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소 또는 술폰산 기가 도입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공중합체을 제공한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목적의 달성에 의해 획득되는 폴리(아릴렌 에테르) 공중합테를 함유하는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아릴렌 에테르) 공중합체는 하기의 화학식 1에 따른다.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탄소와 탄소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단일 결합, S, S(O)2, 또는 C(O)가 될 수 있고, B는 탄소와 탄소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단일 결합, S, S(O), S(O)2, C(O), P(O)(C6H5) 또는 C(CF3)(C6H5)가 될 수 있다. C는 탄소와 탄소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단일 결합, S, S(O)2, C(CH3)2, C(CF3)2가 될 수 있고, D는 탄소와 탄소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단일 결합, S(O)2, C(CH3)2가 될 수 있다.
R은 수소원자 또는 술폰산기(-SO3 -M+)를 나타내고, M+는 양이온 전하를 가진 짝이온(counterion)이며 칼륨 이온(K+), 나트륨 이온(Na+), 알킬 아민(+NR4)을 나타 내며, 칼륨 이온이나 나트륨 이온을 우선으로 한다. X는 0.1 ~ 1이며, m은 20 ~ 100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아릴렌 에테르) 공중합체는,
또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폴리(아릴렌 에테르) 공중합체 및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공중합체를 다음 반응식 1의 제조방법에 따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학식 (2)와 (3)으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록시 단량체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디할라이드 단량체를 축중합 반응하여 화학식 (1a)의 폴리(아릴렌 에테 르) 공중합체를 합성한다. 이때, 상기 반응물은 당량비로 사용하여 반응을 수행하는 바,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화학식 (2)에 대하여 화학식 (3)은 0.2 ~ 0.8 , 화학식 (4)는 1의 당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축중합 반응은 방향족 친핵성 치환반응으로 활성화 단계(activation step)와 중합 단계(polymerizaton step)로 나눌 수 있는 데, 이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조건으로 수행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1단계 활성화 단계에서는 알칼리금속 염기 하에 반응온도 100℃~160℃ 범위 하에서 수행한다.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하이드록시 단량체를 이온화하고, 친핵성을 가지게 하여, 할라이드 단량체와 반응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알칼리금속 염기로는 구체적으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공비증류 (azeotropic distillation) 용매로는 톨루엔(Toluene) 또는 벤젠(Benze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금속 염기는 디하이드록시 단량체에 대하여 1.1~1.5 당량비를 사용하며, 사용량이 1.0 당량비 미만이면 활성화 단계(activation step)가 원활하지 못하고, 2.0 당량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열(cleavage)반응이 발생하여 고분자량의 공중합체를 만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비증류 용매는 이중극성 용매(dipolar solvent)에 대해 50 ~ 100 퍼센트(%) 를 사용하며, 사용량이 50 퍼센트 미만이면 활성화 단계(activation step)에서 물의 증류(distillation)가 원활히 진행되지 못해서 고분자량의 공중합 체를 만들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100 퍼센트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용매 사용으로 인해 부반응(side reaction)인 고리화(cyclization)반응이 발생하여 저분자량의 공중합체가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 반응온도가 100 ℃ 미만이면 활성화 단계(activation step)에서 증류(distillation)반응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게 되어 고분자량의 공중합체를 만드는데 역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16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중극성 용매가 함께 증류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단계 중합 단계에서는 활성화 단계에서 보다 반응온도를 더 올려 160℃~200℃ 범위에서 수행하고, 반응용매로는 이중극성 용매(dipolar solvent) 구체적으로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디메틸술폭사이드(DMSO) 또는 N-메틸피롤리돈(NM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축중합 단계는 활성화 단계에 의해 활성화된 반응 전단계 물질을 축중합하여 상기 반응식 1(a)의 중합체를 형성한다.
상기 이중극성 용매는 디하이드록시 단량체와 디할라이드 단량체에 대하여 10 ~ 20 질량백분율(wt%)을 사용하며, 사용량이 10 질량백분율 미만이면 부반응인 고리화(cyclization)반응으로 인해 저분자량의 공중합체가 생기는 문제가 있고 20 질량백분율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합 중에 용해도 문제로 인해 고분자량의 공중합체를 만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때 반응온도가 160 ℃ 미만이면 반응성이 약한 디하이드록시 단량체와 디 할라이드 단량체를 사용할 경우 고분자량의 공중합체를 만드는데 한계가 생기고 2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중합체의 분해(degradation)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고분자를 술폰화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1b의 술폰네이트기가 치환된 폴리(아릴렌 에테르)공중합체를 합성한다. 상기 술폰화 반응은 클로로술폰산(ClSO3H), 올레늄(SO3·H2SO4), 진한황산 및 발열황산·트리에틸포스페이트(SO3·TEP) 등의 술폰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술폰네이트기를 갖는 공중합체는 공중합체의 몰수에 대하여 1~1.2 당량비를 사용하며, 사용량이 1 당량비 미만이면 술폰네이트기 도입되지 않는 공중합체가 생기게 되고, 1.2 당량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중합체의 가교결합(cross-linking)과 분해(degradation)문제가 있다.
이때, 반응온도는 당 분야에서 수행되는 통상적인 술폰네이트기의 치환반응으로 0℃~100℃, 바람직하기로는 25℃~50 ℃에서 수행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제조된 술폰네이트 그룹이 치환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 및 열분해온도가 각각 167 ℃ , 304 ℃ 이상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막은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 가공성이 우수하며, 치환된 술폰네이트기에 의해 높은 이온전도도를 가질 뿐 아니라, 수분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전해질막 특성의 변화가 없어 높은 치수안정성을 나타내어 고분자 전해질막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성능이 우수하여 연료전지 또는 2차 전 지 등의 전지 화학분야에서 그 효과가 기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제조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
제조예
1 :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
PAEK
-20 ; X=0.22)
콘덴서, 딘-스탁 트랩 및 마그네틱 스터바가 장착된 장치에 질소 분위기 상태에서 2구 둥근플라스크에 두 개의 단량체 바이페닐-2,5-다이올(biphenyl-2,5-diol ; 5 mmol)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딘)다이페놀(4,4′-(hexafluoroisopropylidene)diphenol ; 20 mmol)을 둥근플라스크에 넣고,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 27.5 mmol)을 첨가하였다. 이때, 반응용매로는 디메틸술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 70 mL)와 톨루엔(toluene ; 50 mL)을 사용하였다.
활성화 단계(activation step)는 반응온도 150℃~155℃ 범위에서 6시간 진행되었고, 반응 중 부산물로 생산된 물은 반응용매 중 하나인 톨루엔에 의해 제거되 었다. 상기 활성화 단계 종료 후 톨루엔은 반응기로부터 제거되었고, 반응기는 중합 단계(polymerization step)에 들어가기 전에 100 ℃ 이하까지 냉각(cooling)시켰다.
이후에, 4,4′-다이플루오로벤조페논(4,4′-difluorobenzophenone ; 25 mmol)을 반응기에 첨가한 후, 반응온도를 180℃~185℃까지 점진적으로 올려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700 mL의 메탄올/물(1:1, v/v)에 침전시키고, 물과 메탄올로 여러 번 세척한 후, 60 ℃에서 3일간 진공 건조시켰다. 최종 생성물은 흰색의 고체로 얻어졌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분석과 분자량 측정은 각각 1H-NMR과 GPC를 통하여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1와 도 2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다음 도 1의 1H-NMR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바이페닐-2,5-다이올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딘)다이페놀의 하이드록시(-OH) 피크의 사라짐과, 다음 도 2의 1H-NMR 스펙트럼에서 PAEK-20(X=0.22)와 PAEK-00(X=0), PAEK-40(X=0.42), PAEK-60(X=0.60), PAEK-80(X=0.78), PAEK-100(X=1)와의 1H-NMR 피크의 비교 및 각 수소 피크의 정확한 면적비를 통해 고분자 합성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 표 1은 PAEK-20 고분자의 분자량과 분산도 및 수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분자량의 측정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용매로 하 고, 폴리스티렌을 기준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1 (PAEK-20) |
수평균 분자량 (Mn) |
중량평균 분자량 (Mw) |
분산도 |
수율 (%) |
26,478 |
51,747 |
1.95 |
92 |
제조예
2 :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
PAEK
-40 ; X=0.42)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출발물질인 바이페닐-2,5-다이올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딘)다이페놀의 몰비를 10 mmol : 15 mmol(4 : 6)으로 하여 PAEK-40를 합성하여 흰색의 고체의 최종생성물을 얻어졌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분석과 분자량 측정은 각각 1H-NMR과 GPC를 통하여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2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1H-NMR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출발물질 중의 바이페닐-2,5-다이올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딘)다이페놀의 하이드록시(-OH) 피크의 사라짐과, PAEK-00(X=0), PAEK-20(X=0.22), PAEK-40(X=0.42), PAEK-60(X=0.60), PAEK-80(X=0.78), PAEK-100(X=1)와의 1H-NMR 피크의 비교 및 각 수소 피크의 정확한 면적비를 통해 고분자 합성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2은 PAEK-40 고분자의 분자량과 분산도 및 수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분자량의 측정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용매로 하고, 폴리스티렌을 기준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2 (PAEK-40) |
수평균 분자량 (Mn) |
중량평균 분자량 (Mw) |
분산도 |
수율 (%) |
46,227 |
85,754 |
1.85 |
91 |
제조예
3 :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
PAEK
-60 ; X=0.6)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출발물질인 바이페닐-2,5-다이올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딘)다이페놀의 몰비를 15 mmol : 10 mmol(6 : 4)으로 하여 PAEK-60를 합성하여 흰색의 고체의 최종생성물을 얻어졌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분석과 분자량 측정은 각각 1H-NMR과 GPC를 통하여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도 2의 1H-NMR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출발물질 중의 바이페닐-2,5-다이올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딘)다이페놀의 하이드록시(-OH) 피크의 사라짐과, PAEK-00(X=0), PAEK-20(X=0.22), PAEK-40(X=0.42), PAEK-60(X=0.60), PAEK-80(X=0.78), PAEK-100(X=1)와의 1H-NMR 피크의 비교 및 각 수소 피크의 정확한 면적비를 통해 고분자 합성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3은 PAEK-60 고분자의 분자량과 분산도 및 수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분자량의 측정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용매로 하고, 폴리스티렌을 기준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3 (PAEK-60) |
수평균 분자량 (Mn) |
중량평균 분자량 (Mw) |
분산도 |
수율 (%) |
40,663 |
73,775 |
1.81 |
93 |
제조예
4 :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
PAEK
-80 ; X=0.78)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출발물질인 바이페닐-2,5-다이올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딘)다이페놀의 몰비를 20 mmol : 5 mmol(8 : 2)으로 하여 PAEK-80를 합성하여 흰색의 고체의 최종생성물을 얻어졌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분석과 분자량 측정은 각각 1H-NMR과 GPC를 통하여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2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도 2의 1H-NMR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출발물질 중의바이페닐-2,5-다이올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딘)다이페놀의 하이드록시(-OH) 피크의 사라짐과, PAEK-00(X=0), PAEK-20(X=0.22), PAEK-40(X=0.42), PAEK-60(X=0.60), PAEK-80(X=0.78), PAEK-100(X=1)와의 1H-NMR 피크의 비교 및 각 수소 피크의 정확한 면적비를 통해 고분자 합성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4는 PAEK-80 고분자의 분자량과 분산도 및 수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분자량의 측정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용매로 하고, 폴리스티렌을 기준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4 (PAEK-80) |
수평균 분자량 (Mn) |
중량평균 분자량 (Mw) |
분산도 |
수율 (%) |
22,721 |
46,250 |
2.03 |
90 |
제조예
5 :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
PAEK
-100 ; X=1)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출발물질인 바이페닐-2,5-다이올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PAEK-100를 합성하여 흰색의 고체의 최종생성물을 얻어졌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분석과 분자량 측정은 각각 1H-NMR과 GPC를 통하여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2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도 2의 1H-NMR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출발물질 중의 바이페닐-2,5-다이올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딘)다이페놀의 하이드록시(-OH) 피크의 사라짐과, PAEK-00(X=0), PAEK-20(X=0.22), PAEK-40(X=0.42), PAEK-60(X=0.60), PAEK-80(X=0.78), PAEK-100(X=1)와의 1H-NMR 피크의 비교 및 각 수소 피크의 정확한 면적비를 통해 고분자 합성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5는 PAEK-100 고분자의 분자량과 분산도 및 수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분자량의 측정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용매로 하고, 폴리스티렌을 기준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5 (PAEK-100) |
수평균 분자량 (Mn) |
중량평균 분자량 (Mw) |
분산도 |
수율 (%) |
25,887 |
46,588 |
1.80 |
95 |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술폰
) 공중합체
제조예
6 :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술폰
) 공중합체(
PAES
-60 ; X=0.6)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4,4′-다이플루오로벤조페논(4,4′-difluorobenzophenone)대신 4,4′-다이플루오로디페닐술폰을 사용하였고, 출발물질인 바이페닐-2,5-다이올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딘)다이페놀의 몰비를 15 mmol : 10 mmol(6 : 4)으로 하여 PAES-60를 합성하여 흰색의 고체의 최종생성물을 얻어졌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분석과 분자량 측정은 각각 1H-NMR과 GPC를 통하여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3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다음 도 3의 1H-NMR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출발물질 중의 바이페닐-2,5-다이올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딘)다이페놀의 하이드록시(-OH) 피크의 사라짐과 각 수소 피크의 정확한 면적비를 통해 고분자 합성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6은 PAES-60 고분자의 분자량과 분산도 및 수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분자량의 측정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용매로 하고, 폴리스티렌을 기준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6 (PAES-60) |
수평균 분자량 (Mn) |
중량평균 분자량 (Mw) |
분산도 |
수율 (%) |
17,470 |
28,863 |
1.65 |
93 |
술폰화된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
제조예
7 :
술폰화된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
SPAEK
-20 ; X=0.18)
콘덴서, 드롭핑 펀넬 및 마그네틱 스터바가 장착된 장치에 질소 분위기 상태에서 2구 둥근플라스크에, 상기 제조예 1에서 합성된 고분자 PAEK-20(2.0 mmol)을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 20 질량백분율(wt%))에 녹인 후, 클로로설포닉산(ClSO3H ; 2.2 mmol)을 드롭핑 펀넬을 통하여 천천히 떨어뜨렸다. 이때, 반응온도는 상온이었고, 반응시간은 1시간이었다. 상기 반응하는 도중에 생성물이 반응기 안에서 침전이 생기게 되는데 반응이 끝난 후, 이를 여과시킨 후 50 ℃에서 1일간 진공 건조시켰다.
이후에, 상기 건조된 생성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녹인 다음, 3 질량백분율(wt%) 농도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가한 후, 다시 1N 질산으로 산화시켰다.
상기 반응이 끝난 후, 여과를 통해서 목적하는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SPAEK-20)를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50 ℃에서 3일간 진공 건조시켰다. 이의 수율은 83% 이상으로 높았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분석은 1H-NMR, FT-IR 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도 4와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의 1H-NMR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7.50 ppm 부근의 피크 하나가 7.55 ppm 부근으로 다운필드(downfield) 되었으며, 또한 7.30 ppm 부근의 피크 하나는 7.40 ppm 부근으로 다운필드(downfield) 되었다. 각 수소 피크의 정확한 면적비를 통해 PAEK-20의 술폰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5의 FT-IR의 결과에서 술폰화하지 않은 PAEK-00과 술폰화한 SPAEK-20, SPAEK-40, SPAEK-60, SPAEK-80와 SPAEK-100과의 비교를 통해 술폰네이트 그룹의 대칭, 비대칭 신축 진동이 1020 cm-1, 1070 cm-1 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술폰네이트 그룹이 PAEK-20에 성공적으로 치환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시차주사열량법(DSC)에 의해서 10 ℃/min로 질소분위기 하에서 측정한 SPAEK-20 고분자의 유리전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Tg가 167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SPAEK-20의 열분해온도(Td)를 10 ℃/min로 공기분위기에서 측정하였는데, 5 중량%가 감소하는 온도인 열분해온도가 343 ℃로 매우 높았다.
제조예
8 :
술폰화된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
SPAEK
-40 ; X=0.34)
제조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PAEK-20대신 제조예 2에서 합성된 고분자 PAEK-40을 사용하여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SPAEK-40)를 얻었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분석은 1H-NMR, FT-IR 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다음 도 4와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의 1H-NMR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7.50 ppm 부근의 피크 하나가 7.55 ppm 부근으로 다운필드(downfield) 되었으며, 또한 7.30 ppm 부근의 피크 하나는 7.40 ppm 부근으로 다운필드(downfield) 되었다. 각 수소 피크의 정확한 면적비를 통해 PAEK-40의 술폰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5의 FT-IR의 결과에서 술폰화 하지 않은 PAEK-00(X=0)과 술폰화 한 SPAEK-20, SPAEK-40, SPAEK-60, SPAEK-80와 SPAEK-100과의 비교를 통해 술폰네이트 그룹의 대칭, 비대칭 신축 진동이 1020 cm-1, 1070 cm- 1 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술폰네이트 그룹이 PAEK-40에 성공적으로 치환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시차주사열량법(DSC)에 의해서 10 ℃/min로 질소분위기 하에서 측정한 SPAEK-40 고분자의 유리전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Tg가 172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SPAEK-40의 열분해온도(Td)를 10 ℃/min로 공기분위기에서 측정하였는데, 5 중량%가 감소하는 온도인 열분해온도가 338 ℃로 매우 높았다.
제조예
9 :
술폰화된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
SPAEK
-60 ; X=0.52)
제조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PAEK-20대신 제조예 3에서 합성된 고분자 PAEK-60을 사용하여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SPAEK-60)를 얻었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분석은 1H-NMR, FT-IR 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다음 도 4와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의 1H-NMR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7.50 ppm 부근의 피크 하나가 7.55 ppm 부근으로 다운필드(downfield) 되었으며, 또한 7.30 ppm 부근의 피크 하나는 7.40 ppm 부근으로 다운필드(downfield) 되었다. 각 수소 피크의 정확한 면적비를 통해 PAEK-40의 술폰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5의 FT-IR의 결과에서 술폰화 하지 않은 PAEK-00(X=0)과 술폰화 한 SPAEK-20, SPAEK-40, SPAEK-60, SPAEK-80와 SPAEK-100과의 비교를 통해 술폰네이트 그룹의 대칭, 비대칭 신축 진동이 1020 cm-1, 1070 cm- 1 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술폰네이트 그룹이 PAEK-60에 성공적으로 치환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시차주사열량법(DSC)에 의해서 10 ℃/min로 질소분위기 하에서 측정한 SPAEK-60 고분자의 유리전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Tg가 179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SPAEK-60의 열분해온도(Td)를 10 ℃/min로 공기분위기에서 측정하였는데, 5 중량%가 감소하는 온도인 열분해온도가 332 ℃로 매우 높았다.
제조예
10 :
술폰화된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 (
SPAEK
-80 ; X=0.76)
상기 제조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PAEK-20대신 제조예 4에서 합성된 고분자 PAEK-80을 사용하여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SPAEK-80)를 얻었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분석은 1H-NMR, FT-IR 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다음 도 4와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의 1H-NMR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7.50 ppm 부근의 피크 하나가 7.55 ppm 부근으로 다운필드(downfield) 되었으며, 또한 7.30 ppm 부근의 피크 하나는 7.40 ppm 부근으로 다운필드(downfield) 되었다. 각 수소 피크의 정확한 면적비를 통해 PAEK-40의 술폰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5의 FT-IR의 결과에서 술폰화 하지 않은 PAEK-00(X=0)과 술폰화 한 SPAEK-20, SPAEK-40, SPAEK-60, SPAEK-80와 SPAEK-100과의 비교를 통해 술폰네이트 그룹의 대칭, 비대칭 신축 진동이 1020 cm-1, 1070 cm- 1 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술폰네이트 그룹이 PAEK-80에 성공적으로 치환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시차주사열량법(DSC)에 의해서 10 ℃/min로 질소분위기 하에서 측정한 SPAEK-80 고분자의 유리전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Tg가 196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SPAEK-80의 열분해온도(Td)를 10 ℃/min로 공기분위기에서 측정하였는데, 5 중량%가 감소하는 온도인 열분해온도가 307 ℃로 매우 높았다.
제조예
11 :
술폰화된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 (
SPAEK
-100 ; X=0.96)
상기 제조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PAEK-20대신 제조예 5에서 합성된 고분자 PAEK-100을 사용하여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SPAEK-100)를 얻었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분석은 1H-NMR, FT-IR 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다음 도 4와 도 5에 나타내었다.
다음 도 4의 1H-NMR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7.50 ppm 부근의 피크 하나가 7.55 ppm 부근으로 다운필드(downfield) 되었으며, 또한 7.30 ppm 부근의 피크 하나는 7.40 ppm 부근으로 다운필드(downfield) 되었다. 각 수소 피크의 정확한 면적비를 통해 PAEK-40의 술폰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5의 FT-IR의 결과에서 술폰화 하지 않은 PAEK-00(X=0)과 술폰화 한 SPAEK-20, SPAEK-40, SPAEK-60, SPAEK-80와 SPAEK-100과의 비교를 통해 술폰네이트 그룹의 대칭, 비대칭 신축 진동이 1020 cm-1, 1070 cm- 1 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술폰네이트 그룹이 PAEK-100에 성공적으로 치환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시차주사열량법(DSC)에 의해서 10 ℃/min로 질소분위기 하에서 측정한 SPAEK-100 고분자의 유리전이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Tg가 178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SPAEK-100의 열분해온도(Td)를 10 ℃/min로 공기분위기에서 측정하였는데, 5 중량%가 감소하는 온도인 열분해온도가 304 ℃로 매우 높았다.
술폰화된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술폰
) 공중합체
제조예
12 :
술폰화된
폴리
(
아릴렌
에테르
술폰
) 공중합체 (
SPAES
-60 ; X=0.60)
상기 제조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PAEK-20대신 제조예 6에서 합성된 고분자 PAES-60을 사용하여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케톤) 공중합체(SPAES-60)를 얻었다.
최종 생성물의 구조분석은 1H-NMR을 통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 에 나타내었다.
도 8의 1H-NMR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7.40 ppm 부근의 피크 하나가 7.55 ppm 부근으로 다운필드(downfield) 되었으며, 또한 7.25 ppm 부근의 피크 하나가 7.40 ppm 부근으로 다운필드(downfield) 되었다. 각 수소 피크의 정확한 면적비를 통해 SPAES-60의 술폰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3: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
상기 제조예 7 ~ 11에서 제조된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를 용매에 녹인 후, 0.45 ㎛의 PTFE 멤브레인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뒤, 깨끗한 유리판 지지체에 주물(casting) 방법으로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용매는 진공 오븐에서 50 ℃에서 제거하였다. 이 때,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이중극성 용매(dipolar solvent)로 구체적으로는 N, N'-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c), 디메틸술폭사이드(DMSO) 또는 N-메틸피롤리돈(NMP)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조된 고분자 막의 물성을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7에 나타내었다.
구 분 |
공중합체 |
이온 교환능(meq) |
물 흡수율 (중량%) |
이온 전도도(s/㎝) |
실험치 |
계산치 |
25 ℃ |
80 ℃ |
25 ℃ |
80 ℃ |
제조예 7 |
SPAEK-BP20 |
0.32 |
0.39 |
10 |
14 |
0.017 |
0.021 |
제조예 8 |
SPAEK-BP40 |
0.62 |
0.80 |
13 |
21 |
0.032 |
0.040 |
제조예 9 |
SPAEK-BP60 |
1.03 |
1.23 |
20 |
29 |
0.048 |
0.058 |
제조예 10 |
SPAEK-BP80 |
1.57 |
1.69 |
36 |
51 |
0.075 |
0.087 |
제조예 11 |
SPAEK-BP100 |
2.03 |
2.18 |
- |
- |
- |
- |
비교 |
나피온 1171) |
0.91 |
0.91 |
17 |
21 |
0.085 |
0.096 |
1) 나피온 117 : 제조사(Dupont) |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막은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나피온 117과 동등 이상의 이온 교환능, 물 흡수율 및 이온 전도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치수 안정성이 약한 고분자 막은 물 흡수율을 80℃에서 측정할 때, 녹아버리지만, 치수 안정성이 강한 고분자 막은 물 흡수율을 80℃에서 측정할 때, 녹지 않고 견디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고분자 막은 80℃에서 녹지 않은 것으로 보아,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