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792B1 - 물품을 비활성화해서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물품을 비활성화해서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792B1
KR100763792B1 KR1020067002164A KR20067002164A KR100763792B1 KR 100763792 B1 KR100763792 B1 KR 100763792B1 KR 1020067002164 A KR1020067002164 A KR 1020067002164A KR 20067002164 A KR20067002164 A KR 20067002164A KR 100763792 B1 KR100763792 B1 KR 100763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uid
tray
container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591A (ko
Inventor
도날드 에이 사전트
크리스토퍼 에이 제드로
쥬드 에이 칼
칼 에프 루드윅
빅터 셀리그
Original Assignee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5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61L2/28Devic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r completeness of sterilisation, e.g. indicators which chang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 A61L2202/182Rigid packag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Having expansible port
    • Y10T137/7882Having exit l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Having expansible port
    • Y10T137/7882Having exit lip
    • Y10T137/7884Side v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물품 위에 있는 미생물을 비활성화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비활성화 챔버를 통해 미생물 오염 제거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비활성화 챔버는 순환장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비활성화 대상 물품을 수용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이 용기는 비활성화 대상 물품이 위치할 수 있는 밀봉 캐비티를 구비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는 상기 캐비티 내로의 유체 흐름을 조절하는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가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비활성화 챔버 내의 밸브 작동 커넥터(410)는 상기 용기가 상기 비활성화 챔버 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플렉시블 밸브를 개방 위치로 가동시키는 데에 사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용기 내의 캐비티는 상기 플렉시블 밸브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순환장치와 유체 연통 상태이다.
의료, 치과, 약학, 수의학 또는 영안실 도구 및 장치의 살균 방법 및 장치

Description

물품을 비활성화해서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본 발명은 의료, 치과, 약학, 수의학 또는 영안실 도구 및 장치의 살균 또는 비활성화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품을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 물품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액 또는 다른 체액에 노출되는 의료, 치과, 약학, 수의학 또는 영안실 도구 및 장치는 매회 사용하는 중간에 철저한 세척과 살균 비활성화를 필요로 한다. 액체 미생물 비활성화 장치는 현재 증기 비활성화 장치의 고온에 견딜 수 없는 도구 및 장치를 세척 및 비활성화하는 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체 미생물 비활성화 장치는 통상적으로 의료 장치 및/또는 도구를 과초산 또는 다른 강력한 산화제와 같은 액체 살균제 또는 비활성화 조성물에 노출시킴으로써 작동한다.
그와 같은 장치에서는 세척 대상 도구 및 장치가 통상적으로 액체 미생물 비활성화 장치 내의 비활성화 챔버 내 또는 비활성화 챔버 내에 위치하는 용기 내에 배치된다. 비활성화 사이클 동안에, 액체 살균제는 비활성화 챔버 (및 그 내부의 용기)를 구비한 액체 순환장치를 통해 순환된다.
종래의 재처리기의 비활성화 사이클 이후, 비활성화된 물품은 재처리기로부터, 또는 비활성화 사이클 동안에 채처리기 내에 물품을 담고 있는 쟁반 또는 용기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된다. 통상적으로 비활성화된 물품은 저장 카세트로 운반되거나, 일단 물품이 재처리기로부터 제거되면 이들 물품의 비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용 살균 포장지 내에 밀봉된다. 그러나 이들 물품이 재처리기로부터 아무리 주의깊게 제거되더라도, 이들 물품은 일단 주변 대기에 노출되면 공중(空中) 생물 오염물에 노출된다. 따라서, 이들 물품이 수술실 등에서 다음 사용 이전에 장기간 보관되는 경우, 생물 오염물이 저장 카세트 또는 살균 포장지 내에서 오염시킬 시간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들 및 다른 문제점을 극복하고, 물품을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와, 그러한 비활성화 물품을 보관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재처리기에서 비활성화될 미생물을 갖는 물품을 수용하는 용기가 제공되며, 이 용기는 바닥벽과 이 바닥벽의 둘레에서 일측으로 연장하는 연속 측벽을 구비하는 대략 컵 형상 쟁반을 포함한다. 이들 바닥벽과 측벽은 비활성화될 미생물을 갖는 도구 및 물품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한다. 상기 쟁반에 부착 가능한 뚜껑이 제공된다. 이 뚜껑은 상기 캐비티를 덮도록 치수 조정되어 있다. 플렉시블 밸브는 비활성화 사이클 동안에 상기 용기를 통해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캐비티를 밀봉하는 폐쇄 위치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재처리기에서 비활성화될 미생물을 갖는 물품을 수용하는 용기가 제공되며, 이 용기는 비활성화 대상 물품을 수용하는 쟁반과, 이 쟁반을 덮고 상기 비활성화 대상 물품을 수용하는 내부 밀봉 캐비티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뚜껑을 구비한다. 통로가 상기 캐비티 내에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 조립체가 상기 캐비티 속의 통로와 연관되어 있다. 이 밸브 조립체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가동하는 플렉시블 밸브를 포함한다. 이 플렉시블 밸브는 상기 용기가 상기 재처리기 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개방 위치에 존재하고 상기 용기가 상기 재처리기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폐쇄 위치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품 위에 있는 미생물을 비활성화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비활성화 챔버를 통해 미생물 오염 제거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비활성화 챔버는 순환장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비활성화 대상 물품을 수용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이 용기는 비활성화 대상 물품이 위치할 수 있는 밀봉 캐비티를 구비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는 상기 캐비티 내로의 유체 흐름을 조절하는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가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시블 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비활성화 챔버 내의 밸브 작동 커넥터는 상기 용기가 상기 비활성화 챔버 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플렉시블 밸브를 개방 위치로 가동시키는 데에 사용되며, 여기에서 상기 용기 내의 캐비티는 상기 플렉시블 밸브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순환장치와 유체 연통 상태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의료 도구 및 물품을 비활성화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미생물 비활성화 공정 동안에 의료 도구 및 물품을 수용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이 용기는 장치로부터 용기를 분리한 후에 장기간 동안 그 내부의 비활성화 환경에 도구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사용할 때까지 미생물적으로 비활성화된 도구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전술한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상기 장치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자신을 밀봉시키는 전술한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들 및 다른 장점은 첨부 도면과 청구범위와 함께 고려되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배열에 대해 물리적인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이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도구 및 장치 위에 있는 미생물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자동화 재처리기의 상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처리기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처리기에서 비활성화될 미생물을 갖는 물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선 4-4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선 5-5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뚜껑의 일부가 파단되어 있는 용기의 평면도이며,
도 7은 용기의 일부의 확대 저면도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동일한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동일한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10은 뚜껑과 용기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록킹된 구성으로 록킹 장치를 보여주며,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뚜껑과 용기 부분의 확대도이고, 개방된 구성으로 록킹 장치를 보여주며,
도 12는 재처리기 하우징 상의 수컷 방출구 커넥터로부터 이격된 용기의 방출구 밸브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며,
도 13은 재처리기 하우징 상의 수컷 커넥터와 연동 상태로 용기의 방출구 밸브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며,
도 14는 비활성화 대상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랙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이 조립체 상에 장착된 의료 도구를 보여주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쟁반 조립체의 베이스 섹션의 사시도이고, 이 섹션으로부터 분해된 장착 블록을 보여주며,
도 16은 비활성화될 미생물을 갖는 물품의 수용부를 위한 장착 블록 조립체의 확대도이며,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쟁반 조립체의 상부 섹션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용기 내의 의료 도구를 보여주고, 이 의료 도구에 연결된 세정 튜브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9는 내부 세정 튜브의 일단의 커넥터를 보여주고, 이 내부 세정 튜브를 용기에 부착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며,
도 20은 내부 세정 튜브를 장착구 상의 내부 밸브 장치를 보여주는 도구 상의 장착구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선 21-21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22는 의료 도구의 일부에 부착된, 도 20에 도시된 장착구의 단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와, 이 용기와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는 감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만을 예시하지만 한정할 목적이 없는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의료 도구 및 기타 장치 위에 있는 미생물을 비활성화하는 장치(10)의 상부를 보여주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 장치(10)는 리세스 또는 캐비티(16)를 형성하는 상부 패널(14)을 갖춘 하우징 구조물(12)을 포함한다. 이 캐비티(16)는 용기(200)를 수용하기 위해 치수 조정되어 있다. 이 용기(200)는 비활성화 대상 장치 또는 도구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도 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200)는 리세스 또는 캐비티(16) 내에 수용되도록 치수 조정되어 있다. 캐비티(16) 근처에는 우물(32)(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우물(32)은 물과 혼합되는 경우에 장치(10)에 사용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를 만드는 건조한 화학 시약을 담고 있는 화학 물질 운반 용기(34)를 수용하도록 치수 조정되어 있다.
수동식 작동 뚜껑(42)이 캐비티(16)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도 1에 도시되어 있음)와 캐비티(16)를 닫거나 덮는 폐쇄 위치(도 2에 도시되어 있음) 사이에서 가동할 수 있다. 밀봉 요소(44)는 캐비티(16)를 둘러싸고, 뚜껑(42)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뚜껑(42)과 패널(14) 사이에 유체 침투 방지 밀봉부(fluid-tight seal)를 형성한다. 비활성화 사이클 동안에 폐쇄 위치에서 뚜껑(42)을 래칭(latching) 및 고정하는 래치 수단(도시 생략)이 제공된다. 캐비티(16)는 뚜껑(42)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비활성화 챔버(50)를 반드시 형성한다.
도 2는 장치(10)의 단순화된 개략적인 배관도를 보여주고 있다. 유체 순환 장치(60)는 비활성화 챔버(50)에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를 제공하고, 비활성화 챔버(50)와 용기(200)를 통해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를 순환시키는 데에도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유체 순환 장치(60)는 온수 공급원(도시 생략)에 연결된 물 유입 라인(62)을 포함한다. 이 물 유입 라인(62) 내에 한 쌍의 매크로 필터(64, 66)가 제공되어 유입수에 존재할 수도 있는 대형 오염물을 여과한다. 물 공급원 내에 유기물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자외선(UV) 처리 장치(68)가 유입 라인(62)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밸브(72)가 물 유입 라인(62)에서 장치 급수 라인(82)까지 물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 장치 급수 라인(82)은 2개의 필터 요소(84, 86)를 직렬로 구비하고, 유입수로부터의 미세 유기물을 여과하여 유체 순환 장치(60)로 살균수를 공급한다. 가열 요소(88)는 장치 급수 라인(82)에서 필터 요소(84, 86)의 하류에 배치된다. 장치 급수 라인(82)은 제1 분기 급수 라인(92)과 제2 분기 급수 라인(94)으로 분기된다. 제1 및 제2 분기 급수 라인(92, 94)은 비활성화 챔버(50) 내의 용기(200)와 연통한다. 제1 및 제2 분기 급수 라인(92, 94)은 도 2에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는 유체 유입구 조립체(340, 360)를 통해 용기(200)에 연결된다. 유체 유입구 조립체(340, 360)는 밸브 작동 커넥터(410)와 동작상 상호 작용하도록 되어 있고,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패널(14)에 장착된다. 제2 분기 급수 라인(96)은 비활성화 챔버(50) 자체에 연결된다.
보충 분기 급수 라인(98)은 제1 분기 급수 라인(94)으로부터 분기하고, 장치(10)에 사용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를 만드는 건조 화학 물질 시약을 담고 있는 화학 물질 운반 용기(34)의 유입부로 안내된다. 밸브(102)는 화학 물질 운반 용기(34)를 향해 보충 분기 급수 라인(98)을 통과하는 흐름과, 용기(200)에 연결된 제2 분기 급수 라인(94)을 통과하는 흐름을 제어한다. 흐름 제한 장치(74)가 제3 분기 급수 라인(96)과 보충 분기 급수 라인(98)에 설치되어 자신을 통과하는 흐름을 제한한다. 화학 물질 운반 용기(34)는 하우징 구조물(12)의 패널(14) 내에 형성된 우물(32) 내에 배치된다.
분기 복귀 라인(104)은 화학 물질 운반 용기(34)로부터 연장하고, 장치 복귀 라인(112)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분기 유체 복귀 라인(106, 108)은 각각 용기(200)와 비활성화 챔버(50)로부터 연장하고, 장치 복귀 라인(112)에 연결된다. 용기(200)의 유체 방출구 조립체(280)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패널(14)의 밸브 작동 커넥터(410)를 통해 분기 복귀 라인(106)과 결합한다.
장치 복귀 라인(112)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물 유입 라인(62)과 유체 공급 라인(82)과 다시 연결된다. 펌프(116)가 장치 복귀 라인(112) 내에 배치된다. 펌프(116)는 유체 순환 장치(60)를 통해 유체, 즉 물과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를 순환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배수 라인(118)이 장치 복귀 라인(112)에 연결된다. 배수 밸브(122)가 배수 라인(118)을 통과하는 유체 흐름을 제어한다. 방향 역류 방지 밸브(124)가 물 유입 라인(62)과 펌프(116) 사이의 장치 급수 라인(82)에 배치된다. 필터 바이패스 라인(76)이 필터(84, 86)의 대향 측에서 유체 장치 급수 라인(82)과 연통한다. 구체적으로는 바이패스 라인(76)의 일단이 펌프(116)와 방향 역류 방지 밸브(124) 사이의 장치 급수 라인(82)에 연결된다. 바이패스 라인(76)의 타단은 필터(84, 86) 및 가열 장치(88) 너머에 있지만 제1, 제2 및 제3 분기 급수 라인(92, 94, 96)이 형성되어 있는 장소 앞에 있는 장치 급수 라인(82)과 연통한다. 흐름 제한 장치(78)는 필터 바이패스 라인(76)에 설치되어 자신을 통과하는 흐름을 제한한다.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도시 생략)가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순환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순환장치의 동작은 아래에서 마찬가지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충전 단계, 순환 단계 및 배수 단계를 포함한다. 충전 단계, 순환 단계 및 배수 단계의 동작을 촉진하기 위해, 공기 유입/유체 오버플로우 조립체(132)가 자신과 유체 연통 상태로 비활성화 챔버(50)의 최상부에 설치된다. 공기 유입/유체 오버플로우 조립체(132)는 비활성화 챔버(50)와 유체 순환 장치(60) 내의 과잉 유체가 배수구로 범람할 수 있게 하는 오버플로우 배수구(134)와, 공기를 비활성화 챔버(50)에 공급하여 배수 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공기 인입구를 포함한다. 이 공기 인입구에 필터(136)가 설치되어 유입 공기를 여과한다.
이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용기(200)가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용기(200)는 일반적으로 쟁반(202) 및 이에 부착 가능한 뚜껑(550)으로 구성된다. 쟁반(202)은 일반적으로 컵 모양이고, 바닥벽(204)과 이 바닥벽(204)의 둘레 주위로 연장하고 바닥벽의 일측으로 연장하는 연속 측벽(206)을 구비한다. 바닥벽(204)와 측벽(206)은 캐비티(208)를 형성하며, 이 캐비티 내에는 비활성화될 도구 또는 기타 물품이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쟁반(202)은 비록 다른 형상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예상되지만 형상이 대략 타원형이다.
도 8과 도 9에 가장 잘 도시된 측벽(206)의 상부 가장자리는 밀봉 요소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측벽(206)의 상부 가장자리는 2개의 이격 레일(212, 214)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이들 레일은 측벽(206)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이들 레일(212, 214)은 측벽(206)의 상부 가장자리 주위로 연속적으로 비슷하게 연장하는,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채널(216)을 형성한다. 쟁반(202) 상의 레일(212, 214)은 작동상 뚜껑(550) 상의 대응 요소와 맞물리도록 치수 조정되어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다.
바닥벽은 도면에서 참조부호 204a로 표시되어 있는 상면을 가진다. 2개의 이격된 대략 오목한 장착 패드(222, 224)가 바닥벽(204)의 상면(204a)으로부터 연장한다. 이들 장착 패드(222, 224) 각각은 내부에 형성된 원호형 슬롯 또는 리세스(226)를 포함한다. 장착 패드(222)는 내부에 형성된 리세스 또는 릴리프(232)를 구비한다. 한 쌍의 이격 커넥터 장착구(234, 236)가 장착 패드(222)의 리세스 또는 릴리프(232)에 내장된다. 바닥벽(204)의 상면(204a)은 대체로 윤곽을 가지고, 비활성화될 미생물을 갖는 대상 도구 또는 물품의 여러 부분을 수용 및 지지하도록 치수 조정되는 복수의 리세스(242, 244, 246, 248)를 구비하여 쟁반(202)의 캐비티(208) 내에서 그러한 도구 및 물품을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2개의 리세스(252, 254)가 장착 패드(222, 224) 사이의 대향 단부에 형성된다. 이들 리세스(252, 254)는 방향 분사 노즐(256, 258)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3개의 유체 조립체(280, 340, 360), 2개의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 360), 및 하나의 유체 방출구 조립체(280)가 쟁반(202) 내에 형성되어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가 용기 안으로, 통해, 그리고 밖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기본적으로, 제1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가 쟁반(202) 내로 유동해서 노즐(256, 258)을 통해 측벽(206)의 상부 가장자리로 유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60)는 장착 패드(222)의 리세스(232) 내의 커넥터 장착구(234, 236)로의 유체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커넥터 장착구(234, 236)는 차례로 플렉시블 커넥터(712)(도 18 및 도 19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임의의 의료 장치 및 도구에 연결되어 그러한 도구의 내부 도관(lumen) 및 통로를 통해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를 안내할 수 있다.
유체 방출구 조립체(280)가 제공되어 유체가 용기(200)로부터 배수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유체 조립체(280, 340, 360) 각각은 수많은 유사한 요소로 구성된다. 이들 유체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이해는 도 12를 참조로 실현될 수 있는데, 이 도면에서는 쟁반(202) 상의 유체 방출구 조립체(280)가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배수 개방 구멍(292)이 측벽(206)에 인접한 쟁반(202) 상의 바닥벽(204)에 형성되어 있다. 이 배수 개방 구멍(292)은 용기(200)가 비활성화 챔버(50)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용기(200)의 최저 지점이라고 하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된 접시머리형 개방 구멍(294)이 바닥벽(204)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장착판(296)을 수용한다. 이 장착판(296)은 형상이 원통형이고, 쟁반(202) 내의 접시머리형 개방 구멍(294) 속에 맞춰지도록 치수 조정된 원통형 몸체부(296a)를 구비한다. 원통관 모양의 슬리브(296b)가 장착판(296)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한다. 이 슬리브(296b)는 장착판(296)의 몸체부(296a)에 형성된 대략 컵 모양의 캐비티 속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개방 구멍(302)을 형성한다. 개방 그릴 또는 격자형 구조물(304)이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관(管) 모양의 슬리브(296b)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개방 구멍(302) 내에 배치된다. 플렉시블 밸브(312)가 장착판(296)에 의해 쟁반(202)에 장착된다.
이 플렉시블 밸브(312)는 개방 구멍(312d)을 형성하는 복수의 반경 방향 연장 아암부(312c)에 의해 외측 환형 플랜지 고리부(312b)에 연결되는 원통형 중심 몸체부(312a)를 포함한다. 플렉시블 밸브(312)는 탄력적인 플렉시블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체형 부품으로서 몰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리세스가 중심 몸체부(312a)의 바닥에 형성되어 단단하고 질기고 내구적인 폴리머 재료로 형성된 곡면형 또는 돔형 캡 요소(314)를 수용한다. 캡(314)은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스너(316)에 의해 플렉시블 밸브(312)의 중심 몸체부(312a)에 고정된다. 플렉시블 밸브(312)의 플랜지형 고리부(312b)는 장착판(296) 내의 리세스에 의해 포획되도록 치수 조정되어 있다. 이 장착판(296)은 종래의 파스너(322)에 의해 접시머리형 개방 구멍(294) 내에서 쟁반(202)에 부착된다.
플렉시블 밸브(312)는 몰딩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상(定常) 위치를 취하도록 형성되며, 이 위치에서는 플렉시블 밸브(312)의 중심 몸체부(312a)가 원통형 천공 구멍(302)을 둘러싸는 장착판(296)의 내측 가장자리에 스스로 맞물리거나 "앉는"데, 이에 의해 쟁반(202)의 바닥벽(204)을 통해 개방 구멍을 효과적으로 폐쇄한다. 도 1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밸브(312)가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 위치에서는 플렉시블 밸브 (312)의 중심 몸체부(312a)가 장착판(296)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연속 유체 통로가 배수 개방 구멍(292), 플렉시블 밸브(312)의 아암들(312c) 사이의 개방 구멍들(312d), 및 장착판(296)의 슬리브부(296b)를 통해 형성된다.
이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 360)가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 360)는 쟁반(202)의 바닥벽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큰 캐비티 또는 오목부(322) 내에 배치된다. 이 캐비티(322)는 쟁반(202)의 바닥벽 상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는 대영역(322a)과 쟁반(202)의 일측으로 연장하는 부분(322b)을 포함한다. 캐비티(322)의 바닥은 대략 평탄한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통로 형성 캐비티(334, 336)(도 7에 가상선으로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는 리세스(322)를 형성하는 평탄한 표면에 형성된다. 제1 통로 형성 개비티(334)는 일반적으로 V자 형상이고, 하나의 원형부(334a)와 2개의 외향 연장 아암부(334b)를 구비한다. 제1 통로 형성 캐비티(334)의 아암부(334b)는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벽(204)의 대향 측에서 노즐(256, 258)과 연통한다.
제2 통로 형성 캐비티(336)는 대형 원형부(336a)를 구비하며, 이 대원형부는 자신과 접선을 이루는 2개의 소원형부(336b)와 연통한다. 제2 통로 형성 캐비티(336)의 2개의 소원형부(336b)는 바닥벽(204)의 대향 측에서 장착 패드(222)의 리세스 또는 릴리프(232) 내에 배치되는 커넥터 장착구(234, 236)와 연통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장착판(342)이 쟁반(202)의 바닥벽(204)에 부착되고 제1 통로 형성 캐비티(334)를 덮도록 치수 조정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장착판(342)은 일반적으로 V자 형상이고, 제1 통로 형성 캐비티(334)의 아암부들(334b)을 덮도록 긴 아암(342b)을 구비한다. 장착판(342)은 일반적으로는 편평하고, 하향으로 연장하는 슬리브(342a)(도 4와 도 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를 구비한다. 이 장착판(342)은 전술한 형태의 플렉시블 밸브(312)를 포획 및 장착하도록 치수 조정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장착판(342)은 복수의 종래 파스너(344)에 의해 리세스(322) 내에서 쟁반(202)에 부착된다. 슬리브(342a)는 장착판(342)으로부터 연장하고, 장착판(342)과 쟁반(202) 사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밸브(312)와 연통하는 개방 구멍을 형성한다. 장착판(342)은 제1 통로 형성 캐비티(334)의 개방 측을 덮고, 이에 따라 [장착판(342)에 의해 포획되는] 플렉시블 밸브(312)를 바닥벽(204)의 대향 측에 있는 분사 노즐(254, 256)에 연결하는 유체 통로(도 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긴 U자 형상의 레일 또는 키(346)가 장착판(342)의 각 다리부(342b)의 상면에 형성되어 쟁반(202)의 리세스(322) 내에 형성된 정합 그루브 내에 장착판(342)을 위치 및 록킹시킨다.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또는 호스(352)가 일단에서 장착판(342)에 부착되어 쟁반(202) 내에서 장착판(342)과 유체 형성 캐비티(334)에 의해 형성된 유체 통로와 연통한다. 튜브 또는 호스(352)의 타단은 측벽(206)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채널(216)과 연통하는 채널(354)(도 4와 도 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에 연결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60)가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제1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와 유사하게,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60)도 전술한 형태의 플렉시블 밸브(312)를 포획 및 수용하도록 치수 조정되는 장착판(362)를 포함한다.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60)의 장착판(362)은 종래의 파스너들에 의해 리세스(322)의 연장부(322b) 내에 부착된다. 장착판(362)은 리세스(322) 내에서 제2 통로 형성 캐비티(336)와 조화하고 덮도록 위치 조정된다. 제1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의 장착판(342)과 유사하게,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60)의 장착판(362)도 키 또는 레일(364)을 포함하며, 이 키 또는 레일(364)은 장착판(362)의 둘레 주위로 연장하여 쟁반(202)의 바닥벽(204)의 리세스(322) 위치로 장착판(362)을 위치 및 록킹시킨다. 장착판(362)은 제2 통로 형성 캐비티(336)를 덮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장착판(362)에 의해 수용되는 플렉시블 밸브(312)와 바닥벽(204)의 대향 측에서 커넥터 장착구(234, 236)에 연결되는 개방 구멍들(366) 사이에 유체 통로를 형성한다.
요약하면, 유체 방출구 조립체(280)와, 제1 및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 360)은 각각 쟁반(202)의 바닥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일한 플렉시블 밸브(312)를 포함한다. 유체 방출구 조립체(280)의 플렉시블 밸브(312)는 분기 복귀 라인(106)과 연통한다. 제1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의 플렉시블 밸브(312)는 분기 급수 라인(92)을 쟁반(202)의 캐비티(208) 내의 분사 노즐(256, 258) 및 측벽(206)의 상부 가장자리와 연결시킨다.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60)의 플렉시블 밸브(312)는 쟁반(202)의 캐비티(208) 내에서 장착 패드(222) 상의 커넥터 장착구(234, 236)와 결합한다. 이들 플렉시블 밸브(312)는 모두 자신을 통한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는 상시 폐쇄 위치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유체 조립체(280, 340, 360)의 플렉시블 밸브(312)는 장치 하우징(12)의 패널(14) 상에 밸브 작동 커넥터(410)와 작동 가능하게 상호 작용하도록 치수 조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유체 조립체(280, 340, 360)를 위한 밸브 작동 커넥터들(410)은 동일하다. 따라서, 단지 하나의 밸브 작동 커넥터(410)만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러한 설명은 나머지 밸브 작동 커넥터(41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유체 방출구 조립체(280)와 관련된 밸브 작동 커넥터(410)가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밸브 작동 커넥터(410)는 장치(10)의 하우징(12)의 패널(14)에 장착되고, 밸브 작동 커넥터(410)가 패널(14)에 대해 "부동할 수 있게," 즉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밸브 작동 커넥터(410)는 유체 통로(414)를 형성하는 원통관 형상의 커넥터 몸체(412)를 구비한다. 이 커넥터 몸체(412)는 자신의 자유단에 형성된 외향 연장 환형 플랜지(416)를 구비한다. 이 플랜지(416)는 O-링(422)을 수용하도록 치수 조정된 하향 환형 그루브(418)를 구비한다. 커넥터 몸체(412)는 나사부(412a)를 포함한다. 플랜지(416)와 나사부(412a) 사이에는 패널(14) 내에서 원형 개방 구멍(424) 내에 수용되도록 치수 조정된 원통형 몸체부(412b)가 존재한다. 패널(14) 내의 개방 구멍(424)의 직경은 커넥터 몸체(412)의 원통형 몸체부(412b)의 직경보다 더 크다. 환형 그루브(426)가 패널(14) 내의 개방 구멍(424) 근처에 형성된다. 나사진 칼라(432)가 제공되며, 도 12 및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몸체(412)를 패널(14)에 고정시킨다. 칼라(432)는 그 내부에 형성된 환형 그루브(434)를 포함한다. 칼라(432) 내의 그루브(434)는 패널(14) 내의 환형 그루브(426)와 정합하도록 치수 조정된다. 헬리컬 스프링의 형태인 바이어싱 요소(442)는 패널(14)과 나사진 칼라(432) 내에 형성된 환형 그루브(426, 434) 내에 배치된다. 나사진 칼라(432)는 커넥터 몸체(412) 내에 형성된 환형 슬롯 내에 배치된 보류 링(444)에 의해 커넥터 몸체(412) 상의 적소에 유지된다. 헬리컬 스프링(442)의 바이어싱 효과로 인해 관상(管狀) 커넥터 몸체(412)의 플랜지(416)가 O-링(422)을 패널(14)의 상면과 맞물리게 한다. 따라서, 밸브 작동 커넥터(410)는 패널(14) 내의 원통형 개방 구멍(424) 내에서 한정된 양으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이 개방 구멍(424)은 헬리컬 스프링(442)의 바이어싱 효과 때문에 패널(14)과 맞물리게 되는 O-링(422)에 의해 항상 밀봉된다.
캡(452)은 커넥터 몸체(412)의 자유 상단(上端)에 형성된 대향 천공 구멍(counter-bored opening) 속으로 삽입된다. 캡(452)은 모양이 원통형이고, 그 일단에 축방향 연장 핀(454)를 포함한다. 개방 구멍(456)은 캡(452)의 단부를 통해 형성되어 관상 커넥터 몸체(412)에 의해 형성된 유체 통로(414)와 연통한다. 환형 그루브(462)는 캡(452) 내에 형성되어 O-링(464)을 수용한다. 캡(452)은 유체 조립체(280, 340, 360) 각각의 슬리브에 의해 형성된 개방 구멍(302) 내에 수용되도록 치수 조정되며, 여기에서 O-링(464)은 이러한 슬리브의 내면(302)과 밀봉 가능하게 맞물린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커넥터 몸체(412)의 하단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유체 순환 장치(60)의 분기 복귀 라인(106)에 연결되고 그 일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점에서, 나머지 2개의 밸브 작동 커넥터(410)는 패널(14)에 부착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 360)에 동작 가능하게 맞물린다. 제1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와 관련된 밸브 작동 커넥터(410)의 커넥터 몸체(412)는 제1 분기 급수 라인(92)에 연결되거나 그 일부를 형성한다.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60)와 관련된 밸브 작동 커넥터(410)의 커넥터 몸체(412)는 제2 분기 급수 라인(94)에 연결되거나 그 일부를 형성한다.
이제 도 3,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쟁반(202)의 단부들에 제공된 손잡이 조립체(510)가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이들 손잡이 조립체(510) 각각은 도면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스너(514)에 의해 쟁반(202)의 측벽(206)에 부착하기 위해 장착부(512a)를 구비한 손잡이 브라켓(512)을 포함한다. 손잡이부 또는 파지부(512b)는 장착부(512a)로부터 연장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동일 평면 의 이격 슬롯(522)은 손잡이부(512b)의 측방 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대략 평탄한 래치 요소(524)를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한다. 이 래치 요소(524)는 손잡이부(512b)의 슬롯(522) 내에서 미끄러지도록 치수 조정된다. 핀 또는 파스너(528)가 손잡이부(512b)를 통해 래치(524) 내의 긴 개방 구멍(526)속으로 연장하여 래치(524)의 제한부가 손잡이부(512b)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한다. 래치(524)는 그 일단의 상면에 형성된 범프 또는 딤플(532)과, 래치(524)의 대향 가장자리에서 바닥면에 형성된 탭(534)을 포함한다. 래치(524)는 소구멍(536)을 포함하고, 이 소구멍(536)은 손잡이부(512b) 내의 소구멍(542)과 정렬될 수 있다. 래치(524)는 제공되어 뚜껑(550)을 쟁반(202) 상으로 록킹시킨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뚜껑(550)은 쟁반(202)의 개방된 상단을 둘러싸도록 형상을 갖춘 대략 평탄한 요소이다. 뚜껑(550)은 한 쌍의 하향 연장 대략 연속 레일 또는 벽부(552, 554)를 포함하며, 이들 벽부(552, 554)는 뚜껑(550)의 둘레를 따라 연장한다. 이들 벽부(552, 554)는 도 10 및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쟁반(202)의 측벽(206)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레일(212, 214)와 정합 접촉 상태로 배치되도록 치수 조정된다. 도 10 및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뚜껑(550) 상의 벽부(552, 554)는 측벽(206)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는 레일(212, 214)보다 약간 짧으며, 여기에서 뚜껑(550)은 쟁반(202)의 측벽(206)의 레일(212, 214)의 상부 가장자리에 안치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U자 형상의 틈새 또는 공간(562)이 뚜껑(550)의 하향 연장 벽부(552, 554) 및 레일(212, 214)과, 측벽(206)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다. 뚜껑(550)과 쟁반(202) 사이의 맞물림 배열은 이 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신규한 형태의 밀봉 조립체를 형성한다.
뚜껑(550)은 쟁반(202) 상의 손잡이 조립체(510)와 중첩하도록 치수 조정되는 연장부(572)를 포함한다. 돌출 턱 또는 입술(574)이 연장부(572) 상에형성된다. 이 입술 또는 돌출 턱(574)은 손잡이 조립체(510)의 손잡이부(512b)와 일반적인 정렬 상태로 배치되도록 치수 조정되는데, 여기에서 래치 요소(524)는 록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래치 요소(524)는 뚜껑(550)의 입술 또는 돌출 턱(574) 상부에 배치된다. 이 위치에서 래치 요소(524)는 손잡이 조립체(510)와 래치 요소(524) 사이의 돌출 턱(574)을 포획하며, 이에 의해 뚜껑(550)을 쟁반(202) 상으로 적소에 록킹시킨다. 또한, 뚜껑(550)의 연장부(572)는 손잡이 조립체(510)의 손잡이부(512b) 내의 소구멍(542)과 정렬되도록 위치 조정되는 소구멍(576)과, 래치 요소(524)가 록킹 또는 래칭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 래치 요소(524) 내의 소구멍(53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록킹 장치(590)가 제공되어 뚜껑(550)을 쟁반(202)에 고정시킨다. 이 록킹 장치(590)는 몸체부(592)와, 이 몸체부(592)로부터 연장하는 긴 플렉시블 아암부(594)로 구성된다. 이 아암부(594)는 뚜껑(550), 래치(524) 및 손잡이부(512b) 내의 소구멍(576, 536, 542)을 통과할 수 있도록 치수 조정되고, 종래의 타이 록 밴드(tie-lock band)와 유사한 방식으로 몸체(592) 속으로 다시 삽입된다. 이러한 점에서, 몸체부(592)와 긴 아암부(594)는 몰딩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에서 아암부(594)의 단부는 몸체부(592)의 개방 구멍 속으로 삽입될 수 있지만, 일단 삽입되면 분리될 수 없다. 아암부(594)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래칭 위치로부터 멀리 래치 요소(524)가 이동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쉽게 파괴되도록 치수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미생물 비활성화를 위한 의료 도구와 같은 물품을 체계화 및 배치하기 위한 용기(200)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도구 홀더(610)가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도구 홀더(610)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섹션(612)(도 1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과 상부 섹션(652)(도 17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으로 구성된다. 이 베이스 섹션(612)은 기본적으로 천공 패널(616)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프레임(614)으로 구성되며, 이 천공 패널(616)은 프레임(614)의 일단에 배치된다. 이 패널(616)은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레일(618)에 의해 둘러싸인다. 프레임(614)은 2개의 평행한 이격 프레임 부재(622, 624)를 포함한다. 역전(逆轉) 정지부(626)가 프레임(614)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614)은 프레임 부재(622, 624)에 부착되도록 치수 조정되는 도구 홀더(630)를 포함한다. 이들 도구 홀더(630) 각각은 도구 장착 블록(632)과 이 블록(632)에 부착 가능한 판(634)으로 구성된다.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록(632)은 그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그루브(636)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베이스 섹션(612)의 프레임 부재(622, 624)는 도구 홀더(630)의 블록(632)과 판(634) 사이에서 포획될 수 있다.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파스너들(638)이 판(634)을 장착 블록(632)에 부착하는 데에 사용되고, 프레임 부재(622, 624)에 도구 홀더(630)를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 된다.
장착 블록들(632)은 일반적으로 딱딱한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정의 프로파일을 가진 복수의 슬롯(642)을 포함한다. 이들 슬롯(642)은 일반적으로 나란히 정렬된 복수의 중첩 원형 영역(644)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슬롯(642)은 개방된 상단과 폐쇄된 하단, 그리고 개방단으로부터 폐쇄단까지 서로에 대해 수렴하는 측벽을 구비한다.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 영역(644)은 다양한 원의 직경을 가진 복수의 물체, 즉 의료 도구의 관상(管狀) 부분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상부 섹션(652)이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이 상부 섹션(652)은 기본적으로는 환형 홀딩 영역(654)과 직사각형 홀딩 영역(656)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시렁(rack) 또는 쟁반이다. 상부 섹션(652)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 섹션(612)에 포개서 맞춰지도록 설계된다.
이제 도 18을 참조하면, 의료 장치의 내부 도관 및 통로를 비활성화하는 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도 18은 도구 홀더(630)(가상선으로 표시) 내에 위치하는 기관지경(氣管支鏡)(B)을 구비한 쟁반(202)을 보여주고 있다. 플렉시블 커넥터(712)가 일단에서 장착 블록(222)의 릴리프 또는 리세스(232) 내의 커넥터 장착구(234)에 부착되고, 플렉시블 커넥터(712)의 타단은 의료 도구(B) 상의 장착구에 부착된다. 이 플렉시블 커넥터(712)는 쟁반(202) 상의 커넥터 장착구(234)에 부착되어 의료 도구(B)의 내부 도관으로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플렉시블 커넥터(712)는 일단에 수컷 장착구(722)(도 19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을 가진 소정 길이의 의료 등급 배관(714)과, 타단에 의료 도구(B)에 부착하기 위한 링크 조립체(810)(도 20 내지 도 2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를 구비한다.
이제 도 19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커넥터(712)를 쟁반(202)에 부착하기 위한 수컷 장착구(722)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장착구(722)는 장착 블록(222)에 부착되는 커넥터 장착구(234) 속으로 삽입하기 위한 원통부(724)를 포함한다. 이 원통부(724)는 자신의 자유단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그루브에 장착되는 O-링(726)을 포함한다. 환형 슬롯(728)이 O-링(726) 위의 원통부(724)에 형성된다. 내부 천공 구멍 또는 통로(도시 생략)가 원통부(724)와 수컷 장착구(722)를 통해 형성되어 배관(714)에 의해 형성된 통로와 연통 상태로 된다.
장착 블록(222)에 부착되는 커넥터 장착구(234)는 기본적으로는 천공 구멍 장착 패드(222) 속으로 나사 결합식 삽입을 위한 나사부(732)를 구비한 암컷 커넥터이다. 이 커넥터 장착구(234)는 쟁반(202)의 바닥벽(204) 내의 개방 구멍(366)과 유체 연통 상태로 관통하는 개방 구멍(736)을 가진 몸체부(734)를 구비한다. 슬롯(738)이 커넥터 몸체(734)의 상단을 통해 형성되어 록 요소(742)를 미끄럼 방식으로 수용한다. 록 요소(742)는 커넥터 몸체(734) 내에 형성된 슬롯(738) 내에 수용되도록 치수 조정된 평탄부(742a)를 구비한다. 환형 개방 구멍(744)은 록킹 요소(742)의 평탄부(742a) 내에 형성된다. 또한 록킹 요소(742)는 엄지부(742b)를 포함하며, 이 엄지부(742b)는 록킹 요소(742)의 평탄부(742a)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헬리컬 스프링인 바이어싱 요소(746)는 록킹 요소(742)의 엄지부(742b)와 커넥터 몸체(734) 사이에 배치된다. 바이어싱 요소(746) 는 엄지부(742b)를 커넥터 몸체(734)로부터 멀리 바이어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록킹 요소(742)는 캡 스크류(752)에 의해 커넥터 몸체(734)에 유지되며, 이 캡 스크류(752)는 록킹 요소(742)의 평탄부(742a)에 있는 슬롯(754)을 관통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요소(742)의 평탄부(742a)에 있는 슬롯(754)은 그 내부의 원형 개방 구멍(744)과 연통한다. 록킹 요소(742)는 엄지부(742b)를 가압해서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 위치에서는 록킹 요소(742)의 환형 개방 구멍(744)이 커넥터 몸체(734)의 천공 구멍(736)과 정렬된다. 이 위치의 록킹 요소(742)로 인해, 수컷 장착구(722)의 원통부(724)가 록킹 요소(742)의 원형 개방 구멍(744)을 통해 커넥터 몸체(734)의 천공 구멍(736) 속으로 삽입된다. 커넥터 몸체(734)의 천공 구멍(736) 내의 장착구(722)의 원통부(724)에 의해, 엄지부(724b)의 해제는 록킹 요소(742)가 원통부(724) 내에 형성된 환형 슬롯(728)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하며, 이에 의해 장착구(722)를 커넥터 몸체(734) 속으로 록킹시킨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커넥터 장착구(234)는 미네소타주 세인트 파울에 소재하는 콜더 프로덕츠 컴패니(Colder Products Company)에 의해 제조된 장착구이다.
이제 도 20을 참조하면, 링크 조립체(810)가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이 링크 조립체(810)가 설치되어 플렉시블 커넥터(712)를 비활성화 대상 의료 도구(B) 상의 장착구(802)에 부착하며, 이 장착구(802)는 도 2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링크 조립체(810)는 배관(714)을 수용하기 위해 치수 조정되는 제1 단부(812a)를 구비한 엘보우 장착구(812)를 포함한다. 호스 또는 튜브 클램프(814)가 엘보우 장착구(812)의 제1 단부(812a) 상으로 배관(714)을 록킹시킨다. 엘보우 장착구(812) 의 제2 단부(812b)는 슬리브(822)에 부착된다. 이 슬리브(822)는 일반적으로 형상이 원통형이고, 내향으로 연장하는 환형 벽(822a)을 구비한다. 외향으로 연장하는 환형 플랜지(816)는 엘보우 장착구(812)의 제2 단부(812b)에 형성된다. 엘보우 장착구(812) 상의 플랜지(816)는 보류 링(824)에 의해 슬리브(822)의 환형 벽(822a)에 포획 및 유지된다. 슬리브(822)의 내향 연장 환형 벽(822a)은 엘보우 장착구(812)를 통해 개방 구멍과 연통하는 개방 구멍(826)을 형성한다. 환형 벽(822a)의 내측 가장자리와 엘보우 장착구(812)의 개방 구멍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하게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칼라(832)는 슬리브(822)의 단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이 칼라(832)는 의료 도구(B) 상의 장착구(802)의 수나사를 맞추기 위해 치수 조정되는 암나사(832a)를 구비한다. 관상 밸브 요소(842)가 슬리브(822)와 칼라(832) 사이에 배치된다. 밸브 요소(842)는 자신을 통과하는 통로(842a)를 형성한다. 이 밸브 요소(842)는 자신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L자 모양의 환형 벽(844)을 구비한다. 이 환형 벽(844)은 밸브 요소(842) 주위에 환형 리세스(846)를 형성한다. 헬리컬 스프링의 형태인 바이어싱 요소(848)는 밸브 요소(842)의 L자 모양의 환형 벽(844)과 슬리브(822)의 내향 연장 환형 벽(822a) 사이의 리세스(846) 내에 배치된다. 이 바이어싱 요소(848)는 슬리브(822) 내의 개방 구멍(826)으로부터 멀리 밸브 요소(842)를 바이어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밸브 요소(842) 내에 내장된 핀(852)은 슬리브(822)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슬롯(854) 내로 연장한다. 핀(852)과 슬롯(854)은 슬리브(822)에 대해 밸브 요소(842)의 위 치를 유지시키고, 슬리브(822) 내에서 밸브 요소(842)를 안내한다. 밸브 요소(842)의 L자 모양의 환형 벽(844)에는 노치 또는 개방 구멍(862)이 형성된다. L자 모양의 환형 벽(844)에 있는 노치 또는 개방 구멍(862)은 슬리브(822)를 통해 형성되는 개방 구멍(864)과 정렬된다.
의료 도구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 링크 조립체(81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를 취하며, 이 위치에서 밸브 요소(842)는 엘보우 장착구(812)와 이를 통해 형성되는 통로로부터 멀리 바이어싱된다. 이러한 점에서, 플렉시블 커넥터(712)를 통과하는 어떠한 유체의 일부도 밸브 요소(842) 내의 통로(842a)를 통과하지만, 다른 일부는 밸브 요소(842)를 바이패싱하고 밸브 요소(842) 주위로 유동하고, L자 모양의 환형 벽(844)과 슬리브(822)의 노치(862)와 개방 구멍(864)을 각각 통과한다.
의료 도구(B)의 장착구(802)에 적절하게 부착된 경우, 밸브 요소(842)는 제2 위치를 취하며, 이 위치에서는 밸브 요소(842)의 일단이 엘보우 장착구(812)의 표면에 안치되고, 밸브 요소(842)의 타단은 의료 도구(B) 상의 장착구(802)에 안치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커넥터(712)를 통과하는 유체는 밸브 요소(842) 내의 통로(842a)를 통해서만, 그리고 의료 도구(B) 상의 장착구(802) 내의 통로 속으로 안내되고, 이에 따라 의료 도구(B)의 내부 도관 및 통로를 통과한다.
이제 장치(10)는 그 동작에 대해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의료, 치과, 약학, 수의학 또는 영안실 도구 또는 기타 장치와 같은 비활성화 대상 물품의 하나 이상이 용기(200)에 적재된다. 어떤 물품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구 홀더(610) 내에 위치할 수 있지만, 다른 물품은 쟁반(202)의 바닥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 바닥의 표면 리세스(242, 244, 246, 248)에 위치한다.
이러한 점에서, 용기(200)는 다양한 형태의 의료 도구 및 기타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 임의의 의료 도구들은 자신을 관통하는 내부 도관, 즉 통로를 포함한다. 기관지경과 내시경과 같은 도구는 도구 홀더(610) 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서는 그러한 장치 상의 긴 플렉시블 튜브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섹션(652)의 환형 홀딩 영역(654) 내로 위치할 수 있다. 플렉시블 커넥터(712)는 쟁반(202) 상의 유체 통로(366)를 의료 도구의 내부 도관에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 커넥터(712)는 링크 조립체(810)가 의료 도구 상의 장착구에 맞춰져서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가 의료 도구의 내부 도관을 강제로 통과될 수 있도록 치수 조정된다. 의료 도구는 도구 홀더(610) 내에, 그리고 커넥터 장착구(234, 236)를 이용하여 쟁반(202)에 부착되는 플렉시블 커넥터(712)의 링크 조립체(8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때, 플렉시블 커넥터(712)의 링크 조립체(810)는 의료 장치 상의 포트(들), 즉 장착구에 부착된다.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컷 커넥터 조립체가 암컷 커넥터 조립체에 부착되는 경우라도 플렉시블 커넥터(712) 상의 링크 조립체(810)가 의료 도구 상의 장착구에 적합하게 연결되는 않는 경우, 비활성화 사이클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일단 플렉시블 커넥터(들)(712)가 쟁반(202) 및 의료 도구에 부착되고 나면, 뚜껑(550)은 쟁반(202) 위에 위치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가장 잘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쟁반(202)의 측벽(206)의 상향 연장 레일(212, 214)은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550) 상의 이격 벽(552, 554)과 상호 작용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550)은 측벽(206) 상의 레일(212, 214)의 상단에 안치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550)의 벽 부재(552, 554)는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일반적으로 U자 모양의 통로(562)가 뚜껑(500)의 정합 둘레와 측벽(206) 사이의 용기(200) 둘레로 연장하도록 측벽(206)의 레일(212, 214)보다 조금 더 짧다. 나선형이고 일반적으로는 사행형(蛇行形) 통로가 뚜껑(550)과 측벽(206)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다. 이 사행형 통로는 용기(200)의 내부와 용기(200)의 외부 사이로 연장한다.
쟁반(202) 상에 적절하게 배치된 뚜껑(550)으로 인해, 뚜껑(550)은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550) 상의 돌출 턱(574) 위에 손잡이 조립체(510)에서 래치 요소(524)를 활주시킴으로써 적소로 록킹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 비활성화될 미생물을 갖는 대상 도구 또는 물품이 쟁반(202) 내에 위치해서 이 쟁반에 뚜껑(550)이 부착 및 래칭되면, 록킹 장치(590)가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뚜껑(550)의 연장부(572) 및 손잡이 조립체(510)에 부착되어 뚜껑(550)이 쟁반(20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록킹 장치(590)는 그 위로 록킹 가능한 폴리머 스트랩(polymer strap)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200) 내의 오염된 도구와 이 용기에 부착된 록킹 장치(590)를 이용하면, 용기(200)는 비활성화 챔버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점에서, 제1 및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 360)와 유체 방출구 조립체(280)는 패널(14) 상의 밸브 작동 커넥터(410)와 정렬되고, 도 2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200)와 그 내부의 유체 통로를 제1 및 제2 분기 급수 라인(92, 94)과 유체 순환 장치(60)의 분기 복귀 라인(106)에 연결된다. 그때 화학 물질 운반 용기(34)는 장치(10)의 수용 우물(32)에 위치한다. 다음에 장치(10)의 뚜껑(42)은 폐쇄 및 래칭되며, 이에 의해 비활성화 챔버(50)를 밀봉시킨다.
도 12 및 도 13은 어떻게 패널(14) 상의 밸브 작동 커넥터(410)가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 360) 및 유체 방출구 조립체(280)와 상호 작용해서 용기의 내부를 각각의 분기 급수 라인(92, 94) 및 복귀 라인(106)과 유체 연통 상태로 두는 지를 보여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작동 커넥터(410)의 핀(454)이 관련 유체 조립체(280, 340, 360) 상의 플렉시블 밸브(312)를 밀어서 이 플렉시블 밸브를 밀봉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환언하면, 일단 용기(200)가 비활성화 챔버 내에 위치하고 대응하는 밸브 작동 커넥터(410)와 상호 작용하면, 분기 인입 라인(92, 94)은 용기의 내부와 유체 연통 상태로 되고, 분기 복귀 라인(106)은 용기(200)의 내부와 유체 연통 상태로 된다.
물품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화학 물질 운반 용기(34) 내의 건조 화학 물질 시약을 유입수와 노출 및 혼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과초산 유체와 같은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와 미생물적으로 비활성화된다. 이러한 점에서, 비활성화 동작의 초기에 유체 순환 장치(60)의 배수 밸브(122)가 폐쇄되고, 물 인입 라인(62)의 밸브(72)가 개방되어 온수가 유체 순환 장치(60)로 유입할 수 있게 한다. 유입수는 처음에 1 미크론 이상과 같은 소정 크기 이상의 거대 입자를 제거하는 필터 요소(64, 66)에 의해 여과된다. 이들 필터 요소(64, 66)는 더 작은 크기의 입자를 성공적으로 여과하도록 크기 조정된다. 그때 유입수는 자외선(UV) 방사선을 물에 가해서 물 속의 바이러스 수준을 감소시키는 자외선 처리 장치(68)에 의해 처리된다. 다음에, 유입수는 밸브(72)를 지나서 유체 순환 장치(60)로 들어간다. 이어서 유입수는 장치 급수 라인(82)의 미세 필터 요소(84, 86)에 의해 여과되고, 유체 순환 장치(60), 비활성화 챔버(50) 및 용기(200)를 채우기 위해 진행한다. 모든 유입수는 필터 요소(84, 86)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장치(10) 속으로 유입하는 물의 여과를 보장한다.
유입수는 외부 소스로부터 압력을 받고, 유체 순환 장치(60), 비활성화 챔버(50), 및 장치(10)의 최고점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용기(200) 내의 공기를 강제한다. 물이 장치(10)로 들어간 결과, 장치 내의 공기는 공기 인입/유체 오버플로우 조립체(132)로 이동하게 된다.
공기 인입/유체 오버플로우 조립체(132)를 통과하는 물이 존재하면, 이것은 장치가 충전 상태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때 장치 제어기는 물 밸브(72)가 폐쇄되도록 만들며, 이에 의해 장치(10), 즉 유체 순환 장치(60), 비활성화 챔버(50) 및 용기(200)로 물의 흐름을 중지시킨다.
전술한 설명은 기본적으로 장치(10)의 물 충전 단계에 관한 것이다.
일단 장치(10)가 물로 채워지면, 장치 제어기는 제너레이션(generation) 및 노출 단계의 동작을 개시하며, 이때 펌프(116)는 유체 순환 장치(60), 비활성화 챔버(50) 및 용기(200)를 통해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에너지를 받는다. 제2 분기 급수 라인(94)의 밸브(102)는 개방하여 화학 물질 운반 용기(34)를 통과하는 흐름을 생성한다. 화학 물질 운반 용기(34) 내에 있는 물과 건조 화학 물질 시약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과초산인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를 생성한다. 건조 화학 물질 시약으로부터 생성된 비활성화 유체는 유체 순환 장치(60) 내로 유동하고, 이때 비활성화 유체는 펌프(116)의 운전에 의해 유체 순환 장치(60), 비활성화 챔버(50) 및 용기(200)를 통해 순환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의 일부는 용기(200) 주위의 비활성화 챔버(50) 속으로 유동하고,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의 다른 일부는 용기(200)와 그 내부에 수용된 물품의 내부를 거쳐 통과한다. 분기 급수 라인(92)을 통해 제1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로 유동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는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0) 내의 통로를 통해 분사 노즐(256, 258)로 안내된다. 따라서,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는 용기(200)의 내부 캐비티(208) 속으로 강제되어 이를 채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유체 인입구 조립체(340)로 유동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는 측벽(206)의 통로(354)를 통해 용기(200)와 뚜껑(550) 사이에 형성된 U자 형상의 틈새(562)로 안내되는데, 이는 도 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용기(200) 속으로 유동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의 일부는 튜브(352)를 통해 측벽(206)을 지나는 통로(354)를 경유하여 뚜껑(550)과 쟁반(202) 사이의 경계선으로 안내되며,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는 뚜껑(550)과 측벽(206)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의 U자 형상의 틈새(562)를 통해 쟁반(202)의 대향 측으로 유동하며, 여기에서는 유체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206)의 최내측 레일(212)에 형성된 개방 구멍(218)을 통해 쟁반(202)의 내부 캐비티(208)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기본적으로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는 밀봉 영역으로 강제되는데, 이 영역에서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가 밀봉부 전역으로 유동하며, 이에 의해 용기(550)와 뚜껑(550) 사이에 형성된 나선형 사행 통로를 비활성화시킨다.
제2 유체 인입 조립체(360) 속으로 유동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커넥터(712)를 통해 의료 도구의 내부 도관으로 안내된다. 용기(200)를 통과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는 분기 유체 복귀 라인(106)과 장치 복귀 라인(112)을 경유하여 펌프(116)로 복귀한다. 비활성화 챔버(50)를 통과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는 분기 유체 복귀 라인(108)과 장치 복귀 라인(112)을 경유하여 펌프(116)로 복귀한다. 화학 물질 운반 용기(34)를 통과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는 분기 유체 복귀 라인(104)과 장치 복귀 라인(112)을 경유하여 펌프(116)로 복귀한다. 펌프(116)는 용기(200) 내의 물품의 오염을 제거하고, 이외에도 유체 순환 장치(60)의 부품과 유체 도관의 오염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소정 기간 동안 유체 순환 장치(60)를 통해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를 연속적으로 재순환시킨다.
소정의 노출 기간 후에, 장치 제어기는 배수 단계를 개시하며, 이때 배수 밸브(122)는 개방하고,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는 유체 순환 장치(60), 비활성화 챔버(50) 및 용기(200)로부터 배수된다.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가 장치(10)로부터 배수된 후에, 1회 이상의 세정 단계 가 수행되어 잔류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와 용기(200) 내의 비활성화된 물품으로부터 잔존물도 세정한다. 이러한 점에서, 충전 단계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인입구 밸브(72)가 열려 담수를 장치(10)로 도입시킨다. 각각의 세정 충전 후에 세정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된다. 펌프(116)는 작동되어 장치(10)를 통해 세정수를 순환시킬 수도 있다. 각각의 충전, 순환, 및 배수 단계 동안에, 유체 오버플로우/공기 보급 조립체(132)가 작동하여 생물 오염 물질이 장치(10) 내의 내부 환경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순환된 비활성화 유체는 필터 요소(84, 86)를 통과한다. 장치의 각 부분을 통과하는 유체의 약은 유체 순환 장치(60) 내에 배치된 밸브들을 통제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필터 급수 라인(82)과 필터 요소(84, 86)를 통과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는 필터 요소(84, 86)를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에 노출시킴으로써 필터 요소(84, 86)의 비활성화를 보장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필터 요소(84, 86)를 통한 비활성화 유체의 흐름은 필터 요소(84, 86)를 비활성화시키고, 물 충전 사이클 동안에 필터 요소(84, 86)로 들어갈 수 있는 어떠한 생물 오염물도 비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장치(10)의 매회 동작 동안에 필터 요소(84, 86)는 비활성화 유체에 노출되어 필터 요소를 비활성화시킨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이패스 라인(76)은 필터 요소(84, 86)를 통과하는 화학 물질의 양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는 비활성화 단계 동안에 폐쇄 루프 유체 순환 장치(60) 전역에 걸쳐 유동하며, 이에 의해 유체 순환 장치(60)의 오염을 제거하고 유체 순환 장치(60)를 구성하는 부품 및 유체 도관의 오염을 제거한다. 환언하면, 유체 순환 장치(60)는 각각의 오염 제거 사이클 동안에 오염 제거된다.
일단 비활성화 단계가 완료되면, 장치(10)의 뚜껑(42)은 개방될 수 있고, 그 내부의 비활성화된 도구를 가진 용기(200)는 분리될 수 있다. 유체 조립체(280, 340, 360)는 용기(200)가 장치(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폐쇄 위치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용기(200)의 내부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비활성화 도구는 용기(200) 내에 일종의 비활성화된 패키징으로서 존재할 수 있고, 장기간 동안 선반에 보관될 수 있는데, 이때 용기 내의 도구는 주위 환경에 대한 노출이 없기 때문에 미생물적으로 비활성화된 환경에 남아 있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대기가 용기(200)로 유입하는 유일한 방법은 레일(212, 214), 쟁반(202)의 벽 영역(552, 554) 및 뚜껑(550) 각각에 의해 형성된 곡선 경로를 통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그러한 설계는 미생물적으로 비활성화된 내부 상태로 인해 사행 U자 형상의 틈새(562)를 따라 박테리아 또는 유기체의 이동을 방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더 나아가, 용기(200)로부터 유체를 강제하는 공기 분출 단계에도 불구하고, 용기(200)의 내부가 다소 "축축한" 상태로 남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용기(200)의 축축한 내부는 저온 오븐에서 건조될 수 있는데, 이때 습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기(200)의 내부로부터 내몰리게 된다. 뚜껑(550)과 쟁반(202) 상의 록킹 장치(590)는 원래 그대로인 경우, 이 록킹 장치(590)는 내부의 도구가 미생물적으로 비활성화된 것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용기(200)가 개방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 다.
미생물적으로 비활성화된 기구가 용도상 필요한 경우, 뚜껑(550)은 단지 래칭 요소(524)를 그 록킹 위치로부터 멀리 활주시킴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이제 도 23을 참조하면, 의료 도구(B) 상의 장착구(802)에 링크 조립체(810)의 적절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한 감시 장치(910)를 예시하고 있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감시 장치(910)는 일반적으로 압력 센서(912), 제어기(914), 경보기(916), 표시 유닛(918) 및 입력 유닛(922)으로 구성된다.
압력 센서(912)는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60)를 통해 플렉시블 커넥터(들)(712)로 유동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 압력 센서(912)는 감지된 유체 압력값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전기 신호는 후술하는 제어기(914)에 의해 수신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압력 센서(912)는 압력 변환기(pressure transducer)의 형태를 취한다.
제어기(914)는 다른 장치 동작 및 부품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는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기(912)는 프로그래밍되어 플렉시블 커넥터(712) 상의 유동 가능한 링크 조립체(810)가 각각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감지된 유체 압력값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용기(200) 내에 적절하게 연결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 경보기(916)는 가청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발생 수단(예컨대, 스피커)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업자에게 오류 상태, 즉 배관의 부적합한 연결을 경고하기 위해 설치된다.
표시 유닛(918)은 작업자와 시각적으로 통신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바람직 한 실시 형태에서, 표시 유닛(918)은 액정표시장치(LCD) 또는 발광다이오드(LED) 표시장치의 형태를 취한다.
입력 유닛(922)은 작업자가 데이터를 제어기(914)로 입력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입력 유닛(922)은 종래의 키패드 또는 키보드의 형태를 취한다.
이제 감시 장치(910)의 동작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902)는 제2 유체 인입구 조립체(360)를 통해 플렉시블 커넥터(712)로 유동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 압력 센서(912)는 제어기(914)에 의해 수신되는 감지된 유체 압력값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기(912)는 프로그래밍되어 [압력 센서(912)로부터 수신되는] 감지된 유체 압력값이 의료 도구(B) 상의 장착구(802)에 대한 플렉시블 커넥터(712) 상의 유동 가능한 링크 조립체(810)의 적절한 연결과 관련된 소정 압력값을 나타내는 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914)가 감지된 유체 압력값을 소정 압력값과 비교한다. 비교가 소정 압력값으로부터 현저한 편차를 나타내는 경우, 제어기(914)는 의료 도구(B)에 대한 부적절한 연결이 용기(200)에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부적절한 연결은 링크 조립체(810)가 의료 도구 상의 장착구(802)에 부적절하게 연결되었던 결과일 수 있다. 도 22는 의료 도구(도 22에서 도시되지 않았음) 상의 정합 장착구(802)에 적절하게 연결되어 있는 링크 조립체(810)를 보여주고 있다. 링크 조립체(810)가 도시된 의료 장치에 연결되는 경우, 밸브 요소(842)는 엘보우 장착구(812)와 장착구(802)에 꼭 맞게 안착된다. 플렉시블 커넥터(712)를 통과하는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 전부는 의료 장치의 내부 도관으로 강제되고, 소정 압력값을 형성하게 된다.
링크 조립체(810)가 장착구(802)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링크 조립체(810)가 의료 도구 상의 장착구(802)와 정합하지 않는 경우, 밸브 요소(842)는 엘보우 장착구(812)와 장착구(802)에 부적절하게 안착되며, 이에 의해 유체가 슬리브(822) 내의 개방 구멍(864)를 통해 밸브 요소(842) 주위로 또는 장착구(802)와 슬리브(822) 사이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압력 센서(912)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압력값보다 낮은 압력에 이를 수 있고, 이러한 낮은 압력은 유동 가능한 플렉시블 커넥터(712)와 의료 도구 사이의 연결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장치 제어기가 연결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예상보다 더 낮은 압력은 플렉시블 커넥터(712) 상의 수컷 장착구(722)가 쟁반(202) 상의 커넥터 장착구(234 또는 236)에 적절하게 부착되지 않았다는 표시일 수 있다.
게다가, 부적절한 연결은 2개의 플렉시블 커넥터(712)는 하나 이상의 의료 장치 상의 2개 포트에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2개의 유동 가능한 플렉시블 커넥터(712) 중의 단지 하나만 의료 도구에 부착된 결과일 수도 있다. 부적절한 유동 가능한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에 더 낮은 압력이 감지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부적절한 연결을 검출한 결과, 제어기(914)는 경보기(916)를 작동시켜 가청 경고 신호를 작업자에게 보내고, 표시 유닛(918)을 제어하여 (a) 부적절한 연결이 검출된 경우 장치(10), 특히 용기(200) 내에서 지점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표시하고, (2) 부적절한 연결을 정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시각적 및/또는 서면 지시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912)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압력 센서(912)는 각각의 플렉시블 커넥터(712)와 결합될 수 있다.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는 단지 예시용으로만 설명되었고, 다양한 변경 형태 및 변형 형태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를 활용하는 재처리기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가스 또는 증기 미생물 비활성화 유체가 사용되는 재처리 장치에 사용된다는 것이 예상된다. 그러한 변형 형태 및 변경 형태는 모두 청구되는 본 발명 또는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4)

  1. 재처리기에서 비활성화될 미생물을 갖는 물품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바닥벽과 이 바닥벽의 둘레에서 일측으로 연장하는 연속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벽과 측벽은 비활성화될 미생물을 갖는 도구 및 물품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것인 쟁반;
    상기 쟁반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캐비티를 덮도록 치수 조정되어 있는 뚜껑;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는 상기 쟁반 내의 유체 인입구;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는 상기 쟁반 내의 유체 방출구, 여기서 상기 유체 인입구와 상기 유체 방출구 각각은, 상기 재처리기 상에 있는 기계식 밸브 작동 커넥터에 의해 가동되고 상기 용기를 통해 비활성화 사이클 도중에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캐비티를 밀봉하는 밀폐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단일-부품의 플렉시블 밸브를 가짐; 및
    상기 플렉시블 밸브는 상기 쟁반에 대해 가동가능한 제 1 부위 및 상기 쟁반에 대해 고정된 제 2 부위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위는 상기 제 2 부위에 다수의 방사상 연장되는 아암에 의해 연결되어서 된 용기.
  2. 제 1 항에서, 상기 플렉시블 밸브들의 상기 제 2 부위는 상기 쟁반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2 항에서, 상기 플렉시블 밸브들의 각각은 상시 폐쇄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3 항에서, 상기 플렉시블 밸브 각각의 상기 제 1 부위는 상기 재처리기 상의 밸브 작동 커넥터에 의해 가동하며, 상기 밸브 작동 커넥터는 상기 재처리기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 내의 상기 플렉시블 밸브와 맞물리도록 치수조정되며,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 밸브의 상기 제 1 부위는 상기 용기가 상기 재처리기 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개방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1 항에서, 상기 플렉시블 밸브 각각은 탄성 플렉시블 밸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1 항에서, 상기 쟁반은 3개의 플렉시블 밸브들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상기 쟁반 내에서 관련 개방 구멍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재처리기에서 비활성화될 미생물을 갖는 물품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상기 비활성화 대상 물품을 수용하는 쟁반;
    상기 쟁반을 덮고, 상기 비활성화 대상 물품을 수용하는 내부 밀봉 캐비티를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뚜껑;
    상기 캐비티 속의 유체 인입구 통로;
    상기 캐비티 속의 유체 방출구 통로; 및
    상기 쟁반 상에서 상기 통로와 연관되어 있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재처리기 상의 밸브 작동 커넥터와 접촉을 통해 가동하고 상기 용기가 상기 재처리기 내에 위치될 때 상기 개방 위치로 가동하고 상기 용기가 상기 재처리기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폐쇄 위치로 가동하는 플렉시블 밸브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밸브 조립체들,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 밸브는 상기 쟁반에 대해 가동하는 제 1 부위와 상기 쟁반에 대해 고정된 제 2 부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위는 상기 제 2 부위에 다수의 방사상 연장되는 아암에 의해 연결되어서 된 용기.
  8. 제 7 항에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재처리기 상의 밸브 작동 커넥터에 의해 가동하고 상기 밸브 작동 커넥터는 상기 재처리기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의 상기 플렉시블 밸브와 맞물리도록 치수조정된(dimension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7 항에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쟁반에 대해 가동되는 제 1 부위를 갖는 플렉시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밸브의 상기 제 1 부위는 상시 폐쇄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 9 항에서, 상기 플렉시블 밸브의 상기 상시 폐쇄된 제 1 부위는 상기 용기가 상기 재처리기 내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재처리기 상의 외부 밸브 작동 커넥터에 의해 상기 개방 위치로 가동하고, 상기 밸브 작동 커넥터는 상기 재처리기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의 상기 플렉시블 밸브와 맞물리도록 치수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 10 항에서, 상기 용기는 내부에 둘 이상의 통로와, 각각의 통로와 연관된 밸브 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통로들 중의 하나는 유체 인입구이고, 나머지 하나는 유체 방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물품 위에 있는 미생물을 비활성화하는 장치로서:
    비활성화 챔버를 통해 미생물 오염 제거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장치, 상기 비활성화 챔버는 순환장치의 일부를 형성함;
    비활성화 대상 물품을 수용하고, 이 비활성화 대상 물품이 위치할 수 있는 밀봉 캐비티를 구비하는 용기, 상기 용기는 상기 캐비티 안과 바깥으로 유체 흐름을 조절하는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가동하는 단일-부품의 플렉시블 밸브를 각각 갖는 유체 인입구 및 유체 방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플렉시블 밸브 각각은 상기 용기에 대해 가동되는 제 1 부위 및 상기 용기에 대해 고정된 제 2 부위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위는 상기 제 2 부위에 다수의 방사상 연장되는 아암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 및
    상기 비활성화 챔버 내에서 상기 용기가 상기 비활성화 챔버 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플렉시블 밸브를 개방 위치로 가동되도록 작동되는 각각의 플렉시블 밸브와 관련있는 밸브 작동 커넥터, 상기 밸브 작동 커넥터는 상기 플렉시블 밸브와 맞물리고 여기서 상기 용기 내의 캐비티는 상기 플렉시블 밸브들이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순환장치와 유체 연통 상태로 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순환장치는 상기 비활성화 챔버와 연통하는 제1 유체 인입 라인과 유체 방출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비활성화 챔버 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순환장치의 제1 유체 인입 라인과 유체 방출 라인과 각각 연통하는 제1 유체 인입구와 유체 방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위에 있는 미생물을 비활성화하는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 12 항에서, 상기 밸브 작동 커넥터 각각은 플렉시블 밸브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용기가 상기 비활성화 챔버 내에 위치했을 때 상기 플렉시블 밸브를 개방 위치로 가동시키고, 상기 밸브 작동 커넥터는 상기 용기 내의 상기 플렉시블 밸브와 맞물리도록 치수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위에 있는 미생물을 비활성화하는 장치.
  17. 삭제
  18. 제 12 항에서, 상기 비활성화 챔버는 하우징 패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밸브 작동 커넥터들은 상기 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패널에 대해 상기 밸브 작동 커넥터의 제한된 운동을 허용하고, 상기 밸브 작동 커넥터는 상기 용기 내의 상기 플렉시블 밸브와 맞물리도록 치수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위에 있는 미생물을 비활성화하는 장치.
  19. 제 12 항에서, 상기 미생물 오염 제거 유체는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위에 있는 미생물을 비활성화하는 장치.
  20. 제 12 항에서, 상기 순환장치는 폐쇄 루프이며, 상기 미생물 오염 제거 유체는 상기 폐쇄 루프를 통해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위에 있는 미생물을 비활성화하는 장치.
  21. 제 1 항에서, 재처리기 상의 기계식 밸브 작동 커넥터와의 접촉을 통해서 개방 위치와 밀폐 위치 사이로 가동되는 플렉시블 밸브를 갖는 제 2 유체 인입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2. 제 21 항에서, 상기 제 2 유체 인입구는 상기 용기 내의 노즐과 유체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3. 제 21 항에서, 상기 제 2 유체 인입구는 상기 용기 내의 의료도구와 연결가능한 유체 커넥터와 유체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4. 재처리기에서 비활성화될 미생물을 갖는 물품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하기:
    바닥벽과 이 바닥벽의 둘레에서 일측으로 연장하는 연속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벽과 측벽은 비활성화될 미생물을 갖는 도구 및 물품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것인 쟁반;
    상기 쟁반에 부착 가능하고, 상기 캐비티를 덮도록 치수 조정되어 있는 뚜껑;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는 상기 쟁반 내의 유체 인입구;
    상기 캐비티와 연통하는 상기 쟁반 내의 유체 방출구, 여기서 상기 유체 인입구와 상기 유체 방출구 각각은, 상기 용기를 통해 비활성화 사이클 도중에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캐비티를 밀봉하는 밀폐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재처리기 상의 기계식 밸브 작동 커넥터에 의해 가동되는 단일-부품의 플렉시블 밸브를 가짐; 및
    상기 재처리기 상의 기계식 밸브 작동 커넥터와 접촉을 통해 개방 위치와 밀폐 위치 사이로 가동되는 플렉시블 밸브를 갖는 제 2 유체 인입구, 여기서 상기 유체 인입구는 상기 쟁반과 상기 뚜껑 사이에서 치수조정된 밀봉과 유체 연통하여서 된 용기.
KR1020067002164A 2003-08-01 2004-07-28 물품을 비활성화해서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 및장치 KR100763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33,349 US7476368B2 (en) 2003-08-01 2003-08-01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US10/633,349 2003-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591A KR20060057591A (ko) 2006-05-26
KR100763792B1 true KR100763792B1 (ko) 2007-10-05

Family

ID=3410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164A KR100763792B1 (ko) 2003-08-01 2004-07-28 물품을 비활성화해서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476368B2 (ko)
EP (1) EP1654399B1 (ko)
JP (1) JP4204616B2 (ko)
KR (1) KR100763792B1 (ko)
CN (1) CN1829824B (ko)
AT (1) ATE481112T1 (ko)
AU (1) AU2004261178B2 (ko)
CA (1) CA2532500C (ko)
DE (1) DE602004029169D1 (ko)
ES (1) ES2350580T3 (ko)
TW (1) TWI283589B (ko)
WO (1) WO20050117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9502B1 (de) * 2005-08-05 2008-04-02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Pflege- oder Reinigungsgerät für medizinische Instrumente
FR2890866A1 (fr) * 2005-09-20 2007-03-23 Aline Read Dispositif permettant de limiter ou de supprimer la flore bacterienne presente sur des articles de nettoyage menagers.
US7340943B2 (en) * 2005-09-30 2008-03-11 Ethicon, Inc. Method of detecting connection of test port on an endoscope
US20080311585A1 (en) * 2005-11-02 2008-12-18 Affymetrix,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x liquid handling
JP4789590B2 (ja) * 2005-11-15 2011-10-12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洗滌消毒装置、該内視鏡洗滌消毒装置の洗滌消毒制御方法
JP4624935B2 (ja) * 2006-02-02 2011-02-02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洗滌消毒装置
EP1998816B1 (en) * 2006-03-06 2016-05-11 American Sterilizer Company A container for holding items to be microbially deactivated in a reprocessor
US7749330B2 (en) * 2007-03-30 2010-07-06 Ethicon, Inc. Washer and decontaminator with lid control
WO2010045138A2 (en) * 2008-10-17 2010-04-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iological sterilization indicator, system, and methods of using same
GB2490745B (en) * 2011-05-13 2013-12-11 Bioquell Uk Ltd Improvements i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surface
GB201506351D0 (en) * 2015-04-15 2015-05-27 Depuy Ireland Surgical instrument pack,and method,system and container for sterilizing surgical instruments
CN112402640A (zh) 2015-05-15 2021-02-26 维兰德.K.沙马 用于内窥镜的蒸汽灭菌的系统和方法
US10139104B2 (en) * 2016-06-02 2018-11-27 Steris Instrument Management Services, Inc. Hand held flow-through steam system
US10368579B2 (en) * 2017-05-01 2019-08-06 Yongjie James Xu Microvaporizer quick-release mechanism
JP6945068B2 (ja) * 2018-05-07 2021-10-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リプロセッサ
US11963669B2 (en) 2018-12-18 2024-04-23 Asp Global Manufacturing Gmbh Reprocessing case
WO2021116805A1 (en) * 2019-12-13 2021-06-17 Asp Global Manufacturing Gmbh Endoscope decontamination rack
US11980696B1 (en) * 2022-03-04 2024-05-14 Disinfection Technology Solutions LLC Hypochlorous acid medical probe disinfection chamb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7698A (en) * 1986-02-06 1993-06-08 Steris Corporation Office size instrument sterilization system
US5534221A (en) * 1992-03-13 1996-07-09 American Sterilizer Company Device and system for sterilizing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029A (en) * 1909-06-28 1910-05-03 Foster W Bassett Flushing-valve.
US1247643A (en) * 1917-02-19 1917-11-27 Alliance Company Float-valve.
US3267491A (en) * 1964-04-28 1966-08-23 Mansfield Sanitary Inc Flush valve assembly
US4247517A (en) 1975-12-15 1981-01-27 Roger S. Sanderson Sterilized storage container
US4196166A (en) 1975-12-15 1980-04-01 Roger S. Sanderson Sterilized storage container
US4445551A (en) * 1981-11-09 1984-05-01 Bond Curtis J Quick-disconnect coupling and valve assembly
NL8300386A (nl) * 1983-02-02 1984-09-03 Steritech Bv Inrichting voor het steriel met elkaar in verbinding stellen van twee kamers.
DE3513205C1 (de) * 1985-04-12 1987-01-15 Fresenius Ag Konnektor fuer die Peritonealdialyse
US5077008A (en) 1986-02-06 1991-12-31 Steris Corporation Anti-microbial composition
US5552115A (en) * 1986-02-06 1996-09-03 Steris Corporation Microbial decontamination system with components porous to anti-microbial fluids
US5116575A (en) 1986-02-06 1992-05-26 Steris Corporation Powdered anti-microbial composition
US4731222A (en) 1986-02-06 1988-03-15 Innovative Medical Technologies Automated liquid sterilization system
US4660803A (en) * 1986-02-26 1987-04-28 Suncast Corporation Quick coupling connector for connecting flexible liquid conduits
CA2012862C (en) * 1989-05-09 1995-11-07 Edward T. Schneider Container for holding equipment during sterilization
US4915351A (en) * 1989-06-30 1990-04-10 Hoffman Albert R Hose coupling valve
US5443801A (en) * 1990-07-20 1995-08-22 Kew Import/Export Inc. Endoscope cleaner/sterilizer
US5310524A (en) * 1992-02-11 1994-05-10 Minntech Corporation Catheter reprocessing and sterilizing system
CN2133297Y (zh) * 1992-09-10 1993-05-19 石晓红 自动控制医用灭菌柜
US5280876A (en) * 1993-03-25 1994-01-25 Roger Atkins Limited restriction quick disconnect valve
US5806551A (en) * 1993-11-19 1998-09-15 Novoste Corporation Automatic fluid control valve
US5439654A (en) 1994-03-10 1995-08-08 Steris Corporation Cutter for opening sterilant reagent cups
US5529750A (en) 1994-09-08 1996-06-25 Steris Corporation Container with internal liquid distribution port for holding equipment with internal passages during sterilization
US5753195A (en) 1996-01-02 1998-05-19 Kew Import/Export Inc. Cleaning and sterilizing mechanism
US5711921A (en) 1996-01-02 1998-01-27 Kew Import/Export Inc. Medical clean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US6528017B2 (en) 1997-04-04 2003-03-04 Ethicon, Inc. System and method for sterilizing a lumen device
US7556767B2 (en) 1997-12-17 2009-07-07 Ethicon, Inc. Integrated washing and sterilization process
US6596232B1 (en) 1997-12-17 2003-07-22 Ethicon, Inc. Devic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positive pressure with two partitions to minimize leakage
CN2516123Y (zh) * 2002-01-25 2002-10-16 徐沁甜 内窥镜超声消毒清洗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7698A (en) * 1986-02-06 1993-06-08 Steris Corporation Office size instrument sterilization system
US5534221A (en) * 1992-03-13 1996-07-09 American Sterilizer Company Device and system for sterilizing o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61178A1 (en) 2005-02-10
EP1654399A4 (en) 2008-04-02
WO2005011746A2 (en) 2005-02-10
JP2007501056A (ja) 2007-01-25
CN1829824A (zh) 2006-09-06
ES2350580T3 (es) 2011-01-25
CA2532500A1 (en) 2005-02-10
EP1654399B1 (en) 2010-09-15
US20050025686A1 (en) 2005-02-03
EP1654399A2 (en) 2006-05-10
DE602004029169D1 (de) 2010-10-28
US7476368B2 (en) 2009-01-13
JP4204616B2 (ja) 2009-01-07
WO2005011746A3 (en) 2005-06-16
KR20060057591A (ko) 2006-05-26
TWI283589B (en) 2007-07-11
TW200505513A (en) 2005-02-16
ATE481112T1 (de) 2010-10-15
AU2004261178B2 (en) 2009-02-26
CN1829824B (zh) 2010-06-23
CA2532500C (en) 201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792B1 (ko) 물품을 비활성화해서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 및장치
US7422729B2 (en)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JP4680468B2 (ja) 制御された漏出を伴って再処理する内視鏡のための流体接続システム
AU692519B2 (en) Microbial decontamination system with components porous to anti-microbial fluids
AU2001236742A1 (en) Fluid connection system for endoscope reprocessing with controlled leakage
JP3020610B2 (ja) 内部液体分配ポートを備え、内部流路を有する装置を滅菌時に保持する容器
KR100763788B1 (ko) 물품을 비활성화해서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 및장치
KR20060057584A (ko) 물품을 비활성화해서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