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702B1 -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702B1
KR100602702B1 KR1020030016135A KR20030016135A KR100602702B1 KR 100602702 B1 KR100602702 B1 KR 100602702B1 KR 1020030016135 A KR1020030016135 A KR 1020030016135A KR 20030016135 A KR20030016135 A KR 20030016135A KR 100602702 B1 KR100602702 B1 KR 100602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rescu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600A (ko
Inventor
정영욱
이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1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702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단말기의 부가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험에 처해 있을 때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주변에 알림과 동시에 자동으로 긴급 호출하여 각종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재난에 처한 가입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 기반의 긴급구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에서의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재난 발생시에 대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긴급구조 요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저장 단계; 긴급구조 요청 버튼 입력시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 단계; 상기 인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주변에서 단말기 소지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기 약정된 동작을 외부 출력 - 여기서, 기 약정된 동작에 따른 외부 출력 형태로는 스피커 출력 및 백라이트 발광이 있음 - 하는 단계; 상기 인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긴급구조 요청 정보에 의거하여 기 정의된 착신 전화번호로 우선순위에 따라 호의 순차적인 착신을 시도하는 호 시도 단계; 및 호 연결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긴급구조 요청 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에 지피에스(GPS) 기능을 통해 산출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삽입하여 해당 착신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긴급구조 서비스 등에 이용됨.
긴급구조, 이동통신 단말기, GPS, 도움 메뉴

Description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Urgency rescue service method through helping menu}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긴급구조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도움 메뉴 설정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 서비스 과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 : 중앙센타
12 : 긴급구조 센타 13 : 설정 단말기
본 발명은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사용자가 위험에 처해 있을 때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주변에 알리고, 그와 동시에 자동으로 긴급 호출을 하여 각종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개인 휴대폰은 그 기술의 개발도 셀룰러폰, PCS 폰, 위성통신폰 등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또한, 그의 기술개발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더욱 첨단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휴대 통신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기능과 디자인이 촌각을 다투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첨단기술의 개발에 모든 연구 및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휴대폰이 우리가 지니는 생활용품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일반인들이 쉽게 휴대하면서 그 부가기능이 반영되지 못하는 현실들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의 스피커(speaker)와 백라이트(backlight), 메시지 저장 기능 등과 같이 고유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말기의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에 놓였을 때, 특히 야간에 주위의 도움이 필요할 때, 긴박한 상황에서 전화번호를 일일이 누르기 어렵거나 통화를 기다리기가 곤란할 때, 종래에는 고작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나 기관에 전화를 걸어 통화가 될 때까지 위험에 노출되거나 전화를 걸기 위한 행동을 취함으로써 전화거는 시간에 자신의 보호를 위한 행동을 전혀 못하거나 제한이 되었다.
설령, 긴박한 상황에서 통화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상대측으로 알려주기란 쉽지 않고, 기존 통신 단말기의 위 치추적 방법들과 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셀 단위(Cell Base)의 위치추적 방법으로 이동통신망의 가입자위치등록(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지국 식별자 및 의사잡음(PN : Pseudo Noise) 코드값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어떤 기지국의 어떤 섹터내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망에서 하나의 기지국의 하나의 섹터가 광범위한 면적을 서비스함을 고려할 때 정밀한 위치추적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인접 기지국들의 기지국 식별자(BID : Base station IDentifier) 및 각각의 개별 인접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의사잡음칩(PN Chip) 지연시간(TOD : Time Of Delay)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각각의 인접 기지국들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와 인접 기지국들의 위경도 좌표 정보에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영역 계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근사적 위경도 영역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영역추적만으로는 정밀한 위치추적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재난 구조 서비스 등에 대응시켜 볼 때, 종래에는 단말기 보유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워 이동전화 기지국의 셀 반경으로 위치가 파악되었으며, 보호 대상체의 특성상 단말기를 통해 자기의 위치를 정확히 표현하지 못해 긴급구조를 요청하더라도 시간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전국을 커버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GIS) 정보와 연계한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함에 따라 긴급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제약사항으로 인해 단말기 가입자가 신속성을 요하는 긴급구조 요청시에 고도의 정확도를 가진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였다. 아울러, 재난 구조 대상의 보호 대상체는 자기가 속한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긴급구조를 요청하더라도 위치를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구조 지연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단말기의 부가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험에 처해 있을 때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주변에 알림과 동시에 자동으로 긴급 호출하여 각종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재난에 처한 가입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 기반의 긴급구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에서의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재난 발생시에 대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긴급구조 요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저장 단계; 긴급구조 요청 버튼 입력시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 단계; 상기 인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주변에서 단말기 소지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기 약정된 동작을 외부 출력 - 여기서, 기 약정된 동작에 따른 외부 출력 형태로는 스피커 출력 및 백라이트 발광이 있음 - 하는 단계; 상기 인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긴급구조 요청 정보에 의거하여 기 정의된 착신 전화번호로 우선순위에 따라 호의 순차적인 착신을 시도하는 호 시도 단계; 및 호 연결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긴급구조 요청 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에 지피에스(GPS) 기능을 통해 산출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삽입하여 해당 착신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에서의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긴급구조 요청 버튼 입력시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 단계; 상기 인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주변에서 단말기 소지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기 약정된 동작을 외부 출력 - 여기서, 기 약정된 동작에 따른 외부 출력 형태로는 스피커 출력 및 백라이트 발광이 있음 - 하는 단계; 상기 인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정의된 착신 전화번호로 우선순위에 따라 호의 순차적인 착신을 시도하는 호 시도 단계; 및 호 연결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 상황 발생 사실을 지피에스(GPS) 기능을 통해 산출된 단말기 위치 정보와 함께 단문메시지 형태로 가공하여,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를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 송신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센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단말기 소지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인접된 긴급구조 센타를 결정하여, 해당 긴급구조 센타로 구조 요청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긴급구조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가입자의 직접 통화없이 간단한 조작(버튼)만으로도 자동으로 긴급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GPS 기능을 탑재하여,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GPS 위성망(또는 방송망)을 통해 파악하고 있어, 긴급구조 요청시 위치기반의 긴급구조 서비스가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 서비스의 제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이루게 된다.
음성 메모리(21)는 각종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 사용자가 위험에 처했을 때, 특히 야간에 주위의 도움이 필요할 때 긴박한 상황에서 전화번호를 일일이 누르고 통화를 기다리기가 곤란할 때를 대비해 설정해 둔 "도움 메뉴" 중 도움의 메시지 등이 음성 메모리(21)에 저장된다.
메모리(22)에는 제어부(2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메모리(22)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그리고, 메모리(22)에는 "도움 메뉴"로 설정해 둔 결과 등이 저장된다. 예를 들면, 구조 요청시 전송할 자신의 인적사항, 조용한 모드/요란한 모드에 따른 키 설정, 착신 전화번호(119, 112, 혹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의 번호 등), 소리의 온(on)/오프(off), 백라이트의 온(on)/오프(off) 설정 정보 등이 저장된다.
키 입력부(23)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2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키 입력부(23)는 긴급구조 버튼을 구비하는데, 이 긴급구조 버튼(긴급구조 요청시 전송할 자신의 인적사항, 조용한 모드/요란한 모드에 따른 키 설정, 착신 전화번호(119, 112, 혹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의 번호 등), 소리의 온(on)/오프(off), 백라이트의 온(on)/오프(off) 설정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긴급구조 설정 버튼, 긴급구조 요청 버튼)의 위치는 기존 키패드(0~9,*,#), 네비게이션키, 기능키, 사이드 방향키 중 하나를 긴급구조 버튼용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단말기 상에 별도의 키를 새로 부가할 수도 있다.
표시부(24)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20)의 제어를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키 입력부(23)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표시 요구에 따라 해당 메뉴를 메모리(22)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24)에 표시한다. 즉, 키 입력부(23)는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 등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적절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구비된 각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키 각각에 있어 해당되는 고유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부(20)로 전달함으로써, 키 입력부(23)의 키 입력 동작을 통해 메뉴 표시 모드로의 진입 및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20)에서 해당 키 입력에 따른 메뉴를 메모리(22)에서 독출하여 표시부(24)에 표시하게 된다.
RF부(25)는 제어부(2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25)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착신음 발생부(26)는 제어부(20)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발생한다.
음성처리부(27)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25)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음성 메모리(21)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도 2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가입자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버튼(긴급구조 요청 버튼) 조작을 통해 알리면(예를 들면, 긴급구조 버튼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는 긴급구조 요청 버튼을 누르거나, 긴급구조 요청 버튼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기 정의된 단축키를 이용하여 누르는 등),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긴급의 종류를 파악하여 스피커(speaker)와 백라이트(backlight) 등을 이용하여 주변에 단말기 사용자의 위험한 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이를 SMS 형태로 가공하여(긴급구조 SMS 메시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중앙 센타(11)로 송신한다.
여기서, 긴급구조 SMS 메시지 생성시에는 미리 정의된 코드(예를 들면, SMS 메시지의 TI Code 등)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보다 정확한 위치기반의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해서, GPS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0)는 GPS 위성망(또는 방송망)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D-GPS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정확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긴급구조 SMS 메시지 생성시에 추가한다. 즉, 절대 측정치로 설정된 좌표를 기준으로 GPS 보정치를 설정하고, 위치 데이터의 오차를 비교 수정한 후 정확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긴급구조 SMS 메시지 생성시에 삽입한다.
물론, 긴급 상황에서 가입자가 긴급구조 요청 버튼을 눌러 긴급구조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중앙 센타(11)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가입자가 사전에 "도움 메뉴"를 설정해 두지 않은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그러나, 가입자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버튼(긴급구조 요청 버튼) 조작을 통해 알릴 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여 긴급구조 SMS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자동으로 중앙 센타(11)로 송신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고, 단말기 사용자가 위험에 처했을 때, 특히 야간에 주위의 도움이 필요할 때 긴박한 상황에서 전화번호를 일일이 누르고 통화를 기다리기가 곤란할 때를 대비해 "도움 메뉴"를 설정해 둔 경우라면,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여 스피커(speaker)와 백라이트(backlight) 등을 이용하여 주변에 단말기 사용자의 위험한 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미리 녹음된 단말기 사용자의 인적사항 등과 도움의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중앙 센타(11)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정 행위는 단말기 사용자가 단 말상에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물론, 긴급 상황 발생시, 가입자가 긴급구조 버튼을 눌러 확인할 수 있고, 단축키 등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보다 진보된 형태로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해 음성(예를 들면, "긴급", "긴급상황발생" 등)으로 확인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녹음된 단말기 사용자의 인적사항 등과 도움의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중앙 센타(11)로 송신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단말기 사용자는 미리 자신의 인적사항과 도움의 메시지를 녹음해 둔다. 또한, 키에 따라 조용한 모드와 요란한 모드로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착신 전화번호(119, 112, 혹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의 번호 등), 전송할 녹음 메시지, 소리의 온(on)/오프(off), 백라이트의 온(on)/오프(off) 설정 등이 가능하다.
긴급 구조 요청시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첫째 가입자가 사전에 "도움 메뉴"를 설정해 두지 않은 경우, 긴급 상황에서 가입자가 긴급구조 요청 버튼을 누르면 긴급구조 SMS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중앙 센타(11)로 송신한다.
둘째, 가입자가 사전에 도 3과 같이 "도움 메뉴"를 설정해 둔 경우, 즉 긴급구조 설정 버튼을 눌러 "도움 메뉴"를 설정해 둔 경우라면 긴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긴급구조 요청 버튼1,2에 의해 기 설정된 메뉴 방식에 따라 위험 상황을 중앙 센타(11)로 알린다.
상기 메뉴 설정 방식의 일예로, 긴급구조 요청 버튼1에 의해 실행될 소리의 온(조용한 모드/요란한 모드 가능함), 백라이트의 온(조용한 모드/요란한 모드 가능함) 설정(301)과 함께 자신의 인적사항과 도움의 메시지(단말기에 기 정의된 메 시지를 선택하거나 직접 녹음 가능함) 설정(302), 그리고 착신 전화번호(119, 112, 혹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의 번호 등) 설정(303)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긴급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긴급구조 요청 버튼1을 누르면, 스피커(speaker)와 백라이트(backlight) 등을 이용하여 주변에 단말기 사용자의 위험한 상황을 알림과 동시에 미리 녹음된 단말기 사용자의 인적사항 등과 도움의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중앙 센타(11)로 송신한다. 이때, 착신번호의 우선순위를 둬 착신이 될 때까지, 첫 번째 전화번호로의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순서의 번호로 호를 자동 시도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설정 방식의 다른 예로, 긴급구조 요청 버튼2에 의해 실행될 소리의 오프, 백라이트의 오프 설정(304)과 함께 자신의 인적사항과 도움의 메시지(단말기에 기 정의된 메시지를 선택하거나 직접 녹음 가능함) 설정(305), 그리고 착신 전화번호(119, 112, 혹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의 번호 등) 설정(306)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긴급상황에 처한 사용자가 긴급구조 요청 버튼2를 누르면, 미리 녹음된 단말기 사용자의 인적사항 등과 도움의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중앙 센타(11)로 송신한다.
상기 긴급구조 요청 버튼은 긴급구조 설정 버튼을 눌러 "도움 메뉴"를 설정할 때, 설정 방식에 따라 다수 개로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가입자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버튼 조작을 통해 알리면, 긴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여 긴급구조 SMS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자동으로 중앙 센타(11)로 송신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무선통신망은 SM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제어국, 교환국, 단문서비스 센터, 단문서비스 서버 등으로 구성된 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긴급구조 메시지를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을 통해 SMS를 이용하여 중앙 센타(11)와 송수신한다.
여기서, 단문서비스 센터는 SMS를 이용하여 단문서비스 서버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중앙 센타(11)와 연결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전송할 SMS 메시지를 바탕으로 긴급구조 SMS 필드를 생성하고, 중앙 센타(11)는 SMS 메시지를 분석하여 가입자의 위치 및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긴급의 종류를 파악한다.
즉, 중앙 센타(11)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12)의 제어하에 SMS 처리부(111)에서 이를 해석하여 긴급 상황의 인지 및 긴급의 종류를 파악하고, 해석된 메시지(메시지에 포함된 D-GPS 정보)를 이용해 GIS(113)를 조회하여 가입자의 정확한 위치를 지도상의 도로명, 행정구역명, 거리 등을 연계하여 파악한다. 즉, 지도상의 가입자 정보와 미리 정의된 긴급구조 센타 정보를 맵핑시켜 가입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중앙 센타(11)는 미리 정의된 DB를 바탕으로 가입자가 위치한 지역에서 가장 인접된 긴급구조 센타(12)를 파악하여, 파악된 긴급구조 센타(12)에 호(Outbound 호)를 연결하여 구조 요청을 한다. 물론, 중앙 센타(11)는 ARS를 이용하거나 상주하고 있는 상담원이 음성통화를 이용하여 긴급구조 센타(12)로 긴급사항(긴급의 종류), 가입자의 위치 및 전화번호 등을 알려 줄 수 있다.
긴급구조 센타(12)로 구조 요청후, 중앙 센타(11)는 가입자에게 통화를 연결하여 긴급구조 요청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표시되거나 음성으로 들려질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 SMS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신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는 SMS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를 해석하여 자동으로 스피커나 표시부(LCD)에 출력한다. 물론, SMS를 이용하지 않고, 중앙 센타(11)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직접 음성통화를 통해 긴급구조 완료 사실을 알릴 수도 있다.
여기서, 긴급구조 센타(12)는 구조 요청, 범죄 신고에의 대응 등의 공익 단체(예를 들면, 병원, 소방서, 경찰서 등)를 의미한다.
한편, GIS(113)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지리 정보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지도 형태로 결과를 받아 볼 수 있도록 한다. GIS(113)에서는 지리 정보가 위도, 경도와 같은 지리적 좌표로 표현되거나, 주소, 우편번호, 지번 등의 실제적인 정보로 표현된다. GIS(113)는 이러한 지리 정보를 지도상의 위치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구조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가입자가 사전에 도 3과 같이 "도움 메뉴"를 설정해 둔 경우, 긴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긴급구조 요청 버튼1,2에 의해 기 설정된 메뉴 방식에 따라 위험 상황을 중앙 센타(11)로 알리는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버튼(긴급구조 요청 버튼) 조작(또는 음성)을 통해 알리면(401), 긴급구조 요청 버튼1이 눌린 경우, 요란한 소리와 함께 백라이트를 깜빡이고(402) 기 정의된 착신 전화번호(119, 112, 혹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의 번호 등)로 호를 시도하여(403), 연결 상태를 디스플레이 및 미리 녹음된 단말기 사용자의 인적사항 등과 도움의 메시지를 보낸다(404). 이때, 착신번호의 우선순위를 둬 착신이 될 때까지, 첫 번째 전화번호로의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순서의 번호로 호를 자동 시도할 수 있다.
한편, 긴급구조 요청 버튼2가 눌린 경우, 모든 소리를 오프시키고 백라이트가 오프된 상태에서 기 정의된 착신 전화번호(119, 112, 혹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의 번호 등)로 호를 시도하여(405), 연결 상태를 디스플레이 및 미리 녹음된 단말기 사용자의 인적사항 등과 도움의 메시지를 보낸다(406). 이 역시, 착신번호의 우선순위에 따라 착신이 될 때까지, 첫 번째 전화번호로의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순서의 번호로 호를 자동 시도할 수 있다.
만약, 긴급구조 연결 도중에 종료키가 입력되면(407), 스피커를 오프시키고(긴급구조 요청 버튼1에 의해 스피커가 동작된 경우) 마이크를 동작시켜(408) 직접 음성 통신이 가능하다(409). 이후에 종료키가 눌리는 경우는 기존 절차와 동일하게 호를 종료시킨다(410).
한편, 가입자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버튼(긴급구조 요청 버튼) 조작을 통해 알리면, 긴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여 긴급구조 SMS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자동으로 중앙 센타(11)로 송신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가입자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버튼 조작(또는 음성)을 통해 알리면(501),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긴급의 종류를 파악하여 이를 가입자의 위치와 함께 SMS 형태로 가공한 후 무선통신망을 통해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를 중앙 센타(11)로 송신한다(502).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GPS 위성망(또는 방송망)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D-GPS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정확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위치정보를 긴급의 종류와 함께 SMS 메시지에 실어 중앙 센타(11)로 전송한다.
이후, 중앙 센타(11)는 SMS 메시지를 분석하여 가입자의 위치 및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긴급의 종류를 파악하며, 가입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인접된 긴급구조 센타(12)를 결정한다(503).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앙 센타(11)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12)의 제어하에 SMS 처리부(111)에서 이를 해석하여 긴급 상황의 인지 및 긴급의 종류를 파악하고, 해석된 메시지(메시지에 포함된 D-GPS 정보)를 이용해 GIS(113)를 조회하여 가입자의 정확한 위치를 지도상의 도로명, 행정구역명, 거리 등을 연계하여 파악한다. 즉, 지도상의 가입자 정보와 미리 정의된 긴급구조 센타 정보를 맵핑시켜 가입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미리 정의된 DB를 바탕으로 가입자가 위치한 지역에서 가장 인접된 긴급구조 센타(12)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중앙 센타(11)가 가입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 가장 인접된 긴 급구조 센타(12)로 구조 요청을 한다(504). 이때, 중앙 센타(11)는 ARS를 이용하거나 상주하고 있는 상담원이 음성통화를 이용하여 긴급구조 센타(12)로 긴급사항(긴급의 종류), 가입자의 위치 및 전화번호 등을 알려 준다. 이에 대해, 긴급구조 센타(12)에서는 중앙 센타(11)로 구조 요청에 대한 확인 작업을 수행한다(505). 이때, 확인 작업으로는 구조위치 및 가입자 번호 등을 확인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긴급구조 센타(12)로의 긴급구조 요청 작업이 완료되면, 중앙 센타(11)는 가입자에게 통화를 연결하여 긴급구조 요청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506).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표시되거나 음성으로 들려질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 SMS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신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는 SMS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를 해석하여 자동으로 스피커나 표시장치에 출력한다(507). 물론, SMS를 이용하지 않고, 중앙 센타(11)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직접 음성통화를 통해 긴급구조 완료 사실을 알릴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긴급한 상황에서 복잡한 통화나 조작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구조 요청을 할 수 있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긴급구조 요청한 가입자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통화를 시도하는 사이에도 요란한 소리(스피커)와 불빛(백라이트)으로 주변에 사용자의 위험을 알릴 수 있고, 통화를 시도하면서 다른 방어 및 보호 행위를 취할 수 있어 각종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 요청 메시지에 GPS 기반의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삽입하고 메시지 전송시 외부 출력(스피커, 백라이트)과 동시에 우선순위에 따른 순차적인 착신을 시도하여 보다 확실한 구조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무선통신망에서의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재난 발생시에 대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긴급구조 요청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저장 단계;
    긴급구조 요청 버튼 입력시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 단계;
    상기 인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주변에서 단말기 소지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기 약정된 동작을 외부 출력 - 여기서, 기 약정된 동작에 따른 외부 출력 형태로는 스피커 출력 및 백라이트 발광이 있음 - 하는 단계;
    상기 인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긴급구조 요청 정보에 의거하여 기 정의된 착신 전화번호로 우선순위에 따라 호의 순차적인 착신을 시도하는 호 시도 단계; 및
    호 연결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긴급구조 요청 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에 지피에스(GPS) 기능을 통해 산출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삽입하여 해당 착신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구조 요청 정보는,
    단말기 사용자의 인적사항과 도움의 메시지(긴급구조 요청 메시지) 정보, 키에 따라 조용한 모드와 요란한 모드로의 설정 정보, 기 설정된 착신전화번호 정보, 소리의 온(on)/오프(off) 설정 정보, 백라이트의 온(on)/오프(off)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4. 삭제
  5. 무선통신망에서의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긴급구조 요청 버튼 입력시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 단계;
    상기 인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주변에서 단말기 소지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기 약정된 동작을 외부 출력 - 여기서, 기 약정된 동작에 따른 외부 출력 형태로는 스피커 출력 및 백라이트 발광이 있음 - 하는 단계;
    상기 인지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정의된 착신 전화번호로 우선순위에 따라 호의 순차적인 착신을 시도하는 호 시도 단계; 및
    호 연결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긴급 상황 발생 사실을 지피에스(GPS) 기능을 통해 산출된 단말기 위치 정보와 함께 단문메시지 형태로 가공하여, 긴급구조 요청 메시지를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 송신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중앙 센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단말기 소지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인접된 긴급구조 센타를 결정하여, 해당 긴급구조 센타로 구조 요청을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KR1020030016135A 2003-03-14 2003-03-14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KR100602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135A KR100602702B1 (ko) 2003-03-14 2003-03-14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135A KR100602702B1 (ko) 2003-03-14 2003-03-14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600A KR20040081600A (ko) 2004-09-22
KR100602702B1 true KR100602702B1 (ko) 2006-07-20

Family

ID=3736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135A KR100602702B1 (ko) 2003-03-14 2003-03-14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21B1 (ko) * 2012-02-06 2014-02-12 이창화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송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279B1 (ko) * 2015-05-28 2015-11-09 이용인 근거리 단체 대화방을 통한 긴급 구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921B1 (ko) * 2012-02-06 2014-02-12 이창화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송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600A (ko)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57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emergency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66727B1 (ko) 전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6014555A (en) System for providing the telephone number of a telephone making an emergency call
US7433672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emergency recording and notification and associated method
JP4019563B2 (ja) 移動体通信装置及び移動体通信方法
US20080090592A1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Notifying System Using Them, and Location Notifying Method
CN102204230A (zh) 移动设备主叫方id功能的基于位置的启用/禁用
KR20040077709A (ko) 휴대용 전화장치
US815038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response message transmitting method
JP3278645B2 (ja) 無線緊急救助システム
KR20070024321A (ko) 이동 통신사의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50098557A (ko) 보호 대상체의 위치 자동 알림 서비스 방법
JP4273068B2 (ja) 緊急時の通知システム及び通知方法
KR100602702B1 (ko) 도움 메뉴 설정 기능을 통한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JP3806642B2 (ja) 携帯通信機器及び通信方法
KR100827157B1 (ko) 휴대단말기의 긴급 구조 메시지 처리 방법
JP4740780B2 (ja) 携帯電話機
KR20060013293A (ko)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서비스제공 방법
JPH10229455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を利用した緊急通知システム
KR100488177B1 (ko)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13701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접여부 알림 방법
KR10061877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상 호출 방법
KR20040049928A (ko) Gps 탑재폰을 이용한 긴급 상황 시의 도움 요청방법
JP2002232947A (ja) 携帯通信装置
EP15694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ma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