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531B1 -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 Google Patents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531B1
KR100759531B1 KR1020070077852A KR20070077852A KR100759531B1 KR 100759531 B1 KR100759531 B1 KR 100759531B1 KR 1020070077852 A KR1020070077852 A KR 1020070077852A KR 20070077852 A KR20070077852 A KR 20070077852A KR 100759531 B1 KR100759531 B1 KR 100759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pipe
residual chlorine
water tank
sens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호
윤계호
최연규
박규성
Original Assignee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8Cleaning of 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166Systems measuring a particular property of an electrolyte
    • G01N27/4168Oxidation-reduction potential, e.g. for chlorination of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8Systems using polarography, i.e. measuring changes in current under a slowly-varying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Specific anions in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통형 방식으로 측정되는 잔류염소량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측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51,61) 및 유입관(51,61)의 반대측으로 스톱밸브(52a,62a)가 결합된 배출관(52,62)이 형성되어 측정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공급관(50,60)과, 공급관(50,60)의 유입관(51,61)과 배출관(52,62)의 사이에는 바이패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T'형태의 연결관(71)이 형성되며, 연결관(71)의 하부에 연결되어 측정수에 의해 유동되는 세정입자(a)가 유입된 측정수조(72)가 형성되고, 측정수조(72)의 일측면에는 상부로 기울어진 센서결합관(73)이 형성되며, 측정수조(72)와 센서결합관(73)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수조(74)가 형성되는 한편, 센서결합관(73)의 하부면에는 수직되게 외부수조(74)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드레인밸브(75)로 형성된 측정부(70)와, 센서결합관(73)에 결합되며, 지시계(500)와 연결되는 측정센서(8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유통형방식으로 측정함에 따라 고농도와 저농의 측정수를 구분하여 측정하므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현장여건에 따라 적용성이 우수하도록 개선된 것이다.
잔류염소량, 세정입자, 유통형방식, 측정센서

Description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residual chlorine analyzer of ventilation form}
본 발명은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격막방식을 형성된 측정센서를 이용하며, 폐수,오수,하수 등의 고농도와 상수, 정수, 수영장 등에 사용되는 물에 대한 저농도의 잔류염소량을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어 정확한 측정결과를 획득 가능하고, 현장에 적용가능한 유통형 방식의 측정기를 이용하여 적용범위가 확대된 잔류염소량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잔류염소란 유리 잔류염소라고도 하며, 물을 염소로 소독했을 때, 하이포아염소산과 하이포아염소산 이온의 형태로 존재하는 염소를 말한다.
또한, 클로라민(chloramine)과 같은 결합잔류염소를 포함해서 말하는 경우도 있으며, 염소를 투입하여 일정시간 후 잔류하는 염소의 양을 ppm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잔류염소는 산화력을 가지며 염소 이온과는 화학적으로 성질이 다르다.
그래서, 잔류염소는 살균력이 강하지만 대부분 배수관망에서 빠르게 소멸한다.
이러한, 잔류염소의 살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반응시간, 온도, 수소이온농도(pH), 염소를 소비하는 물질의 양 등을 들 수 있다.
즉, 염소를 이용하여 물을 소독할 경우 수인성 전염병균(적리,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등)은 잔류염소량 0.02ppm에서 30분 후 완전히 소멸한다.
이러한, 염소의 장점은 수도관 파손으로 인한 미생물의 오염을 예방하거나 소독할 수 있고, 사용중에 오염되는 미생물도 소독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잔류염소가 과량으로 존재할 때에는 염소냄새가 강하고, 금속 등을 부식시키며, 발암물질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어 잔류염소량을 정확히 체크하며,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허용농도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잔류염소량을 측정하는 잔류염소량측정기는 내부공간은 연통홀(1a)이 하부에 형성된 격벽(1)에 의해 양분되어 샘플링공간(2a)과 측정공간(2b)으로 형성되는 측정수조(2)와, 측정수조(2)의 샘플링공간(2a)에는 유입구(3)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오버플로어관(4)이 측정수조(2)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측정공간(2b)에는 잔류염소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5) 및 온도센서(6)가 형성되며, 측정공간(2b)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7)는 오버플로어관(3)의 노출부분과 연결되어 측정수를 배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잔류염소량 측정기는 유입구(3)로부터 측정수를 공급받게 된다.
이렇게, 유입된 측정수는 측정수조(2)의 샘플링공간(2a)에 유입될 때 발생되는 기포 등은 오버플로어관(4)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동시에, 측정수는 연통 홀(1a)을 통해 측정공간(2b)으로 유입된다.
이때, 측정센서(5)는 은을 염소처리한 은/염화은으로 형성된 양전극과, 백금 또는 금을 재질로 한 음전극이 사용되며, 양전극과 음전극의 주위에는 염화칼륨(KCl)의 수용액이 내부에 충진되며, 끝단부에는 격막을 이용하여 외부와 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용액에서 전극전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류신호를 받을 수 있는 작동전극(working electrode)과 보조전극(counter electrode;음전극), 작동전극의 전위를 측정하기위해 비교되어 지는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양전극)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전극인 음전극을 통하여 일정 전위를 인가하면 작동전극 표면에 염소가 환원반응이 일어나 반응한 만큼의 전류 신호를 얻게 된다.
그리고, 작동전극을 이용하여 미량의 전해를 시행하는 것으로 전류는 작동전극과 보조전극 사이를 흐른다.
이때, 차아염소산(HOCl)은 작동전극에서 환원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전위를 가하게 되면 차아염소산(HOCl)이 환원되면서 발생되는 전류량을 측정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된 전류는 분석물질의 양과 비례하여 증가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차아염소산(HOCl)의 농도인 잔류염소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잔류염소량 측정기는 샘플링 방식에 국한되어 유통형의 방식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측정센서를 세정하기 위하여 세정입자를 측정공간이 투입하였을 경우, 샘플링공간에서 측정공간으로 이동되는 측정수의 유 속이 느려 세정입자의 유동력이 약해져 세정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유통형 방식, 그리고 농도에 따라 측정이 가능한 잔류염소의 측정기가 요구되고 있으며, 세정입자의 유동성을 증진시켜 세정효율이 뛰어난 잔류염소량 측정기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유통형방식으로 측정하며, 유통형방식을 이용하여 각각 농도가 고농도인 폐수, 오수, 하수 등과 농도가 저농도인 상수, 정수, 수영장 물 등의 고농도와 저농도를 구분하여 측정함에 따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현장여건에 따라 적용성이 우수하도록 개선된 잔류염소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통형 방식으로 측정되는 잔류염소량량 측정기에 있어서, 측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유입관의 반대측으로 스톱밸브가 결합된 배출관이 형성되어 측정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공급관과, 공급관의 유입관과 배출관의 사이에는 바이패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T'형태의 연결관이 형성되며, 연결관의 하부에 연결되어 측정수에 의해 유동되는 세정입자가 유입된 측정수조가 형성되고, 측정수조의 일측면에는 상부로 기울어진 센서결합관이 형성되며, 측정수조와 센서결합관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수조가 형성되는 한편, 센서결합관의 하부면에는 수직되게 외부수조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드레인밸브로 형성된 측정부와, 센서결합관에 결합되며, 지시계와 연결되는 측정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의 유입관에는 스톱밸브, 스트레이너, 정유량밸브, 플로우스위치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측정수조와 센서결합관이 기울어져 형성되는 각도는 40~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의 유입관에는 차압조정밸브 및 유량계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량 측정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유통형방식으로 측정하며, 유통형방식을 이용하여 각각 농도가 고농도인 폐수, 오수, 하수 등과 농도가 저농도인 상수, 정수, 수영장 물 등의 고농도와 저농도를 구분하여 측정함에 따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현장여건에 따라 적용성이 우수하도록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정 개념도이며,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정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2의 세정입자를 이용한 세정효율 및 측정결과 예를 나타낸 그래프도이고, 도 7은 측정에 따른 잔류염소량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본 발명의 잔류염소량 측정기는 유통형 방식을 이용하여 잔류염소량을 측정가능 하다.
도 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통형 방식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잔류 염소량 측정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측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51,61) 및 유입관(51,61)의 반대측으로 스톱밸브(52a,62a)가 결합된 배출관(52,62)이 형성되어 측정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공급관(50,60)과, 공급관(50,60)의 유입관(51,61)과 배출관(52,62)의 사이에는 바이패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T'형태의 연결관(71)이 형성되며, 연결관(71)의 하부에 연결되어 측정수에 의해 유동되는 세정입자(a)가 유입된 측정수조(72)가 형성되고, 측정수조(72)의 일측면에는 상부로 기울어진 센서결합관(73)이 형성되며, 측정수조(72)와 센서결합관(73)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수조(74)가 형성되는 한편, 센서결합관(73)의 하부면에는 수직되게 외부수조(74)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드레인밸브(75)가 형성된 측정부(70)와, 센서결합관(73)에 결합되며, 지시계(500)와 연결되는 측정센서(80)로 측정기(300,400)가 구성된다.
먼저, 측정기(300)의 공급관(50)은 측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51)에는 차압조정밸브(51a) 및 유량계(51b)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배출관(52)에는 스톱밸브(52a)가 형성된 일방향으로 측정수가 흐르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차압조정밸브(51a)는 유입관(51)을 통해 공급되는 측정수의 공급압력이 일정하도록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유량계(51b)는 유입관(51)을 통해 공급되는 측정수의 유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스톱밸브(52a)는 측정수의 차단 및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만 통하게 하고 거꾸로 흐르는 것을 자동으로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공급관(50)은 현장에서 측정할 측정수가 흐르는 배관을 포함하여 말하는 것이다.
또한, 측정부(70)는 공급관(50)의 유입관(51)과 배출관(52)의 사이에는 바이패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T'형태의 연결관(71)이 형성된다.
즉, 연결관(71)은 공급관(50)을 따라 흐르는 측정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잔류염소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종단면으로 투영하였을 경우 공급관(50)과 일직선상으로 연통되는 가로방향 홀과 측정작업을 위해 측정수를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세로방향 홀이 가로방향 홀과 'T'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측정부(70)는 측정기(100)의 측정부(20)와 유사한 구조로써, 연결관(71)의 하부에 연결되어 측정수에 의해 유동되는 세정입자(a)가 유입된 측정수조(72)가 형성되고, 측정수조(72)의 일측면에는 상부로 기울어진 센서결합관(73)이 형성되며, 측정수조(72)와 센서결합관(73)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수조(74)가 형성되는 한편, 센서결합관(73)의 하부면에는 수직되게 외부수조(74)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드레인밸브(75)로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측정센서(80)는 센서결합관(73)에 결합되며, 지시계(5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측정기(300)는 현장에서 적용하여 사용가능한 것으로, 저농도의 잔류염소를 함유한 상수, 정수, 수영장에 사용되는 물과 같은 측정수의 잔류염소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서의 측정기(400)는 측정기(30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 것이며, 공급관(60)의 연결관(61)에는 스톱밸브(61a), 스트레이너(61b), 정유량밸브(61c), 플로우스위치(61d)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스톱밸브(61a)는 측정수의 역류현상 및 과다한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스트레이너(61b)는 측정수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정유량밸브(61c)는 측정수가 일정한 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플로우스위치(61b)는 정유량밸브(61c)의 파손이나 기능의 상실에 의해 급격한 유량의 증가나 감소현상이 발생할 때 측정부(7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기(400)를 이용한 고농도의 잔류염소를 함유한 폐수, 오수, 하수와 같은 측정수에 함유된 잔류염소량을 측정하는데 적정유량(1.3L/mim.±20%)의 기준으로 잔류염소량 측정상황과 세정입자(a)의 유동성에 의해 안정성과 세정효과가 확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측정기(300,400)에는 도면상 온도센서와 수소이온센서가 표현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측정수조(72)에 형성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측정수조(72)와 센서결합관(73)이 기울기어져 형성되는 각도는 측정센서(80)의 측정효율이 가장 우수하며, 세정입자(a)의 유동성에 의해 접촉하기 용이한 각도로써, 여러 번의 시험결과 40~60°로 구성된 것이다.
즉, 센서결합관(73)에 결합되는 잔류염소량을 측정하는 측정센서(80)는 측정 수조(72)의 세로중심선을 기준으로 40~60°기울어져 구성되어, 측정센서(80)의 하부면이 측정수조(72)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로 인하여, 측정수에 의해 유동되는 세정입자(a)에 의해 세정효율을 극대화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폴라로그래피법, 갈바닉전지법, 전해전류법, 볼탄매트리법 등의 여러 가지 방식을 이용하여 잔류염소량을 측정가능하나 폴라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폴라로그래피법은 전해용기에 흐르는 전류는 전극반응의 속도와 전기화학적 활성종의 전극표면으로의 이동속도에 의존된다. 충분히 큰 음전하에서는 전극반응의 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전극표면으로 이동되는 물질 종의 이동속도가 전류의 결정인자로 된다.
또한, 폴라로그래피법은 시약을 변화시킴으로서 잔류염소와 유리유효염소를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정밀도와 재현성이 좋으나, 수소이온농도(pH)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소이온농도(pH)의 구간에 따른 잔류염소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결론적으로, 측정기(300,400)을 이용한 측정방식을 모두 유사한 방법으로, 측정센서(80)의 내부에는 은을 염소처리한 은/염화은으로 형성된 양전극과, 백금 또는 금을 재질로 한 음전극이 형성되며, 양전극과 음전극의 주위에는 전해액(염화칼륨,염화포타슘)의 수용액이 내부에 충진되며, 끝단부에는 격막을 이용하여 외부와 차단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측정수의 농도가 고농도일 때에는 오염물질의 양이 많고 측정이 곤란하기 때문에 시료를 낙하시켜 드레인밸브를 통해 오염물질을 배출시키고, 측정수의 농도가 저농도일 때에는 배수밸브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배출시켜 안정된 측정수를 측정함으로써 정확한 잔류염소량을 측정하고자 구성된 것이다.
즉, 용액에서 전극전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류신호를 받을 수 있는 작동전극(working electrode)과 보조전극(counter electrode;음전극), 작동전극의 전위를 측정하기위해 비교되어 지는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양전극)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전극인 음전극을 통하여 일정 전위를 인가하면 작동전극 표면에 염소가 환원반응이 일어나 반응한 만큼의 전류 신호를 얻게 된다.
그리고, 작동전극을 이용하여 미량의 전해를 시행하는 것으로 전류는 작동전극과 보조전극 사이를 흐른다.
이때, 차아염소산(HOCl)은 작동전극에서 환원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전위를 가하게 되면 차아염소산(HOCl)이 환원 되면서 발생되는 전류량을 측정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된 전류는 분석물질의 양과 비례하여 증가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차아염소산(HOCl)의 농도를 확인 할 수 있다. 수질 속에 있는 총유리잔류염소(Cl2, HOCl, ClO-)의 존재 비율은 수소이온농도(pH)에 따라 일정한 비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HOCl의 농도를 알게되면 총유리잔류염소량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식1,2,3을 얻을 수 있다.
Cl2 + 2e- → 2Cl-
HOCl + H+ + 2e- → H2O + Cl-
ClO- + 2H+ + 2e- → H2O + Cl-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잔류염소량 측정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측정 개념도,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측정 개념도,
도 6은 도 2의 세정입자를 이용한 세정효율 및 측정결과 예를 나타낸 그래프도,
도 7은 측정에 따른 잔류염소량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60: 공급관 51,61: 유입관
51a: 차압조정밸브 51b: 유량계
52,62: 배출관 52a,61a: 스톱밸브
61b: 스트레이너 61c: 정유량밸브
61d: 플로우스위치 70: 측정부
71: 연결관 72: 측정수조
73: 센서결합관 74: 외부수조
75: 드레인밸브 80: 측정센서
300,400: 측정기 500: 지시계
a: 세정입자

Claims (4)

  1. 측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51,61) 및 유입관(51,61)의 반대측으로 스톱밸브(52a,62a)가 결합된 배출관(52,62)이 형성되어 측정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공급관(50,60)과,
    공급관(50,60)의 유입관(51,61)과 배출관(52,62)의 사이에는 바이패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T'형태의 연결관(71)이 형성되며, 연결관(71)의 하부에 연결되어 측정수에 의해 유동되는 세정입자(a)가 유입된 측정수조(72)가 형성되고, 측정수조(72)의 일측면에는 상부로 기울어진 센서결합관(73)이 형성되며, 측정수조(72)와 센서결합관(73)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수조(74)가 형성되는 한편, 센서결합관(73)의 하부면에는 수직되게 외부수조(74)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드레인밸브(75)로 형성된 측정부(70)와,
    센서결합관(73)에 결합되며, 지시계(500)와 연결되는 측정센서(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60)의 유입관(61)에는 스톱밸브(61a), 스트레이너(61b), 정유량밸브(61c), 플로우스위치(61d)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조(72)와 센서결합관(73)이 기울어져 형성되는 각도는 40~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50)의 유입관(51)에는 차압조정밸브(51a) 및 유량계(51b)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KR1020070077852A 2007-08-02 2007-08-02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KR100759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852A KR100759531B1 (ko) 2007-08-02 2007-08-02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852A KR100759531B1 (ko) 2007-08-02 2007-08-02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670A Division KR100768340B1 (ko) 2006-11-24 2006-11-24 샘플링 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531B1 true KR100759531B1 (ko) 2007-09-18

Family

ID=3873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852A KR100759531B1 (ko) 2007-08-02 2007-08-02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564B1 (ko) 2011-10-12 2013-03-25 (주) 테크로스 티알오 측정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61A (ja) * 1990-04-20 1992-01-07 Tokico Ltd 塩素量測定装置
JPH11142370A (ja) * 1997-11-12 1999-05-28 Masaaki Amano ポ−タブル残留塩素計
JP2000009687A (ja) * 1998-06-29 2000-01-14 Takumina:Kk 残留塩素計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体殺菌装置
JP2004271211A (ja) * 2003-03-05 2004-09-30 Tacmina Corp 流体性状測定装置
JP2005114622A (ja) * 2003-10-09 2005-04-28 Sanyo Electric Co Ltd 残留塩素濃度検出装置
JP2005156426A (ja) * 2003-11-27 2005-06-16 Iwaki Co Ltd 残留塩素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61A (ja) * 1990-04-20 1992-01-07 Tokico Ltd 塩素量測定装置
JPH11142370A (ja) * 1997-11-12 1999-05-28 Masaaki Amano ポ−タブル残留塩素計
JP2000009687A (ja) * 1998-06-29 2000-01-14 Takumina:Kk 残留塩素計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体殺菌装置
JP2004271211A (ja) * 2003-03-05 2004-09-30 Tacmina Corp 流体性状測定装置
JP2005114622A (ja) * 2003-10-09 2005-04-28 Sanyo Electric Co Ltd 残留塩素濃度検出装置
JP2005156426A (ja) * 2003-11-27 2005-06-16 Iwaki Co Ltd 残留塩素測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564B1 (ko) 2011-10-12 2013-03-25 (주) 테크로스 티알오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4594B (zh) 传感器系统和用于感测氯浓度的方法
KR100768340B1 (ko) 샘플링 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CN101788522A (zh) 基于硼掺杂金刚石膜电极的cod在线监测装置和方法
JP2013152146A (ja) 水質検査装置及び水質検査方法
Jin et al. A miniaturized FIA system for the determination of residual chlorine in environmental water samples
KR101507331B1 (ko) 잔류염소측정센서
Okumura et al. Simple miniaturized amperometric flow cell for monitoring residual chlorine in tap water
KR100759531B1 (ko) 유통형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JP2011224005A (ja) 硫酸化微生物を用いた生態毒性探知装置
WO2023286400A1 (ja) 電気化学測定装置及び電気化学測定方法
KR101492393B1 (ko) 총 잔류 산화물질 농도 측정 모듈
US4441979A (en) Nutating probe for gas analysis
KR100970306B1 (ko) 샘플링 홀더 구조를 가지는 잔류염소 센서
KR200366821Y1 (ko) 잔류염소량 측정 센서 및 장치
JP4516364B2 (ja) 塩素要求量測定装置、水質管理システム、塩素要求量測定方法、及び水質管理方法
JP4481749B2 (ja) 塩素消費量及び塩素要求量の測定方法
KR200296425Y1 (ko) 잔류염소 검지용 센서 및 이의 자동세척장치
JP2005003399A (ja) 塩素濃度自動測定装置及び塩素濃度測定方法
JP7572308B2 (ja) 電気化学測定装置及び電気化学測定方法
Smart et al. Measuring chlorine dioxide with a rotating voltammetric membrane electrode
KR200344894Y1 (ko) 기체 투과막형 전기화학식 잔류염소센서 및 이를 이용한측정장치
JP2023062579A (ja) 電気化学測定装置及び電気化学測定方法
Whittle et al. Chlorine
JP2024075998A (ja) イオン濃度測定方法
US6617168B1 (en)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system of free hypohalous acid concen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