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972B1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972B1
KR100764972B1 KR1020060093116A KR20060093116A KR100764972B1 KR 100764972 B1 KR100764972 B1 KR 100764972B1 KR 1020060093116 A KR1020060093116 A KR 1020060093116A KR 20060093116 A KR20060093116 A KR 20060093116A KR 100764972 B1 KR100764972 B1 KR 10076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wires
bridge piece
wir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조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3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와이어와, 상기 각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각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는 탭과,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사이에 설치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브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호스에 가 조립될 때 상기 브리지가 접혀지면서 상기 호스에 면착됨으로써 상기 접혀진 브리지가 상기 호스로부터 이탈이 방지토록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상기 호스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상기 호스에 별도의 스토퍼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상기 호스의 금형이 간소해져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한다.
클램프, 와이어, 탭, 브리지, 힌지, 호스

Description

클램프{Clamp}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의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가 조립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가 조립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조립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조립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호스 2,4 : 와이어
10 : 브래킷 20 : 탭
30 : 브리지 32 : 제1브리지 편
34 : 제2브리지 편 36 : 힌지 핀
본 발명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어 간 간격을 유지하는 브리지가 가 조립을 위해 접혔다 펼쳐질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의 적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는, 차량 라인 조립을 위한 이송을 위해 호스(100)에 가 조립될 경우에는 탭(110)이 풀어진 상태로 2개의 와이어(120)(122)가 상기 호스(100)에 끼워진다. 이 때 상기 호스(100)에는 상기 2개의 와이어(120)(122)가 상기 호스(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다수개의 스토퍼 턱(102)이 돌출 형성된다.
이후,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는 차량 조립 라인에서 상기 호스(100)에 조립될 때에는 상기 호스(100)에 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탭(110)이 조여진다. 그러면 상기 2개의 와이어(120)(122)가 압축되면서 상기 호스(100)에 면착되어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2개의 와이어(120)(122)는 상기 2개의 와이어(120)(122) 사이에 걸쳐진 브리지(130)에 의해 그 간격이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는, 상기 2개의 와이어(120)(122)가 상기 호스(100)에 끼워질 때, 상기 2개의 와이어(120)(122)가 상기 호스(100)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 턱(102)에 의해 간섭을 받기 때문에 조립성이 좋지 않고, 상기 호스(100)의 금형 또한 복잡하여 생산성도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호스에 끼워질 때 와이어의 직경이 상기 호스의 외경보다 크도록 상기 와이어 간 간격을 유지하는 브리지가 펼쳐지고, 호스에 가 조립될 때 상기 브리지가 접혀지면서 호스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호스에 클램핑될 대 상기 브리지가 펼쳐져서 상기 호스에 면착되는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호스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와이어와; 상기 각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각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는 탭과;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사이에 설치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브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는 2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는 상기 탭과 연결된 일단이 서로 하나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리지는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제1브리지 편과;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중 상기 제1브리지 편이 결합된 와이어 의 이웃한 와이어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된 제2브리지 편과; 상기 제1,2브리지 편을 연결하는 힌지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브리지 편은 상기 와이어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도록 와이어 측 갈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브리지 편은 상기 힌지 핀에 회전 가능토록 걸쳐질 수 있도록 힌지 핀 측 갈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브리지 편의 갈고리부는 상기 제1브리지 편이 둥글게 말아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브리지 편은 상기 와이어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도록 와이어 측 갈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브리지 편은 상기 힌지 핀에 회전 가능토록 걸쳐질 수 있도록 힌지 핀 측 갈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브리지 편의 힌지 핀 측 갈고리부는 그 사이에 상기 제1브리지 편이 끼워질 수 있도록 2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브리지 편의 갈고리부는 상기 제1브리지 편이 둥글게 말아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리지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가 조립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가 조립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조립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조립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호스(1)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와이어(2)(4)와, 상기 각 와이어(2)(4)의 일단이 고정되는 브래킷(10)과, 상기 브래킷(10)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각 와이어(2)(4)의 타단이 고정되는 탭(20)과,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2)(4) 사이에 설치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브리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2)(4)는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씰링 성능 및 구조 간소화, 조작 용이서 등을 고려할 때 2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개의 와이어(2)(4)는 상기 탭(20)과의 조립 용이성 및 구조 간소화를 위해 상기 탭(20)과 연결된 일단이 서로 하나로 연결되어 고리를 만든다.
상기 2개의 와이어(2)(4)는 상기 탭(20)과 연결되는 일단이, 상기 탭(20)과의 견실한 조립을 위해 상기 탭(20)을 향해 상기 각 와이어(2)(4)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다.
상기 2개의 와이어(2)(4)는 상기 브래킷(10)과 연결되는 타단이 각각, 상기 브래킷(10)과의 견실한 조립을 위해 상기 각 와이어(2)(4)의 원주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2개의 와이어(2)(4)는 상기 브래킷(10)과 연결되는 타단이 각각, 상기 브래킷(10)에 형성된 제1,2와이어 홀(11)(12)에 각각 관통된 상태로 상기 브래킷(10)에 고정된다.
상기 브래킷(10)은 그 중앙에 상기 탭(20)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탭 홀(13)이 형성된다.
상기 탭(20)은 상기 브래킷(10)의 탭 홀(13)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22)와, 상기 브래킷(10)의 탭 홀(13)을 관통하지 못하도록 상기 나사부(22)의 일단에 구비된 헤드부(24)와, 상기 나사부(22)의 타단에 끼워지고 상기 2개의 와이어(2)(4)의 일단이 끼워지는 슈부(26)로 구성된다.
상기 탭(20)의 슈부(26)는 상기 브래킷(10)과 상기 탭(20)에 끼워진 와이어(2)(4)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브래킷(10)의 탭 홀(13)을 관통하지 못하도록 구비된 플랜지부(27)가 구비된다.
상기 브리지(30)는 상기 2개의 와이어(2)(4) 중 어느 하나(2)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제1브리지 편(32)과, 상기 2개의 와이어(2)(4) 중 상기 제1브리지 편(32)이 결합된 와이어(2)의 이웃한 와이어(4)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된 제2브리지 편(34)과, 상기 제1,2브리지 편(32)(34)을 연결하는 힌지 핀(3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브리지 편(32)은 상기 와이어(2)에 회전 가능토록 걸쳐질 수 있도록 와이어 측 갈고리부(32A)가 구비된다. 상기 제1브리지 편(32)의 와이어 측 갈고리부(32A)는 상기 제1브리지 편(32)의 일단이 둥글게 말아진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제1브리지 편(32)은 상기 힌지 핀(36)에 회전 가능토록 걸쳐질 수 있도록 힌지 핀 측 갈고리부(32B)가 구비된다. 상기 제1브리지 편(32)의 힌지 핀 측 갈고리부(32B)는 상기 제1브리지 편(32)의 타단이 둥글게 말아진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제2브리지 편(34)은 상기 와이어(4)에 회전 가능토록 걸쳐질 수 있도록 와이어 측 갈고리부(32A)가 구비된다. 상기 제2브리지 편(34)의 와이어 측 갈고리부(34A)는 상기 제2브리지 편(34)의 일단이 둥글게 말아진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제2브리지 편(34)은 상기 힌지 핀(36)에 회전 가능토록 걸쳐질 수 있도록 힌지 핀 측 갈고리부(34B)가 구비된다. 상기 제2브리지 편(34)의 힌지 측 갈고리부(34B)는 상기 제2브리지 편(34)의 타단이 둥글게 말아진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제2브리지 편의 힌지 핀 측 갈고리부는 그 사이에 상기 제1브리지 편이 끼워질 수 있도록 2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브리지 편(34)의 힌지 핀 측 갈고리부(34B)는 상기 제2브리지 편(34)이 둥글게 말아진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힌지 핀(36)은 상기 제1,2브리지 편(32)(34)의 힌지 핀 측 갈고리부(32B)(34B)에 끼워질 수 있는 핀부(36A)와, 상기 핀부(36A)의 양 끝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2브리지 편(32)(34)의 힌지 핀 측 갈고리부(32B)(34B)에 걸리는 헤드부(36B)(36C)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브리지(30)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이송을 위해 상기 호스(1)에 가 조립될 때에는 먼저, 상기 2개의 와이어(2)(4)의 직경이 최대로 커진 상태이도록 상기 탭(20)이 풀어지고, 상기 브리지(30)가 펼쳐진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준비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를 상기 호스(1)에 끼운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와이어(2)(4)가 최대 직경인 상태로서 상기 호스(1)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상기 호스(1)에 손쉽게 끼워진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상기 호스(1)에 끼워지고 나면, 상기 브리지(30) 측면을 손으로 접어 상기 브리지(30)가 상기 힌지 핀(36)을 중심으로 상기 호스(1)를 향해 접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2개의 와이어(2)(4)와 호스(1) 사이 유격이 상기 접혀진 브리지(30)에 의해 없어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이탈이 방지되어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상기 호스(1)에 견실하게 가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상기 호스(1)에 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탭(20)이 조여지면, 상기 2개의 와이어(2)(4)가 압축된다. 이와 동시에서 상기 2개의 와이어(2)(4)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접혀진 브리지(30)가 펼쳐지면서 상기 2개의 와이어(2)(4)가 상기 호스(1)에 면착됨과 동시에 상기 브리지(30)가 상기 호스(1)에 면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클램핑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복수 개의 와이어 간 간격 유지를 위한 브리지가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기 때문에 호스에 가 조립될 때 상기 브리지가 접혀지면서 상기 호스에 면착됨으로써 상기 접혀진 브 리지가 상기 호스로부터 이탈이 방지토록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호스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상기 호스에 별도의 스토퍼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상기 호스의 금형이 간소해져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호스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와이어와;
    상기 각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각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는 탭과;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사이에 설치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브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는 2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는 상기 탭과 연결된 일단이 서로 하나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되는 제1브리지 편과;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중 상기 제1브리지 편이 결합된 와이어의 이웃한 와이어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된 제2브리지 편과; 상기 제1,2브리지 편을 연결하는 힌지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리지 편은 상기 와이어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도록 와이어 측 갈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리지 편은 상기 힌지 핀에 회전 가능토록 걸쳐질 수 있도록 힌지 핀 측 갈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리지 편의 갈고리부는 상기 제1브리지 편이 둥글게 말아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리지 편은 상기 와이어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도록 와이어 측 갈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리지 편은 상기 힌지 핀에 회전 가능토록 걸쳐질 수 있도록 힌지 핀 측 갈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리지 편의 힌지 핀 측 갈고리부는 그 사이에 상기 제1브리지 편이 끼워질 수 있도록 2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리지 편의 갈고리부는 상기 제1브리지 편이 둥글게 말아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1020060093116A 2006-09-25 2006-09-25 클램프 KR100764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116A KR100764972B1 (ko) 2006-09-25 2006-09-25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116A KR100764972B1 (ko) 2006-09-25 2006-09-25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972B1 true KR100764972B1 (ko) 2007-10-08

Family

ID=3941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116A KR100764972B1 (ko) 2006-09-25 2006-09-25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9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895Y1 (ko) * 1990-11-22 1992-10-2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원 터치 클램프(One Touch Clamp)
KR100641391B1 (ko) * 2004-11-09 2006-11-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도어 힌지
KR20070049036A (ko) 2005-11-04 2007-05-10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크 조정형 힌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895Y1 (ko) * 1990-11-22 1992-10-2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원 터치 클램프(One Touch Clamp)
KR100641391B1 (ko) * 2004-11-09 2006-11-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도어 힌지
KR20070049036A (ko) 2005-11-04 2007-05-10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크 조정형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49323B (zh) 接地端子金属零件及具有该接地端子金属零件的接地装置
CA2381598C (en) Pipe clamp, in particular, pipe coupling
US9568130B2 (en) Profiled clamp with sealing element
KR102281893B1 (ko) 프로파일 클램프
KR102214785B1 (ko) 유압 커넥터용 회전방지 장치
CA2345974A1 (en) Device for arranging, clamping or contracting a ring-shaped securing mechanism
CA2440308C (en) Hose clamp and closing tool
US20150035275A1 (en) Clamping belt and pipe coupling for the force-closed connection of pipes, in particular of smooth-end pipes
CA2651664A1 (en) Band clamp
JPH11250950A (ja) バッテリーの接続構造
CN101285547A (zh) 可扣紧的卡箍
JP2020520440A (ja) ばねクランプのための位置決めデバイス
JPS6213896A (ja) パイプ連結装置
CN100481629C (zh) 接触座和接触座的制造方法,插座和电插接连接结构
KR100764972B1 (ko) 클램프
US6095450A (en) Pivot for a winding device
JP2008097903A (ja) 接続端子
KR100652878B1 (ko) 클램프 구조
JP2018115714A (ja) 配線・配管材の横ずれ防止構造、横ずれ防止具、横ずれ防止装置及び横ずれ防止方法
KR101497087B1 (ko)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US8540531B2 (en) EMI connector ferrule and assembly combination therewith
KR101706788B1 (ko) 애자와 연결되는 장치
US20030184087A1 (en) Hose clamping structure
JP2003130263A (ja) パイプ固定金具
CN211530639U (zh) 一种三铰接结构的电缆保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