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421B1 - 편광 확대경 - Google Patents

편광 확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421B1
KR100763421B1 KR1020060005187A KR20060005187A KR100763421B1 KR 100763421 B1 KR100763421 B1 KR 100763421B1 KR 1020060005187 A KR1020060005187 A KR 1020060005187A KR 20060005187 A KR20060005187 A KR 20060005187A KR 100763421 B1 KR100763421 B1 KR 100763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ation
polarizing
housing
lifting body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908A (ko
Inventor
정병삼
Original Assignee
(주) 옵토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옵토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 옵토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060005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4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5Magnifying glasse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magnifying glass or the object view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2Eyepieces; Magnifying glasses with means for illuminating object view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4Eyepieces; Magnifying glasses affording a wide-angle view, e.g. through a spy-ho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 확대경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확대경은 피사체를 확대시키는 렌즈를 수용하고 이 렌즈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 방향으로 선형패턴이 형성되어 편광 정도를 조절하는 상 편광필터가 구비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확대 경통과, 상기 확대 경통이 상측으로 끼움 구비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외면 일측에 결합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는 내주면을 따라 고리 형태로 구비되면서 하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기판 및 광원의 하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되어 편광 정도를 조절하는 선형패턴이 형성된 고리형상을 갖는 하 편광필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일측에 결합 구성하고 그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하우중이 결합되는 승강체 및 이 승강체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드 홀을 통과하면서 승강체와 기어교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직 포스트 그리고 이 수직 포스트의 하단부가 결합되며 피조사체를 올려놓기 위해 받침면을 제공하는 테이블로 된 스탠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편광 확대경은, 독립적으로 회전 조절가능한 한쌍의 편광필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편광을 필터링함으로써 피사체의 관찰 대상부분에 대한 고품질의 이미지 획득을 가능하게 하여 판독의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확대경, 스텐드, 휴대, 렌즈, 편광

Description

편광 확대경{Polarization Magnifi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확대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확대경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편광 확대경의 요부를 일부 절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확대경의 요부 구성이 분리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확대경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광 확대경 10 : 확대 경통 11 : 렌즈
12 : 상 편광필터 16 : 위치 결정홈 20 : 하우징
21 : 기판 22 : 광원 23 : 하 편광필터
25 : 결합축 26 : 위치 결정구 26a : 스프링
30 : 스탠드 31 : 승강체 31a : 고정홀
32 : 수직 고정핸들 32a : 수직 나사축 33 : 높이 조절핸들
33a : 피니언 34 : 수평 고정핸들 34a : 수평 나사축
34a' : 라이닝 35 : 수직 포스트 36 : 랙크
37 : 테이블 38 : 제동 볼트 40 : 손잡이
본 발명은 편광 확대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의 방향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한쌍의 편광필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고품질의 이미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편광 확대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확대경은 루페(Lupe)라고도 하며, 광학적 기능으로서 눈 바로 가까이에 놓인 물체를 먼 데에 떨어져 있는 상(像:虛像)으로 바꿔 놓음으로써 그 물체를 명시거리(明視距離)에 놓아 육안으로 보는 것보다도 큰 시각(視角)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확대경은 피사체의 관찰대상 부분을 확대시켜 육안으로 검사하는 기구이며, 이와 같이 확대경을 통한 검사방법은 그 검사 결과가 사람의 육안에 의해 판단되어지므로 관찰 대상부분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 획득이 중요하다.
그러나, 통상의 확대경을 통해 피사체의 관찰대상부분을 관찰하는 경우에는 편광에 의해 관찰 대상부분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 획득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확대경에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ed Diode) 등을 장착하여 특정 파장의 광을 피사체에 조사하여 검사하는 방법 역시, 사람의 육안을 통해 검사가 이루어지므로 그 진단결과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LED 등은 단순히 피사체의 관찰시 피사체를 밝히는 용도로만 사용되어, 피사체 표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관찰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카메라 렌즈의 앞단에 편광필터를 설치하여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방법은 이미 잘 알려진 주지의 사실이다. 즉, 편광필터는 물이나 유리 등 금속이 아닌 물질 표면으로부터의 빛의 반사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이를 통해 피사체로부터 들어오는 반사광을 제거하여 선명하게 피사체를 필터링이 가능하다. 이러한 편광필터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람의 육안으로는 불가능한 정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즉, 상기한 카메라와 편광필터를 선단에 형성시키고 이를 영상처리 및 디스플레이하는 장비와 연계시킴으로써 정밀한 피사체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장비의 특성상 이동하면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렇게 고가의 장비를 특정목적, 즉 하나의 검사목적 용도로만 사용될 경우에는 피사체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기대할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쌍의 조절 가능한 편광필터를 사용하여 피사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편광을 필터링하여 감소 또는 제거시킴으로써 품질의 이미지 획득을 가능하게 하여 판독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편광 확대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탠드형과 휴대용으로 제공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편광 확대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확대경은, 피사체를 확대시키는 렌즈를 수용하고 이 렌즈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 방향으로 선형패턴이 형성되어 편광 정도를 조절하는 상 편광필터가 구비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확대 경통과; 상기 확대 경통이 상측으로 끼움 구비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외면 일측에 결합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는 내주면을 따라 고리 형태로 구비되면서 하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기판 및 광원의 하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되어 편광 정도를 조절하는 선형패턴이 형성된 고리형상을 갖는 하 편광필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일측에 결합 구성하고 그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하우중이 결합되는 승강체 및 이 승강체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드 홀을 통과하면서 승강체와 기어교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직 포스트 그리고 이 수직 포스트의 하단부가 결합되며 피조사체를 올려놓기 위해 받침면을 제공하는 테이블로 된 스탠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확대 경통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을 두고 위치 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홈에 대응되는 하우징의 상부 내주면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아 돌출되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홈에 선택적으로 끼움되는 위치 결정구가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승강체는, 일측에 결합축이 삽입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교차되게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나사 결합되는 수직 나사축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고정홀측으로 진입하여 결합축에 고정력을 생성하는 수직 고정핸들과;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이 회전축상에 수직 포스트에 형성된 랙크에 교합되는 피니언이 일체로 구성되는 높이 조절핸들과; 상기 높이 조절핸들과 평행하게 나사 결합되는 수평 나사축이 회전 조작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그 선단부가 슬라이드 홀을 통해 수직 포스트의 외면일측에 접촉하여 고정력을 생성하는 수평 고정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수직 포스트는 수평 고정핸들의 수평 나사축이 접촉되는 수직선상으로 마찰부재인 라이닝이 부착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승강체는 자중에 의해 급격하게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조절핸들의 회전축을 실리콘재로 된 마찰관으로 감싸며, 이 마찰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나사 조절방식에 의해 전·후 이동하여 그 선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마찰패드가 마찰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것에 의해 마찰력을 생성하는 제동 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확대경은 피사체를 확대시키는 렌즈를 수용하고 이 렌즈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 방향으로 선형패턴이 형성되어 편광 정도를 조절하는 상 편광필터가 구비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확대 경통과; 상기 확대 경통이 상측으로 끼움 구비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내부 일측에는 내주면을 따라 고리 형태로 구비되면서 하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기판 및 광원의 하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편광 정도를 조절하는 선형패턴이 형성된 고리형상을 갖는 하 편광필터 그리고 외부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돌출 연장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확대경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확대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확대경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편광 확대경의 요부를 일부 절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확대경의 요부 구성이 분리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 확대경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 확대경(1)은 크게 확대 경통(10)과 하우징(20)과 스탠드(30)로 구성된다.
상기 확대 경통(10)은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렌즈 (1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렌즈(11)는 눈 바로 가까이에 놓인 물체를 먼 데에 떨어져 있는 상(像:虛像)으로 바꿔 놓음으로써 그 물체를 명시거리(明視距離)에 놓아 육안으로 보는 것보다도 큰 시각(視角)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11)의 하측으로는 렌즈(1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 방향으로 선형 패턴이 형성되어 편광 정도를 조절하는 상 편광필터(12)가 구비된다. 이때의 상기 상 편광필터(12)는 상기 렌즈(11)의 직경과 대동소이한 크기로서 구비되며 선형패턴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선의 스크래치를 형성한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확대 경통(10)은 후술할 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구비되어 상 편광필터(1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편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술한 확대 경통(10)이 상측으로 끼움 구비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면서 내부에 기판(21)과 하 편광필터(23)가 구비될 수 있게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20)은 다양한 금속이나 플라스틱재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부 내주면에는 상술한 확대 경통(10)이 끼움될 수 있게 고리형상을 갖는 단턱(20a)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단턱(20a)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둔 내주면으로는 고리 형태를 가지면서 하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로 된 광원(22)을 구비하는 기판(21)이 설치되며, 이때의 기판(21)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배선된다.
또한 상기 기판(21)의 하측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둔 내주면으로는 하 편광필터(23)가 설치되며, 이때의 상기 하 편광필터(23)는 광원(22)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편광시키고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은 통과시키기 위하여 중앙부분이 관통된 형태 즉, 고리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20)은 그 외면 일측에 결합축(25)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며, 이때의 상기 결합축(25)은 스탠드(30)의 승강체(31)에 형성된 고정홀(31a)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확대 경통(10)을 하우징(20) 상에서 회전시킬 때 안정되고 절도감 있는 회전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확대 경통(10)의 외주면에 등간격을 두고 위치 결정홈(16)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하우징(20)의 상부 내주면에는 스프링(26a)의 탄성력을 받아 돌출되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홈(16)에 탄력적으로 끼움되는 위치 결정구(2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확대 경통(1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위치 결정구(26)가 위치 결정홈(16)에서 탄력적으로 분리되고 다음 위치에서 탄력적으로 끼움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확대 경통(10)의 위치 안정성과 회전동작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상기 스탠드(30)는 하우징(20)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승강체(31)와 이 승강체(31)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직 포스트(35)와 상기 승강체(31)와 수직 포스트(35)를 지지하면서 피사체를 올려 놓기 위한 받침면을 제공하는 테이블(3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체(31)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중앙부에 관통된 구멍인 슬라이드 홀(미부호)이 형성되어 수직 포스트(35)가 삽입 통과되는 구성이며, 이 수직 포스트(35)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도면에서 바라보면 우측방향으로 하우징(20)의 결합축(25)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축(25)에 대응되는 깊이를 갖는 고정홀(31a)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31a)에 교차되게 수직하는 방향으로 즉, 수직 포스트(35)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수직 나사축(32a)을 구비한 수직 고정핸들(32)이 설치된다. 이때의 상기 수직 고정핸들(32)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하며, 이 수직 고정핸들(32)에 일체로 구비되는 수직 나사축(32a)은 승강체에 나사체결되는 구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수직 고정핸들(32)은 사용자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직 나사축(32a)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선단부가 선택적으로 고정홀(31a)측으로 진입하여 결합축(25)의 외면에 접촉하여 고정력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체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3')을 일체로 구성한 높이 조절핸들(33)이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높이 조절핸들(33)은 그 일단에 연결되는 회전축(33')상에 피니언(33a)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33a)은 수직 포스트(35)에 형성된 랙크(36)에 교합되는 구조이며, 사용자가 높이 조절핸들(33)을 정·역방향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피니언(33a)이 랙크(36)를 따라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승강체(31)가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높이 조절핸들(33)의 일측으로는 나사조절방식에 의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수평 나사축(34a)을 구비한 수평 고정핸들(34)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수평 고정핸들(34)을 정·역 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이 수평 고정핸들(34)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승강체(31) 상에 나사 결합된 수평 나사축(34a)이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수평 나사축(34a)의 선단부는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홀을 통해 수직 포스트(35)의 외면 일측에 접촉하여 고정력을 생성하며, 이러한 고정력은 상기 승강체(31)의 높이 조절을 실시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체(31)를 수직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직 포스트(35)는 상기 수평 고정핸들(34)의 수평 나사축(34a)의 선단이 접촉되는 수직선상으로 마찰부재인 라이닝(34a')이 부착 구성되며, 이때의 라이닝(34a')의 재질은 완충성이 우수한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승강체(31)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는 수평나사축(34a)이 해제된 상태에서 승강체(31)가 결합되어 있는 확대 경통(10) 및 하우징(20)에 장착된 렌즈(11)를 포함한 여러 구성품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의 요부 확대도에서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핸들(33)의 회전축(33')은 완충성이 우수한 실리콘재로 된 관 형상을 갖는 마찰관(33b)이 감싸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마찰관(33b)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승강체(31) 상에 나사 관통구멍(미부호)이 형성되고, 이 나사 관통구멍에 나사체결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전·후 이동을 하는 제동 볼트(38)가 구비되며, 이 제동 볼트(38)는 그 선단부에 우레탄재로 된 마찰패드(38a)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제동 볼트(38)를 적절하게 나사조절방식으로 조절하게 되면, 그 선단부에 구비되는 우레탄재로 된 마찰패드(38a)가 마찰관(33b)의 외면 일측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마찰력이 생성되고, 이러한 마찰력은 결과적으로 승강체(31)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급격하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편광 확대경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스위치(미도시)를 온(ON) 시키면 광원(22)이 스탠드(30)의 테이블(37) 상에 놓여진 피사체를 조사하게 되고, 이때 상기 광원(22)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 편광필터(23)가 광원(22)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편광시켜 조사하게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반사되는 광은 자연광의 반사광에 대비하여 훨씬 선명한 상태를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확대 경통(1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키면, 이 확대 경통(10)상에 구비되는 상 편광필터(12)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피사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조작을 통해 피사체의 표면 이미지 정보를 최적의 상태에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편광 확대경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며, 휴대 가능한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편광 확대경(1)은 크게 확대 경통(10)과 하우징(20)으로 구성되며, 상기 확대 경통(10)과 하우징(20)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상기 하우징(20)은 외부 일측에 손잡이(4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서, 이 손잡이(4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팩이 탑재되며 사용자가 전원단속을 하기 위한 스위치가 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편광 확대경은, 독립적으로 회전 조절가능한 한쌍의 편광필터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편광을 필터링함으로써 피사체의 관찰 대상부분에 대한 고품질의 이미지 획득을 가능하게 하여 판독의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복잡한 전자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소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미지 정보 획득을 가능하게 하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피사체를 확대시키는 렌즈를 수용하고 이 렌즈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 방향으로 선형패턴이 형성되어 편광 정도를 조절하는 상 편광필터가 구비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확대 경통과;
    상기 확대 경통이 상측으로 끼움 구비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외면 일측에 결합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는 내주면을 따라 고리 형태로 구비되면서 하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기판 및 광원의 하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되어 편광 정도를 조절하는 선형패턴이 형성된 고리형상을 갖는 하 편광필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일측에 결합 구성하고 그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하우징이 결합되는 승강체 및 이 승강체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슬라이드 홀을 통과하면서 승강체와 기어교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직 포스트 그리고 이 수직 포스트의 하단부가 결합되며 피조사체를 올려놓기 위해 받침면을 제공하는 테이블로 된 스탠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확대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경통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을 두고 위치 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홈에 대응되는 하우징의 상부 내주면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아 돌출되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홈에 선택적으로 끼움되는 위치 결정구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확대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는,
    일측에 결합축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교차되게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나사 결합되는 수직 나사축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고정홀측으로 진입하여 결합축에 고정력을 생성하는 수직 고정핸들과;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이 회전축상에 수직 포스트에 형성된 랙크에 교합되는 피니언이 일체로 구성되는 높이 조절핸들과;
    상기 높이 조절핸들과 평행하게 나사 결합되는 수평 나사축이 회전 조작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그 선단부가 슬라이드 홀을 통해 수직 포스트의 외면일측에 접촉하여 고정력을 생성하는 수평 고정핸들;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확대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포스트는 수평 고정핸들의 수평 나사축이 접촉되는 수직선상으로 마찰부재인 라이닝이 부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확대경.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는 자중에 의해 급격하게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조절핸들의 회전축을 실리콘재로 된 마찰관으로 감싸며, 이 마찰관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나사 조절방식에 의해 전·후 이동하여 그 선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마찰패드가 마찰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것에 의해 마찰력을 생성하는 제동 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확대경.
  6. 피사체를 확대시키는 렌즈를 수용하고 이 렌즈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 방향으로 선형패턴이 형성되어 편광 정도를 조절하는 상 편광필터가 구비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확대 경통과;
    상기 확대 경통이 상측으로 끼움 구비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내부 일측에는 내주면을 따라 고리 형태로 구비되면서 하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기판 및 광원의 하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편광 정도를 조절하는 선형패턴이 형성된 고리형상을 갖는 하 편광필터 그리고 외부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돌출 연장되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확대 경통은 외주면에 등간격을 두고 위치 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홈에 대응되는 하우징의 상부 내주면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아 돌출되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홈에 선택적으로 끼움되는 위치 결정구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확대경.
  7. 삭제
KR1020060005187A 2006-01-18 2006-01-18 편광 확대경 KR10076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187A KR100763421B1 (ko) 2006-01-18 2006-01-18 편광 확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187A KR100763421B1 (ko) 2006-01-18 2006-01-18 편광 확대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908A KR20060011908A (ko) 2006-02-03
KR100763421B1 true KR100763421B1 (ko) 2007-10-05

Family

ID=3712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187A KR100763421B1 (ko) 2006-01-18 2006-01-18 편광 확대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4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470B1 (ko) * 2009-01-30 2011-09-05 오동오 조도조절이 가능한 육안검사용 확대장치
KR101461412B1 (ko) * 2013-12-19 2014-11-13 주식회사 케이에스허브 조명장치가 구비된 의료용 헤드 루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2448B2 (ja) * 2019-05-17 2023-07-21 シンクロア株式会社 目視支援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344Y1 (ko) 2003-10-18 2004-02-11 (주) 옵토바이오메드 편광확대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344Y1 (ko) 2003-10-18 2004-02-11 (주) 옵토바이오메드 편광확대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470B1 (ko) * 2009-01-30 2011-09-05 오동오 조도조절이 가능한 육안검사용 확대장치
KR101461412B1 (ko) * 2013-12-19 2014-11-13 주식회사 케이에스허브 조명장치가 구비된 의료용 헤드 루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908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4217B2 (en) Reflected dark field method and apparatus
JP5296686B2 (ja) 半導体蛍光アセンブリ及び顕微鏡
DE60136888D1 (de) Vorrichtung zur Bildaufnahme und Bildverarbeitung bei Brillengläsern
KR100763421B1 (ko) 편광 확대경
US11249296B2 (en) Microscope apparatus and objective lens unit
RU2227270C2 (ru) Измерение толщины боковой стенки стеклянного сосуда
KR20100028538A (ko) 관찰장치 및 방법
KR20120033965A (ko) 렌즈미터
JP6079432B2 (ja) 圧子ユニットおよび硬さ試験機
KR100956894B1 (ko) 고정도 광학 측정장치
JP2005534080A (ja) 磁気光学素子ホルダー及びそれを含む顕微鏡アセンブリ
CN212623326U (zh) 一种可调节式的显微镜
RU207250U1 (ru) Портативный микроскоп
JP2004003946A (ja) 眼鏡枠形状測定装置
JP2014026037A (ja) 顕微鏡装置
CN211890392U (zh) 一种研磨仪
KR102021598B1 (ko) 나노 단위를 볼 수 있는 광학현미경
EP0025122A1 (en) A microscope stage
JP2000097640A (ja) 光学式測定器及びこの測定器に用いる試料の測定台
US11448867B2 (en) Illumination apparatus, microscope apparatus, and cartridge
JP2010190817A (ja) 圧子取付用治具、硬さ試験機、及び圧子取付方法
JPWO2006067846A1 (ja) 顕微鏡用照明装置及び顕微鏡用照明システム
JP4547890B2 (ja) マーキング装置、対物レンズ、及び正立顕微鏡
JP4076374B2 (ja) 走査型プローブ装置
JP4494844B2 (ja) 眼鏡レンズ用自動治具装着装置及び眼鏡レンズ用吸着治具自動装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