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512B1 -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광학활성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광학활성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512B1
KR100758512B1 KR1020060067760A KR20060067760A KR100758512B1 KR 100758512 B1 KR100758512 B1 KR 100758512B1 KR 1020060067760 A KR1020060067760 A KR 1020060067760A KR 20060067760 A KR20060067760 A KR 20060067760A KR 100758512 B1 KR100758512 B1 KR 100758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propionic acid
optically active
hydroxy
acyloxy
phenylpropi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욱
정선호
Original Assignee
엔자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자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자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7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41/00Process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41/001Process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by metabolizing one of the enanti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4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xyl group including Peroxycarboxylic acids
    • C12P7/52Propionic acid; Butyr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세틴(tomoxetine)과 플루옥세틴(fluoxetine)등의 중간체로 사용되는 주요 키랄 화합물인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3-hydroxy-3-phenylpropionic acid)과 이의 에스테르(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 3-acyloxy-3-phenylpropionic acid)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하기 [반응식 1]에서 일반식(1)로 표시되는 라세믹 3-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을 일반식(2)로 표시되는 라세믹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으로 제조한 후 수용액상 또는 용매를 포함하는 수용액상에서 가수분해 효소 또는 이를 포함하는 균주를 사용하여 입체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하여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3)과 광학활성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4)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공정이며, 광학순도가 높고 생성물의 제조 및 분리가 용이하여 실제 공정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반응식1]
Figure 112006051550444-pat00001
(R=CnH2n +1, n=1~8)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 리파제, 가수분해, 광학활성, 플루옥세틴, 토목세틴

Description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광학활성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preparing optically active 3-hydroxy-3-phenylpropionic acids and optically active 3-acyloxy-3-phenylpropionic acid by enzymatic method}
본 발명은 효소 또는 미생물에 의해 일반식(3)과 일반식(4)로 각각 표시되는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 및 광학활성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라세믹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으로부터 라세믹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하고, 이를 수용액상 또는 용매를 포함하는 수용액상에서 가수분해 효소 또는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생촉매로 사용하여 입체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하여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광학활성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물질전환 반응이 용이하고 생성물의 광학순도가 높을 뿐 아니라, 반응 후 생성물의 분리 및 회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광학활성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은 용매 추출법과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쉽게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Figure 112006051550444-pat00002
(R=CnH2n +1, n=1~8)
상기에서 언급한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이의 에스테르 화합물은 항우울제나 두통약으로 이용되고 있는 (S)- 및 (R)-플루옥세틴(Fluoxetine), 파록세틴, 토목세틴(Tomoxetine), 니속세틴(Nisoxetine) 등의 중간체로서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992, 57, 4289-4292).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보고되어져 있다.
라세믹 에틸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ethyl 3-hydroxy-3-phenylpropionate)를 Pseudomonas sp.유래의 PS-30 lipase를 이용하여 수용액상에서 가수분해함으로서 (S)-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에틸 (R)-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제조하였다(J.Org.Chem., 1992, 57, 4289-4292). 또한 Pig liver esterase(PLE), Pseudomonas cepacia lipase(PCL), Candida rugosa lipase(CRL), Burkholderia cepacia(BCL) 또는 Aspergillus oryzae protease(AOP)를 이용하여 라세믹 에틸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가수분해하여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한 경우가 있다(J. Braz. Chem. Soc., 2001, 12,742-746). Santaniello 등(Gazz. Chim.Ital., 1989, 119, 581-584)은 pig liver esterase(PLE)를 사용하여 라세믹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수용액상에서 가수분해하여 43 %ee의 에틸 (R)-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39 %ee의 (S)-3-히드록시-3-페닐프오피온산을 얻었고, 20 % 에탄올상에서는 각각 58 %ee와 46 %ee의 에스테르와 산을 얻었으나, 그 광학순도가 낮다.
에틸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의 아세틸 유도체를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R)-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한 바 있다(J.Org.Chem.,1992, 57, 4289-4292). 에틸 3-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PS-30 lipase로 가수분해하여 에틸 (S)-3-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96 %ee)와 (R)-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94 %ee)을 얻었다. 또 같은 조건하에서 반응 기질로 에틸 3-클로로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을 가수분해하여 광학순도 86 %ee의 (R)-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얻었다. 그러나 이 반응에서는 가수분해 중간산물로 에틸 (R)-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95 %ee)가 만들어져 반응물과의 분리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반응을 계속 진행하여 (R)-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을 회수하여도 광학순도가 낮아 키랄 중간체로서의 가치가 떨어진다. Pig liver esterase(PLE)를 사용한 경우도 있다(Gazz. Chim.Ital., 1989, 119, 581-584). 라세믹 3-아세톡시-3-페 닐프로피오네이트를 가수분해하였고, 17 %ee의 (S)-아세톡시 에스테르와 58 %ee의 (R)-히드록시 에스테르, (R)-히드록시 산(15 % yield)을 얻었다. 이 경우 위 예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산물 이외에 에스테르가 생성되어 분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수율 또한 낮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보고된 방법들보다 높은 광학순도를 갖고 반응이 용이한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다. 상기 제조 방법들의 반응 물질과는 다른 라세믹-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을 반응 물질로 사용하여 광학순도가 높은 키랄 의약중간체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방법은 라세믹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으로부터 라세믹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하고, 가수분해 효소 또는 이를 포함하는 균주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함으로서 광학활성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과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이의 에스테르는 분리 및 회수가 쉽기 때문에 실제 공정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식(2)로 표시되는 라세믹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으로부터 가수분해 효소 또는 이를 포함하는 균주를 이용하여 입체선택적으로 가수분해하여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일반식(4)로 표시 되는 광학활성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반응 후, 용매추출법에 의해 생성물을 각각 수용액과 유기용매로 분리하였고, 광학활성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은 수산화 나트륨 등을 사용하여 가수분해하면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으로 전환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방법으로 높은 광학순도의 (S)-및 (R)-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효소는 상용화된 고정화 리파제 CAL B(노보자임 435, Novo Nordisk사)와 AH(Amano사), AK(Amano사), PS-D(Amano사) 또는 이들 가수분해 효소를 포함하는 균주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응에 사용되는 반응물 및 생성물들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라세믹 3-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온산은 HP-FFAP 컬럼(Agilent사, 30 m X 0.53 m)이 장착된 기체크로마토그래피(도남인스루먼트사, 모델 DS 6200)를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때 100 ℃에서 5 분간 가열 후 220 ℃까지 분당 20 ℃으로 올려주었고 220 ℃에서 10 분동안 유지하였다. 담체로는 헬륨 기체를 사용하였고 컬럼 헤드 압력을 6 psi로 유지하면서 220 ℃에서 FID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광학활성 3-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온산의 광학순도는 키랄 컬럼 OB-H(Daicel사, 0.46 X 25 cm)가 장착된 HPLC(LAB alliance사, 모델 201)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헥산과 이소프로파놀을 95:5의 비율로 혼합하여 분당 0.7 ml로 흘려주었고, UV 흡광도는 220 nm로 하여 분석하였다. 이 때 (R)-3-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온산과 (S)-3-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온산이 각각 22.36 분과 26.38 분에서 검출되었다.
이에 실시예를 통한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라세믹 3-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메탄올에 라세믹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 1.4 g을 넣고 0 ℃에서 교반시키면서 피리딘(pyridine) 1.05 ml과 아세틸 클로라이드(acetyl chloride) 0.86 ml 을 천천히 투입하고 상온에서 3 시간 반응시켰다. 생성물은 유기층으로 추출한 뒤 감압증류를 통해 용매를 제거하여 라세믹 3-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얻었다. 이 생성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정제하고 라세믹 3-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온산 임을 핵자기공명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1H-NMR(300 MHz, CDCl3) : 2.76(m, 2H), 3.73(s, 3H), 5.15(m, 1H), 7.36(m, 5H) ppm
실시예 2-5. 라세믹 3-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온산의 가수분해
0.1 M 인산완충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8.0)이 들어있는 바이알에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생성된 라세믹 3-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온산을 1 %(w/v)가 되도록 첨가하고 표 1에 기재된 효소 1 %(w/v)를 사용하여 30 ℃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일정 시간 반응 후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여 생성물을 상기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리파제 효소 반응시간(hr) 전환율(%) (R)-3-아세톡시-3-페닐프로피온산 광학순도(%ee)
2 AH(Amano사) 18.5 65.2 99.3
3 AK(Amano사) 18.5 64.0 99.9
4 Novozym 435 (Novo Nordisk사) 4 64.3 99.9
5 PS-D(Amano사) 42.5 64.7 99.9
상기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 반응은 용이하고, 높은 광학순도의 광학활성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 및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반응 후 생성되는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은 수용액층에서,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은 유기용매에서 각각의 회수가 용이하여 산업적으로 대량생산에 적절한 제조 공정이다.

Claims (2)

  1. 하기 [반응식 1]에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라세믹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을 일반식(2)로 표시되는 라세믹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으로 제조한 후, 수용액상 또는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수용액상에서 효소 또는 효소를 포함하는 균주를 이용하여 가수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일반식(4)로 표시되는 광학활성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06051550444-pat00003
    (R=CnH2n +1, n=1~8)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효소는 가수분해능을 갖는 리파제, 에스테라제, 프로테아제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 또는 상기 효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균주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활성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광학활성 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KR1020060067760A 2006-07-20 2006-07-20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광학활성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KR100758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760A KR100758512B1 (ko) 2006-07-20 2006-07-20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광학활성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760A KR100758512B1 (ko) 2006-07-20 2006-07-20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광학활성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512B1 true KR100758512B1 (ko) 2007-09-14

Family

ID=3873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760A KR100758512B1 (ko) 2006-07-20 2006-07-20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광학활성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2220A (zh) * 2017-09-15 2019-01-18 上海健康医学院 一种新的3-羟基-3苯基丙酸类化合物的化学拆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6828A (en) 1991-03-27 1994-09-13 Celgene Corporation Stereoisomeric enrichment of 2-amino-3-hydroxy-3-phenylpropionic acids using d-threonine aldolase
JP2000023693A (ja) 1998-07-10 2000-01-25 Mitsubishi Chemicals Corp 光学活性な2−アセチルチオ−3−フェニルプロピオン酸の製造方法
KR20040071452A (ko) * 2003-02-06 2004-08-12 엔자이텍 주식회사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에틸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이의 에스테르 제조 방법
KR20040087507A (ko) * 2003-04-08 2004-10-14 엔자이텍 주식회사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n-메틸-3-히드록시-3-페닐프로판아미드 및 이의 에스테르 제조 방법
KR20060002411A (ko) * 2004-07-02 2006-01-09 엔자이텍 주식회사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3-히드록시 부틸산 및 이의 에스테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6828A (en) 1991-03-27 1994-09-13 Celgene Corporation Stereoisomeric enrichment of 2-amino-3-hydroxy-3-phenylpropionic acids using d-threonine aldolase
JP2000023693A (ja) 1998-07-10 2000-01-25 Mitsubishi Chemicals Corp 光学活性な2−アセチルチオ−3−フェニルプロピオン酸の製造方法
KR20040071452A (ko) * 2003-02-06 2004-08-12 엔자이텍 주식회사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에틸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이의 에스테르 제조 방법
KR20040087507A (ko) * 2003-04-08 2004-10-14 엔자이텍 주식회사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n-메틸-3-히드록시-3-페닐프로판아미드 및 이의 에스테르 제조 방법
KR20060002411A (ko) * 2004-07-02 2006-01-09 엔자이텍 주식회사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3-히드록시 부틸산 및 이의 에스테르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2220A (zh) * 2017-09-15 2019-01-18 上海健康医学院 一种新的3-羟基-3苯基丙酸类化合物的化学拆分方法
CN109232220B (zh) * 2017-09-15 2021-09-10 上海健康医学院 一种3-羟基-3-苯基丙酸类化合物的化学拆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5452B2 (en) Method of making optically active ester derivatives and their acids from racemic esters
KR100758512B1 (ko)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온산과 광학활성3-아실옥시-3-페닐프로피온산의 제조 방법
JP6169812B2 (ja) リパーゼを利用してベータ−ラクトンからl−カルニチンを生産する方法
KR100722155B1 (ko)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2-클로로만델릭산 에스테르와 2-클로로만델릭산의 제조 방법
US6440721B2 (en) Method for preparing an R- or S-form of α-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ic acid and a counter enantiomeric form of α-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ic acid ester thereto using enzyme
KR100846676B1 (ko)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2-할로-2-(엔-치환된페닐)아세트산 에스테르와 2-할로-2-(엔-치환된페닐)아세트산의 제조 방법
US6455302B1 (en) Method for optically resolving a racemic α-substituted heterocyclic carboxylic acid using enzyme
JP4042454B2 (ja) 光学活性3−メチルグルタル酸モノエステルの製造方法
KR100657204B1 (ko)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3-히드록시-감마-부티로락톤의 제조 방법
JP4765358B2 (ja) 光学活性なn−保護−プロパルギルグリシンの製造方法
US6524844B2 (en) Process for preparing optically active 1-amino-4-(hydroxymethyl) cyclopent-2-ene derivatives
KR100748897B1 (ko)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3-히드록시 부틸산 및 이의 에스테르 제조방법
KR100846674B1 (ko)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트랜스 알코올 화합물 및 그의 에스테르 화합물 제조방법
KR100453996B1 (ko)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에틸 3-히드록시-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이의 에스테르 제조 방법
KR100688770B1 (ko)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r)-2-아미노-1-부탄올의제조방법
JP2010505417A (ja) (3)−アミノ−3−アリールプロピオン酸エステルのn−非保護(r)−エステルの特異的加水分解
KR20030089159A (ko)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1-페닐-1-프로파놀 및 이의에스테르 제조방법
JP2009263341A (ja) 光学活性ニペコチン酸エステル誘導体の製造法
KR20100116727A (ko) 광학활성 알코올 화합물 유도체의 제조방법
WO2007035066A1 (en) The method of making optically active 3-acyloxy-gamma-butyrolactone and optically active 3-hydroxy-gamma-butyrolactone by enzymatic method
KR20040093501A (ko) 효소적 방법에 의한 광학활성 알코올 화합물 및 이의 에스테르 제조방법
JP2004201576A (ja) 光学活性1、3−アルキルジオール−1−ベンジルエーテル誘導体の製造方法
JP2004141094A (ja) 光学活性−2,3−エポキシ−3−シクロヘキシルプロピオン酸及びそのエステル類の製法
JP2007319165A (ja) 光学活性β−シアノイソ酪酸類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