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141B1 - 가스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141B1
KR100761141B1 KR1020060098898A KR20060098898A KR100761141B1 KR 100761141 B1 KR100761141 B1 KR 100761141B1 KR 1020060098898 A KR1020060098898 A KR 1020060098898A KR 20060098898 A KR20060098898 A KR 20060098898A KR 100761141 B1 KR100761141 B1 KR 100761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orifice
diaphragm
bimetal
main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8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48Mechanical actuating means actuated by mechanical timing-device, e.g. with dash-pot
    • F16K31/485Mechanical actuating means actuated by mechanical timing-device, e.g. with dash-pot and specially adapted for ga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0Devices for simultaneous control of gas and 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기기가 지나치게 과열되는 경우에는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거나 가스 공급량을 자동적으로 줄이는 가스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오븐렌지의 가스제어장치는, 가스(gas)를 버너(106)로 공급하는 개별가스관(102)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가스가 유동 가능한 가스챔버(124)가 형성되는 몸체(112)와; 상기 개별가스관(102)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몸체(112)의 가스챔버(124)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메인오리피스(114)와; 상기 개별가스관(102)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몸체(112) 내부의 가스챔버(124)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보조오리피스(126)와;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다이아프램(116)과; 외부의 열을 내부로 전달하는 열감지판(118)과; 상기 열감지판(118)에 의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변형되는 바이메탈디스크(120)와;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과 상기 다이아프램(11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변형에 따라 상기 다이아프램(116)을 일측으로 미는 전달축(122)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나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가스기기, 버너, 가스량, 조절, 제어, 차단

Description

가스제어장치{Gas control apparatu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스오븐렌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가스오븐렌지의 탑버너부 내부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제어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메인가스관 102. 개별가스관
104. 가스밸브 106. 버너
110. 가스제어장치 112. 몸체
114. 메인오리피스 116. 다이아프램
118. 열감지판 120. 바이메탈디스크
122. 전달축 124. 가스챔버
126. 보조오리피스
본 발명은 가스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렌지와 같은 가스기기가 지나치게 과열되는 경우에는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거나 가스 공급량을 자동적으로 줄이는 가스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제어장치는 그 제품의 종류를 불문하고, 가스가 사용되는 기기에는 모두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스오븐렌지 등과 같은 가스기기에 사용되는 가스제어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가스오븐렌지는 가스렌지와 캐비티 내에 음식물을 넣어 복사열과 대류열을 이용하는 가스오븐이 결합되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이하, 이러한 가스오븐렌지의 일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스오븐렌지의 측단면으로써, 가스오븐렌지의 상부에는 가스의 연소열로 직접 음식물을 조리하는 탑버너부(1)가 설치되며, 상기 탑버너부(1)의 하부에는 가스 연소열의 열대류를 주로 이용해서 음식물을 만드는 오븐(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탑버너부(1)와 오븐(3)의 사이에는 주로 복사열을 이용하여 생선이나 육류 등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그릴(5)이 설치되고, 상기 탑버너부(1)의 배면에는 상기 오븐(3) 및 그릴(5)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배기하고 탑버너부(1)에서 발생하는 국물의 튀김을 방지하는 백가드부(7)가 설치된다.
상기 탑버너부(1)에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탑버너(9)가 설치되며 이러한 탑버너(9)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노즐이 각각 구비되어 가 스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븐(3)의 내부에는 수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오븐버너(11)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오븐(3)의 선단에는 오븐(3) 내부를 차폐하는 오븐도어(13)가 구비된다. 상기 오븐도어(13)는 하단부를 축으로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며, 이를 위해 오븐도어(13)의 전면 상단에는 오븐도어핸들(1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그릴(5)의 내부에는 수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그릴버너(21)가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이러한 그릴(5)의 선단에는 그릴(5) 내부를 차폐하는 그릴도어(23)가 구비된다. 상기 그릴도어(23)는 상기 오븐도어(13)와 마찬가지로 하단부를 축으로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됨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 그릴도어(23)의 전면 상단에는 그릴도어핸들(25)이 형성된다.
상기 탑버너부(1)의 내측 후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버너(30,Governor)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버너(30)의 상단에는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32)가 구비된다.
상기 가버너(30)의 후단에는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공급관(34)이 연결 설치되고, 선단에는 상기 가버너(30)를 통과한 가스가 유동되는 가스관(36)이 연결된다.
상기 탑버너부(1)의 내측 선단부에는 상기 가스관(36)을 통해 유입된 가스를 분사하는 오븐노즐(38)이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부(1)의 전면은 조작판넬(40)이 형성한다. 상기 조작판넬(40)에 는 오븐점화노브(42)를 비롯한 각종 점화노브 및 선택노브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오븐노즐(38)의 하부에는 상기 오븐버너(11)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콘트롤플레이트(44)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가스오븐렌지에서는 조리 중 용기의 물이 증발하여 용기가 과열되거나, 돌냄비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용기의 사용으로 상기 탑버너부(1)의 온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화재 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과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가스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 온도의 고저에 따라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가스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제어장치는, 가스를 버너로 공급하는 가스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가스가 유동 가능한 가스챔버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스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몸체의 가스챔버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열을 내부로 전달하는 열감지판과; 상기 열감지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감지 판에 의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변형되는 바이메탈디스크와; 상기 바이메탈디스크과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메탈디스크의 변형에 따라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측으로 미는 전달축;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스제어장치는, 가스를 버너로 공급하는 가스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가스가 유동 가능한 가스챔버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스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몸체의 가스챔버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메인오리피스와; 상기 메인오리피스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오리피스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스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몸체 내부의 가스챔버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보조오리피스와; 상기 메인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열을 내부로 전달하는 열감지판과; 상기 열감지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감지판에 의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변형되는 바이메탈디스크와; 상기 바이메탈디스크과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메탈디스크의 변형에 따라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측으로 미는 전달축;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축이 수용되어 일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축가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바이메탈디스크가 수용되는 디스크챔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메인오리피스에 접촉하여 메인오리피스를 개폐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형상 및 길이의 변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제어장치에 의하면, 화재나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제어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스오븐렌지의 탑버너부 내부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오븐렌지의 탑버너부 내측에는 메인가스관(100)이 전후 및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메인가스관(10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gas)가 안내되는 관으로, 후단으로부터 선단부로 연결된 다음, 선단부에서는 다시 좌우로 길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가스관(100)으로부터는 다수의 개별가스관(102)이 분지된다. 즉, 탑버너부의 선단부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메인가스관(100)에는 4개의 개별가스관(102)이 각각 분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 개별가스관(102)과 메인가스관(100)의 연결부위에는 가스밸브(104)가 구비된다.
상기 가스밸브(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별가스관(102)으로 공급 되는 가스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스밸브(104)를 조작하는 노브(도시되지 않음)은 탑버너부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개별가스관(102)은 상기 메인가스관(100)과 다수의 버너(106)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가스관(1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별가스관(102)의 끝단에는 버너(10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버너(106)는 화염을 형성하여 용기 또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탑버너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판(108)의 상면에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좌우 측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개별가스관(102)에는 가스제어장치(11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스제어장치(110)는 상기 개별가스관(102)을 유동하는 가스(gas)의 양을 제어하거나, 가스(gas)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으로, 세부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상기 가스제어장치(110)의 구성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제어장치(110)는, 외관을 형성하며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몸체(112)와, 상기 몸체(112)의 우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메인오리피스(114)와,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다이아프램(116)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열을 내부로 전달하는 열감지판(118)과, 상기 열감지판(118)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감지판(118)에 의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변형되는 바이메탈디스크(120)와,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과 상기 다이아프램(116) 사이에 설치되는 전달축(12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gas)를 버너로 공급하는 가스관에 연결 설치되며, 내부에는 가스가 유동 가능한 소정 크기의 공간인 가스챔버(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2)의 좌측단에는 고정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1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다이아프램(116)의 고정부(144)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는 상기 몸체(112)의 우측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메인오리피스(114)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별가스관(102)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개별가스관(102)을 통해 유동되는 가스의 대부분은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를 통해 상기 가스제어장치(1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개별가스관(102)은 상기 가스제어장치(110)로 가스를 공급하는 유입가스관(102')과, 상기 가스제어장치(110)로부터 유출되는 가스를 안내하는 유출가스관(10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는 상기 유입가스관(102')과 상기 가스챔버(124)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의 후측에는 보조오리피스(126)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오리피스(126)는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와 같이 상기 유입가스관(102')을 유동하는 가스(gas)가 상기 가스챔버(124)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오리피스(126)도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와 마찬가지로 상기 유입 가스관(102')과 상기 가스챔버(124)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오리피스(126)는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를 보조하여 가스(gas)의 유동을 안내한다.
상기 몸체(112)의 선단부에는 상기 가스챔버(124)와 상기 유출가스관(102")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배출관(128)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128)은 상기 가스챔버(124)로 유입된 가스(gas)를 상기 유출가스관(102")으로 안내하는 출구 역할을 한다.
상기 다이아프램(116)은 상기 가스챔버(124)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의 출구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의 좌측단은 좌측으로 더 돌출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다이아프램(116)의 우측단이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의 좌측단에 접하는 경우에도 상기 보조오리피스(126)의 좌측단은 상기 다이아프램(116)과 접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다이아프램(116)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열감지판(118)은 상기 가스제어장치(110) 외부의 열을 감지하여 가스제어장치(110)의 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2)의 좌측단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열감지판(118)은 열전달이 용이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는 상기 열감지판(118)의 우측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열감지판(118)의 우측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디스크챔버(130)이 형성되고, 이러한 디스크챔버(130)의 내부에 상기 바이메탈디스 크(120)가 수용된다.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바이메탈(bimetal)의 구성과 같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메탈(bimetal)은, 열팽창계수가 매우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판을 포개어 붙여 한 장으로 만든 막대형태의 부품을 일컫는다. 따라서,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좌측면과 우측면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 열팽창계수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는 중앙부가 좌측으로 돌출된 원추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좌측면은 열팽창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우측면은 열팽창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는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중앙부가 좌측으로 돌출된 상태(도 3 참조)로 상기 디스크챔버(130) 내부에 수용되어져 있다. 바이메탈의 원리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달축(1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축으로 이루어지며, 좌측단은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우측면 중앙부와 접하고, 우측단은 상기 다이아프램(116)에 접한다.
상기 전달축(122)은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변형에 따라 좌우로 유동한다. 즉,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는 원추형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중앙부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중앙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전달축(122)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려 연동되는 것이다.
상기 전달축(122)은 축가이드(132)에 의해 안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몸체(112)의 좌측에는 축가이드(132)가 구비된다. 즉, 상기 가스챔버(124)의 좌측은 상기 축가이드(132)에 의해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축가이드(132)의 중앙부에는 가이드홀(132')이 좌우로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가이드홀(132')에 상기 전달축(122)이 삽입되어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홀(132')의 내경은 상기 전달축(122)의 외경보다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좌우로 자유로이 유동된다.
상기 디스크챔버(130)는 상기 축가이드(132)의 좌측단에 형성된다. 즉, 상기 축가이드(132)와 상기 열감지판(118) 사이에 상기 디스크챔버(130)가 형성된다.
상기 다이아프램(116)은,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에 접촉하여 메인오리피스(114)를 개폐하는 머리부(140)와, 상기 머리부(140)를 지지하는 몸체부(142)와, 상기 몸체(112)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부(144)와, 상기 몸체부(142)와 고정부(144)를 연결하는 연결부(14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이아프램(116)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상기 연결부(146)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져 형상 및 길이가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달축(12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146)는 형상이 변경되거나 길이가 늘어나기도 한다.
상기 머리부(140)는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와 대응되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의 직경보다는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머리부(140)의 우측면이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의 좌측면에 접하게 되면, 상기 메인오리피스(114)가 완전히 차폐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4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부(140)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몸체부(142)는 좌우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44)는 상기 고정홈(112')과 대응되는 '┌' 또는 'ㄴ' 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부(144)가 상기 고정홈(112')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146)는 고무와 같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144)와 상기 몸체부(142)의 좌측단을 연결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부(146)는 그 길이가 변형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144)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몸체부(142)와 머리부(140)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제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가스관(100)을 통해 외부로부터 가스(gas)가 가스기기의 내부로 공급되면, 이러한 가스는 1차적으로 상기 가스밸브(104)를 통해 유동이 제어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별가스관(102)으로의 가스 유동이 제어된다.
사용자가 상기 가스밸브(104)에 연결된 노브(도시되지 않음)를 회전시켜, 상기 개별가스관(102)으로의 가스 유동이 일어나도록 하면, 상기 버너(106)에서는 화염이 생성되어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정상적인 조리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제어장치(110)는 작동을 하지 않게 되며, 이때의 상태는 도 3과 같다. 즉, 이때에는 상기 열감지판(118)의 온도는 높지 않으므로,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중앙부는 좌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다이아프램(116)은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치우쳐져 상기 다이아프램(116)의 머리부(140)와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의 좌측단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를 통해 상기 유입가스관(102')을 유동하는 가스(gas)가 상기 가스챔버(124) 내부로 유입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보조오리피스(126)를 통해서도 상기 유입가스관(102')을 통해 유동하는 가스(gas)가 상기 가스챔버(124)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가스챔버(124) 내부로 유입된 가스(gas)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가스관(102")을 통해 유동된다. 즉, 상기 가스챔버(124) 내부의 가스(gas)는 상기 배출관(128)을 통과하여 상기 유출가스관(102")으로 안내되고, 이러한 유출가스관(102")으로 안내된 가스는 상기 버너(106)로 공급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버너(106)에 의해 가열되는 음식물이 타거나, 용기가 지나치게 과열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스제어장치(110)는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버너(106)에 의해 가열되는 음식물이 정상적으로 조리되지 않거나, 용기의 형태가 부적합하여 탑버너부가 이상적으로 과열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스제어장치(110)가 작동한다.
이때의 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가스제어장치(110) 외부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이러한 열기가 상기 열감지판(118)에 전달되고, 상기 열감지판(118)의 온도가 증대된다. 상기 열감지판(118)의 온도가 높아지면, 이러한 열감지판(118)과 접하고 있는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온도가 증가한다.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온도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형상은 도 3에서 도 4의 형태가 된다. 즉, 중앙부가 좌측으로 돌출된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중앙부가 점차 우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우측면이 좌측면에 비해 열팽창계수가 크기 때문이다.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형상이 도 4와 같이 되면, 이러한 바이메탈디스크(120)의 우측면 중앙부에 접하고 있는 상기 전달축(122)이 우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축(122) 우측단이 상기 다이아프램(116)의 몸체부(142)를 우측으로 밀게 되고, 이때 상기 연결부(146)가 늘어나면서 상기 다이아프램(116)의 몸체부(142)와 머리부(140)는 우측으로 유동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다이아프램(116)의 머리부(140)가 우측으로 유동하게 되면, 상기 머리부(140)와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의 좌측단 간격은 점차 감소되고, 이윽고 상기 머리부(140)의 우측면이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의 좌측단에 접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메인오리피스(114)가 상기 다이아프램(116)의 머리부(140)에 의해 완전히 막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다이아프램(116)의 머리부(140)가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를 막게 되면, 상기 유입가스관(102') 내부의 가스(gas)는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를 통해서는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보조오리피스(126)를 통해서만 상기 가스챔버(124)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결국 상기 버너(106)로 공급되는 가스(gas)의 양은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버너(106)로 공급되는 가스의 량이 감소하면, 상기 버너(106)에서 발생되는 화염의 크기도 감소하게 되므로, 결국 탑버너부의 과열이 해소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가스제어장치(110) 외부의 온도가 점차 감소되면,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는 원상으로 회복된다. 즉, 상기 열감지판(118)의 온도 감소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온도도 감소되어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형상은 도 4에서 다시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바이메탈디스크(120)의 중앙부는 다시 좌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다이아프램(116)의 좌측단인 고정부(144)가 상기 고정홈(112')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다이아프램(116)의 형상은 원형으로 회복된다. 따라서, 상기 머리부(140)와 몸체부(142)가 다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전달축(122)도 상기 다이아프램(116)에 밀려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다이아프램(116)의 머리부(14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머리부(140)와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는 다시 멀어지게 되므로,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는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를 통해 가스의 유동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버너(106)에서는 정상적인 조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제어장치(1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바이 메탈디스크(120)의 변형에 의해 상기 개별가스관(102)을 유동하는 가스의 량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오리피스(114) 외에 별도의 보조오리피스(126)가 형성되어 가스의 유동을 안내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보조오리피스(126)는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오리피스(126)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메인오리피스(114)만을 통해 가스의 유동이 일어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오리피스(126)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가스제어장치(110)는 가스의 공급 자체를 제어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상기 가스제어장치(110)에 의해 상기 메인오리피스(114)가 막히게 되면, 상기 버너(106)로는 가스가 전혀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버너(106)의 불(화염)이 자연적으로 소화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오리피스(126)가 하나만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보조오리피스(126)가 2 이상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메인오리피스(114)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조오리피스(126)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바이메탈(bimetal)을 이용한 가스제어장치 에 의해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량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즉, 버너 주위의 온도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상태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메인오리피스를 막아 보조오리피스로만 가스가 공급된다. 따라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량을 감소되어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오리피스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버너 주위가 과열되는 경우에는 가스제어장치에 의해 가스가 완전히 차단된다. 따라서, 가스 누출이 방지되며,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가스를 버너로 공급하는 가스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가스가 유동 가능한 가스챔버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스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몸체의 가스챔버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열을 내부로 전달하는 열감지판과;
    상기 열감지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감지판에 의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변형되는 바이메탈디스크와;
    상기 바이메탈디스크과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메탈디스크의 변형에 따라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측으로 미는 전달축;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축이 수용되어 일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축가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바이메탈디스크가 수용되는 디스크챔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제어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오리피스에 접촉하여 오리피스를 개폐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형상 및 길이의 변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제어장치.
  6. 가스를 버너로 공급하는 가스관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가스가 유동 가능한 가스챔버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스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몸체의 가스챔버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메인오리피스와;
    상기 메인오리피스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오리피스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스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몸체 내부의 가스챔버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보조오리피스와;
    상기 메인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열을 내부로 전달하는 열감지판과;
    상기 열감지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감지판에 의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변형되는 바이메탈디스크와;
    상기 바이메탈디스크과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메탈디스크의 변형에 따라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측으로 미는 전달축;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축이 수용되어 일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축가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축가이드의 일측에는,
    상기 바이메탈디스크가 수용되는 디스크챔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제어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메인오리피스에 접촉하여 메인오리피스를 개폐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를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가스제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형상 및 길이의 변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제어장치.
KR1020060098898A 2006-10-11 2006-10-11 가스제어장치 KR100761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898A KR100761141B1 (ko) 2006-10-11 2006-10-11 가스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898A KR100761141B1 (ko) 2006-10-11 2006-10-11 가스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141B1 true KR100761141B1 (ko) 2007-09-21

Family

ID=3873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898A KR100761141B1 (ko) 2006-10-11 2006-10-11 가스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1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521B1 (ko) 2013-05-08 2014-08-22 (주)신조로스타 음식조리용 가열수단을 갖는 구이용 로스터
KR20170000197A (ko) 2015-06-23 2017-01-0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기계식 센서 밸브 조립체
KR101847284B1 (ko) * 2016-08-29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열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180001807U (ko) * 2018-05-01 2018-06-18 박경표 로스터의 가스조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3601A2 (fr) 1987-11-25 1989-05-26 Mayc Sa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systemes de securite totale a bi-metal pour chauffe-eau a gaz
JPH0820076B2 (ja) * 1989-05-17 1996-03-04 株式会社東海 温度感応型ガス流量調節装置
JPH1194258A (ja) 1997-09-25 1999-04-09 Hitachi Hometec Ltd ガスコンロ
KR100223224B1 (ko) 1997-03-08 1999-10-15 구자홍 가스기기의 가스공급/차단장치
KR200276058Y1 (ko) 2002-02-27 2002-05-18 이흥규 바이메탈을 이용한 화력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3601A2 (fr) 1987-11-25 1989-05-26 Mayc Sa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systemes de securite totale a bi-metal pour chauffe-eau a gaz
JPH0820076B2 (ja) * 1989-05-17 1996-03-04 株式会社東海 温度感応型ガス流量調節装置
KR100223224B1 (ko) 1997-03-08 1999-10-15 구자홍 가스기기의 가스공급/차단장치
JPH1194258A (ja) 1997-09-25 1999-04-09 Hitachi Hometec Ltd ガスコンロ
KR200276058Y1 (ko) 2002-02-27 2002-05-18 이흥규 바이메탈을 이용한 화력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521B1 (ko) 2013-05-08 2014-08-22 (주)신조로스타 음식조리용 가열수단을 갖는 구이용 로스터
KR20170000197A (ko) 2015-06-23 2017-01-0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기계식 센서 밸브 조립체
KR101847284B1 (ko) * 2016-08-29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열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180001807U (ko) * 2018-05-01 2018-06-18 박경표 로스터의 가스조절장치
KR200488926Y1 (ko) * 2018-05-01 2019-04-04 박경표 로스터의 가스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005B2 (en) Gas radiation bur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691116B1 (ko) 화력조절기능을 가지는 가스곤로
JPH0363420A (ja) ガラスセラミックプレートの下側に少なくとも1つの輻射ガスバーナーを設けたガス調理器具および該ガス調理器具の昇温時間短縮方法
KR100761141B1 (ko) 가스제어장치
KR100926442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867244B1 (ko) 가스 테이블렌지
US20230375189A1 (en) Cooking device
EP3495738B1 (en) Cooking device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97427B1 (ko) 기계식 센서 밸브 조립체
KR100938201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6906403B2 (ja) ガスコンロ
US108450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gas range top burners for cooking
KR100938200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826700B1 (ko) 가열조리기기 및 가열조리기기의 웜존 기구
KR102132476B1 (ko) 조리기기
KR102119340B1 (ko) 버너부 소화방지 기능을 갖는 가스조리기기
JP7131806B2 (ja) コンロ
KR200161629Y1 (ko) 가스버너의 버너구조
KR20110035738A (ko) 가열조리기기
KR100213622B1 (ko) 가스연소기기
KR200347293Y1 (ko) 가스공급량 조절기능을 갖는 가스렌지용 점화 라이타
KR200470669Y1 (ko) 가스렌지 불을 자동으로 꺼주는 압력솥용 보조기구
KR20010102766A (ko) 가스레인지의 그릴부 과열방지장치
KR20230137583A (ko) 내부압력유지가 가능한 오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