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469B1 -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 - Google Patents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469B1
KR100760469B1 KR1020070066449A KR20070066449A KR100760469B1 KR 100760469 B1 KR100760469 B1 KR 100760469B1 KR 1020070066449 A KR1020070066449 A KR 1020070066449A KR 20070066449 A KR20070066449 A KR 20070066449A KR 100760469 B1 KR100760469 B1 KR 100760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waist
pillows
pillow
vel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신균
Original Assignee
정신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신균 filed Critical 정신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대칭되는 허리를 받쳐주는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특징적으로 구성하여 대퇴부의 뒷 무릎에 각각 분리착용하여, 어떤 수면의 자세에서라도 지속적으로 요추를 이완시켜 피로를 풀어주게 하고, 허리의 올바른 교정 및 치료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대퇴부의 뒷 무릎에 착용함으로서, 등을 대고 바른 자세로 누울 때에는 뒷무릎지지쿠션부(25)가 뒷 무릎과 엉덩이(허리)를 바닥으로부터 받쳐주어, 두 무릎을 지속적으로 일정 굽히게 함으로서 인위적 번거러움이 없이 수면중에라도 압력으로부터 피로해진 요추를 이완시켜 주게 된다.
수면중 뒤척이다 옆으로 무릎을 나란히 하여 눕게 되더라도 무릎사이쿠션부(14)가 양쪽의 무릎 사이에서 옆 무릎을 서로 받쳐주게 되어 편안함을 주게 되며, 또 두 무릎이 옆으로 자유롭게 교차 되어 한쪽의 옆 무릎이 바닥에 닿았을 때 역시, 무릎사이쿠션부(14)가 바닥으로부터 옆 무릎을 받쳐주어 허리의 뒤틀림을 차단하게 한다.
이처럼 한번 착용으로 어떤 자세로의 수면중에라도 압력으로 긴장되고 피로해진 요추를 의도적인 번거러움이 없이 이완시켜 주고 뒤틀리지 않게 해 줌으로서, 그 피로를 지속적으로 풀어 주게 되어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착용에 탄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벨크로(13)가 부착된 조절밴드(11)의 일정부분에 신축밴드(10)를 구성하고 또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엉덩이판(15)의 좌.우 양쪽에 각각 결합 일체화 함으로서 착용 및 관리를 편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측뒷무릎베개. 우측뒷무릎베개. 뒷무릎지지쿠션부. 무릎사이쿠션부.공기주입구. 신축밴드. 조절밴드. 벨크로. 엉덩이판

Description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 {The rear knee pillow to prop the waist }
허리는 인체의 기둥역할을 하며 기둥이 부실하면 장식이 아무리 화려해도 소용없듯이 허리가 튼튼하지 못한 사람은 다른 관절의 통증도 함께 호소하게 된다.
요통은 기립생활을 하는 사람에게 유일하게 존재하며 전인구의 80%에서 요통을 경험한다고 한다, 요통은 일상생활의 나쁜 자세 습관, 무리한 운동, 교통사고 등의 재해에 의한 과격한 충격 등이 원인이 된다. 자가운전이 늘면서 장시간의 운전자세불량, 무리한 조깅이나 에어로빅 역시 요통유발의 한 원인이 된다.
요통 중 허리디스크란 병이 제일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누워있는 것이 허리를 가장 편안하다. 이때 바닥은 따뜻하고 딱딱한 것이 좋으며, 엉덩이 밑에 베게나 담요를 넣고 천장을 향해 바른 자세로 무릎을 구부려 피로해진 요추를 이완시켜 줌으로서 피로회복 내지는 교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두 무릎을 나란히 구부려 옆으로 누울때는 무릎과 무릎 사이에 일정 높이의 쿠션을 넣어 서로 옆 무릎을 지지해 주는 방법이 허리에 부담을 적게 주는 것으로 익히 우리의 일반적 상식이 되어왔다.
위와 같이 통상적 방법을 취하게 되나, 자세를 바꿀 때에는 받쳐놓은 베개나 담요 쿠션 등을 의도적으로 다시 알맞게 맞추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이 때문에 잠을 설치게 될 뿐만 아니라 수면 중에는 무의식적으로 몸을 뒤척이게 되어 또한 이의 유지가 어렵다.
결국 엉덩이에 받쳐놓은 베개나 담요 및 무릎사이의 쿠션이 이탈되어 몸을 뒤척이다가 결국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된다.
또 두 무릎을 옆으로 교차하여 눕게 될 때에는, 한쪽의 옆 무릎이 바닥에 닿게 되어 허리의 뒤틀림을 초래하게 되고, 결국 일어났을 때의 불쾌함은 물론 허리가 아프기도 하며 그 피로가 누적되어 허리의 건강에 여간 문제가 많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징적으로 구성된 좌.우 대칭되는 뒷무릎지지쿠션부(25)와 무릎사이쿠션부(14)를 구비한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벨크로의 결합방법으로 엉덩이판(15)의 좌우에 결합 일체화시켜 그 착용과 관리를 편리하게 한다.
뒷무릎지지쿠션부(25)와 무릎사이쿠션부(14)를 구성 일체화한 좌.우측뒷무릎베개 (23,24)를 엉덩이판(15)의 좌.우에 부착한 후 엉덩이판(15)을 엉덩이 밑으로 넣어 깔고, 좌.우의 뒷 무릎을 뒷무릎지지쿠션부(25)에 각각 올려놓고 조절밴드(11)로 알맞게 탄력을 조절하여 착용하고 수면을 취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바닥에 등을 대고 바른 자세로 누울 때에는, 좌.우측뒷무릎베개(23,24)에 구성된 뒷무릎지지쿠션부(25)가, 수면중에라도 지속적으로 대퇴부의 좌우 뒷 무릎을 바닥으로부터 받쳐 주게 하고, 엉덩이판(15)이 또 엉덩이를 받쳐 줌으로서 압력으로 피로해진 요추를 이완시켜 척추의 피로를 완화하게 하는 것이다.
또 두 무릎을 옆으로 나란히 하여 눕게 되더라도, 좌.우측뒷무릎베개(23,24)에 구성된 무릎사이쿠션부(14)가 좌우 무릎과 무릎 사이를 서로 받쳐주게 하고, 또 두 무릎이 옆으로 자유롭게 교차되어 한쪽의 옆 무릎이 바닥에 닿았을 때 역시, 무릎사이쿠션부(14)가 바닥으로부터 안쪽의 옆 무릎을 받쳐 주어 허리의 뒤틀림을 차단하게 하여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결국 엉덩이판(15)을 엉덩이 밑으로 넣어 깔고 엉덩이판(15)의 좌우에 부착한 허리를 받쳐주는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좌우 대퇴부의 뒷 무릎에 각각 분리 착용함으로서, 어떤 자세로의 수면 중에라도 의도적인 동작 없이 긴장된 요추의 압력을 이완시켜 허리의 피로를 풀어 줌으로서, 허리의 교정 및 치료의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엉덩이판(15)을 엉덩이 밑으로 넣어 깔고 엉덩이판(15)의 좌우에 부착한 허리를 받쳐주는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좌우 대퇴부의 뒷 무릎에 각각 분리 착용함으로서, 등을 바닥에 대고 위를 향해 바르게 누울 때에는, 좌.우측뒷무릎베개(23,24)에 구성된 뒷무릎지지쿠션부(25)가 뒷 무릎을 삼각 구조로 각각 받쳐주어 두 무릎을 지속적으로 일정 구부리게 하며, 또 엉덩이판(15)이 엉덩이를 받쳐 줌으로서 무의식의 수면중에라도 별도의 인위적 동작 없이 피로해진 요추를 지속적으로 이완시켜 피로를 풀어주게 된다.
또 수면중 뒤척이다 두 무릎이 옆으로 나란히 되더라도 좌.우측뒷무릎베개(23,24)에 구성된 무릎사이쿠션부(14)가 양쪽의 안쪽 옆 무릎을 서로 받쳐주게 되며, 또 두 무릎이 자유롭게 교차 되어 한쪽의 옆 무릎이 바닥에 닿았을 때 역시, 그 닿은 옆 무릎을 무릎사이쿠션부(14)가 바닥으로부터 받쳐주는 등 어떤 자세로의 수면 중에라도, 인위적 동작 없이 압력으로 긴장되고 피로해진 요추를 지속적으로 이완시켜 그 피로를 풀어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엉덩이판(15)의 좌우에 부착 일체화 함으로서 따로따로 돌아다니지 않게 되어 착용의 효율은 물론 보관 및 관리를 편리하게 한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좌우 뒷 무릎에 착용하기만하면 인위적인 별도의 동작 없이, 무의식인 수면중의 어떤 자세에서라도 허리를 비틀림 없이 요추의 피로회복 및 교정에 최적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요추의 압력을 이완시켜 척추의 피로를 지속적으로 완화해 줌으로서 상쾌한 숙면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허리의 교정 및 치료에도 심히 효과가 기대되는 의학적 기능을 갖는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베개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10.신축밴드 11.조절밴드 12.12'벨크로부착부 13.13'벨크로 14.무릎사이쿠션부 15.엉덩이 판 16.공기주입구 17.미끄럼방지턱 18.대퇴부접촉부 19.무릎오금접촉부 20.미끄럼방지주름 21.미끄럼방지홈 22.바닥접촉부 23.좌측뒷무릎베개 24.우측뒷무릎베개 25.뒷무릎지지쿠션부 26.위생커버 27.엉덩이지지홈 28.좌우결합벨크로 라 도면의 부호를 표기하고 상기 표기의 설명을 기초로 부연하면,
뒷무릎지지쿠션부(25)와 무릎사이쿠션부(14)를 구성 일체화한 좌.우측뒷무릎베개 (23.24)를 각각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하되, 좌측뒷무릎베개(23)는 엉덩이판(15)의 좌측에, 우측뒷무릎베개(24)는 엉덩이판(15)의 우측에 부착시키고, 이때 벨크로(13')와 그 벨크로부착부(12')의 결합으로 착용이 이루어 지게 된다.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엉덩이판(15)의 좌우에 부착하여 일체화 시킴으로서, 따로따로 돌아다니는 것을 막아 착용의 효율 및 관리를 편리하게 한다.
엉덩이판(15)의 양쪽에 부착된, 좌측뒷무릎베개(23)는 좌측 대퇴부의 뒷무릎에 우측뒷무릎베개(24)는 우측 대퇴부의 뒷 무릎에, 조절밴드(11)의 벨크로(13)와 그 벨크로부착부(12)의 결합으로 착용을 하게 된다.
이때 조절밴드(11)의 일정부위에 신축밴드(10)를 구성하여 탄력을 유지하게 한다.
바르게 누울 때는, 엉덩이판(15)의 엉덩이지지홈(27)이 바닥과 엉덩이를 미끄러지지 않게 잘 받쳐주며, 또 좌.우측뒷무릎베개(23,24)에 구성된 뒷무릎지지쿠션부 (25)가 뒷 무릎을 바닥으로부터 삼각구조로 받쳐주어 무릎을 일정 구부리게 함으로서 압력으로부터 피로해지고 비틀어진 요추를 이완시켜 곧게 펴지게 한다.
수면중 뒤척여 옆으로 두 무릎을 가지런히 하여 누울 때에는, 좌.우측뒷무릎베개 (23,24)에 구성된 무릎사이쿠션부(14)가 두 무릎 사이에서 옆 무릎을 서로 받쳐주게 하고, 또 옆으로 누워 자유스럽게 두 무릎이 교차되어 한쪽의 옆 무릎이 바닥에 닿았을 때에는, 무릎사이쿠션부(14)가 바닥으로부터 옆 무릎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좌.우측뒷무릎베개(23,24)에 구성된 뒷무릎지지쿠션부(25)는 뒷 무릎을 받쳐주는 삼각받침구조로 형성하되, 착용시 뒷 무릎과의 접촉부분이 밀려 내려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주름(20)을 구성하고, 신체구조에 따라 대퇴부접촉부(18)는 넓게 하고 무릎오금접촉부(19)는 좁게 하여 부피와 무게를 줄여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게 한다.
삭제
이때 받쳐진 대퇴부의 뒷 무릎이 양쪽 밖으로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미끄럼방지턱(17)과 바닥접촉부(22)가 바닥으로부터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수개의 미끄럼방지홈(21)을 구성한다.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좌우 뒷 무릎에 분리착용 하여 두 무릎을 자유롭게 교차시킬 수도 있지만, 좌우 무릎사이쿠션부(14)의 외면에 좌우결합벨크로(28)를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서로 함께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다.
좌.우측뒷무릎베개(23,24)에 위생커버(26)를 씌워 청결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하되 따뜻한 계절에는 통기성이 유지될 수 있는 시원한 위생커버(26)를, 추운 계절에는 보온성이 유지될 수 있는 따뜻한 소재의 위생커버(26)를 씌워 줌으로서 계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기성과 보온성을 유지토록 하여 착용에 상쾌함을 주도록 한다.
신장에 따라 튜브형의 좌.우측뒷무릎베개(23,24)의 높이를 공기주입구(16)를 통해 공기의 압력으로 조절하여 그 높이와 쿠션을 신축적으로 조절한다.
또한 좌.우측뒷무릎베개(23,24)의 소재를, 공기 주입식의 튜브형으로만 설명되었지만 제작방법에 따라 면,우레탄,피혁,메모리폼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를 받쳐주는 좌측 뒷무릎 베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를 받쳐주는 우측 뒷무릎 베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의 사용도.

Claims (9)

  1. 튜브형으로 공기주입구(16)가 구성되며 위생커버(26)가 씌워진 좌.우측뒷무릎베개 (23,24)를 각각 좌우 대칭으로 구성하되, 이에 벨크로(13,13')와 벨크로부착부(12)및 바닥접촉부(22)와 미끄럼방지홈(21)을 구성하며, 또 대퇴부접촉부(18)와 무릎오금접촉부(19)를 구비한 뒷무릎지지쿠션부(25)의 몸체에, 미끄럼방지턱(17)과 미끄럼방지주름(20)을 구성하며, 외면에 좌우결합벨크로(28)를 지닌 무릎사이쿠션부 (14)를 형성한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엉덩이지지홈(27)을 구비하고 있는 엉덩이판(15)의 좌우에 부착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벨크로(13')와 벨크로부착부(12')를 각 구성하고, 또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좌우 뒷 무릎에 탄력 있는 착용을 위하여 조절밴드(11)의 일정부분에 신축밴드(10)와 벨크로(1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는 바닥으로부터 뒷 무릎을 지속적으로 받쳐 주는 뒷무릎지지쿠션부(25)와, 자세에 따라 두 무릎 사이를 서로 받쳐주고 옆 무릎을 바닥으로부터 받쳐주는, 무릎사이쿠션부(14)를 함께 일체화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좌우 뒷 무릎에 각각 분리착용하여 자유로운 다리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하되, 이를 필요에 따라 좌우결합벨크로(28)의 결합을 통하여 좌.우측뒷무릎베개(23,24)를 일체화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베개.
  4. 제2항에 있어서
    뒷무릎지지쿠션부(25)의 뒷 무릎 접촉부위에 미끄럼방지주름(20)과 뒷 무릎이 양쪽 밖으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턱(17)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베개.
  5. 제4항에 있어서
    뒷무릎지지쿠션부(25)을 신체구조에 따라 대퇴부접촉부(18)는 넓게 하고 무릎오금접촉부(19)는 더 좁게 구성하여 크기를 최소화해, 움직임을 가볍고 자유롭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베개.
  6. 제1항에 있어서
    바닥으로부터 엉덩이를 받쳐 주는 엉덩이판(15)의 양쪽에 좌.우측뒷무릎베개(23, 24)를 탈.부착하여 분리와 일체화를 자유롭게 함으로서 관리 및 착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베개.
  7. 제6항에 있어서
    엉덩이판(15)을 바닥과 엉덩이로부터 미끄러짐 없이 효과적으로 받쳐 주게 하기 위하여 엉덩이지지홈(2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베개.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좌.우측뒷무릎베개(23,24)와 엉덩이판(15)에 필요에 따라 위생커버(26)를 씌워 청결을 유지하되 그 소재를 계절에 따라 통기성 및 보온성을 높 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베개
  9. 제3항에 있어서
    허리를 받쳐주는 좌.우측뒷무릎베개(23,24)의 탄력있는 착용과, 해지의 편리를 위하여 조절밴드(11)의 일정부위에 신축밴드(10)를 구비한 벨크로(1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베개.
KR1020070066449A 2007-05-17 2007-07-03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 KR100760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155 2007-05-17
KR20070048155 2007-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469B1 true KR100760469B1 (ko) 2007-09-19

Family

ID=3873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449A KR100760469B1 (ko) 2007-05-17 2007-07-03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4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1580A (zh) * 2019-10-11 2021-04-13 肖恩·凯利 可调节的腰部恢复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5605A (en) 1988-01-11 1989-02-21 Glassman Medical Products, Inc. Abduction pillow
US4889109A (en) 1989-02-06 1989-12-26 Gifford Koger B Knee separation cushion
US5201761A (en) * 1991-11-12 1993-04-13 Serola Richard J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lumbar lordosis while supine and supporting the lumbar curve when seated
JP2006271948A (ja) 2005-03-25 2006-10-12 Chosei Ryoin:Kk 携帯安眠ひざまく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5605A (en) 1988-01-11 1989-02-21 Glassman Medical Products, Inc. Abduction pillow
US4889109A (en) 1989-02-06 1989-12-26 Gifford Koger B Knee separation cushion
US5201761A (en) * 1991-11-12 1993-04-13 Serola Richard J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lumbar lordosis while supine and supporting the lumbar curve when seated
JP2006271948A (ja) 2005-03-25 2006-10-12 Chosei Ryoin:Kk 携帯安眠ひざまく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1580A (zh) * 2019-10-11 2021-04-13 肖恩·凯利 可调节的腰部恢复枕
CN112641580B (zh) * 2019-10-11 2024-04-05 肖恩·凯利 可调节的腰部恢复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1573A (en) Orthopedic support belt
US6095894A (en) Body supports and protectors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US20150038891A1 (en) Protective sheath
US10143311B2 (en) Knee pillow
US20180168356A1 (en) Head accessory for promoting back sleeping
US20020184707A1 (en) Body supports and protectors
KR100961620B1 (ko) 가슴받침대를 구비한 안면베개
JP6535229B2 (ja) 仰側臥位対応ベッド
US6256804B1 (en) Body supports and protectors
US20030014818A1 (en) Orthopedic body segment support
KR100760469B1 (ko) 허리를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
KR102475466B1 (ko) 교정용 경추베개
KR20180000455A (ko) 다기능 허리베개
US5951366A (en) Body supports and protectors
JP4220492B2 (ja) 下肢安定用具
KR100807528B1 (ko) 허리를 찜질하고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
GB2529626A (en) Integrated multi-component body support system
KR200456599Y1 (ko) 척추 받침대
KR200435467Y1 (ko) 다리 받침대
RU2493799C1 (ru) Поясничный корсет-корректор осанки
JP3605334B2 (ja) 改良敷ふとん
JP3782439B1 (ja) 脚枕
KR200340222Y1 (ko) 치료 의자용 매트
JPH0467866A (ja) 褥瘡の防止及び治療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