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515B1 -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 Google Patents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515B1
KR100762515B1 KR1020070060460A KR20070060460A KR100762515B1 KR 100762515 B1 KR100762515 B1 KR 100762515B1 KR 1020070060460 A KR1020070060460 A KR 1020070060460A KR 20070060460 A KR20070060460 A KR 20070060460A KR 100762515 B1 KR100762515 B1 KR 100762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upled
knob
terminal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종합주방
Priority to KR102007006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24C3/103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of electric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싱의 일측으로 노출된 회전축에 가스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볼밸브가 결합되어지며 타측으로 노출된 회전축에 노브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케이싱과 회전축에 단자접속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중공부가 형성된 아우터축과 상기 아우터축에 끼워지는 인너축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아우터축은 일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측면으로 장공형태를 갖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타측에 중공부와 대향되는 노브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중공부에 인너 스프링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인너축은 상기 중공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드축과 상기 슬라이드축에 단턱지게 일체로 형성된 밸브고정축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축에 아우터 스프링이 끼워져 일측이 단턱으로 가압되어지며 상기 아우터 스프링의 타측이 아우터축에 가압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축의 끝단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암나사에 숫나사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점화구, 아우터축, 인너축, 슬라이드홈, 인너 스프링, 밸브고정축

Description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The autoignition system for the gas applian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의 분해 사시도.
도3a,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a~4d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의 노브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a,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의 노브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스토퍼와 스토퍼홈 및 컨트롤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화구가 설치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자동점화구에 있어 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8a,8b는 도7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케이싱 20:회전축
21:아우터축 22:인너축
23:인너 스프링 24:아우터 스프링
30:볼밸브 40:노브
50:단자접속부 211:중공부
212:슬라이드홈 213:노브삽입부
221:슬라이드축 222:밸브고정축
본 발명은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축에 결합된 노브를 누르면 단자접속부의 접속을 통해 이그나이터로 고압 전원이 방전되어지도록 하고, 방전되지는 가운데 노브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축에 결합된 볼밸브가 오픈됨에 따라 별도의 밸브 조작 없이도 가스기기에 점화시키며 불꽃의 량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기기의 하나인 조리기는 지지대 사이로 핸들에 연결된 가열체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대 또는 가열체의 일측에 뚜껑이 힌지 결합되어 있고, 가열체의 하부에는 버너가 설치되어 있으며 버너에는 가스공급관이 결합되어 연소에 필요한 가스가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리기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가열체를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열체에 재료를 넣고 별도의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가열체의 하부에 설치된 버너를 점화시켜 조리하게 된다.
이러한 점화장치는 점화노브의 작동으로 발생된 고전압이 케이블을 통해 버 너의 일측에 고정된 니들단자에서 방전되면서 불꽃이 발생되어짐에 따라 파이롯트 노즐에서 분사되어지는 가스가 점화되어지고, 이 같은 상태에서 버너로 가스가 공급되어지면서 점화되어 가열체를 가열시킴으로써 조리된다.
그러나 버너를 점화시키기 위하여 점화노브를 여러번 눌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파이롯트 노즐이 점화된 상태에서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밸브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회전축에 결합된 노브를 누름과 동시에 단자접속부의 접속을 통해 이그나이터로 고압 전원이 방전되어지도록 하고, 방전되지는 가운데 노브를 회전시키면 회전축에 결합된 볼밸브가 오픈됨에 따라 별도의 밸브 조작 없이도 가스기기에 점화를 시켜 불꽃량을 용하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싱(10)의 일측으로 노출된 회전축(20)에 가스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볼밸브(30)가 결합되어지며 타측으로 노출된 회전축(20)에 노브(4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케이싱(10)과 회전축(20)에 단자접속부(5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은 중공부(211)가 형성된 아우터축(21)과 상기 아우터축(21)에 끼워지는 인너축(22)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아우터축(21)은 일측에 중공부(211)가 형성된 측면으로 장공형태를 갖는 슬라이드홈(212)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타측에 중공부(211)와 대향되는 노브삽입부(213)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중공부(211)에 인너 스프링(23)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인너축(22)은 상기 중공부(211)에 끼워지는 슬라이드축(221)과 상기 슬라이드축(221)에 단턱지게 일체로 형성된 밸브고정축(222)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축(221)에 아우터 스프링(24)이 끼워져 일측이 단턱으로 가압되어지며 상기 아우터 스프링(24)의 타측이 아우터축(21)에 가압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축(221)의 끝단에 암나사(223)를 형성하여 상기 암나사(223)에 숫나사(224)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접속부(50)는 단자편 누름 디스크(51)와 단자편(521)을 갖는 접속 몸체(52)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단자편 누름 디스크(51)는 외주연부의 모서리가 단턱지게 형성되어지며 중앙에 구름부재(53)가 끼워지고, 상기 구름부재(53)가 상기 아우터축(21)에 억지끼워맞춤되어지고, 상기 단자몸체(52)에 전선(54)이 접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축(21)에는 돌기형태를 갖는 스토퍼(214)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토퍼(214)가 삽입되어지는 스토퍼홈(11)이 케이싱(10)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케이싱(10)의 내면에 위치결정홈(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홈(12)이 형성된 케이싱(10)의 내측에 스토퍼(214)의 이동을 제한하는 컨트롤편(13)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컨트롤편(13)은 ┌ 형태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접속부(50)의 전선(54)에는 고압발생부(70)가 접속되어지 고, 상기 고압발생부(70)에 이그나이터단자(71)가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a,3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a~4d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의 노브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는 도1 내지 도4a~4d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싱(10)의 일측으로 노출된 회전축(20)에 가스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볼밸브(3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케이싱(10)의 타측으로 노출된 회전축(20)에 노브(4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케이싱(10)과 회전축(20)에 단자접속부(5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싱(10)은 회전축(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지도록 하면서 회전축(20)의 일측에 노브(40)가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회전축(20)의 타측에는 볼밸브(30)가 결합되어는 것으로 관통홈(15)이 형성된 상부에는 스토퍼홈(11)이 관통되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토퍼홈(11)이 형성된 케이싱(10)의 내측에 상기 관통홈(15)을 중심으로 일정한 직경 및 거리 또는 각도를 갖는 곳에 다수개의 위치결정홈(12)이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홈(12)이 형성된 케이싱(10)의 내측 상부에 후술하는 스토퍼(214)의 이동을 제한하는 ┌ 형태를 갖는 컨트롤편(13)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0)은 노브(40)가 회전되어지면서 단자접속부(50)를 통해 전원이 고압발생부(70)로 인가되어지는 가운데 볼밸브(30)가 오픈되어지도록 하여 조기점화가 되도록 하고, 이상태에서 가스 공급량을 늘려 버너(64)에 본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중공부(211)가 형성된 아우터축(21)과 상기 아우터축(21)에 끼워지는 인너축(22)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아우터축(21)은 일측에 중공부(211)가 형성된 측면으로 장공형태를 갖는 슬라이드홈(212)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타측에 중공부(211)와 대향되는 노브삽입부(2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노브삽입부(213)가 케이싱(10)의 외부로 노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부(211)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인너 스프링(23)이 삽입되어 후술하는 슬라이드축(221)에 맞닿아 아우터축(21)이 케이싱(10)의 내면에서 외면 방향으로 항상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너축(22)은 상기 중공부(211)에 끼워지는 슬라이드축(221)과 상기 슬라이드축(211)에 단턱지게 일체로 형성된 밸브고정축(222)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고정축(22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볼밸브(30)의 밸브축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축(211)에 아우터 스프링(24)이 끼워져 일측이 단턱으로 가압되어지며 상기 아우터 스프링(24)의 타측이 아우터축(21)에 가압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지고,
상기 슬라이드축(211)이 아우터축(21)의 중공부(211)에 깊숙히 삽입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아우터축(21)의 회전이 그대로 전달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슬라이드축(221)의 끝단에 암나사(223)를 형성하여 걸림구의 작용을 하는 숫나사(224)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축(21)은 돌기형태를 갖는 스토퍼(214)가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10)의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홈(11) 또는 위치결정홈(12)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밸브(30)는 일측이 가스공급부(65)에 연결되어지고, 타측에는 버너(64)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66)이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브(40)는 회전축(20)을 구성하는 아우터축(21)의 노브 삽입부(213)에 결합되어 이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접속부(50)는 단자편 누름 디스크(51)와 단자편(521)을 갖는 접속 몸체(52)로 구성되어 상기 접속몸체(52)가 미도시한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단자편 누름 디스크(51)는 외주연부의 모서리가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편(521)이 용이하게 접속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편 누름 디스크(51)는 그 중앙에 구름부재(53)가 끼워지며 상기 구름부재(53)가 상기 아우터축(21)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몸체(52)에는 전선(54)이 접속되어 고압발생부(70)로 전원이 인가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압발생부(70)의 고전압이 이그나이터단자(71)로 방전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를 이용하여 가스기기에 가스가 공급되어지면서 점화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대(61) 사이로 핸들(62)에 연결된 가열체(63)를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열체(63)에 음식 재료를 넣고 도3a과 도4a에 도시된 노브(40)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시킴과 동시에 아우터축(21)의 중공부(211)에 삽입된 인너 스프링(23)이 압축되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밀게된다.
이때 케이싱(10)에 형성된 스토퍼홈(11)에서 스토퍼(214)가 빠짐과 동시에 그동안 구속되었던 아우터축(21)이 회전가능하게 되며 아우터축(21)의 슬라이드홈(212)이 인너축(22)의 슬라이드축(221)에 결합된 숫나사(224)를 따라 이송되어지게 된다.
또한, 아우터축(21)이 이송되어짐과 동시에 아우터축(21)에 결합된 단자편 누름 디스크(51)가 같이 이동되어 단자접속부(50)의 단자편(521)을 누르게 됨에 따라 전원이 고압발생부(70)로 인가되어지게 되면서 이그나이터단자(71)에서 방전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노브(40)를 회전시키면 아우터축(21)의 슬라이드홈(212)에 끼워진 숫나사(224)가 걸려진 상태에 있음으로써 아우터축(21)의 회전력 또는 회전량이 인너축(22)으로 전달되어짐에 따라 밸브고정축(222)에 결합된 볼밸브(30)가 개방되어 가스공급부(65)의 가스가 볼밸브(30) 및 가스공급관(66)을 통해 버너(64)로 분출되어 점화된다.
이때 노브(40)를 더 회전시킬 경우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축(21)에 형성된 스토퍼(214)가 케이싱(10)에 결합된 컨트롤편(13)의 하부에 걸림에 따라 초기의 점화가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 같은 상태에서 버너(64)의 본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즉, 버너(64)의 불꽃을 더 크게 할 경우에는 노브(40)를 누르고 있는 힘을 뺌과 동시에 인너 스프링(23)과 아우터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아우터축(21)이 노브(40)의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어짐과 동시에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편(13)의 구속력이 해지되어 노브(40)가 더 회전되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 노브(40)를 더 회전시킴과 동시에 노브(40)에 연결된 아우터축(21)과 인너축(22)이 더 회전되어 볼밸브(30)의 개방량 또는 오픈량이 커지게 됨에 따라 버너(64)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증가되어 버너(64)의 불꽃이 커지게 된다.
다음, 노브(40)에서 힘을 뺌과 동시에 인너 스프링(23)과 아우터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라이드축(221)에 결합된 아우터축(21)이 최초의 방향으로 이동되어지면서 아우터축(21)에 형성된 스토퍼(214)가 케이싱(10)의 내면에 맞닿게 된다.
다음, 노브(40)를 좌우로 미소간격 회전시킴과 동시에 스토퍼(214)가 케이싱(10)의 내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12)에 삽입되어짐에 따라 현위치 즉, 볼밸브(30)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이때 단자접속부(50)의 단자편(521)을 누르고 있던 단자편 누름 디스크(51)가 단자편(521)에서 분리되어짐으로써 이그나이터단자에 방전이 멈추게 된다.
다음, 버너(64)의 불꽃을 끄도록 할 경우, 노브(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아우터축(21)에 의하여 밸브고정축(222)이 같이 회전되어짐으로써 개방되어 있던 볼밸브(30)가 닫혀 버너(64)로 공급되어지는 가스가 차단되어 불꽃이 꺼지게 된다.
그리고 인너 스프링(23)과 아우터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아우터축(21)에 형성된 스토퍼(214)가 케이싱(10)에 형성된 스토퍼홈(11)에 끼워지게 됨에 따라 노브(40)의 회전이 정지되어지게 되고, 노브(40)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시킬 경우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스의 유출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20)인 아우터축(21)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그 위치가 제어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우터축(21)에 봉형태를 갖는 스토퍼(214)가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스토퍼(214)가 케이싱(10)에 형성된 스토퍼홈(11)에 끼워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구성 이외에 도7 및 도8a,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형태를 갖는 정지홈(251)이 형성된 디스크(25)를 아우터축(21)에 결합시키고, 상기 디스크(25)의 정지홈(251)에 끼워지는 정지돌기(252)를 케이싱(10)에 형성되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노브(40)의 회전에 따른 아우터축(21)에 결합된 디스크(25)의 정지홈(251)이 케이싱(10)에 결합된 정지돌기(252)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 그 위치가 결정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축에 결합된 노브를 누름과 동시에 단자접속부의 접속을 통해 이그나이터로 고압 전원이 방전되어지도록 하고, 방전되지는 가운데 노브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축에 결합된 볼밸브가 오픈됨에 따라 별도의 밸브 조작 없이도 가스기기에 점화를 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5)

  1. 케이싱(10)의 일측으로 노출된 회전축(20)에 가스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볼밸브(30)가 결합되어지며 타측으로 노출된 회전축(20)에 노브(4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케이싱(10)과 회전축(20)에 단자접속부(5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은 중공부(211)가 형성된 아우터축(21)과 상기 아우터축(21)에 끼워지는 인너축(22)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아우터축(21)은 일측에 중공부(211)가 형성된 측면으로 장공형태를 갖는 슬라이드홈(212)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타측에 중공부(211)와 대향되는 노브삽입부(213)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중공부(211)에 인너 스프링(23)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인너축(22)은 상기 중공부(211)에 끼워지는 슬라이드축(221)과 상기 슬라이드축(221)에 단턱지게 일체로 형성된 밸브고정축(222)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축(221)에 아우터 스프링(24)이 끼워져 일측이 단턱으로 가압되어지며 상기 아우터 스프링(24)의 타측이 아우터축(21)에 가압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축(221)의 끝단에 암나사(223)를 형성하여 상기 암나사(223)에 숫나사(224)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접속부(50)는 단자편 누름 디스크(51)와 단자편(521)을 갖는 접속 몸체(52)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단자편 누름 디스크(51)는 외주연부의 모서리가 단턱지게 형성되어지며 중앙에 구름부재(53)가 끼워지고, 상기 구름부재(53)가 상기 아우터축(21)에 억지끼워맞춤되어지고, 상기 단자몸체(52)에 전선(54)이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축(21)에는 돌기형태를 갖는 스토퍼(214)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토퍼(214)가 삽입되어지는 스토퍼홈(11)이 케이싱(10)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케이싱(10)의 내면에 위치결정홈(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홈(12)이 형성된 케이싱(10)의 내측에 스토퍼(214)의 이동을 제한하는 컨트롤편(13)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컨트롤편(13)은 ┌ 형태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접속부(50)의 전선(54)에는 고압발생부(70)가 접속되어지고, 상기 고압발생부(70)에 이그나이터단자(71)가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KR1020070060460A 2007-06-20 2007-06-20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KR100762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460A KR100762515B1 (ko) 2007-06-20 2007-06-20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460A KR100762515B1 (ko) 2007-06-20 2007-06-20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515B1 true KR100762515B1 (ko) 2007-10-02

Family

ID=3941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460A KR100762515B1 (ko) 2007-06-20 2007-06-20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5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76Y1 (ko) 2009-12-15 2012-02-15 주식회사 이노텍 볼밸브에 설치되는 가스공급 겸용 점화장치
KR102002749B1 (ko) * 2019-01-17 2019-07-22 김은식 식당용 대형 조리기 버너의 점화 및 계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9313A (ja) 1985-09-09 1987-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コツク
KR19990001691A (ko) * 1997-06-17 1999-01-15 구자홍 오븐버너 점화장치의 스위치 구조
KR20040076653A (ko) * 2003-02-26 2004-09-03 주식회사 성철사 빌트인형 가스레인지의 안전밸브유닛
KR20050109053A (ko) * 2005-05-11 2005-11-17 신관철 볼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9313A (ja) 1985-09-09 1987-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コツク
KR19990001691A (ko) * 1997-06-17 1999-01-15 구자홍 오븐버너 점화장치의 스위치 구조
KR20040076653A (ko) * 2003-02-26 2004-09-03 주식회사 성철사 빌트인형 가스레인지의 안전밸브유닛
KR20050109053A (ko) * 2005-05-11 2005-11-17 신관철 볼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76Y1 (ko) 2009-12-15 2012-02-15 주식회사 이노텍 볼밸브에 설치되는 가스공급 겸용 점화장치
KR102002749B1 (ko) * 2019-01-17 2019-07-22 김은식 식당용 대형 조리기 버너의 점화 및 계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9323B2 (en) Quick sear barbecue grill and components thereof
KR100762515B1 (ko) 가스기기용 자동 점화구
KR200180405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101364728B1 (ko) 업소용 가스버너 점화장치
KR101018332B1 (ko) 가스기기용 자동점화구
EP1907756B1 (en) A cooking device
US20100313873A1 (en) Outdoor Cook Stove with Multiple Ignitions
KR100514763B1 (ko) 양면그릴용 점화밸브장치
KR100508644B1 (ko) 빌트인형 가스레인지의 안전밸브유닛
JP2005043020A (ja) ガスコンロ
KR100960024B1 (ko) 2구버너로 가스를 분배 공급할 수 있는 가스공급 제어장치
JP3793859B2 (ja) 自動点火用ガスコック
CN212959939U (zh) 燃气旋塞阀
JPH08193672A (ja) ガス燃焼装置の器具栓
JPH0480520A (ja) ガス調理器具およびガス器具安全装置
KR100801488B1 (ko) 조리기
KR950013528B1 (ko) 버튼식 가스콕 장치
JPH08296836A (ja) ガス器具のバルブ装置
KR200199483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레버구조
TWI558952B (zh) Gas cocks (b)
KR200191114Y1 (ko) 타이머식 가스밸브 유니트
JP3032609U (ja) 卓上カセットこんろ
JP3127189B2 (ja) ガスコンロの器具栓
JP3079802U (ja) 温度センサ付きガスこんろ
KR910007487Y1 (ko) 무단조절밸브의 가스콕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