작성하는 관리서버(4)와, 상기 관리서버(4)로부터 개인 또는 기업의 회계정보를 온라인으로 전송받아 규정과 제도에 적합하게 실무적용을 한 후 계정변환과 함께 회계장부에 반영토록 회계장부를 수시로 검증하는 외부전문가(5)(더욱 정확하게는 외부전문가컴퓨터)와, 상기 자금일보(2)와 증빙인증기(3)를 통한 자금이동과 실물이동시 거래처의 속성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회계 계정이 부여되도록 하는 자동회계프로그램(6)과, 상기 자금일보(2)상에 장부와 시재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관리서버(4)를 통해 이를 사업주(1)컴퓨터와 외부전문가(5)컴퓨터에게 알려주도록 프로그램된 자동알리미프로그램(7) 및, 상기 관리서버(4)에서 자동회계프로그램(6)과 외부전문가(5)컴퓨터를 통해 검증 완료된 회계 정보를 통해 전자장부가 온라인으로 실시간 작성되는 회계장부(8)로 구성된다.
상기 자금일보(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부와 시재를 표시하는 1영역(21)과, 수입거래를 표시하는 2영역(22)과, 지출거래를 표시하는 3영역(23) 및, 메모를 표시하는 4영역(24)으로 구분된다.
상기 자금일보(2)에 기재되는 장부잔액은 현금출납부에 있는 잔액이 그대로 표시되며, 시재는 금융기관의 예금잔액이 그대로 표시된다.
상기 증빙인증기(3)는 자금거래와 실물거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여 직접인증과 간접인증으로 구분된다.
상기 직접인증은 자금거래와 실물거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기업아이디와 정보유출을 차단하는 보안카드 역할을 하는 IC카드와, 기업아이디와 자금 및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전자카드 및, 상기 IC카드와 전자카드가 각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IC카드와 전자카드를 읽혀지도록 하여 고객기업과 상대기업 및 금융기관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단말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실무자가 온라인상에 작성된 자금일보(2)를 사업주(1)컴퓨터에 온라인상으로 결재를 올리면 사업주(1)컴퓨터에서는 이를 검토하여 이상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증빙인증기(3)를 통해 온라인 결재하면 사업주(1)의 카드로부터 실무자 카드로 자금이 온라인 이체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온라인 상에서 전자카드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업주(1)의 전자카드에서 실무자의 전자카드로 이체되는 기술은 본원 출원인의 특허 제0544156호(2006. 1. 11 등록)에 기재된 기술 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 로 한다.
상기 간접인증은 자금결제와 정보전달을 동시에 할 수 없는 경우에 시행하는 것으로써 자금결제 후 증빙은 별도의 증빙철에 보관하고 증빙정보를 회계프로그램의 간편등록란(도시 생략)에 입력함으로써 자금일보의 시재와 장부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관리서버(4)를 통해 사업주(1)컴퓨터와 외부전문가(5)컴퓨터가 상기 자금일보(2)와 증빙인증기(3)를 통해 결재 전후의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을 크로스체킹하며, 상기 크로스체킹은 장부와 시재의 일치여부와 실무집행 내역을 사업주(1)컴퓨터와 외부전문가(5)컴퓨터가 이중으로 점검 관리 가능하도록 한 기능으로, 실무자가 실무처리를 하면 처리내역이 관리서버(4)를 통해 온라인상으로 사업주(1)컴퓨터와 외부전문가(5)컴퓨터에 전송되어 외부전문가(5)컴퓨터에 의해 회계 및 세무규정에 접합하도록 조정과 점검하도록 한다.
상기 자동회계프로그램(6)은 실무자가 사업주(1)컴퓨터로부터 온라인 결재를 받아 자금이체를 한 후, 이를 온라인상에서 관리서버(4)를 통해 입력하면 이를 자금이동과 실물이동시 거래처의 속성을 기준으로 하여 자동으로 회계계정이 부여되며, 자동으로 계정이 부여된 내역이 외부전문가(5)컴퓨터에 의해 점검이 이루어지면 자산과 부채 및 수익과 비용으로 분리되어 재무제표를 작성하게 된다. 이는 종전의 실무자가 전표처리를 하고 계정투입을 하는 수작업이 거래처 속성을 기준으로 자동 처리되고 변환되어 재무제표에 반영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와 같이 자동회계프로그램(6)을 통해 관리서버(4)로 결재된 사항에 맞게 자금 이체를 한 후, 이체에 대한 내역을 입력만 하면 자동으로 거래처 속성을 기준으로 자동 회계계정이 부여됨으로써 회계분야에 전문 지식이 없어도 온라인상으로 데이터만 정확히 입력되면 회계장부 작성이 가능하다.
상기 자동알리미프로그램(7)은 자금일보(2)상에 장부와 시재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사업주(1)컴퓨터와 외부전문가(5)컴퓨터에 알려주는 체킹 기능이다.
자동알리미프로그램(7)은 사업주(1)의 요구에 따라 출근시 컴퓨터를 작동할 때 알려주거나 혹은 이메일 또는 메신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작성방법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사항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 금액 이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 휴대폰(10) 또는 가맹점 단말기(11)와, 상기 모바일 휴대폰(10) 또는 가맹점 단말기(11)를 통해 이루어지는 결재 금액에 대한 계좌이체 정보를 제공하는 은행(12) 또는 카드사(13)와, 상기 모바일 휴대폰(10), 가맹점 단말기(11), 은행(12) 및 카드사(13)로부터 금액 결재 정보 또는 계좌이체 정보들을 수집하여 이를 통해 전자상 회계장부(14)를 작성하도록 하는 허브(15) 및, 상기 허브(15)에서 수입되는 자료들을 보관하는 DB(데이터베이스)(16)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회계장부 작성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매일 발생되는 자금 내역 변동사항에 대한 장부 작성이 가능함은 물론, 실시간으로 사업주(1)컴퓨터를 통한 회계장부 검색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금 실무자가 상기 자금일보(2)를 결재 품의에 맞도록 작성하여 이를 사업주(1)컴퓨터에 온라인으로 전송하여 결재를 받은 후, 결재 내역에 따라 금액을 이체하고 이렇게 이체된 금액 내역을 온라인상으로 자금일보에 입력하는 방법을 도 4a 내지 도 4f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사에서 거래하고 있는 주거래 은행명과 통장번호가 입력된다(도 4a).
실무자 컴퓨터를 통해 상기와 같이 은행명과 통장번호를 온라인 입력된 후, 통장잔액과 현금시재가 입력되고 결재를 받아야되는 사항(예를 들어 영업수당)이 입력된다(도 4b).
이렇게 입력 완료된 사항이 사업주(1)컴퓨터를 통한 결재를 위해 온라인상으로 품의된다(도 4c).
상기 사업주(1)컴퓨터는 전송된 결재 품의를 검토하고, 통장잔액과 현재장부잔액을 비교하여 이상이 없을 시 증빙인증기(3)를 통해 사업주(1) 전자카드에서 실무자 전자카드로 결재 금액이 결제되면 관리서버(4)와 은행(12)과의 연계를 통해 통장잔액과 현재장부잔액을 비교하여 과부족 여부를 표시해준다(도 4d).
상기 과부족이 표시된 상태에서 결재 내역에 따라 금액이 이체된 후, 이체 내역이 입력된다(도 4e).
상기 실무자의 이체내역이 입력됨으로써 통장잔액과 현재장부잔액이 과부족으로 표시되었던 부분이 일치하게 된다(도 4f).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작성방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실무자의 컴퓨터를 통해 온라인상으로 자금일보(2) 양식으로 된 결재 품의가 사업주(1)컴퓨터와 관리서버(4)로 전송된다(S1).
상기 결재 품의된 자금일보(2)를 통해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의 일치여부가 사업주(1)컴퓨터와 관리서버(4)에 의해 확인된다(S2).
상기 관리서버(4)에서는 잔액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이상이 있을시 알리미프로그램(7)을 통해 이를 사업주(1)컴퓨터에 전송한다(S3).
상기 관리서버(4)로부터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이 틀리다는 온라인 전송을 수신할 경우 사업주(1)컴퓨터를 통해 실무자컴퓨터에 잔액이 틀린 원인 규명을 지시하여 결재 품의를 다시 올리도록 온라인 지시된다(S4).
한편, 제2단계에서 결재 품의된 자금일보(2) 상에 아무런 문제가 없을시 사업주(1)컴퓨터를 통해 증빙인증기(3)를 거쳐 사업주(1)의 전자카드에서 실무자의 전자카드로 자금이 이체된다(S5).
사업주(1)컴퓨터를 통한 결재가 이루어짐에 따라 실무자가 결재된 품의에 맞게 자금이체를 하고 그 이체내역이 관리서버(4)로 전송되면 자동회계프로그램(6)에 의해 회계 계정이 부여된다(S6).
상기 제1단계 내지 제6단계의 과정이 이루어지면 이를 관리서버(4)에서 온라인 전송받아 외부전문가(5)컴퓨터를 통해 규정과 제도에 적합하게 실무적용된 후 계정변환과 함께 장부에 반영토록 검증된다(S7).
외부전문가(5)컴퓨터를 통한 검증 후, 최종적으로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이 외부전문가(5)컴퓨터를 통해 비교 검증된다(S8).
상기 제8단계의 비교 검증결과 이상이 있을 시 정확한 자금이체가 재차 요구되고, 이상이 없을 시 그대로 회계장부에 반영된다(S9).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의 범주내에서는 수정 및 변형 실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작성 시스템 및 작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첫째, 자금 변동 내역만 관리서버로 입력하면 자동회계프로그램과 외부전문가의 검증을 통해 회계장부가 작성되도록 함으로써 실무자가 회계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더라도 업무 수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업무의 편의성으로 인한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에는 1년에 1번 회계장부가 작성되어 1년이 경과한 후에야 기업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으나, 실시간으로 거래내역을 입력하고 전문가가 상기 입력된 내역을 실시간으로 검증하여 회계장부가 작성됨으로써 기업정보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셋째, 장부와 시재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사업주와 외부관리자에게 이를 알려줌으로써 실무 집행과정을 바로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다.
넷째, 종래와 같이 수십 명의 실무직원이 고가의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관 리하는 것이 아니라, 소수의 실무자, 관리서버 및 외부전문가를 통해 회계장부 작성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업무 효율과 생산성을 높임은 물론 획기적인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Claims (4)

  1.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이 비교형식으로 온라인상에 기재되어 있는 자금일보(2)를 온라인 전송받아 검토 및 결재하는 사업주컴퓨터(1);
    상기 자금일보(2)를 토대로 자금 결재를 수행하는 증빙인증기(3);
    상기 자금일보(2)의 잔액정보와 증빙인증기(3)를 통한 자금 변동사항을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러한 정보를 크로스체킹한 회계정보를 바탕으로 회계장부를 작성하는 관리서버(4);
    상기 관리서버(4)로부터 회계정보를 온라인 전송받아 계정변환과 함께 회계장부에 반영토록 회계장부를 수시로 검증하는 외부전문가컴퓨터(5);
    상기 자금일보(2)를 토대로 증빙인증기(3)를 통한 자금이동과 실물이동시 거래처의 속성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회계계정을 부여하는 자동회계프로그램(6);
    상기 자금일보(2)상의 장부와 시재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관리서버(4)를 통해 이 내용을 사업주컴퓨터(1)와 외부전문가컴퓨터(5)에 전송하는 자동알리미프로그램(7); 및
    상기 자동회계프로그램(6)과 외부전문가컴퓨터(5)를 통해 검증 완료된 회계정보를 토대로 관리서버(4)에 의해 전자 장부로서 실시간 작성되는 회계장부(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알리미프로그램(7)은 휴대폰, 이메일, 메신저 등의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4)로부터 사업주컴퓨터(1)와 외부전문가컴퓨터(5)에 실시간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3. 자금일보(2) 양식으로 된 결재 품의가 온라인으로 사업주컴퓨터(1)와 관리서버(4)에 전송되는 제1단계;
    상기 결재 품의된 자금일보(2)를 토대로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의 일치여부가 사업주컴퓨터(1)와 관리서버(4)에 의해 확인되는 제2단계;
    상기 관리서버(4)에서의 잔액 비교결과, 이상이 있을 시 자동알리미프로그램(7)을 통해 이를 사업주컴퓨터(1)에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관리서버(4)로부터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의 불일치가 사업주컴퓨터(1)에 온라인 전송될 경우 결재 품의를 다시 전송하도록 온라인 지시하는 제4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결재 품의된 자금일보(2)상에 하자가 없을시 증빙인증기(3)를 통해 자금을 이체하는 제5단계;
    상기 자금 이체내역이 관리서버(4)로 전송되면 자동회계프로그램(6)에 의해 회계 계정이 부여되는 제6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6단계의 과정 수행 후 계정변환과 함께 장부에 반영토록 관리서버(4)로부터 외부전문가컴퓨터(5)로 온라인 전송되는 제7단계;
    상기 제7단계에서의 검증 후 최종적으로 장부잔액과 시재잔액에 대한 비교검증을 외부전문가컴퓨터(7)를 통해 수행하는 제8단계; 및
    상기 제8단계에서의 비교 검증결과 이상이 있을시 정확한 자금이체가 재차 요구되고, 이상이 없을시 이를 회계장부에 반영하는 제9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작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알리미프로그램(7)은 휴대폰, 이메일, 메신저 등의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4)로부터 사업주컴퓨터(1)와 외부전문가컴퓨터(5)에 실시간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작성방법.
KR1020060068961A 2006-07-24 2006-07-24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및 작성방법 KR100765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961A KR100765704B1 (ko) 2006-07-24 2006-07-24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및 작성방법
PCT/KR2006/004137 WO2008013337A2 (en) 2006-07-24 2006-10-13 Account book system using cross checking and mak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961A KR100765704B1 (ko) 2006-07-24 2006-07-24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및 작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704B1 true KR100765704B1 (ko) 2007-10-12

Family

ID=3898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961A KR100765704B1 (ko) 2006-07-24 2006-07-24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및 작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65704B1 (ko)
WO (1) WO200801333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264A1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크로스체크를 통한 신뢰도 높은 작업 결과 획득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3201A (zh) * 2018-09-18 2019-03-19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对账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824A (ko) * 2001-03-31 2001-07-13 임진형 아웃소싱 회계에이에스피 서비스의 인터넷 거래방법 및 장치
KR20010093580A (ko) * 2000-03-29 2001-10-29 김신래, 노금선 컴퓨터를 이용한 회계 처리 시스템 및 상기 회계 처리시스템을 이용한 회계 서비스 방법
KR20020010176A (ko) * 2000-07-27 2002-02-04 박철우 인터넷을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처리방법
KR20040107715A (ko) * 2003-06-12 2004-12-23 주식회사 케이티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개인별 회계 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99778A (ko) * 2004-04-12 2005-10-17 강병규 중소기업을 위한 온라인 회계 관리 및 이를 통한 컨설팅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580A (ko) * 2000-03-29 2001-10-29 김신래, 노금선 컴퓨터를 이용한 회계 처리 시스템 및 상기 회계 처리시스템을 이용한 회계 서비스 방법
KR20020010176A (ko) * 2000-07-27 2002-02-04 박철우 인터넷을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 및 처리방법
KR20010067824A (ko) * 2001-03-31 2001-07-13 임진형 아웃소싱 회계에이에스피 서비스의 인터넷 거래방법 및 장치
KR20040107715A (ko) * 2003-06-12 2004-12-23 주식회사 케이티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개인별 회계 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99778A (ko) * 2004-04-12 2005-10-17 강병규 중소기업을 위한 온라인 회계 관리 및 이를 통한 컨설팅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264A1 (ko)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크로스체크를 통한 신뢰도 높은 작업 결과 획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13337A2 (en)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1737B2 (ja) 取引成立促進装置及びシステム
US5963921A (en) Electronic income tax refund early payment system with means for creating of a new deposit account for receipt of an electronically transferred refund from the IRS
EP0837410A2 (en) Accounting processor and method for automated management control system
US9213993B2 (en) Investment, trading and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US20210327001A1 (en) Error control in multicomputer data processing
US201301793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nd Presenting Financial Information
JP6528070B2 (ja) 記帳システム
KR20200087598A (ko) 블록체인 기반의 회계 처리 시스템
US20140372279A1 (en) Energy collaboration platform
KR100765704B1 (ko) 크로스 체킹을 이용한 회계장부 시스템 및 작성방법
CN114493552B (zh) 基于双时间轴的rpa对公付款自动审批方法及系统
KR20090002167A (ko) 세무회계 장부 자동 작성 시스템 및 방법
CN111640003B (zh) 结算系统
JP3714468B2 (ja) 資産査定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Doxey The fast close toolkit
US20170039658A1 (en) Energy collaboration platform with multiple information level matching
EP1199656A2 (en) System for managing accounting data in real time
Doxey The New Accounts Payable Toolkit
US20140297358A1 (en) Eyes on control --- a novel accounting system
JP2003167985A (ja) 資金繰り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KR100928026B1 (ko) 전사적 자원 관리를 이용한 카드 매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uld FEDERAL FINANCIAL MANAGEMENT Substantial Progress Made since
JP2003150766A (ja) 信用格付方法、記録媒体、信用格付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8609A (ko) 실시간 통합회계 기반의 시장 시스템
CN114298665A (zh) 一种数智办公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