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913B1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송신 장치, 무선 수신 장치 및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송신 장치, 무선 수신 장치 및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913B1
KR100757913B1 KR20040113217A KR20040113217A KR100757913B1 KR 100757913 B1 KR100757913 B1 KR 100757913B1 KR 20040113217 A KR20040113217 A KR 20040113217A KR 20040113217 A KR20040113217 A KR 20040113217A KR 100757913 B1 KR100757913 B1 KR 100757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eaving
axis direction
radio
symb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113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443A (ko
Inventor
노리유키 마에다
히로유키 아타라시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5006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692Hybrid techniques using combinations of two or more spread spectru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6Code division or spread-spectrum multiple access [CDMA,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2Estimation of channel variability, e.g. coherence bandwidth, coherence time, fading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5Maintenance of orthogonality, e.g. for signals exchanged between cells or users, or by using covering codes or sequ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16Time-frequency-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12Channel estimation of impulse response
    • H04L25/0216Channel estimation of impulse response with estimation of channel length

Abstract

2차원 인터리빙을 행하는 OFCDM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인터리빙 방식 중에서 현재의 통신 환경에 적절한 인터리빙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OFCDM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 송신 장치는, 무선 전파로에 따라서 다수의 인터리빙 방식 중에서 인터리빙 방식을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서 선택된 인터리빙 방식에 따라서, 정보 심볼을 어떤 패턴으로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하는 심볼 배치 수단을 구비한다. 본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 수신 장치는, 상기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심볼을, 상기 어떤 패턴의 역패턴으로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하는 심볼 재배치 수단을 구비한다.
2차원, 인터리빙, 무선 통신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송신 장치,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Radio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er, receiver and radio communicating method}
도1은, 본원 실시예에 의한 무선 송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2는, 제1 심볼 배치부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3은, 제2 심볼 배치부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4는, 제2 심볼 배치부의 다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5는, 제3 심볼 배치부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6은, 본원 실시예에 의한 무선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7은, 본원 실시예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8은, 인터리빙 전후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무선 송신 장치 102: 전파로 상황 추정부
104: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 106: 신호 처리부
108: 신호 합성부 110: IFFT부
112: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 삽입부 114: 정보 심볼 생성부
116: 에러 정정 부호화부 118: 제1 심볼 배치부
120: 데이터 변조부 122: 직병렬 변환부
124: 제2 심볼 배치부 126: 심볼 복제부
128: 곱셈부 130: 확산 부호 생성부
132: 제3 심볼 배치부 202, 208: 직병렬 변환부
204: 메모리 206: 심볼 배치부
302: 메모리 304: 심볼 배치부
402: 메모리 404: 심볼 배치부
502: 메모리 504: 심볼 배치부
600: 무선 수신 장치 602: 가드 인터벌 제거부
604: FFT부 606: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
608: 제3 심볼 재배치부 610: 확산 부호 생성부
612: 곱셈부 614: 심볼 합성부
616: 제2 심볼 재배치부 618: 직병렬 변환부
620: 데이터 변조부 622: 제1 심볼 재배치부
624: 에러 정정 복호부 626: 정보 심볼 복원부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의 기술 분야에 속하고, 특히 정보 심볼의 주파수 및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의 2차원 인터리빙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송신 장치,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주요한 기술 분야에서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연구 개발이 항상 행해지고 있으며, 특히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방식이나, 멀티캐리어 부호 분할 다중 억세스(MC-CDMA)방식 등이 특히 주목되고 있다. CDMA방식은, 서로 직교하는 부호로 채널을 구별함으로써 간섭 내성 등을 높이고자 하는 기술이다. OFDM방식은, 복수의 서브 캐리어를 서로 직교하는 주파수로 선택하고, 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하면서 페이징 내성이나 심볼간 간섭의 영향을 억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것들을 조합함으로써, 한층 더 간섭 억제 효과를 얻고자 하는 OFCDM(Orthogonal Frequency and Code Division Multiplexing)방식 또는 멀티캐리어 CDMA(MC-CDMA)방식도 있다. OFCDM방식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다.
OFCDM 방식에서는, 정보 심볼은 서로 직교하는 확산 부호로 구별되면서 복수의 서브 캐리어로 전송된다. 수신측에서는, 확산 부호의 직교성에 기초하여 필요한 정보 심볼을 추출하고, 각 서브 캐리어로 전송된 정보를 복원함으로써 복조 처리가 행해진다. 따라서, 수신측에서의 복조를 양호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확산 부호간의 직교성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동체 통신 환경에서는, 전파로 또는 통신 환경의 변화에 의해, 정보 심볼을 나타내는 신호의 진폭이나 위상이 소기(所期)의 것과 다르게 수신되고, 부호간의 직교성이 흐트러지는 경우도 있다. 직교성이 흐트러지면, 간섭 신호 성분이 커지게 되고, 수신 신호 품질이 열화되게 되는 문제가 우려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억제하기 위해서, 「인터리빙」이라 불리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정보 심볼을 어떤 패턴에 따라서 바꾸어 배열한 후에 송신하고, 수신측에서는 그 패턴의 역패턴으로 재배열함으로써, 신호 열화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송신된 정보 심볼을 보다 정확하게 복원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주파수축 방향 또는 시간축 방향으로 송신 내용을 바꿔서 배열함으로써, 신뢰도가 낮은 신호가 연속하여 수신되게 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리빙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 비특허문허 2 내지 4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인터리빙의 효과를 더 크게 하기 위해, 주파수축 방향에 더하여 시간축 방향에도 인터리빙을 행하는 기술도 있다. 2차원 인터리빙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190788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3-8535호
(비특허문헌 1): N.Yee et al., "Multi-carrier CDMA in indoor wireless radio networks", 1993, IEEE Personal and Indoor Mobile Radio Communication
(비특허문헌 2): S.P.W. Jarot, et al., "Evaluation of frequency interleaving effects in convolutional coded OFDM system for broadband mobile communications", June, 2001, Bucharest, IEEE ICT 2001, pp. 443-448
(비특허문헌 3): V.D.Nguyen et al., "Block interleaving for soft decision Viterbi decording in OFDM systems", September, 2001, Boston, IEEE VTC 2001-Fall
(비특허문헌 4): S.W.Ley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daptive interleaving for OFDMsystems", May, 2002, Vehicular technology, IEE Trans, pp. 435-444
그런데, 무선 통신 환경은 시간과 함께 변화하지만, 상기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일정한 인터리빙 방식이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통신 환경에 따라서는 인터리빙이나 OFCDM 방식으로 기대되는 효과나 은혜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것이 우려된다. 이동체의 이동 속도의 고속화나,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의 고주파 변화 등에 기인하여, 그러한 통신 환경의 변화는 금후 점점 커지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신호 품질이 현저히 열화하게 될 것도 우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과제는, 주파수 및 시간 영역의 2차원 인터리빙을 행하는 OFCDM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 송신 장치 및 무선 수신 장치로 이루어지는 멀티 캐리어 변조 방식 및 부호 확산 변조 방식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사용된다. 상기 무선 송신 장치 또는 상기 무선 수신 장치에, 무선 전파로의 상황에 따라서 복수의 인터리빙 방식 중에서 인터리빙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무선 송신 장치에 구비된 심볼 배치 수단에 의해, 정보 심볼이 상기 선택 수단으로 선택된 인터리빙 방식에 따라서, 어떤 패턴으로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무선 수신 장치에 구비된 심볼 재배치 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심볼이 상기 어떤 패턴의 역패턴으로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의 일형태에서는, 무선 전파로 상황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인터리빙 방식 중에서 하나의 인터리빙 방식이 선택된다. 선택된 인터리빙 방식에 따라서 정보 심볼이 어떤 패턴으로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무선 송신된다. 송신된 정보 심볼은 그 패턴의 역패턴으로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복조된다. 복수의 인터리빙 방식 중에서, 현재의 통신 환경에 적절한 인터리빙 방식이 선택되기 때문에, 보다 양호한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서는, 무선 송신 장치는 도플러 주파수 편이에 기초하여, 시간축 방향에 관한 정보 심볼의 배치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무선 송신 장치 및 무선 수신 장치간의 상대적인 운동에 기인하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 변동을 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서는, 무선 송신 장치는, 도플러 주파수 편이가 소정값보다 큰 경우에 비트 인터리빙 또는 심볼 인터리빙 방식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 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무선 송신 장치 및 무선 수신 장치간의 상대 속도가 작은 경우에, 인터리빙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서는, 무선 송신 장치는, 도플러 주파수 편이가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에, 칩 인터리빙 방식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무선 송신 장치 및 무선 수신 장치간의 상대 속도가 큰 경우에, 인터리빙 효과보다도 부호간의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배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서는, 도플러 주파수 편이 및/또는 지연 스프레드가 소정값보다 큰 경우에, 1이상의 송신 파라미터(변조 다치값((MULTILEVEL NUMBER), 확산 부호화율, 코드 다중화율)에 의존하여, 선택되는 인터리빙 방식의 선택폭이 다르다. 예를 들면, (코드 다중수(Cmux))/(확산 부호화율(SF))이 문턱값보다 크면, 칩 인터리빙 방식이 채용되고, 그렇지 않으면 비트 또는 심볼 인터리빙 방식이 채용된다. 이 경우에, 변조 다치값의 대소(大小)에 맞춰서, 문턱값의 크기를 변경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신 환경의 실정에 맞는 적절한 인터리빙 방식을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1은, 본원 실시예에 의한 무선 송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1에서는, OFCDM방식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송신 장치에 필요한 요소 중, 본 발명에 관련되는 주요한 기능 요소만을 도시하고 있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무선 송신 장치(100)는, N개의 정보 채널마다 송신할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 심볼을 형성하고, 그것들을 합성하고, 가드 인터벌을 부가함으로써, OFCDM심볼을 형성한다. 무선 송신 장치(100)는 전파로 상황 추정부(102)와,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104)와, N개의 신호 처리부(106_1~N)와, 신호 합성부(108)와, 역(逆)푸리에 변환부(IFFT부)(110)와, 가드 인터벌 삽입부(112)를 가진다.
또한, N개의 신호 처리부 각각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신호 처리부(106_1)가 그것들을 대표하여 설명된다. 신호 처리부(106_1)는, 정보 심볼 생성부(114)와, 에러 정정 부호화부(116)와, 제1 심볼 배치부(118)와, 데이터 변조부(120)와, 직병렬 변환부(122)와, 제2 심볼 배치부(124)와, 복수의 심볼 복제부(126)와, 복수의 곱셈부(128)와, 확산 부호 생성부(120)와, 제2 심볼 배치부(132)를 가진다.
전파로 상황 추정부(102)는, 무선 송신 장치(100)가 수신한 제어 채널(수신 정보)에 기초하여, 전파로 상황에 관한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이 파라미터에는, 멀티패스 페이징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지연 프로파일 또는 지연 스프레드 특성이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간의 상대적인 운동에 기인하는 도플러 주파수 시프트(최대 도플러 주파수 시프트)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104)는, 전파로 상황 추정부(102)의 측정 결과와 주어진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적절한 심볼 배치 구성 또는 인터리빙 방식을 선택 또는 결정한다. 주어진 송신 파라미터에는, 예를 들면 QPSK나 16QAM과 같은 변조 방식,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 확산율, 채널당 코드 다중화율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선택되는 인터리빙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트(bit) 인터리빙, 심볼 (symbol) 인터리빙, 코디네이트(coordinate) 인터리빙, 칩(chip) 인터리빙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각 인터리빙 방식을 개략 설명한다.
(1) 비트 인터리빙
이 방식은 정보 심볼을 구성하는 비트마다 인터리빙을 행하는 방식이다. 정보 심볼이 확산되기 전에 인터리빙이 행해지기 때문에, 이 방식은 부호간의 직교성을 유지하면서 인터리빙을 행할 수 있다는 성질을 가진다.
(2) 심볼 인터리빙
이 방식은, 정보 심볼마다 인터리빙을 행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도 정보 심볼이 확산되기 전에 인터리빙이 행해지기 때문에, 부호간의 직교성을 유지하면서 인터리빙을 행할 수 있다는 성질을 가진다. 정보 심볼마다 인터리빙을 행하기 때문에, 비트 인터리빙보다도 인터리빙 효과(신호를 바꿔서 배열하여 송신함으로써 수신 신호의 에러 내성을 높이는 효과)가 적어지지만, 인터리빙에 필요로 하는 연산 부담이나 회로 구성은 비트 인터리빙보다도 간이하게 된다.
(3) 코디네이트 인터리빙
이 방식은, 동상 성분(I)과 직교 성분(Q)이 서로 다른 패턴을 채용할 경우의 심볼 인터리빙 방식이다.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 모두 심볼 인터리빙이 행해지지만, 인터리빙의 바꾸어 배열한 패턴이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서 다르다. 이 방식은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에서 동시에 에러가 발생할 확률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4) 칩 인터리빙
이 방식은, 1칩마다 인터리빙을 행하는 방식이다. 1비트보다도 작은 단위로 인터리빙을 행하기 때문에, 매우 큰 인터리빙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정보 심볼이 확산된 후에 인터리빙이 행해지기 때문에, 이 방식은 부호간의 직교성을 흐트리기 쉽다는 성질을 가진다.
정보 심볼 생성부(114)는, 송신되는 정보 심볼을 생성한다.
에러 정정 부호화부(116)는, 정보 심볼에 터보 부호화나 컨벌루션(Convolution)부호화 등의 소정의 부호화를 행한다. 수신측에서 디코딩할 때에, 이들 부호화에 관한 지식을 이용함으로써, 전파로에서 도입된 에러를 검출 및 정정할 수 있다.
제1 심볼 배치부(118)는, 비트 인터리빙을 행하기 위한 요소이다. 가령, 심볼 구성 선택부(104)가 비트 인터리빙을 선택했다고 하면, 도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보 심볼은 시간축 방향 및 주파수축 방향에 대해서 어떤 패턴으로 바꾸어 배열된다. 여기서는 굵은 테두리에 둘러쌓여진 블록이 하나의 정보 심볼을 나타내고, 그 중 "1" 내지 "6"으로 도시되는 개개의 블록이 비트를 나타낸다. 도면 중 좌측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터리빙 전에는 6비트로 이루어지는 3개의 정보 심볼이 시간의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인터리빙 후에는 각 정보 심볼을 구성하는 비트가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바뀌어 배열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1" 내지 "6" 개개의 블록은, 인터리빙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정보 단위이어도 좋다. 즉, 개개의 블록은, 비트 인터리빙에서는 비트이지만, 심볼 인터리빙에서는 심볼, 칩 인터리빙에서는 칩을 표현한다.
도2는, 제1 심볼 배치부(118)의 다른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심볼 배치부(118)는, 직병렬 변환부(202)와, 소정 사이즈의 메모리(20)와, 심볼 배치부(206)와, 직병렬 변환부(208)를 가진다. 소정의 사이즈는,예를 들면, Nc×Nb는이다. 다만, Nc는 서브 캐리어수이며, Nb 는 1심볼내의 비트수이다.
제1 심볼 배치부(118)에서는,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10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시간축 방향 및/또는 주파수축 방향으로 심볼 인터리빙이 행해진다. 어떠한 방향으로 인터리빙을 행하는 경우에도, 입력되는 신호 계열은 메모리(204)에 저장되고, 그것을 심볼 배치부(206)에 의해 적절한 패턴으로 바꾸어 배열하면서 출력하는 것으로 인터리빙이 행해진다. 또한, 직병렬 변환부(202, 208)를 이용하지 않고, 이 인터리빙을 행하여도 좋다.
도1의 데이터 변환부(120)는, QPSK나 16QAM과 같은 소정의 변조 방식에 따라서, 에러 정정 후의 정보 심볼을 변조한다.
직병렬 변환부(122)는, 데이터 변조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계열을 적어도 서브 캐리어수로 정해지는 소정수(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브 캐리어수/확산율)의 병렬적인 복수의 신호계열로 변환한다.
제2 심볼 배치부(124)는, 심볼 인터리빙을 행하기 위한 요소이다.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104)가 적절한 인터리빙 방식으로서 심볼 인터리빙을 채용했다고 하면, 제2 심볼 배치부(124)는 직병렬 변환부(122)로부터의 병렬 신호에 심볼 인터리 빙을 행한다. 심볼 인터리빙은, 도8에 도시되는 "1" 내지 "6"의 각 블록이 심볼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도3은, 제2 심볼 배치부(124)에 관한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심볼 배치부(124)는 소정의 사이즈의 메모리(302)와, 심볼 배치부(304)를 가진다. 소정의 사이즈는, 직병렬 변환부로부터의 병렬 신호수 및 1프레임내의 심볼수에 의존하여 정해진다. 일례로서는, 그 사이즈는 Nc/SFFreq×Nd/SFTime이다. 다만, Nc는 서브 캐리어수이며, Nd는 1프레임내의 OFCDM 심볼수이다. SFFreq는 주파수 영역의 확산율이며, SFTime은 시간 영역의 확산율을 나타낸다.
제2 심볼 배치부(124)에서는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10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시간축 방향 및/또는 주파수축 방향으로 심볼 인터리빙이 행해진다. 어떤 방향으로 심볼 인터리빙을 행하는 경우에도, 입력되는 신호계열은 일단 메모리(302)에 저장되고, 그것을 심볼 배치부(304)에 의해 적절한 패턴으로 바꾸어 배열하면서 출력하는 것으로 인터리빙이 행해진다. 도3(B)는 시간축 방향으로 인터리빙을 행하는 경우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3(B)에서는, 시간축 방향으로 각각 저장되는 신호계열을 적절한 패턴으로 바꾸어 배열함으로써, 시간축 방향의 인터리빙이 행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3(C)는 주파수축 방향으로 인터리빙을 행하는 경우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3(C)는, 주파수 방향으로 저장되는 신호계열을 적절한 패턴으로 바꾸어 배열함으로써, 주파수축 방향의 인터리빙이 행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당연히, 시간축 방향 및 주파수축 방향의 인터리빙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4 또한, 제2 심볼 배치부(124)의 다른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4에서는, 코디네이트 인터리빙이 행해지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낸다. 동상 성분(I) 및 직교 성분(Q)으로 별개로 심볼 인터리빙이 행해지는 점을 제외하고, 구성 및 동작은 도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도1의 심볼 복제부(124)는, 확산 부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되는 확산 부호의 길이 또는 주기에 맞춰서, 제2 심볼 배치부로부터의 신호를 복제한다.
곱셈부(128)는, 심볼 복제부(126)로부터의 출력과 확산 부호 생성부(130)로부터의 확산 부호를 곱함으로써 신호계열을 부호 확산한다.
제3 심볼 배치부(132)는, 칩 인터리빙을 행하기 위한 요소이다.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104)가 적절한 인터리빙 방식으로서 칩 인터리빙을 채용하였다고 하면, 제3 심볼 배치부(132)는 심볼 복제부(126)(곱셈부(122))로부터의 병렬 신호에 칩 인터리빙을 실시한다. 칩 인터리빙은, 도8에 도시되는 "1" 내지 "6"의 각 블록이 칩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도5는, 제3 심볼 배치부(132)에 관한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3 심볼 배치부(132)는, 소정 사이즈의 메모리(502)와, 심볼 배치부(504)를 가진다. 소정 사이즈는 심볼 복제부 부터의 병렬 신호수 및 1프레임내의 심볼수에 의존하여 정해진다. 일례로서는, 그 사이즈는 Nc×Nd이다. 다만, N c는 서브 캐리어수이며, Nd는 1프레임내의 OFCDM 심볼수이다.
제3 심볼 배치부(132)에서는,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10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시간축 방향 및/또는 주파수축 방향으로 심볼 인터리빙이 행해진다. 어떤 방향으로 인터리빙을 행하는 경우에도, 입력되는 신호계열은 일단 메모리(502)에 저장되고, 그것을 심볼 배치부(504)에 의해 적절한 패턴으로 바꾸어 배열하면서 출력하는 것으로 인터리빙이 행해진다. 도5(B)에서는, 시간축 방향으로 각각 저장되는 신호계열을 적절한 패턴으로 바꾸어 배열함으로써, 시간축 방향의 인터리빙이 행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5(C)는, 주파수 방향으로 저장되는 신호계열을 적절한 패턴으로 바꾸어 배열함으로써, 주파수축 방향의 인터리빙이 행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당연히, 시간축 방향 및 주파수축 방향의 인터리빙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로 돌아가서, 신호 합성부(108)는 각 정보 채널(1~N)에 관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서브 캐리어마다 합성한다.
IFFT부(110)는, 합성된 신호계열을 고속 역푸리에 변환함으로써,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OFDM 방식의 변조를 행한다. 이 시간 영역의 신호에 가드 인터벌 삽입부(122)에 의해 가드 인터벌이 부가됨으로서, OFCDM 심볼이 형성된다.
또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제1, 제2 및 제3 심볼 배치부(118, 124, 132)에 있어서의 인터리빙 처리가 동시에 행해지는 것은, 본 발명에 있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104)에 있어서의 판단 내용에 따라서, 사용되는 심볼 배치부 및 시간축 또는 주파수축에 있어서의 심볼의 배치 내용이 결정된다.
도6은, 본원 실시예에 의한 무선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6에서 는, OFCDM방식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수신 장치에 필요한 요소 중, 본 발명에 관련되는 주요한 기능 요소만이 도시되어 있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무선 송신 장치(600)는, 가드 인터벌 제거부(602)와, FFT부(604)와,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606)와, 제3 심볼 재배치부(608)와, 확산 부호 생성부(610)와, 복수의 곱셈부(612)와, 복수의 심볼 합성부(614)와, 제2 심볼 재배치부(616)와, 직병렬 변환부(618)와, 데이터 복조부(620)와, 제1 심볼 재배치부(622)와, 에러 정정 부호부(624)와, 정보 심볼 복원부(624)를 가진다.
가드 인터벌 제거부(602)에서는, 무선 수신 장치(600)에서 수신한 OFCDM 심볼에서 가드 인터벌을 제거하고, 정보 심볼을 추출한다.
FFT부(604)에서는, 정보 심볼을 고속 푸리에 변환하고, 서브 캐리어마다의 병렬적인 신호계열로 변환한다.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606)에서는,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채널에 기초하여, 수신한 OFCDM심볼에 실시되고 있는 인터벌 방식이 판별된다. 즉, 무선 송신 장치는, OFCDM심볼에 어떠한 인터벌을 실시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하여 무선 수신 장치에 통지한다.
제3 심볼 재배치부(608)는, 칩 디인터리빙(칩 인터리빙의 역조작)을 행하기 위한 요소이다. 수신한 정보 심볼에 칩 인터리빙이 행해지고 있는 것이,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606)에서 판별되었다고 하면, 제3 심볼 재배치부(608)는 푸리에 변환된 서브 캐리어마다의 신호를, 실시되고 있는 칩 인터리빙에 의한 패턴과는 반대 패턴으로 바꾸어 배열한다. 제3 심볼 재배치부(608)는, 제3 심볼 배치부(132)(도1) 와 같이, 메모리 및 심볼 배치부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확산 부호 생성부(610)는 역확산용 소정의 확산 부호를 생성한다.
곱셈부(612)는 서브 캐리어마다의 신호에 확산 부호를 곱함으로써 역확산을 행한다.
복수의 심볼 합성부(614) 각각은, 역확산된 소정수의 신호계열을 하나로 합성한다.
제2 심볼 재배치부(616)는, 심볼 디인터리빙(심볼 인터리빙의 역조작) 또는 코디네이트 디인터리빙(코디네이트 인터리빙의 역조작)을 행하기 위한 요소이다. 수신한 정보 심볼에 심볼 인터리빙이 행해지고 있는 것이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606)에 의해 판별되었다고 하면, 제2 심볼 재배치부는, 심볼 합성부(614)로부터의 신호를, 실시되고 있는 심볼 인터리빙에 의한 패턴과는 반대의 패턴으로 바꾸어 배열한다. 제2 심볼 재배치부(616)는 제2 심볼 배치부(124)(도1)와 동일하게, 메모리 및 심볼 배치부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직병렬 변환부(618)는, 병렬적인 복수의 신호 계열을 직렬적인 신호 계열로 변환한다.
데이터 복조부(620)는, 직병렬 변환 후의 직렬적인 신호계열을 복조한다.
제1 심볼 재배치부(622)는, 비트 디인터리빙(비트인터리빙의 역조작)을 행하기 위한 요소이다. 수신한 정보 심볼에 비트 인터리빙이 행해지고 있는 것이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606)에 의해 판별되었다고 하면, 제1 심볼 재배치부(616)는, 데이터 변조부(620)로부터의 신호에 대해서, 실시되고 있는 비트 인터리빙에 의한 패 턴과는 반대 패턴으로 바꾸어 배열한다. 제1 심볼 재배치부(622)는 제1 심볼 배치부(118)(도1)와 동일하게, 메모리 및 심볼 배치부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에러 정정 복호부(624)는, 신호계열에 대해서 에러를 검출하여 그것을 정정한다.
정보 심볼 복원부(626)는, 에러 정정후의 신호계열에 기초하여 송신된 정보 심볼을 복원한다.
도7은, 본원 실시예에 의한 무선 송신 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개략적으로, 이 플로우는 수신 신호 레벨이나 SINR 등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전파로 상황을 추정하고, 그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시간축 방향의 인터리빙 방식, 및 주파수축 방향의 인터리빙 방식을 별개로 선택한다. 이 동작은, 주로 도1의 전파로 상황 추정부(102), 심볼 배치 구성 선택부(104) 및 제1 내지 제3 심볼 배치부(118, 124, 132)에서 행해진다.
플로우는 단계(702)에서 시작되어 단계(704)로 진행한다. 단계(704)에서는, 수신 신호 레벨이나 수신 SINR 등에 기초하여 전파로 상황이 추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파로 상황을 나타내는 양으로서, 최대 도플러 주파수 시프트(편이) 및 지연 스프레드가 채용되지만, 다른 양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무선 송신 장치 및 무선 수신 장치간의 상대적인 운동(속도)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관점에서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 시프트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멀티 패스 전파로의 장단(長短)에 기인하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페이징에 대처하는 관점에서는, 지연 스프레드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706)에서는 추정된 최대 도플러 주파수 시프트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큰지 여부가 판별된다. 소정값보다 큰 경우는, 무선 송신 장치 및 무선 수신 장치간의 상대 속도는 크고,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대 속도는 작다. 상대 속도가 작은 경우는, 양자간의 상대 운동에 기인하는 신호 레벨의 시간 변화는 완만하며, 그 결과,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의 신호의 전송 특성은 양호하다고 생각된다.
도플러 주파수 시프트를 평가하는 양으로서는 다양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일례로서, 이하의 수식에 도시하는 페이징 상관값(ρ)으로 그것이 평가되어도 좋다.
ρ=J0(2πSFΔTfD)
여기서, SF는 부호 확산율을 나타내고, ΔT는 OFCDM 심볼의 심볼 길이에 상당하는 기간을 나타내고, fD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나타낸다. J0(·)는 제1종의 베셀 함수(Bessel function) 중 제로(O) 다음의 것을 나타낸다. 이 식에 따르면, 페이징 상관값(ρ)은 최대 도플러 주파수(fD)가 작은 경우에 1에 가까워지고(J0(0)=1), 최대 도플러 주파수(fD)가 큰 경우에 0에 가까워진다. 예를 들면 페이징 상관값(ρ)이 문턱값(Th=0.8)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서 최대 도플러 주파수(fD)의 대소를 판단할 수 있다.
최대 도플러 주파수 시프트가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는, 플로우는 단계(708)로 진행한다.
단계(708)에서는 시간 영역에 관해서 인터리빙 효과가 큰 인터리빙 방식(심볼 배치 구성)이 선택된다. 즉, 시간 다이버시티(Diversity) 효과가 큰 인터리빙 방식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칩 인터리빙과 같은 인터리빙 효과가 큰 방식이 채용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칩 인터리빙은 인터리빙 효과는 크지만, 직교성을 붕괴시키기 쉬운 성질을 가진다. 한편, 단계(708)에 도달하는 경우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신호 전송 특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시간 영역에서 칩 인터리빙을 행하여 다소 직교성이 붕괴되었다고 하여도, 전송 특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그 직교성의 붕괴는 신호 품질의 열화로 직결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단계(706)에서, 상대 속도가 크다고 판단된 경우는, 신호 레벨의 시간 변화도 크고, 그 결과, 시간축 방향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직교성이 흐트러질(붕괴될) 우려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는, 플로우는 단계(710)으로 진행한다.
단계(710)에서는 현재 채용되고 있는 송신 파라미터에 의한 신호 전송이 확산 부호의 직교성의 붕괴에 견딜 수 있는지 여부(원하는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여기서, 송신 파라미터로서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변조 방식, 부호화율, 확산율, 코드 다중수 등을 들 수 있다.
QPSK 및 16QAM 변조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QPSK 변조 방식은 하나의 심볼을 "01"과 같은 2비트로 표현하지만, 16QAM 변조 방식은 "0011"과 같이 4비트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같은 송신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전자보다 도 후자가 1비트당 전력이 작다. 이 때문에, QPSK 변조 방식은 16QAM 방식보다도 전파로에 있어서의 에러 내성이나 간섭 내성이 강하다. 따라서,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직교성의 붕괴에 관해서는, 16QAM 변조 방식은, QPSK 변조 방식보다도 전송 신호 품질을 열화시키는 것이 우려된다(반대로, QPSK 변조 방식은, 16QAM 변조 방식보다도, 전송 신호 품질을 열화시키지 않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예시한 변조 방식에 있어서의, 직교성의 붕괴에 대한 내성의 강약은, 절대적인 것은 아닌 상대적인 점에 주의를 요한다. 예를 들면, 16QAM 변조 방식과 64QAM 변조 방식을 비교하면, 16QAM 변조 방식이 그 내성은 강하다. 일반적으로는, 변조 다치값이 증가할 수록, 직교성의 붕괴가 신호 품질을 열화시키기 쉽다. 따라서, 변조 다치값이 큰 경우에는, 현재의 신호 전송은 직교성의 붕괴에 견딜 수 없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채널 부호화율이나 확산율이 큰 것은, 1비트당 전력이 작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채널 부호화율이 큰 것 및 작은 것은, 신호의 전송 특성이 악화되기 쉬운 것 및 양호해지기 쉬운 것에 각각 관련된다. 전송 특성이 양호하다면,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직교성이 다소 붕괴되었다고 해도, 현재의 전송 방식은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전송 특성이 양호하지 않으면, 확산 부호의 직교성의 붕괴는 전송 신호 품질의 열화에 직결되게 된다. 이 때문에, 채널 부호화율 등이 큰 경우에는, 현재의 신호 전송은 직교성의 붕괴에 견딜 수 없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또한, 어떤 채널에 다중하는 코드 수의 많고 적음은,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간섭의 많고 적음에 관련된다. 따라서, 간섭이 적고 전송 특성이 양호하다면,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직교성이 다소 붕괴되었다고 해도, 현재의 전송 방식은 그것에 견딜 수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면, 확산 부호의 직교성의 붕괴는 전송 신호 품질의 열화에 직결되게 된다. 이 때문에, 코드 다중수가 큰 경우는, 현재의 신호 전송은 직교성의 붕괴에 견딜 수 없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단계(710)에 있어서의 판단은, 이러한 다양한 송신 파라미터 중 1개에 기초하여 행해져도 좋고, 복수의 송신 파라미터의 조합에 기초하여 행하여도 좋다. 일례로서, QPSK 변조 방식의 경우에, Cmur/SF가 문턱값(Th1=0.5)보다 큰 경우에는 직교성의 붕괴가 크고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다만. Cmux는 코드 다중수를 나타내고, SF는 부호 확산율을 나타낸다. 또한, 16QAM 또는 64QAM 변조 방식의 경우에, Cmux/SF가 문턱값(Th2=0.25)보다 큰 경우에는 직교성의 붕괴가 크고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직교성의 붕괴는 작다고 판단해도 좋다. 16, 64QAM과 같은 다치수가 큰 변조 방식에서는, 확산 부호의 직교성의 붕괴에 의한 신호 열화의 영향이 크고, 이것을 반영하기 위해서, 문턱값(Th2)은 문턱값(Th1)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0.5나 0.25와 같은 값은 단순한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현재의 신호 전송이 직교성의 붕괴에 견딜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플로우는 단계(708)로 진행하고, 상술한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현재의 신호 전송이 직 교성의 붕괴에 견딜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는 플로우는 단계(712)로 진행한다.
단계(712)에서는, 시간 영역에 관해서 직교성을 유지하기 쉬운 인터리빙 방식이 선택된다. 즉, 인터리빙 효과보다도 부호간의 직교성을 가능한 한 흐트리지 않는 관점에서 인터리빙 방식이 채용된다. 예를 들면 직교성을 붕괴시키기 쉬운 칩 인터리빙보다도, 비트 인터리빙이나 심볼 인터리빙이 채용되어도 좋다.
단계(714)에서는, 단계(708 및 710)에서 선택된 인터리빙 방식을 실행하기 위해서, 제1, 제2, 제3 심볼 배치부(118, 124, 132)에 필요한 설정이 행해진다.
이후, 플로우는 단계(726)로 진행하고, 시간 영역에 관한 인터리빙 방식의 선택에 관한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이 플로우는, 단계(704) 이후에 단계(706)의 처리를 행하는 것과 병행하여 또는 그 전후에 있어서 단계(716)에 있어서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716)에서는 추정된 지연 스프레드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넓은지 여부가 판단된다. 지연 스프레드가 넓은 경우에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진폭 레벨 변동이 심하고, 지연 스프레드가 좁은 경우에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진폭 레벨 변동도 완만하다. 따라서, 지연 스프레드가 소정값보다 좁은 경우에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진폭 레벨 변화도 완만하며, 그 결과, 주파수축 방향에 있어서의 신호의 전송 특성은 양호하다고 생각된다.
지연 스프레드를 평가하는 양으로서는 다양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일례로서, 이하의 수식에 나타난 페이징 상관값(ρ)으로 지연 스프레드가 평가되어도 좋다.
Figure 112004061779985-pat00001
여기서, SF는 부호 확산율을 나타내고, Δf는 서브 캐리어간의 주파수 간격을 나타내고, σ는 지연 스프레드를 나타낸다. 이 식에 따르면, 페이징 상관값(ρ)은 0 이상 1이하의 값을 취하고, 지연 스프레드(σ)가 작은 경우에 1에 가까워지고, 지역 스프레드(σ)가 큰 경우에 0에 가까워진다. 예를 들면, 페이징 상관값(ρ)이 문턱값(Th=0.8)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서 지연 스프레드의 대소를 판단할 수 있다.
지연 스프레드가 소정값보다 작은 경우는, 플로우는 단계(718)로 진행한다.
단계(718)에서는, 주파수 영역에 관해서 인터리빙 효과가 큰 인터리빙 방식(심볼 배치 구성)이 선택된다. 즉,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큰 인터리빙 방식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칩 인터리빙과 같은 에러 내성이 큰 방식이 채용되어도 좋다.
한편, 단계(716)에서, 지연 스프레드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넓다고 판단된 경우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의 변화도 크고, 그 결과, 주파수축 방향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직교성이 흐트러질(붕괴될) 우려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는, 플로우는 단계(720)로 진행한다.
단계(720)에서는, 현재 채용되고 있는 송신 파라미터에 의한 신호 전송이 확 산 부호의 직교성의 흐트러짐에 견딜 수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서 송신 파라미터로서는 변조 방식, 부호화율, 확산율, 코드 다중수 등을 들 수 있다.
QPSK 및 16QAM 변조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직교성이 다소 붕괴되었다고 해도, QPSK 변조 방식은 그에 견딜 수 있을 지도 모르지만, 16QAM 변조에서는 그것이 전송 신호 품질의 열화에 직결되게 된다. 이 때문에, 변조 다치수가 큰 경우에, 현재의 신호 전송이 직교성의 흐트러짐에 견딜 수 없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채널 부호화율이 큰 것 및 작은 것은, 신호의 전송 특성이 악화되기 쉬운 것 및 양호해지기 쉬운 것에 각각 관련된다. 전송 특성이 양호하다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직교성이 다소 붕괴되었다고 해도, 현재의 전송 방식이 그에 견딜 수 있다. 그러나, 전송 특성이 양호하지 않다면, 확산 부호의 직교성의 붕괴는 전송 신호 품질의 열화에 직결되게 된다. 이 때문에, 채널 부호화율이 큰 경우에, 현재의 신호 전송이 직교성의 붕괴에 견딜 수 없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또한, 어떤 채널에 다중하는 코드수의 많고 적음은,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간섭의 많고 적음에 관련된다. 간섭이 작고 전송 특성이 양호하다면,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확산 부호의 직교성이 다소 붕괴되었다고 하여도, 현재의 전송 방식은 그에 견딜 수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면, 확산 부호의 직교성의 붕괴는 전송 신호 품질의 열화에 직결되게 된다. 이 때문에, 코드 다중수가 큰 경우에, 현재의 신호 전송이 직교성의 붕괴에 견딜 수 없다고 판단해도 좋다.
단계(720)에 있어서의 판단은, 이들 다양한 송신 파라미터 중 하나에 기초하 여 행하여도 좋고, 복수의 송신 파라미터의 조합에 기초하여 행하여도 좋다. 단계(710)에 관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일례로서, QPSK 변조 방식의 경우에, Cmux/SF가 문턱값(Th1=0.5)보다 큰지 여부를 가지고 직교성의 붕괴의 대소(大小)를 판단하여도 좋다.
16QAM 또는 64QAM 변조 방식의 경우에, Cmux/SF가 문턱값(Th2=0.25)보다 큰지 여부를 가지고 직교성의 붕괴의 대소를 판단하여도 좋다.
현재의 신호 전송이 직교성의 붕괴에 견딜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플로우는 단계(718)로 진행하고, 상술한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현재의 신호 전송이 직교성의 붕괴에 견딜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는, 플로우는 단계(722)로 진행한다.
단계(722)에서는, 주파수 영역에 관해서 직교성을 유지하기 쉬운 인터리빙 방식이 선택된다. 즉, 인터리빙 효과보다도 부호간의 직교성을 가능한 한 흐트리지 않는 관점에서 인터리빙 방식이 채용된다. 예를 들면, 직교성을 붕괴시키기 쉬운 칩 인터리빙보다도 비트 인터리빙이나 심볼 인터리빙이 채용되어도 좋다.
단계(724)에서는, 단계(718 및 720)에서 선택된 인터리빙 방식을 실행하기 위해서, 제1, 제2, 제3 심볼 배치부(118, 124, 132)에 필요한 설정이 행해진다.
이후, 플로우는 단계(726)로 진행하고, 주파수 영역에 관한 인터리빙 방식의 선택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714 및 724)에서 어떠한 인터리빙 방식이 채용될 지는, 제어 채널을 통하여 무선 수신 장치에 통지된다. 무선 수신 장치에서는 제어 채널의 내용에 따라서 적절한 디인터리빙 그 외의 신호 처리가 행해지 고, 정보 심볼이 복원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전파로 상황의 추정이나 인터리빙 방식의 선택은, 무선 송신 장치에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방 또는 쌍방이 무선 수신 장치에서 행해지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다만, 무선 수신 장치에서 그러한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추정 결과나 선택 결과가 예를 들면 제어 채널을 통해서 무선 소신 장치에 통지될 필요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의 각 영역에서 별개로 인터리빙이 행해지기 때문에, 확산 부호간의 직교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큰 인터리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파수 영역의 관점에서는 인터리빙 효과를 희생하여 부호간의 직교성을 유지하여야만 하지만, 시간 영역에서는 인터리빙 효과가 커도 직교성이 그다지 붕괴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주파수 영역에 관해서는 부호간의 직교성을 유지하는 데 최적인 인터리빙 방식을 채용하고, 시간 영역에 관해서는 큰 인터리빙 효과를 얻는데 최적인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행할 수 없는 고품질 신호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및 시간 영역의 2차원 인터리빙을 행하는 OFCDM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삭제
  2. 무선 송신 장치 및 무선 수신 장치로 구성되는 멀티 캐리어 변조 방식 및 부호 확산 변조 방식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송신 장치 또는 상기 무선 수신 장치에, 무선 전파로에 있어서 도플러 주파수 편이 또는 지연 스프레드 특성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인터리빙 방식 중에서 인터리빙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무선 송신 장치에 설치되고, 정보 심볼을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인터리빙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패턴으로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하는 심볼 배치부; 및
    상기 무선 수신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심볼을 상기 패턴의 역 패턴으로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하는 심볼 재배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멀티캐리어 변조 방식 및 부호 확산 변조 방식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송신 장치로서,
    무선 전파로에 있어서 도플러 주파수 편이 또는 지연 스프레드 특성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인터리빙 방식중에서 인터리빙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인터리빙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패턴으로 전송되는 정보 심볼을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하는 심볼 배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신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멀티캐리어 변조 방식 및 부호 확산 변조 방식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수신 장치로서,
    무선 전파로에 있어서의 도플러 주파수 편이 또는 지연 스프레드 특성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인터리빙 방식중에서 선택한 인터리빙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한 인터리빙 방식을 무선 송신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 및
    상기 선택한 인터리빙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패턴으로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된 정보 심볼을 상기 무선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패턴의 역패턴으로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수신된 심볼을 재배열하는 심볼 재배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수신 장치.
  11. 멀티캐리어 변조 방식 및 부호 확산 변조 방식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무선 전파로의 상황이 무선 송신 장치 또는 무선 수신 장치에서 측정되는 측정 단계;
    무선 전파로에 있어서의 도플러 주파수 편이 또는 지연 스프레드 특성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송신 장치 또는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해 복수의 인터리빙 방식중에서 인터리빙 방식이 선택되는 선택 단계;
    선택된 인터리빙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패턴으로 정보 심볼이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무선 송신되는 단계;
    무선 송신된 정보 심볼이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단계;
    수신된 정보 심볼이 상기 패턴의 역 패턴으로 주파수축 방향 및 시간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조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 또는 상기 선택 단계가 상기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에, 상기 측정 결과 또는 선택된 인터리빙 방식이 상기 무선 송신 장치에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방법
  13. 제 3항에 있어서,
    무선 전파로에 있어서의 도플러 주파수 편이에 기초하여 시간축 방향에 관한 정보 심볼의 배치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신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도플러 주파수 편이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큰 경우에, 비트 인터리빙 또는 심볼 인터리빙 방식이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신 장치.
  15. 제 3항에 있어서,
    무선 전파로에 있어서의 지연 스프레드 특성에 기초하여 주파수축 방향에 관한 정보 심볼의 배치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신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스프레드 특성이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큰 경우에, 비트 인터리빙 또는 심볼 인터리빙 방식이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신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도플러 주파수 편이가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에, 칩 인터리빙 방식이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신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스프레드 특성이 기 설정된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에 칩 인터리빙 방식이 상기 선택부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신 장치.
KR20040113217A 2003-12-25 2004-12-27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송신 장치, 무선 수신 장치 및무선 통신 방법 KR100757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30550 2003-12-25
JPJP-P-2003-00430550 2003-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443A KR20050065443A (ko) 2005-06-29
KR100757913B1 true KR100757913B1 (ko) 2007-09-11

Family

ID=3454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113217A KR100757913B1 (ko) 2003-12-25 2004-12-27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송신 장치, 무선 수신 장치 및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526011B2 (ko)
EP (2) EP2058972B1 (ko)
JP (1) JP3962745B2 (ko)
KR (1) KR100757913B1 (ko)
CN (1) CN100377518C (ko)
DE (1) DE60200402086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5000A1 (en) * 2002-07-17 2006-03-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ime-frequency interleaved mc-cdma for quasi-synchronous systems
JP4041719B2 (ja) * 2002-10-09 2008-01-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これらに用いて好適な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4463723B2 (ja) * 2005-04-28 2010-05-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機及び送信方法
US8289952B2 (en) * 2005-05-25 2012-10-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d VoIP media flow quality by adapting speech encoding based on selected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US7808985B2 (en) 2006-11-21 2010-10-05 Gigle Networks Sl Network repeater
US8406239B2 (en) 2005-10-03 2013-03-26 Broadcom Corporation Multi-wideband communications over multiple mediums
EP1770870B1 (en) 2005-10-03 2019-04-03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Powerlin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8213895B2 (en) 2005-10-03 2012-07-03 Broadcom Europe Limited Multi-wideband communications over multiple mediums within a network
JP4684852B2 (ja) * 2005-11-02 2011-05-18 Kddi株式会社 符号拡散方法及び符号拡散装置
EP2328275A1 (en) 2006-03-24 2011-06-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terleaving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7860146B2 (en) * 2006-07-06 2010-12-28 Gigle Networks, Inc. Adaptative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S8885814B2 (en) 2006-07-25 2014-11-11 Broadcom Europe Limited Feedback impedance control for driving a signal
US9705562B2 (en) 2006-07-25 2017-07-11 Broadcom Europe Limited Dual transformer communication interface
US8213582B2 (en) 2008-03-14 2012-07-03 Broadcom Europe Limited Coupling signal processing circuitry with a wireline communications medium
US20100189162A1 (en) * 2006-09-06 2010-07-29 Takashi Yoshimoto Transmission-and-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and-reception system, and transmission-and-reception method
WO2008029704A1 (fr) * 2006-09-06 2008-03-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transmission, dispositif de réception, système de communication, et procédé de communication
KR100801290B1 (ko) * 2006-11-16 2008-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통신시스템의 복조장치 및 그방법
WO2008099919A1 (ja) * 2007-02-16 2008-08-21 Sharp Kabushiki Kaisha 無線受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13893B1 (ko) * 2007-10-04 2016-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인터리빙 방법 및 장치
US9712279B2 (en) 2007-10-04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eav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602220B1 (en) 2008-06-24 2009-10-13 Gigle Semiconductor, Ltd. Resistor-input transconductor including common-mode compensation
US7956689B2 (en) 2008-10-13 2011-06-07 Broadcom Corporation Programmable gain amplifier and transconductance compensation system
US7795973B2 (en) 2008-10-13 2010-09-14 Gigle Networks Ltd. Programmable gain amplifier
CN101764667B (zh) * 2008-12-26 2013-10-02 富士通株式会社 无线发送设备、方法和无线通信系统
US8683555B2 (en) * 2010-02-10 2014-03-25 Raytheon Company Systems and methods to prevent denial of service attacks
CN101848061B (zh) * 2010-05-13 2013-01-30 清华大学 星座图受限的扩展编码调制方法、解调解码方法及其系统
JP4972200B2 (ja) * 2010-09-29 2012-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タリーブ装置、通信装置及びインタリーブ方法
CN107113450B (zh) 2015-01-05 2020-03-06 Lg 电子株式会社 广播信号发送装置、广播信号接收装置、广播信号发送方法以及广播信号接收方法
KR20180092744A (ko) 2017-02-10 201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를 컴바이닝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086577B (zh) * 2017-03-24 2020-06-16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进行数据传输的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8923883B (zh) * 2018-06-13 2020-10-27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多进制扩频和多载波调制相结合的抗干扰方法
CN109309541B (zh) * 2018-10-10 2021-04-02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无人机数据链抗干扰的半实物验证系统及验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18874D0 (en) 1992-09-07 1992-10-21 British Broadcasting Corp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transmission of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s
JP3139909B2 (ja) * 1994-03-15 2001-03-05 株式会社東芝 階層的直交周波数多重伝送方式および送受信装置
EP0794631A3 (en) * 1996-03-07 2001-04-04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Erro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DE19647833B4 (de) * 1996-11-19 2005-07-07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Verfahren zur gleichzeitigen Funkübertragung digitaler Daten zwischen mehreren Teilnehmerstationen und einer Basisstation
JP3239084B2 (ja) * 1997-05-30 2001-12-17 株式会社次世代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システム研究所 マルチキャリア伝送インターリーブ装置及び方法
KR100387078B1 (ko) * 1997-07-30 200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역확산통신시스템의심볼천공및복구장치및방법
JPH11163823A (ja) 1997-11-26 1999-06-18 Victor Co Of Japan Ltd 直交周波数分割多重信号伝送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FR2794914B1 (fr) * 1999-06-08 2002-03-01 Sagem Systeme parametrable a entrelacement temporel et frequentiel pour la transmission de donnees numeriques entre stations fixes ou mobiles
JP2001060934A (ja) 1999-08-20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fdm通信装置
JP2003512761A (ja) * 1999-10-19 2003-04-02 ノキア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 ユキチュア 空間及び時間インターリーブによるリンククオリティの最適化
JP2002190788A (ja) 2000-03-17 2002-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01069826A1 (fr) * 2000-03-17 2001-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eil de communication par radio et procede de communication par radio
JP3396815B2 (ja) * 2001-06-20 2003-04-14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伝送方法及びデータ伝送装置
US7278070B2 (en) * 2001-09-14 2007-10-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rleaving to avoid wideband interference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s system
JP4048111B2 (ja) 2001-12-28 2008-02-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受信装置、送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3745692B2 (ja) * 2002-02-18 2006-02-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cdma変調方式用送信装置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cdma変調方式用受信装置
JP3679775B2 (ja) * 2002-04-12 2005-08-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送信装置、マルチキャリア受信装置及びマルチキャリア送信方法
WO2003088537A1 (fr) * 2002-04-12 2003-10-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e communication multiporteuse et procede de communication multiporteuse
US7289459B2 (en) 2002-08-07 2007-10-30 Motorola Inc.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adaptive interleaver
US7386057B2 (en) * 2003-02-20 2008-06-10 Nec Corporation Iterative soft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filtering for spectrally efficient high-speed transmission in MIMO systems
US20040196780A1 (en) * 2003-03-20 2004-10-07 Chin Francois Po Shin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2002년 논문 "Performance analysis of adaptive interleaving for OFDM systems"
미국특허공보 05610908호(1997.03.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443A (ko) 2005-06-29
JP2005210708A (ja) 2005-08-04
US20090161733A1 (en) 2009-06-25
EP1548974A3 (en) 2007-10-10
JP3962745B2 (ja) 2007-08-22
US8315317B2 (en) 2012-11-20
US7526011B2 (en) 2009-04-28
DE602004020860D1 (de) 2009-06-10
US20050163193A1 (en) 2005-07-28
CN100377518C (zh) 2008-03-26
EP2058972A1 (en) 2009-05-13
EP1548974A2 (en) 2005-06-29
CN1638324A (zh) 2005-07-13
EP1548974B1 (en) 2009-04-29
EP2058972B1 (en)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91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송신 장치, 무선 수신 장치 및무선 통신 방법
US10476645B2 (en)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0957415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구분을 위한 파일럿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5260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an AMC mode and a diversity mod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81552B1 (ko) 주파수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파일롯의 송수신장치 및 방법
EP2288100A1 (en) Transmitting device, reciving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with new preamble structure
KR10113734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된 파일럿 신호가 포함된 신호를송수신하는 방법
WO200708498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lot multiplex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60106223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비트 삽입 및 코드 변조방식의 송신 장치 및 방법
US7606196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tter apparatus and receiver apparatus suitable for use in the same
WO2002067460A1 (en) Long-range prediction of fading signals
Rohling et al. Comparison of PSK and DPSK Modulation in a Coded OFDM System
Sohl et al. Comparison of localized, interleaved and block-interleaved FDMA in terms of pilot multiplexing and channel estimation
JP2006054745A (ja) 無線通信装置
Huang et al. OFDM with pilot aided channel estimation for time-varying shallow water acoustic channels
KR20060072096A (ko) 선형 등화기를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통신시스템에서 엘엘알 산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99674A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성능 향상을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00208B1 (ko)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25649B1 (ko) 다중 안테나 통신시스템의 채널추정 장치 및 방법
JP3906116B2 (ja) 受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60022579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대 평균전력의 비 감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li Performance of Discrete Wavelet Transform based on OFDM and Adaptive Modulation
Medina et al. Proposal of ofdm system with data repetition
Gosling et al. Adaptive bit loading scheme using COFDM at low elevation over LEO satellite communication channel
Venkatachalam et al. Adaptive Modulation Of OFDM And MC-CDM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