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557A -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557A
KR20050098557A KR1020040023824A KR20040023824A KR20050098557A KR 20050098557 A KR20050098557 A KR 20050098557A KR 1020040023824 A KR1020040023824 A KR 1020040023824A KR 20040023824 A KR20040023824 A KR 20040023824A KR 20050098557 A KR20050098557 A KR 20050098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ed object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2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8557A/ko
Publication of KR2005009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보호 대상체(자녀, 노약자 등)의 위치를 보호자가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보호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알려주기 위한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위치 기반의 보호 대상체 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보호자가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동적 알림 서비스)' 등록하여,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등록하고, 자동 알림(동적 알림) 시간대 및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를 선택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보호자가 지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가 되면, 서비스 서버가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가 실린 메시지(위치 정보 메시지)를 해석하여, '보호자가 지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체의 위치를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Position auto notification service method of safeguard man}
본 발명은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 대상체(자녀, 노약자 등)의 위치를 보호자가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보호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알려주기 위한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휴대폰은 그 기술의 개발도 셀룰러폰, PCS 폰, 위성통신폰 등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또한, 그의 기술개발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더욱 첨단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휴대 통신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기능과 디자인이 촌각을 다투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첨단기술의 개발에 모든 연구 및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휴대폰이 우리가 지니는 생활용품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일반인들이 쉽게 휴대하면서 그 부가기능이 반영되지 못하는 현실들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어린이 유괴, 부녀자 납치 사건 등이 빈발하면서, 위급한 상황이 닥쳤을 때 버튼 하나로 신속하게 구조요청을 할 수 있는 긴급구조 서비스(즉, 신변보호 서비스, 모바일 보디가드 서비스 등)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긴급 호출 버튼(이하, "긴급버튼"이라 함)을 갖춘 신형 단말기(예를 들면, "알라딘 폰" 등) 뿐만 아니라, 기존 단말기에 소프트웨어를 추가하여 서비스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일예로, 신형 단말기 "알라딘 폰"은 64화음, 33만 화소 카메라에 위치추적시스템(GPS) 기능을 내장했으며, 위급상황 발생시 긴급버튼을 누르면 현재 상황이 연속 촬영되어 물증을 남긴다. 그리고, 곧바로 휴대폰에 저장된 3명의 보호자 폰으로 위치를 알려주고 동시 통화도 가능하다. 이때, 자동 촬영된 사진이 휴대폰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보호자가 현재 상황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보호자가 받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예를 들면, 1분 30초 후) 추가 통화를 시도한다.
다른 예로, 별도의 전용 단말기나 장비를 구입할 필요없이 기존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에 접속하여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게 되면, 어두운 밤길이나 한적한 장소에서 신변의 위험을 느낄 때, 이 서비스를 실행시키면 휴대폰에서 경보음이 울리고 미리 지정한 보호자에게 위치 정보와 위험 알림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보호자와 바로 통화할 수 있게 연결해준다.
또는, 기존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추가 방식으로, 긴급 메시지 수신처(예를 들면 최대 10개)를 입력해 놓고,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옆쪽 볼륨키(사이드 키)를 연속해서 4번 이상 누르면 지정된 수신처로 '위급상황입니다. 도와주세요'라는 긴급 메시지가 동시 전송된다. 만약, 메시지를 받은 사람이 발신자에게 전화를 걸면 메시지를 보낸 단말기는 마이크 기능으로 자동 전환돼 주변 소음이나 대화내용 등 현장 상황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긴급구조 서비스(즉, 신변보호 서비스, 모바일 보디가드 서비스 등)는 기본적으로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보호대상체의 능동적인 행동(긴급버튼을 누르는 행위)을 요구하거나, 보호대상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보호자의 능동적인 행동(실시간 서비스 접속 행위)을 요구한다. 즉, 보호대상체나 보호자의 행위를 필요로 하는 "정적 알림 서비스"이다.
가령, 친구찾기 기능 등은 사용자가 타인의 위치를 알고 싶을 때, 서비스에 접속하여(실시간 서비스 접속 행위) 휴대폰의 정보를 입력하고 인증을 받은 후, 그 위치정보를 전송받는다. 즉, 자녀의 등하교 시간, 학원 다녀오는 시간 등에 자녀가 외출하고 있는 시간대에 학부모가 자녀의 위치를 파악하려면, 매번 실시간으로 서비스에 접속해야만 한다. 또한, 알라딘 폰의 경우, 자녀가 위급한 때 폰의 긴급버튼을 누르면(긴급버튼을 누르는 행위), 미리 지정된 학부모 휴대폰으로 자녀의 위치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매번 위치를 알고 싶을 때마다 서비스에 실시간으로 접속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긴급구조 상황에서의 보호대상체는 미쳐 긴급버튼을 누르는 행위 등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종종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긴급상황 발생시 보호대상체나 보호자의 능동적인 행위(긴급버튼을 누르는 행위, 실시간 서비스 접속 행위)가 없더라도, 긴급구조 서비스(즉, 신변보호 서비스, 모바일 보디가드 서비스 등)를 동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방안(상기 "정적 알림 서비스"에 대응되게 "동적 알림 서비스"라 함)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호 대상체(자녀, 노약자 등)의 위치를 보호자가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보호 대상체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알려주기 위한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치 기반의 보호 대상체 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보호자가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동적 알림 서비스)' 등록하여,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등록하고, 자동 알림(동적 알림) 시간대 및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를 선택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보호자가 지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가 되면, 서비스 서버가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가 실린 메시지(위치 정보 메시지)를 해석하여, '보호자가 지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체의 위치를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비스 등록단계에서 '보호대상지역'이 설정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주기적인 요청을 하여 상기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가 실린 메시지(위치 정보 메시지)를 해석한 후, 보호대상체의 현재 위치와 상기 '보호대상지역'을 비교하여, 보호대상체의 현재 위치가 상기 '보호대상지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보호대상지역'의 이탈을 알리는 긴급통보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위치 기반의 보호 대상체 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보호자가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동적 알림 서비스)' 등록하여,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등록하고, 상기 보호대상체의 행동반경('보호대상지역')을 선택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서비스 서버가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가 실린 메시지(위치 정보 메시지)를 해석하여, 보호대상체의 현재 위치와 상기 '보호대상지역'을 비교하는 위치비교단계; 및 상기 위치비교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보호대상체의 현재 위치가 상기 '보호대상지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보호대상지역'의 이탈을 알리는 긴급통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즉, "동적 알림 서비스")를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무선전화 기반의 통신망과 위치파악을 위한 GPS 위성망(또는 방송망), 긴급구조를 위한 제어시스템, 긴급구조 센타(병원, 소방서, 경찰서 등)를 연계하여, 보호자에게 고도의 위치 서비스와 긴급구조 서비스를 무선데이터 서비스 및 전화서비스를 이용해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의 일예를 보여준다.
이동통신 사업자에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20) 사용자(보호자)는 보호 대상체(자녀, 노약자 등) 관리 서비스를 위해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동적 알림 서비스)' 등록한 후,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등록해둔다. 이때,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동적 알림) 기능을 위한 시간대를 선택하고 선택한 시간대별로 전송받을 주기(이하, "전송주기"라 함)를 선택한다. 즉, 부모의 입장에서는 자녀의 행동반경 및 시간을 잘 알고 있으므로, 보호 대상체의 위치를 전송받을 시간대를 선택하고 각 시간대별로 전송주기를 지정하여 자녀의 위치를 자동으로 전송토록 함으로써, 원하는 시간대에 소정 주기로 자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 시간대를 "08:00~09:00", "15:00~16:00", "18:00~19:00"로 선택하고, 해당 시간별로 전송주기를 "08:00~09:00 - 15분 주기", "15:00~16:00 - 20분 주기", "18:00~19:00 - 10분 주기"로 선택한다.
또한, 부가적으로 보호자는 보호 대상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행동반경을 규제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전송 시간대 및 시간별 전송주기와 함께 '보호대상지역'을 미리 등록해둔다. 따라서, 만약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보호대상지역(예를 들면, '동작구')을 벗어나게 되면 기 지정된 전송 시간대 및 시간별 전송주기가 아니어도,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 PDA, 웹 단말기, 그외 유선 단말기 등으로 즉시 보호 대상체의 이탈 행위를 자동으로 알려 준다. 즉, 보호 대상체의 보호대상지역을 '동작구'로 설정하여 두었는데, '강남구'에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보호자의 단말기로 긴급통보해준다. 여기서, '보호대상지역'은 보호자의 임의적인 영역 선택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시단위, 군단위, 구단위, 동단위 등으로 설정 가능하다.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긴급버튼을 갖춘 단말기(예를 들면, "알라딘 폰" 등) 뿐만 아니라, 기존 단말기에 소프트웨어를 추가하여 긴급구조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구조 요청을 위한 기본 기능(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함)을 수행한다.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는 영상 수신 가능한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위치 정보를 음성 혹은 단문메시지(SMS) 등으로 수신받을 수 있으면 족하다. 따라서, 보호자의 단말기로서는, 공지의 이동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PDA, 웹 단말기, 그외 유선 단말기 등도 가능하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20)의 기본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즉, "동적 알림 서비스") 방법의 제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이루게 된다.
음성 메모리(11)는 각종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2)에는 제어부(1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메모리(12)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13)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의 키 입력부(13)는 긴급버튼을 구비하는데, 이 긴급버튼의 위치는 기존 키패드(0~9,*,#), 네비게이션키, 기능키, 사이드 방향키 중 하나를 긴급버튼용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단말기 상에 별도의 키를 새로 부가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키 입력부(13)에 의한 긴급구조 요구에 따라, 제어부(10)는 카메라를 구동시켜 현재 단말기 주변 상황을 연속 촬영하여 물증으로 남기고, 메모리에 저장된 수신처(바람직하게는 보호자의 전화번호, 친척 전화번호, 그외 지인의 전화번호 등)로 전화를 걸어 위치를 알려준다. 만약, 보호자가 전화를 받지 않으면 주기적으로(예를 들면, 1분 30초 후) 추가 접속을 시도한다.
다른 예로, 상기 키 입력부(13)에 의한 긴급구조 요구에 따라, 제어부(10)는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울리고 미리 지정한 보호자에게 위치 정보와 위험 알림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보호자와 바로 통화할 수 있게 연결해준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키 입력부(13)에 의한 긴급구조 요구에 따라, 제어부(10)는 기 지정된 수신처(바람직하게는 보호자의 전화번호, 친척 전화번호, 그외 지인의 전화번호 등)로 '위급상황입니다. 도와주세요'라는 긴급 메시지를 동시 전송한다. 이때, 만약, 메시지를 받은 사람(보호자)이 발신자(보호 대상체)에게 전화를 걸면, 제어부(10)는 마이크를 구동시켜 주변 소음이나 대화내용 등 현장 상황을 발신자(보호자)에게 전달한다.
표시부(14)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RF부(15)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15)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착신음 발생부(16)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발생한다.
음성처리부(17)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5)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음성 메모리(11)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구조 요청을 위한 기본 기능'을 위해서,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의 키 입력부(13)는 긴급버튼, 숫자버튼, 기호버튼 및 기타 기능으로 이루어져 필요한 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해 주기 위해 사용되고, 단말기 사용자(보호 대상체)가 긴급구조 요청할 때 사용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고, 제어부(10)는 키 입력부(13)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긴급구조 요청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 '구조 요청을 위한 기본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면, 알라딘 폰)(10)는 카메라 기능, 위치추적시스템(GPS) 기능 등을 내장하고 있으며, 위급상황 발생시 긴급버튼(혹은 특정키)을 누르면 현재 상황을 연속 촬영하여 메모리에 저장해둔다. 그리고, 곧바로 메모리에 저장된 예를 들면 보호자, 친척, 그외 지인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20) 혹은 웹 단말기, 유선 단말기 등으로 위치를 알려주고, 동시 통화도 가능하다. 이때, 자동 촬영된 사진이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전송되기 때문에 보호자가 현재 상황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만약 보호자가 받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예를 들면, 1분 30초 후) 추가 통화를 시도한다.
혹은, 별도의 전용 단말기이나 장비를 구입할 필요없이 기존 단말기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에 접속하여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게 되면, 어두운 밤길이나 한적한 장소에서 신변의 위험을 느낄 때, 이 서비스를 실행시키면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울리고, 미리 지정한 보호자에게 위치 정보와 위험 알림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보호자와 바로 통화할 수 있게 연결해준다.
또는, 기존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추가 방식으로, 긴급 메시지 수신처(예를 들면, 최대 10개)를 입력해 놓고,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옆쪽 볼륨키(사이드 키)를 연속해서 4번 이상 누르면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지정된 수신처로 '위급상황입니다. 도와주세요'라는 긴급 메시지를 동시 전송한다. 만약, 메시지를 받은 사람이 발신자에게 전화를 걸면 메시지를 보낸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마이크 기능으로 자동 전환돼 주변 소음이나 대화내용 등 현장 상황을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긴급버튼을 누르게 되면,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 등으로 위치 정보 전송, 긴급 메시지 전송 및 통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119 등의 긴급구조 센타(40)와의 접속도 가능하다(구조 요청을 위한 기본 기능).
상기 '구조 요청을 위한 기본 기능'을 위해서, 서비스 서버(30)는 미리 정의된 DB를 바탕으로 보호 대상체가 위치한 지역에서 가장 인접된 긴급구조 센타(40)를 파악하여 파악된 긴급구조 센타(40)에 호(Outbound 호)를 연결하여 구조 요청을 할 수 있고,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를 연결하여 보호 대상체가 긴급 상황에 처해 있음을 알려 준다. 물론, 서비스 서버(30)는 ARS를 이용하거나 상주하고 있는 상담원이 음성통화를 이용하여 긴급구조 센타(40)로 긴급사항(긴급의 종류), 보호 대상체의 위치 등을 알려 줄 수 있다. 긴급구조 센타(40)로 구조 요청후, 서비스 서버(30)는 보호자에게 통화를 연결하여 긴급구조 요청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이때,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에 표시되거나 음성으로 들려질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 SMS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신한다. 그러면,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에서는 SMS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를 해석하여 자동으로 스피커나 표시장치에 출력한다. 물론, SMS를 이용하지 않고, 서비스 서버(30)에서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직접 음성통화를 통해 긴급구조 완료 사실을 알릴 수도 있다.
여기서, 긴급구조 센타(40)는 구조 요청, 범죄 신고에의 대응 등의 공익 단체(예를 들면, 병원, 소방서, 경찰서 등)를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보호 대상체의 긴급버튼의 눌림에 의한 능동적 행위의 구조 요청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상기에서 '구조 요청을 위한 기본 기능'이라 정의함), 보호자가 기 설정한 시간대별 전송주기에 따른 위치 정보 자동 알림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특히,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GPS 수신이 가능하여, 서비스 서버(30)의 '보호자가 설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에 따른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GPS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30)로 송출하면, 서비스 서버(30)에서는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를 해석하여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 혹은 웹 단말기, 유선 단말기 등으로 보호 대상체의 위치를 SMS 혹은 자동 음성 방식 등으로 알려준다.
이를 위해, 보호자는 보호 대상체(자녀, 노약자 등) 관리 서비스를 위해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여,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동적 알림 서비스)' 등록한 후,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등록해 두어야 한다. 그리고,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동적 알림) 기능을 위한 시간대를 선택하고, 선택한 시간대별로 전송받을 주기(이하, "전송주기"라 함)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전송 시간대를 "08:00~09:00", "15:00~16:00", "18:00~19:00"로 선택하고, 해당 시간별로 전송주기를 "08:00~09:00 - 15분 주기", "15:00~16:00 - 20분 주기", "18:00~19:00 - 10분 주기"로 선택해둔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30)에서는 '보호자가 지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가 되면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위치 정보가 실린 메시지(위치 정보 메시지)를 해석하여 보호자가 선택한 시간대에 전송주기에 따라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 혹은 웹 단말기, 유선 단말기 등으로 보호 대상체의 위치를 자동으로 알려준다. 이때, 알림 방식으로는 SMS 혹은 자동음성 방식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보호대상지역' 서비스를 위해서 GPS 수신이 가능하여, 서비스 서버(30)의 주기적인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GPS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30)로 송출하면, 서비스 서버(30)에서는 보호 대상체의 현재 위치를 보호자가 기 설정한 '보호대상지역'과 비교하여,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보호대상지역(예를 들면, '동작구')을 벗어난 것으로 판명되면, 기 지정된 전송 시간대 및 시간별 전송주기가 아니어도,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 PDA, 웹 단말기, 그외 유선 단말기 등으로 즉시 보호 대상체의 이탈 행위를 자동으로 알려 준다. 즉, 보호 대상체의 보호대상지역이 '동작구'로 설정되어 있는데, 현재 보호 대상체가 '강남구'에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 전송 시간대 및 시간별 전송주기와는 무관하게 우선적으로 보호자의 단말기로 긴급통보해준다. 이때, 알림 방식으로는 SMS 혹은 자동음성 방식 등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30)는 주기적으로(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파악을 위한 기본 기능임) 혹은 보호자가 기 설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가 되면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여,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의 중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한번만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집했을 때, 보호자가 기 설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에 의해 위치 정보를 수집한 경우 즉시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주기적인 요청에 의해 위치 정보를 수집한 경우에는 보호대상지역의 이탈시에만 보호자의 단말기로 긴급통보한다.
이와 같이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본적으로 통화버튼, 긴급구조를 위한 버튼(긴급구조 버튼) 등을 구비하고, 긴급버튼을 통해 서비스 서버(30)내에 상주하고 있는 상담원과의 직접 통화없이 간단한 조작(긴급구조 버튼)만으로도 자동으로 긴급구조를 SMS로 요청할 수 있으며('구조 요청을 위한 기본 기능'), 특히 서비스 서버(30)의 '보호자가 설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에 따른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 혹은 '주기적인 요청에 따른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실시간으로 GPS 위성망(또는 방송망)을 통해 GPS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30)로 송출한다.
즉,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보호 대상체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버튼 조작을 통해 알리면(즉, 긴급버튼을 누르면)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긴급의 종류를 파악하여 이를 SMS 형태로 가공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30)로 송신한다. 물론, 긴급 상황 발생시, 보호 대상체가 긴급버튼을 눌러 확인할 수도 있고,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해 음성(예를 들면, "긴급", "긴급상황발생" 등)으로 확인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긴급버튼을 눌러, 서비스 서버(30)내에 상주하고 있는 상담원과의 일대일 통화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 요청을 위한 기본 기능' 외에도, 특히 본 발명을 위해서, 보호 대상체가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보호자가 지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에 따른 서비스 서버(30)의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혹은 '서비스 서버(30)의 주기적인 요청에 따른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GPS 위성망(또는 방송망)을 통해 GPS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30)로 송출한다.
이때, 위치 정보 SMS 메시지 생성시, 미리 정의된 코드(예를 들면, SMS 메시지의 TI Code 등)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GPS 위성망(또는 방송망)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D-GPS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정확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서비스 서버(30)로 송출한다. 즉, 절대 측정치로 설정된 좌표를 기준으로 GPS 보정치를 설정하고, 위치 데이터의 오차를 비교 수정하여 정확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한다. 따라서,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로부터의 보호 대상체의 위치 확인 요구시마다(즉, 보호자가 선택한 시간대별 전송주기에 따라) 혹은 자체적으로 주기적인 위치 확인 요구를 통해, 서비스 서버(30)는 보호 대상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 혹은 웹 단말기, 유선 단말기 등으로 알려 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통신망은 SM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제어국, 교환국, 단문서비스 센터, 단문서비스 서버 등으로 구성된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 및 위치 정보 메시지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을 통해 SMS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30)와 송수신한다.
여기서, 단문서비스 센터는 SMS를 이용하여 단문서비스 서버를 통해 각 이동통신 단말기(10,20)를 서비스 서버(30)와 연결한다. 따라서,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전송할 SMS 메시지를 바탕으로 위치 정보 SMS 필드를 생성하고, 서비스 서버(30)는 SMS 메시지를 분석하여 보호 대상체의 위치를 파악한다.
즉, 서비스 서버(3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32)의 제어하에 SMS 처리부(31)에서 이를 해석하고, 해석된 메시지(메시지에 포함된 D-GPS 정보)를 이용해 GIS(33)를 조회하여 보호 대상체의 정확한 위치를 지도상의 도로명, 행정구역명, 거리 등을 연계하여 파악한다. 즉, 지도상의 가입자 정보와 미리 정의된 긴급구조 센타 정보를 맵핑시켜 보호 대상체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한다.
여기서, GIS(33)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지리 정보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지도 형태로 결과를 받아 볼 수 있도록 한다. GIS(33)에서는 지리 정보가 위도, 경도와 같은 지리적 좌표로 표현되거나, 주소, 우편번호, 지번 등의 실제적인 정보로 표현된다. GIS(33)는 이러한 지리 정보를 지도상의 위치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보호자)는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동적 알림 서비스)' 등록을 위하여 서비스 접속번호(1588-xxxx, 700-xxxx 등)를 통해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여(201), 보호자의 단말기(이동통신 단말기, 웹 단말기, PDA, 유선 전화기 등) 전화번호 및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를 등록해둔다(202).
이때,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동적 알림) 기능을 위한 시간대를 선택하고(203), 선택한 시간대별로 전송받을 전송주기를 선택한다(204). 즉, 부모의 입장에서는 자녀의 행동반경 및 시간을 잘 알고 있으므로, 보호 대상체의 위치를 전송받을 시간대를 선택하고 각 시간대별로 전송주기를 지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전송 시간대를 "08:00~09:00", "15:00~16:00", "18:00~19:00"로 선택하고(203), 해당 시간별로 전송주기를 "08:00~09:00 - 15분 주기", "15:00~16:00 - 20분 주기", "18:00~19:00 - 10분 주기"로 선택한다(204).
이후, 서비스 서버(30)에서는 '보호자가 지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가 되면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205). 이에 대해, 보호 대상체가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보호자가 지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에 따른 서비스 서버(30)의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GPS 위성망(또는 방송망)을 통해 GPS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30)로 송출한다.
여기서,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서비스 서버(30)의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GPS 위성망(또는 방송망)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D-GPS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정확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서비스 서버(30)로 송출한다. 즉, 절대 측정치로 설정된 좌표를 기준으로 GPS 보정치를 설정하고, 위치 데이터의 오차를 비교 수정하여 정확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30)에서는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위치 정보가 실린 메시지(위치 정보 메시지)를 해석하여(206) 보호자가 선택한 시간대에 전송주기에 따라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 혹은 웹 단말기, 유선 단말기 등으로 보호 대상체의 위치를 자동으로 알려준다(207). 이때, 알림 방식으로는 SMS 혹은 자동음성 방식 등이 가능하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30)는 SMS 메시지(위치 정보 메시지)를 분석하여 보호 대상체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이때 분석된 메시지(메시지에 포함된 D-GPS 정보)를 이용해 GIS(33)를 조회하여 보호 대상체의 정확한 위치를 지도상의 도로명, 행정구역명, 거리 등을 연계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보호자)의 필요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지도 형태로 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보호자가 보호 대상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행동반경을 규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전송 시간대 및 시간별 전송주기와 함께 '보호대상지역'을 미리 등록해 둔 경우라면, 주기적인 요청을 통해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집하여, 보호대상지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전송 시간대 및 시간별 전송주기가 아니어도, 보호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 PDA, 웹 단말기, 그외 유선 단말기 등으로 보호 대상체의 이탈 행위를 즉시 알려 준다. 따라서, 전송 시간대 및 시간별 전송주기와 함께 보호대상지역을 설정해 둔 경우라면, 보호 대상체의 현재 위치 알림에 있어서 '보호대상지역' 파라미터가 최우선 고려의 대상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긴급상황 발생시 보호대상체나 보호자의 능동적인 행위(긴급버튼을 누르는 행위, 실시간 서비스 접속 행위)가 없더라도, 긴급구조 서비스(즉, 신변보호 서비스, 모바일 보디가드 서비스 등)를 동적으로 실현(즉, 보호 대상체의 위치를 자동으로 알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 대상체의 행동반경을 규제할 수 있어, 보호대상지역을 벗어난 보호 대상체의 이탈 행위를 자동으로 보호자에게 통보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긴급구조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를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이동통신 단말기 30 : 서비스 서버
40 : 긴급구조 센타

Claims (5)

  1. 위치 기반의 보호 대상체 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보호자가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동적 알림 서비스)' 등록하여,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등록하고, 자동 알림(동적 알림) 시간대 및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를 선택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보호자가 지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가 되면, 서비스 서버가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가 실린 메시지(위치 정보 메시지)를 해석하여, '보호자가 지정한 각 시간대별 전송주기'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체의 위치를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제공단계
    를 포함하는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등록단계에서 '보호대상지역'이 설정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주기적인 요청을 하여 상기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가 실린 메시지(위치 정보 메시지)를 해석한 후, 보호대상체의 현재 위치와 상기 '보호대상지역'을 비교하여, 보호대상체의 현재 위치가 상기 '보호대상지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보호대상지역'의 이탈을 알리는 긴급통보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단계에서 상기 보호대상체의 위치를 전송하는 방식은,
    단문메시지(SMS), 자동 음성 방식, 혹은 위치 정보를 지도상의 위치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서버의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GPS 위성망(또는 방송망)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D-GPS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정확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5. 위치 기반의 보호 대상체 알림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보호자가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동적 알림 서비스)' 등록하여,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를 등록하고, 상기 보호대상체의 행동반경('보호대상지역')을 선택 등록하는 서비스 등록단계;
    서비스 서버가 보호 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보호대상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가 실린 메시지(위치 정보 메시지)를 해석하여, 보호대상체의 현재 위치와 상기 '보호대상지역'을 비교하는 위치비교단계; 및
    상기 위치비교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보호대상체의 현재 위치가 상기 '보호대상지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보호대상지역'의 이탈을 알리는 긴급통보단계
    를 포함하는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KR1020040023824A 2004-04-07 2004-04-07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KR20050098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824A KR20050098557A (ko) 2004-04-07 2004-04-07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824A KR20050098557A (ko) 2004-04-07 2004-04-07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557A true KR20050098557A (ko) 2005-10-12

Family

ID=3727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824A KR20050098557A (ko) 2004-04-07 2004-04-07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8557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449B1 (ko) * 2007-07-25 2007-10-05 (주)유비텍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6387B1 (ko) * 2006-07-28 2007-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위치 추적 방법
KR100828164B1 (ko) * 2006-10-23 2008-05-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그 리드 시스템을 이용하는 비정상 행동 감지 방법 및 그기록 매체, 태그 리드 시스템에서 비정상 행동을 감지하는리더 및 태그 리드 시스템을 이용하는 비정상 행동 감지시스템
US8055277B2 (en) 2006-12-05 2011-11-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ustomized location tracking service
WO2012063993A1 (ko) * 2010-11-12 2012-05-18 (주)에스웨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범죄지수 연동식 위기상황 제어 시스템
KR101273541B1 (ko) * 2011-12-06 2013-06-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을 이용한 응급 환자의 위치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WO2013103240A1 (ko) * 2012-01-03 2013-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행동 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행동 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KR101321563B1 (ko) * 2011-12-21 2013-10-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33772B1 (ko) * 2011-11-04 2013-12-02 변신웅 통신시스템에서의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그 통신시스템, 및 그 기록 매체
KR101383953B1 (ko) * 2012-07-25 2014-04-1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위치/시간 기반의 자동 신변 보호 방법 및 시스템
KR101396386B1 (ko) * 2012-05-25 2014-05-22 김현재 위치 정보 및 비상 호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장치 및 그의 방법
JP2017004046A (ja) * 2015-06-04 2017-01-05 住友電工システ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異常行動検知装置、異常行動検知システム、異常行動検知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87B1 (ko) * 2006-07-28 2007-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위치 추적 방법
KR100828164B1 (ko) * 2006-10-23 2008-05-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그 리드 시스템을 이용하는 비정상 행동 감지 방법 및 그기록 매체, 태그 리드 시스템에서 비정상 행동을 감지하는리더 및 태그 리드 시스템을 이용하는 비정상 행동 감지시스템
US8055277B2 (en) 2006-12-05 2011-11-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ustomized location tracking service
KR100762449B1 (ko) * 2007-07-25 2007-10-05 (주)유비텍 위치확인 및 안전을 위한 단말기의 구난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063993A1 (ko) * 2010-11-12 2012-05-18 (주)에스웨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범죄지수 연동식 위기상황 제어 시스템
KR101333772B1 (ko) * 2011-11-04 2013-12-02 변신웅 통신시스템에서의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그 통신시스템, 및 그 기록 매체
KR101273541B1 (ko) * 2011-12-06 2013-06-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을 이용한 응급 환자의 위치 정보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1321563B1 (ko) * 2011-12-21 2013-10-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3103240A1 (ko) * 2012-01-03 2013-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행동 정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행동 정보 알림 서비스 방법
US9537874B2 (en) 2012-01-03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viding behavior information notification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behavior information notification service
US10027685B2 (en) 2012-01-03 201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viding behavior information notification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behavior information notification service
KR101396386B1 (ko) * 2012-05-25 2014-05-22 김현재 위치 정보 및 비상 호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장치 및 그의 방법
KR101383953B1 (ko) * 2012-07-25 2014-04-1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위치/시간 기반의 자동 신변 보호 방법 및 시스템
JP2017004046A (ja) * 2015-06-04 2017-01-05 住友電工システ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異常行動検知装置、異常行動検知システム、異常行動検知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3885B2 (en) Personal security system
CN101133668B (zh) 移动终端、通信终端、使用这些终端的所处位置通知系统以及所处位置通知方法
US6999757B2 (en) Telephone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ringing one or more land phones or portable phones based on the self-detected geographical position of a portable phone
US92648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contemporaneous information relating to an event
JP4951673B2 (ja) 移動端末グループの追跡
US6882837B2 (en) Local emergency alert for cell-phone users
US71033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a behavior region for a communication device
KR100735421B1 (ko)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스케쥴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420906B1 (ko) Gps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조회 및 안심 서비스 방법
US20120003956A1 (en) Real time sound/image capture and distibution to end recipient
JPWO2006061970A1 (ja) 携帯電話機
KR20050098557A (ko)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EP1162854B1 (en) Controlling the routing and/or ringing behaviour of a telephon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a portable phone
JP3746704B2 (ja) 位置探索システム
KR100827157B1 (ko) 휴대단말기의 긴급 구조 메시지 처리 방법
US20050221796A1 (en) Personal portable security system
US20050170810A1 (en) Method of membership protec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U2259595C1 (ru) Система тревож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и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KR100953629B1 (ko) Gps 탑재폰을 이용한 긴급 상황 시의 도움 요청방법
JP2009171484A (ja) 通信システム、報知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装置
KR100602702B1 (ko)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RU2400819C1 (ru) Способ приема абонентом программы действий при чрезвычайной ситуации (варианты)
JP2003284125A (ja) 位置探索制御システム及び位置探索制御方法
KR20170112707A (ko) 스케줄부가서비스와 앱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한 지인 찾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WO2004008660A1 (ja) 危機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