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449B1 -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449B1
KR100762449B1 KR1020070074783A KR20070074783A KR100762449B1 KR 100762449 B1 KR100762449 B1 KR 100762449B1 KR 1020070074783 A KR1020070074783 A KR 1020070074783A KR 20070074783 A KR20070074783 A KR 20070074783A KR 100762449 B1 KR100762449 B1 KR 100762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scue
location
are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균
김경오
박수현
Original Assignee
(주)유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텍 filed Critical (주)유비텍
Priority to KR102007007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44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호자의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의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하여 GPS망 또는 무선이동 통신망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위치정보 구난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현재위치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관제센터, 상기 사용자의 기준위치로부터의 위치설정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행동영역 설정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의 상기 행동영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영역에 따른 구조요청 질의여부를 판단하여 구조명령 송신여부를 결정하여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보호자 단말기, 상기 관제센터에서 송신된 긴급구조 신호를 수신하고 구조서비스를 수행하는 구조서비스 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디지털 전자지도상에서 사용자에 맞는 활동구역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활동구역의 안전구역을 벗어난 경우에 구조를 할 수 있다.
GPS, 단말기, 행동패턴, 위치정보, 구조

Description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Rescue System and Method of Terminal For Location Identification and safe}
본 발명은 LBS망(Location Base Service;이하 위치기반 서비스라 한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긴급상황에 대처하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GPS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결정 시스템으로서, GPS 위성에서 발사한 전파를 수신해서 관측점까지의 소요시간을 관측함으로써 관측점의 위치를 찾아낸다.
이러한 GPS 수신기능과 무선통신기능을 가진 단말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다가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적절히 구조해주는 원격경호 및 구조시스템이 개시되었다.
한편, 이러한 원격경호 및 구조시스템에 관한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2-0078216호(2002년 10월 18일 공개)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2-0078216호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위성(10)과 상기 GPS위성(10)으로부 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현재위치를 검출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현재위치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입력 또는 음성입력을 수행하여 무선으로 중계하는 무선통신망(42)과 상기 무선통신망(42)을 통해 수신된 경호대상자의 현재위치를 수신하여 지도상의 위치를 나타낸 지리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달된 경호대상자의 구조요청을 접수하여 구조작업을 수행하는 관제시스템(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제시스템(30)은 기존의 유선통신망(44)과 연결되어 있고, 원격감시중 경호대상자에게 긴급상황이 발생 될 경우에 경호대상자의 현재위치와 이동속도를 토대로 연산된 시간별 미래위치를 표시 및 출력하여 구조팀을 출동시키도록 한 관제센터(32)와 상기 관제센터로 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소정 범위의 지역 내에 발생된 구조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n 지점서버(34a)(34n)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32)는 상기 무선통신망(42)을 통해 수신된 경호대상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토대로 이동속도를 연산하고, 그 위치를 지도상의 위치정보로 출력하는 관제서버(32a)와 상기 유선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착신자에게 안내방송을 통해 소정의 선택가능한 입력을 수행하여 구조요청을 접수하는 ARS 서버(32b)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지도정보를 대형스크린(32d)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구조정보를 프린터(32e)를 통해 인쇄하는 출력서버(32c)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2-0078216호에 개시된 시스템은 노약자 및 어린이의 행동특성에 맞는 예방차원의 위치 모니터링 기능을 갖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2-0078216호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센서가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 개인별 행동특성에 맞는 위치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비한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생체측정센서를 이용하여 노인, 환자등의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수시로 측정하여 위급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디지털 전자지도상에서 사용자에 맞는 활동구역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활동구역의 안전구역을 벗어난 경우에 구조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 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건강생체지수를 측정하는 생체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황에 따른 응급구조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시스템은 보호자의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의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하여 GPS망 또는 무선이동 통신망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위치정보 구난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현재위치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관제센터, 상기 사용자의 기준위치로부터의 위치설정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행동영역 설정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의 상기 행동영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영역에 따른 구조요청 질의여부를 판단하여 구조명령 송신여부를 결정하여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보호자 단말기, 상기 관제센터에서 송신된 긴급구조 신호를 수신하고 구조서비스를 수행하는 구조서비스 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방법은 GPS망을 통해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긴급상황인 경우에 구조신호를 발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사용자의 행동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b)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상기 위치정보와 행동영역을 비교하는 단계, (d)사용자가 구조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e)사용자가 구조위치인 경우 관제센터는 보호자 단말기에 구조명령 송신여부의 질의를 전송하고, 상기 질 의에 따른 구조명령 송신여부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f)구조서비스 기관에 구조요청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난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난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행동영역에 의한 안전구역 및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행동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은 보호대상자가 휴대하고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송신하는 보호대상자 단말기(100), 상기 보호대상자 단말기(100)에 보호대상자의 안전구역을 설정하고 보호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입력부(110), 상기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전송하는 GPS망(140), 상기 보호대상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및 구급콜 신호가 전송되는 무선이동 통신망(120)과 LBS기반 통신망(130), 상기 무선이동 통신망(120)과 LBS기반 통신망(130)을 통하여 보호대상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및 구급콜 신호를 수신하는 관제센터(150), 상기 관제센터(150)와 구조요청의 질의 및 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보호자 단말기(160), 상기 관제센터(150)로부터 보호대상자의 구조신호를 수신하고 구조서비스를 수행하는 구조서비스 센터(170),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으로 상기 보호대상자 단말기(100)의 안전구역등의 개인별 행동영역을 상기 관제센터(150)에 설정하는 컴퓨터(18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보호대상자 단말기(100)는 보호대상자 또는 사용자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보호자 단말기(160)는 보호자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보호자의 안전관리가 필요한 사람 예를 들어, 치매노인, 발달장애인, 어린이, 노약자, 중증환자, 정신지체자 등을 대상으로 디지털 지도기반에서 레벨별 안전구역(안전구역, 위험구역, 매우 위험구역)을 설정하여 보호대상자의 실시간 현재위치, 구난, 구조요청상황을 관제센터(150)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감시하여 보호대상자가 안전구역을 벗어나거나 구난, 구조요청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관제센터(150)는 이를 보호자에게 실시간으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알리고, 보호자가 구난, 구조를 요청할 경우 또는 긴급상황이라고 판단될 경우에 구조서비스 기관(170)인 경찰서, 병원, 소방서등에게 통보하여 현장출동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이다.
보호대상자 단말기(100)는 수호천사 단말기라고 명명되기도 하고, 보호대상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팔찌형, 목걸이형, 휴대폰형 등의 단말기로 구성되고, 현재위치 및 시간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관제센터(150)에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보호대상자 단말기(100)는 긴급구조와 응급서비스 요청버튼을 구비하고, 각각의 버튼이 눌러지면 관제센터(150) 및 보호자 단말기(160)로 전송됨과 동시에 보호대상자 단말기(100)의 현재위치, 긴급구조 및 응급서비스 요청을 송신하고, 보호대상자 단말기(100)는 보호대상자의 음성 및 화상정보 서비스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입력부(110)는 보호대상자 단말기(100)에 내장 또는 외부에 부착되어, 보호대상자의 체온, 혈압, 맥박등의 기본적인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생체측정센서와 보호자가 보호대상자의 개인별 관리구역을 설정하는 행동패턴 입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생체측정센서는 보호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위험할 경우에만 위험수준 및 실시간의 건강상태정보를 관제센터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입력부(110)는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서 보호대상자의 개인별 행동구역 및 패턴을 입력하여 디지털 전자지도상에 개인별 관리구역을 설정하고 관리 및 서비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입력부(110)는 활동력이 없는 노인, 환자 등은 보호자가 없는 응급상황 또는 위급할 경우에 적절한 대처행동(구호요청, 응급조치)을 하지못해 중요한 생명을 잃는 경우가 발생함으로, 보호대상자의 건강생체지수(체온, 혈압, 맥박등)를 측정할 수 있는 유무선 디지털 생체센서를 구비하고 측정하여 관제센터(150) 및 보호자 단말기(160)는 보호대상자 단말기(100)를 휴대한 보호대상자의 위급 및 응급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 예측하여 건강 및 생명의 위급 및 응급상황을 사전에 예측하여 보호자가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관제센터(150)는 보호대상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보호자(160)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보호대상자(100)의 현재위치를 서비스하고, 보호대상자(100)가 설정된 안전구역을 벗어날 경우에 보호자에게 알린 다.
그리고 관제센터(150)는 보호대상자(100)의 구난, 구조상황을 감시하다가, 긴급 구조, 구난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보호자(160) 및 구조서비스 기관(170)에 보호대상자(100)의 현재위치 및 상황을 알리는 기능을 구비하고, 보호자(160)의 긴급서비스 요청에 의해 구조서비스 기관(170)에 긴급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구조 서비스기관(170)은 경찰서, 병원, 소방서등으로 관제센터(150) 또는 보호자(160)의 요청에 의하여 현장에 출동하여 구조, 응급처치등의 제반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110)의 생체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통신망(120,130)을 통하여 관제센터(150)에 구조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관제센터(150)는 보호자 단말기(160)와 구조서비스 기관(170)에 사용자의 현재위치와 함께 구조명령을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행동영역은 대개 보호자에 의해서 설정되며, 컴퓨터(180)는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행동영역을 관제센터(15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의 행동영역은 입력부(110)의 행동패턴부와 보호자 단말기(160)에 의해서도 설정될 수 있다.
행동영역은 사용자가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서, 공간상에서 이동하는 구역특성을 분석하여 사용자별로 구역설정을 하나 이상의 구역(안전구역, 위험구역, 매우위험구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행동영역은 상기 컴퓨터(180)의 행동영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영역에 따른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관제센터(150)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안전지역을 벗어날 경우 보호자에게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위험수준을 알려주어서 구조요청 질의여부를 판단하여 관제센터(150)로 전송하게 한다.
관제센터(150)는 사용자의 현재위치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경고(Warning) 또는 긴급구조신호를 보호자 단말기(160)와 구조서비스 기관(17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위험지역에 있다면, 관제센터(150)는 사용자의 구조를 묻는 질문을 보호자 단말기(160)에 송신하고, 보호자 단말기(160)는 상기 질문에 따른 예, 아니오 등의 응답을 관제센터(150)에 전송하여 관제센터(150)가 보호자 단말기(160)로부터 구조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면 즉각 구조서비스 기관(170)에 사용자의 현재위치, 사용자의 단말기 번호, ID등과 함께 구조명령을 전송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는 보호자가 컴퓨터(180)를 이용하여 관제센터(150)에 보호대상자의 개인별 행동영역을 설정한다(S10).
보호대상자 단말기(100)는 GPS망(140) 또는 LBS기반 통신망(130) 또는 무선이동 통신망(120)을 통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S30), 관제센터(150)는 상기 단계(S10)에서 설정된 상기 개인별 행동영역과 현재위치를 비교 및 연산하여 표시한다(S40).
또한, 입력부(110)의 생체측정센서를 이용하여 보호대상자의 체온, 혈압, 맥박등의 생체지수를 측정 및 분석하여 관제센터(150)로 전송한다(S20).
관제센터(150)는 보호대상자의 현재위치 및 경로가 개인별 행동영역 안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보호대상자의 생체지수가 위급한지 유무를 판단하여 보호자의 현재위치 및 경로가 개인별 행동구역 밖으로 이탈한 경우 또는 보호대상자의 생체지수가 설정치 이상의 위험한 수준일 경우에는 긴급상황이라고 판단하고(S50), 구조요청을 할건지, 안할건지에 대한 질문을 보호자 단말기(160)에게 하고, 보호자 단말기(160)로부터 구조요청 명령을 수신하면 구조정보를 출력하고(S70), 구조요청이 필요없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S3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S50)에서 보호대상자의 위치가 안전구역인 경우는 단계(S30)으로 되돌아가고, 상기 구조명령은 구조서비스 기관(170)과 보호자 단말기(160)로 전송된다(S70).
상기 단계(S70)에서 구조명령이 출력되고, 구조 서비스기관(170)이 현장으로 출동하여 보호대상자를 구조 및 응급처리하고 구조확인 신호를 관제센터(150) 및 보호자 단말기(160)로 전송한다(S80)
또한, 단계(S50)의 긴급상황판단은 단계(S40)의 사용자의 현재위치에 따른 구조위치인지 또는 단계(S20)의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설정치 이상의 응급상황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구조위치 또는 상기 응급상황인 경우는 긴급상황의 통지유무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보호자에게 전송한다.
상기 구조위치란 사용자가 행동영역에서 안전지역을 벗어난 위험지역 또는 매우위험지역 또는 매우위험지역을 벗어난 위치이고, 또한, 행동구역 및 패턴의 도 4의 빗금친 부분을 벗어난 위치이다.
그러나 행동패턴내부에서도 행동영역의 안전지역을 벗어나 사용자가 설정치 이상으로 정지한 경우는 구조위치로 판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행동영역은 디지털 지도상에서 예를 들어 집을 원의 중심 또는 기준점(O)으로 하는 반경 0.5km의 원의 내부를 제 1구역(안전구역), 반경 1km의 원에서 안전구역을 제외한 부분을 제 2구역(위험구역), 반경 2km의 원에서 안전구역과 위험구역을 제외한 부분을 제 3구역(매우위험구역)으로 설정된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영역은 다각형 내부의 임의의 점을 기준점(0)으로 하여 상기 기준점(0)을 지나는 직선을 그어 상기 직선과 만나는 각각의 다각형위의 점을 점A, 점B, 점C로하고, 기준점(O)에 대한 점A의 거리를 선분OA, 기준점(O)에 대한 점B의 거리를 선분OB, 기준점(O)에 대한 점C의 거리를 선분OC 라고 하면, 선분OA≤선분OB≤선분OC 인 관계가 성립된다.
그리고, 상기 직선상에 위치한 점A를 통과하는 다각형의 내부영역을 안전구역이라 하고, 기준점(O)에서 점A보다 거리가 더 큰 점B를 통과하는 다각형의 내부영역에서 상기 안전구역을 뺀 영역을 위험구역이라 하고, 기준점(O)에서 점B보다 거리가 더 큰 점C를 통과하는 다각형의 내부영역에서 상기 위험구역을 뺀 영역을 매우위험구역으로 설정한다.
관제센터(150)는 사용자의 현재위치가 안전구역에 있는 경우는 보호자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위험구역일 경우는 보호자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송 하고, 매우위험구역일경우는 보호자에게 구조를 포함한 긴급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 등록지점(Point Of Interest:이하 POI라 한다)을 지정하고, POI(A)를 중심으로 임의의 반경 예를 들어 0.5km 내부의 원의 영역(면적)을 안전구역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 등록지점(POI)을 포함하고, 임의의 점(P)를 통과하는 다각형 내부의 영역(면적)을 안전구역으로 설정하고, 기준점(O)과 POI(A)를 직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직선을 중심으로 양쪽에 평행한 직선을 2개 그어서 평행한 임의의 직선의 거리, 예를 들면, 0.3 km가되게 이동허용폭을 설정하여 빗금친 부분을 안전구역하는 행동패턴을 설정한다.
행동패턴은 사용자가 이동하여도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경로를 나타내고, 상기 행동패턴은 사용자의 이동경로로 전자지도(GIS)상의 도로 또는 길을 기준으로 이동허용폭을 설정한다.
상기 안전구역, 위험구역, 매우위험구역의 중심점 및 반경은 보호자가 임의의 위치 및 값으로 설정할 수있고, 마찬가지로 사용자 등록지점(POI)의 위치 및 반경도 또는 기준점에 대한거리 및 형상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디지털 지도상에 사용자 행동영역 및 행동패턴을 도 4와 같이 설정하고, 보호대상자의 현재위치 및 이동경로를 추적, 연산 및 표시하여 보호대상자가 빗금친 부분 안에 있는지 밖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밖에 있으면 긴급상황으로 인식한다.
또한, 행동패턴(빗금친 부분)내부에 있어도 사용자의 위치가 위험구역 또는 매우위험구역에 있고, 또한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는 예를 들어 5분이상 한 지점에 멈춰 움직이지 않는 경우는 긴급상황에 처했다고 판단하고, 긴급상황 메시지를 생성하고, 5분 등의 정지시간은 보호자가 정하고 입력할 수 있다.
긴급상황이란 사용자의 현재위치가 행동패턴을 벗어나거나 또는 행동영역의 안전구역을 벗어난 위험구역 또는 매우위험구역 또는 매우위험구역을 벗어나 위치한 경우로, 위험구역에서는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고, 매우위험구역 또는 매우위험구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구조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영역은 안전구역, 위험구역, 매우위험구역을 나타내는 3개의 다각형의 내부영역(구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영역은 하나 이상의 점을 지나는 부정형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각형은 그 내부영역에 그 기준점(O)를 포함한다.
즉, 행동영역은 기준점(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원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행동패턴은 사용자 등록지점 POI(A)을 포함하는 하나의 원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행동영역의 기준점(0)과 행동패턴의 사용자 등록지점 POI(A)사이의 직선 및 그 직선의 허용폭으로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원격경비 및 구조시스템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난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난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행동영역에 의한 안전구역 및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1)

  1. 보호자의 관리가 필요한 사용자의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하여 GPS망 또는 무 선이동 통신망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정보를 송,수신하는 위치정보 구난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현재위치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관제센터,
    상기 사용자의 기준위치로부터의 위치설정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행동영역 설정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의 상기 행동영역 설정부에서 설정된 영역에 따른 구조요청 질의여부를 판단하여 구조명령 송신여부를 결정하여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보호자 단말기,
    상기 관제센터에서 송신된 긴급구조 신호를 수신하고 구조서비스를 수행하는 구조서비스 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영역 설정부의 행동영역 설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제센터에 접속가능한 컴퓨터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행동영역은 하나 이상의 동심원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심원 또는 상기 다각형 내부의 기준점에 대한 거리가 클수록 위험한 정도가 크고, 상기 위험한 정도에 따라서 구분되어 구조위치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행동영역 설정은 사용자 등록지점(POI)과 상기 사용자 등록지점(POI)을 포함하는 동심원 또는 다각형의 영역 및 이동경로에 따른 이동허용폭으로 이루어지는 행동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행동패턴내부에 위치한 사용자는 안전지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입력부에 추가로 구비된 생체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 및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행동영역의 구분과 무관하게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서 구조명령을 보호자 단말기와 구조서비스 기관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시스템.
  7. GPS망을 통해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긴급상황인 경우에 구조신호를 발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사용자의 행동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b)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상기 위치정보와 행동영역을 비교하는 단계,
    (d)사용자가 구조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e)사용자가 구조위치인 경우 관제센터는 보호자 단말기에 구조명령 송신여부의 질의를 전송하고, 상기 질의에 따른 구조명령 송신여부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f)구조서비스 기관에 구조요청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행동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동심원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심원 또는 상기 다각형 내부의 기준점에 대한 거리가 클수록 위험한 정도가 크고, 상기 위험한 정도에 따라서 구분되어 구조위치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행동영역설정 단계는 사용자 등록지점(POI)과 상기 사용자 등록 지점(POI)을 포함하는 동심원 또는 다각형의 영역 및 이동경로에 따른 이동허용폭으로 이루어지는 행동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행동패턴내부에 위치한 사용자는 안전지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구조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이전에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한 생체정보측정 및 분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구조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행동영역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가 구조위치인 경우 또는 사용자의 위치가 행동패턴을 벗어난 경우 또는 행동패턴내에서 일정시간이상 정지한 경우는 구조위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구난방법.
KR1020070074783A 2007-07-25 2007-07-25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2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783A KR100762449B1 (ko) 2007-07-25 2007-07-25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783A KR100762449B1 (ko) 2007-07-25 2007-07-25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449B1 true KR100762449B1 (ko) 2007-10-05

Family

ID=3941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783A KR100762449B1 (ko) 2007-07-25 2007-07-25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4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458B1 (ko) * 2010-11-18 2012-11-28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KR101287557B1 (ko) 2012-04-27 2013-07-1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관심 존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관심 존 모니터링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267A (ko) * 2002-02-28 2003-09-03 주식회사 에스원 이동통신을 이용한 보호감찰방법
KR20050098557A (ko) * 2004-04-07 2005-10-12 주식회사 팬택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KR20060104060A (ko) * 2005-03-29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탈 알람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267A (ko) * 2002-02-28 2003-09-03 주식회사 에스원 이동통신을 이용한 보호감찰방법
KR20050098557A (ko) * 2004-04-07 2005-10-12 주식회사 팬택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KR20060104060A (ko) * 2005-03-29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탈 알람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458B1 (ko) * 2010-11-18 2012-11-28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KR101287557B1 (ko) 2012-04-27 2013-07-1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관심 존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관심 존 모니터링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3373B2 (en) System for providing advance alerts
US9792808B2 (en) Alert system with zoning using wireless portable detectors and a central station
JP6374949B2 (ja) 遭難状況おける支援を容易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755533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JP2004328018A (ja) エリア監視システム
KR102167296B1 (ko) 노약자의 생활 밀착형 돌봄 시스템
WO2017172123A1 (en) Sensing technologies in alarm devices
KR101871158B1 (ko) 신발 위치 추적을 통한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KR20160046690A (ko) 타겟이 휴대하는 휴대용 추적 장치 및 휴대용 추적 장치 동작 방법
CN111492414A (zh) 实时管理建筑物的疏散
JP6621201B2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US20060244461A1 (en) Intelligent portabl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KR101485449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간의 협조에 의한 응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15863B1 (ko) 전자 발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성범죄 예방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JP2007309791A (ja) 作業者監視システム
KR100762449B1 (ko)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5431A (ko)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2230610A (ja) 生体位置監視装置及びシステム
JP5164771B2 (ja) 携帯端末
KR20170069728A (ko) 노약자의 생체 및 정밀위치 정보의 추적 알고리즘에 기반한 노약자 안전관리시스템
KR20160075080A (ko) 위치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위치 제공 서버, 피보호자 단말, 보호자 단말
KR20180056982A (ko)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센서 신발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활동성 모니터링 방법
KR100874839B1 (ko)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Rajwade et al. Wearable sensors based pilgrim tracking and health monitoring system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