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492B1 -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 Google Patents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492B1
KR100756492B1 KR1020060022075A KR20060022075A KR100756492B1 KR 100756492 B1 KR100756492 B1 KR 100756492B1 KR 1020060022075 A KR1020060022075 A KR 1020060022075A KR 20060022075 A KR20060022075 A KR 20060022075A KR 100756492 B1 KR100756492 B1 KR 100756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layer
paper
window
gla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효
서승운
Original Assignee
김명효
서승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효, 서승운 filed Critical 김명효
Priority to KR1020060022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 입체전사기법에 관한 것으로, (a) 도토(陶土)를 반죽하고, 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成形)하여 건조하는 피전사체 제조단계; (b) 상기 (a) 피전사체를 스펀지와 물로 다듬어 정형하고, 750∼800℃의 온도에서 4∼5 시간 동안 소성하는 1차 소성 단계; (c) 상기 (b) 피전사체의 기면에, 전사 투명 유약층, 인쇄층 및 창호지를 포함하는 창호 전사지를 물에 축인 후에 부착시키고 이를 부드럽게 눌러주거나 두둘겨서 창호지를 분리하여 전사하되, 인쇄층은 피전사체의 기면 상에 반대로 찍혀 나오게 하고 인쇄층 상에 전사 투명 유약층이 적층되어 전사되는 창호 전사 단계에; 전사 투명 유약층 및 인쇄층을 포함하는 하회 전사지를 바인더로 부착하여 전사하되, 인쇄층 상에 전사 투명 유약층이 적층되어 전사되는 하회 전사 단계나 공지된 상회 전사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을 제공함으로써, 공간감과 거리감을 나타낼 수 있는 3차원적인 입체전사기법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자기, 전사지, 전사 투명 유약층, 창호 전사지, 하회 전사지

Description

도자기 입체전사기법{Method for three dimensional decalcomania on pottery}
도 1은 종래 전사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도수 창호 전사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회 전사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도자기 입체전사기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입체전사기법에서 단계별로 사용되는 분할된 전사지와 완성된 그림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입체전사기법에 따라 제조된 도자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사용 대지 11, 21, 32, 51 : 인쇄층
12 : 커버 코팅층 20 : 본 발명의 창호 전사지
22, 31 : 전사 투명 안료층 23 : 창호지
24 : 접착층 30 : 본 발명의 하회 전사지
33 : 박리코팅층 41 : 본 유약층
100: 피전사체 기면
본 발명은 도자기 입체전사기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게하게는 도자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성과 시유 단계에 따라 특성이 다른 피전사체에 단계별로 적합한 특정 전사지를 사용하여 전사하되, 상기 특정 전사지에는 인쇄층 상에 전사 유약층을 적층시켜 소성 시 인쇄층 상에 투명한 유면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공간감과 거리감에 의한 3차원적인 입체전사가 가능한 도자기 입체전사기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 전사기법은 일반적으로 문양이나 그림이 동일하게 인쇄된 도자기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전사지에 안료로 그림을 인쇄한 후, 이것을 피전사체의 기면에 전사하여 채색을 하는 것이다.
이 기법은 다량의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 생활 도자기 부분에서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며, 복잡하거나 문양이나 그림이 동일한 도자기를 만들 때에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시장 개방에 따른 치열한 경쟁으로 국내 도자기 분야가 침체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고부가가치의 경쟁력이 있는 도자기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중 전사기법에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는 기술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83838호에는 피전사체인 생활 도자기에 입체감이 살릴 수 있는 하회용 입체 전사지의 제작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89244호에는 피전사체에 피착되는 전사지에 잉크를 수회 적층 인쇄하여 엠보싱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입체적인 장식미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1999-83838호의 기술은 유약 처리 후 전사하는 상회 전사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89244호는 인쇄층이 지나치게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다도수의 인쇄가 어렵고 소성 시 인쇄층이 끓음 현상에 의해 인쇄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인쇄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도자기 전사기법에 사용되는 전사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용 대지에 인쇄층(11)을 형성시키고, 상기 인쇄층을 보호하면서 물에서 상기 대지와 인쇄층의 분리를 원활하기 위해 커버 코팅층(12, cover coat)을 적층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 커버 코팅층의 경우, 일반적으로 PVC(poly vinyl chloride)와 키실렌(xyle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액을 사용해 왔는데, 이의 커버 코팅층은 750∼800℃의 소성에서는 완전히 제거되지 못해서, 시유 시 전사된 부분의 피전사체 유면이 다른 부위에 비하여 얇게 시유되고, 소성 시 전사된 부위가 깨끗하게 인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자기 전사기법에서 전사지를 피전사체의 기면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 하던 종래 바인더의 경우에서도 750∼800℃의 소성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못해, 상기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자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성과 시유 단계에 따라 특성이 다른 피전사체에 단계별로 적합한 특정 전사지를 사용하여 전사하되, 상기 특정 전사지에는 인쇄층 상에 전사 유약층을 적층시켜 소성 시 인쇄층 상에 투명한 유면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도자기 제조 공정과 비교하여 전혀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공간감과 거리감에 의한 3차원적인 입체전사가 나타낼 수 있는 입체전사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초벌구이(750∼800℃에서 소성)한 피전사체에 전용으로 사용하는 창호 전사지와 시유된 피전사체에 사용하는 하회 전사지를 개발하고, 이의 입체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성과 시유 단계에 따라 특성이 다른 피전사체에 단계별로 인쇄층 상에 전사 유약층을 적층시켜 소성 시 인쇄층 상에 투명한 유면이 형성되는 특정 전사지를 사용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입체전사기법에 필요한 신규한 창호 전사지와 하회 전사지를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a) 도토(陶土)를 반죽하고, 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成形)하여 건조하는 피전사체 제조단계;
(b) 상기 (a) 피전사체를 스펀지와 물로 다듬어 정형하고, 750∼800℃의 온도에서 4∼5 시간 동안 소성하는 1차 소성 단계;
(c) 상기 (b) 피전사체의 기면에, 전사 투명 유약층, 인쇄층 및 창호지를 포함하는 창호 전사지를 물에 축인 후에 부착시키고 이를 부드럽게 눌러주거나 두둘겨서 창호지를 분리하여 전사하되, 인쇄층은 피전사체의 기면 상에 반대로 찍혀 나오게 하고 인쇄층 상에 전사 투명 유약층이 적층되어 전사되는 창호 전사 단계;
(d) 상기 (c) 피전사체를 유약액에 담구어 균일하게 유약을 바르고, 이를 건조하는 시유(施釉) 단계;
(e) 상기 (d) 피전사체를 1,250∼1,300℃의 온도에서 10∼15 시간 동안 소성하는 2차 소성 단계;
(f) 상기 (e) 피전사체의 1차 전사 부위에 물을 사용하여 상회 전사지를 전사하는 상회 전사 단계; 및
(g) 상기 (f) 피전사체를 800∼850℃의 온도에서 2∼3 시간 동안 소성하는 상회 소성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도토(陶土)를 반죽하고, 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成形)하여 건조하는 피전사체 제조단계;
(b) 상기 (a) 피전사체를 스펀지와 물로 다듬어 정형하고, 750∼800℃의 온도에서 4∼5 시간 동안 소성하는 1차 소성 단계;
(c) 상기 (b) 피전사체의 기면에, 전사 투명 유약층, 인쇄층 및 창호지를 포 함하는 창호 전사지를 물에 축인 후에 부착시키고 이를 부드럽게 눌러주거나 두둘겨서 창호지를 분리하여 전사하되, 인쇄층은 피전사체의 기면 상에 반대로 찍혀 나오게 하고 인쇄층 상에 전사 투명 유약층이 적층되어 전사되는 1차 전사 단계;
(d) 상기 (c) 피전사체를 유약액에 담구어 균일하게 유약을 바르고, 이를 건조하는 시유(施釉) 단계;
(e) 상기 (d) 피전사체의 1차 전사 부위에 전사 투명 유약층 및 인쇄층을 포함하는 하회 전사지를 바인더로 부착하여 전사하되, 인쇄층 상에 전사 투명 유약층이 적층되어 전사되는 2차 전사 단계; 및
(f) 상기 (e) 피전사체를 1,250∼1,300℃의 온도에서 10∼15 시간 동안 소성하는 2차 소성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을 제공한다.
또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입체전사기법으로 제조된 도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여기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차 소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토로 성형한 성형물 을 750∼800℃의 온도에서 4∼5 시간 동안 소성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초벌구이(BK 소성)라 한다.
그리고, 2차 소성은 통상적으로 재벌구이(GK 소성)라 한다.
전사용 대지(layout sheet)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전사지에 사용되는 대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흡수성이 양호하고, 중량은 보통 150-170/㎡이고, 물에 분리되기 쉽도록 수용성 풀이나 비닐 재질이 코팅된 대지를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의 대지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창호지는 전사지에 사용하는 창호용 한지를 말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한지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토는 도자기의 원료가 되는 고령토질(高嶺土質)의 점토를 말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백토, 점토 및 도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유약층은 통상적으로 도자기의 제조공정에서 시유 단계를 거친 후, 재벌구이(GK)를 하여 피전사체의 기면에 형성된 유리질의 얇은 막을 말한다.
전사 투명 유약층은, 시유 시 형성되는 상기 본유약층(유면; 釉面)과 구분하기 위해 만든 조어(造語)로, 전사지의 인쇄층에 적층되어 소성 후 일정 두께의 유면을 형성하여 추후 상이한 전사지에서 전사되어 인쇄되는 인쇄층과 거리감을 형성하여 입체감을 더욱 느끼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안료와 메디움(medium; 전색제)을 혼합하고, 이의 혼합물을 전사지에 인쇄할 때 사용하는데, 이의 표현을 간단하고 이해하기 용이하게 정의하 기 위해 잉크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창호 전사용 안료는 안료에 유약을 중량 기준에서 동일한 양으로 혼합한 안료를 일반 안료와 구분하기 위하여 만든 조어로, 수성 잉크에 사용하는 안료를 지칭한다.
전사부(轉寫部)는 전사지에서 실질적으로 피전사체에 전사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조어로, 본 발명에서는 전사지의 인쇄층과 전사 투명 유약층을 포함하는 부분을 말한다(전사용 대지는 제외).
스크린 망은 전사하고자 하는 문양이나 그림의 부분에 잉크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전사지 상에 스크린 인쇄를 할 수 있게 미리 제작된 도구를 말한다.
하회(underglaze)는 유약층을 기준으로 볼 때 유면의 밑에 인쇄층이 존재하는 인쇄기법을 말하는데, 유약층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납, 카드뮴, 비소 등의 중금속이 전혀 검출되지 않고 초벌구이(BK 소성) 후에 전사지를 부착해야 하나, 안료의 발색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회(overglaze)는 유면의 표면에 인쇄층이 존재하는 기법으로, 상기 하회와는 달리 발색에는 자유로우나, 저화도의 특성상 중금속의 용출이란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종래 안료로 이루어진 인쇄층에 무연의 용제 코팅(flux)을 하거나 무연 안료(無鉛 顔料)를 사용한다.
상회 전사지는 상술한 상회를 수행할 수 있는 공지된 전사지를 지칭한다.
박리코팅층은 종래 커버 코팅과는 달리, 250∼30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완전한 박리가 가능한 코팅층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아크릴 모노머(monomer)에 용 제로 키실렌(xylene)을 혼합한 코팅액을 사용하여 형성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도자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성과 시유 단계에 따라 특성이 다른 피전사체에 단계별로 적합한 특정 전사지를 사용하여 전사하되, 상기 특정 전사지에는 인쇄층 상에 전사 유약층을 적층시켜 소성 시 인쇄층 상에 투명한 유면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도자기 제조 공정과 비교하여 전혀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하나의 문양이나 그림 등을 분할한 복수 개의 전사지를 소성과 시유 단계에 따라 피전사체의 기면에 각각 전사하고 소성하여 공간감과 거리감에 의한 3차원적인 입체전사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인쇄의 특성상, 창호 전사지로 전사한 이후에, 하회 전사, 상회 전사 또는 하회 전사와 상회 전사를 단계에 맞게 선택하여 입체전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뚜렷한 색채가 필요할 경우에는 창호 전사 이후에 하회 전사를 배제하고 상회 전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스텔 톤의 경우 하회 전사를 수행하고 상회 전사를 배제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창호 전사 이후에 하회 전사와 상회 전사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창호 전사지는 750∼800℃의 온도에서 1차 소성한 피전사체에 가장 먼저 전사한다. 이는 1차 소성한 피전사체의 경우 수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가 있어서, 창호지에 인쇄층과 전사 투명 유약층이 포함된 창호 전사지를 물에 축이고, 이를 피전사체의 기면에 인쇄층이 반대로 찍혀 나오게 부착하고 이의 부위를 문지르거나 두드린 다음 창호지만을 서서히 떼어내면, 종래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충분하게 전사 투명 유약층과 인쇄층을 전사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창호 전사지는 일정크기의 전사용 대지; 상기 대지의 일면 테두리에 형성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접착된 창호지층; 상기 창호지층에 투명 유약 분말과 수성 잉크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전사 투명 유약층; 및 상기 전사 유약층과 스크린 망의 핀트를 맞추고, 수성 잉크로 다도수의 문양을 스크린 인쇄한 인쇄층; 을 포함하는 다도수 창호 전사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 커버 코팅을 전사 투명 유약층으로 대체함으로써, 종래 소성 후 이물질이 남는 종래 코팅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본 유약층과 융화가 잘 되면서 하회(underglaze)된 인쇄층을 보호하고 본유약층과 인쇄층 간의 거리감을 주어 인쇄층의 입체감을 보다 잘 나타내며,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층이 쉽게 창호지와 분리되게 하고, 전사용 대지를 창호지에 덧대어 사용하여 종래 창호지의 특성상 1 도수 이외에는 인쇄하지 못하는 한계를 다도수의 문양이나 그림을 표현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문양이나 색도를 일시에 전사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술한 다도수 창호 전사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창호지에 접착된 전사용 대지를 제거하고 사용해야 하는데, 접착된 테두리 부분을 절단하여 간단하게 분리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술한 창호 전사지 이외에도 도자기에 인쇄될 문양이나 색도에 따라, 전사 투명 유약층이 포함된 1 도수의 창호 전사지를 사용해도 무 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회 전사지는 일정 크기의 전사용 대지; 상기 대지와 스크린 망의 핀트를 맞추고, 유성잉크로 색상과 문양을 스크린 인쇄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에 투명 유약 분말과 유성잉크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전사 투명 유약층; 을 포함하는 하회 전사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유된 피전사체의 경우에는 물을 사용하면 유약이 손에 쉽게 묻어나기 때문에, 바인더를 원하는 위치에 바르고 유성 잉크로 인쇄된 전사지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사지에 원하는 문양이나 색을 인쇄하는 잉크는 안료와 메디움(medium; 전색제)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는 대부분 분말로 되어 있는 안료를 전사지에 고정하면서 얇게 펴 바르면서 수 있게 하고, 피전사체에 부착한 후에는 흘러내림의 억제하는 역할을 메디움이 하기 때문이다.
이때, 안료는 통상적으로 하기 표 1과 같은 색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지된 코발트, 안티몬, 크롬, 망간, 니켈, 우라늄, 철, 안티몬, 카드뮴, 셀리니움, 금 및 은 등의 금속 산화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원하는 색상이 발현되도록 한다. 다만, 상회와 하회용 안료의 선정과 이들의 배합비율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자명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료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하기 표 1 이외의 안료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Figure 112006016650503-pat00001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디움은 크게 수성 메디움과 유성 메디움으로 나누어지는데, 안료와 사용되어 수성 잉크와 유성 잉크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메디움(medium)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성 메디움으로는 물엿, 당밀, 백급 및 흑설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과 물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성 메디움으로는 상업적으로 테트라하이드로나프팔렌(Tetrahydronaphthalene), 아세트산, 부틸 에스테르(Butyl Ester)을 주성분으로 하는 63/8634(Johnson Matthey사, 영국)을 도자기 전사지용 메디움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성 메디움의 상술한 성분, 물 및 기본 유약과, 유성 메디움의 유성 메디움과 기본 유약의 혼합비는 외부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한정하여 기재하는 것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작업성을 위해 적절한 점도와 점착력을 가지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상술한 수성 메디움과 유성 메디움 이외의 메디움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창호 전사지와 하회 전사지의 제조 공정과 이의 전사지를 사용하여 도자기에 입체전사를 하는 바람직한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창호 전사지 제조
가. 고정 공정
대지의 일면 테두리에 풀 또는 천연이나 합성 수지의 접착제를 바르고, 그 위에 창호지를 덧대어 고정한다.
이때, 사용 시, 전사용 대지는 절단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상기 접착제는 창호지와 전사용 대지를 접착할 수 있는 접착제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나. 인쇄 공정
제작된 스크린 망과 창호지의 핀트점을 맞추고, 본 발명에 따라 수성 안료와 수성 메디움을 혼합한 수성 잉크를 실크 스크린에 통과시켜 창호지에 다도수 인쇄를 한다.
이때, 상기 수성 잉크는 창호 전사 안료 및 수성 메디움이 1:0.4 내지 1:1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창호 전사 안료를 중량 기준으로 1이라 할 때, 수성 메디움을 0.4 미만으로 사용하면 인쇄 시 스크린 망에 잘 통과되지 않고, 1을 초과하면 소성 시 적은량의 안료가 휘발되어 인쇄가 번지거나 원하는 색도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전사용 대지에 인쇄되는 인쇄층의 두께는 0.2∼0.5 mm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두께가 0.2 mm 미만으로 인쇄할 경우에는 소성 과정에서 휘발되어 원하는 색상이 나타나지 않고 0.5 mm가 초과되면 인쇄층이 끓음 현상으로 표면이 울퉁불퉁해지기 때문이다.
다. 전사 투명 유약 코팅 고정
인쇄된 창호지 부위에 본 발명에 따라 투명 유약 분말과 수성 안료를 혼합한 유약을 바르고 건조하여 창호지의 인쇄 부분에 투명 유약층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유약층에는 투명 유약 분말에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담도(淡度)를 조절함으로써, 추후 전사되어 소성되는 인쇄의 색도와 대비되어 원근감을 주고, 유약층에 일정 두께를 유지하게 하면서 굴곡지게 형성시켜 빛의 굴절에 의해 입체감을 더욱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약은 통상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유리질의 주성분인 규석질과, 주석을 용해하고 점착시키는 장석질, 광택과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석회질 및 백토 등을 적절한 배합비로 혼합한 유리질의 유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선택 및 적절한 배합비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자명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성분에서 본 발명의 유약 성분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유에 사용되는 유약과 전사지에 사용되는 유약은 되도록 동일한 성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융합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에, 시유에 사용될 유약액을 건조한 유약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명 유약 분말과 수성 잉크의 혼합은 중량 기준으로 1:0.3∼1: 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약 분말을 중량 기준으로 1이라 할 때, 안료가 0.3 미만을 사용하면 담도 효과가 미미하고, 5를 초과하면 인쇄층이 잘 안보이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담도를 조절하는 수성 잉크의 안료와 수성 메디움의 혼합 비율은 상기 (가) 공정과 동일한 이유로, 1:0.4 내지 1:1로 혼합된 수성 잉크를 사용하는 것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사지에서 전사 투명 유약층의 두께는 0.5∼1 mm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5 mm 미만인 경우에는 굴절 효과와 거리감으로 인한 입체 효과가 미미하고 1 mm 를 초과하면 지나치게 전사면이 두꺼워지기 때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 전사지는 전사용 대지(1)와, 상기 대지의 일면 테두리에 형성된 접착층(24), 상기 접착층 상에 접착된 창호지층(23), 상기 창호지층에 수성잉크와 투명 유약 분말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전사 투명 유약층(22); 및 상기 인쇄층에 다도수의 문양이 인쇄된 인쇄층(21)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입체감의 효과를 배가하기 위하여, 창호 천사지에서 전사 투명 유약층에 인쇄층과 전사 투명 유약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개의 전사부가 반복해서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2) 하회 전사지
상술한 창호 전사지의 제조 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본 발명의 하회 전사지는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용 대지(1) 상에 안료와 유성 메디움으로 이루어지는 유성 잉크로 스크린 인쇄를 하고, 상기 인쇄층(31)에 투명 유약 분말과 유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전사 투명 유약층(32)을 형성시켜 제조한다.
이때, 상기 유성 잉크는 안료와 유성 메디움이 중량 기준으로 1:0.5 내지 1:1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료를 중량 기준으로 1이라 할 때, 유성 메디움을 0.5 미만으로 사용하면 인쇄 시 스크린 망에 잘 통과되지 않고, 1을 초과하면 소성 시 적은량의 안료가 휘발되어 인쇄가 번지거나 원하는 색도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외, 유약과 유성 잉크의 혼합비는 상기 창호 전사지와 동일하다.
그리고, 창호 전사지와 동일하게 입체감의 효과를 배가하기 위하여, 전사 투명 유약층(32)에 인쇄층과 전사 투명 유약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개의 전사부가 반복해서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하회 전사지는 상회 소성단계를 여러 번 반복하여 수행할 경우,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회 소성이 완료된 후, 추가로 전사시킬 하회 전사지의 전사 투명 유약층(32)상에는 박리코팅층(33)을 더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쇄층(31)을 포함한 전사 투명 유약층(32)을 보호하고, 상회 소성의 온도에서는 박리코팅층(33)이 충분히 제거되기 때문이다.
(3)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본 발명에서는 하기 (가) 내지 (라)의 공정을 거치고, 인쇄 특성에 따라 (바) 또는 (사)와 (아)의 공정을 선택하여 수행함으로써, 도자기 입체전사기법으로 완제품을 완성한다.
그러나, 문양과 색상의 입체감을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내기 위하여, (사)와 (아)의 공정을 여러 번 반복하여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가. 피전사체 제조 공정
도토를 반죽하고, 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成形)한 다음, 이를 건조한다.
나. 1차 소성 공정
건조된 피전사체를 스펀지와 물로 다듬어 정형하고, 750∼800℃의 온도에서 4∼5 시간 동안 소성한다.
다. 창호 전사 공정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전사지에서 접착층을 포함하는 테두리를 절단하여 대지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대지가 제거된 창호 전사지를 물 또는 수성 메디움에 축인 후, 이를 상기 피전사체의 기면에 부착하고 이를 부드럽게 눌러주거나 두둘겨서(pecking; PK), 창호지는 분리하면서 전사지의 인쇄층은 피전사체의 기면 상에 반대로 찍혀 나오게 한다.
라. 시유(施釉) 공정
1차 전사된 피전사체를 유약액에 담구어 균일하게 유약을 바르고 건조한다.
이때, 유약액은 성분이 전사지에 사용한 투명 유약 분말과 동일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통상적으로 투명유, 지르코늄을 함유한 투명매트유 또는 화장토를 사용할 수 있다.
마. 2차 소성 공정
2차 전사된 피전사체를 1,250∼1,300℃의 온도에서 10∼15 시간 동안 소성한다.
바. 하회 전사 공정
2차 소성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시유된 피전사체의 1차 전사 부위에 하회 전사지를 사용하여 추가 전사를 한다.
이때, 하회 전사지는 물에 축여서 전사용 대지를 전사지에서 제거한 전사부(인쇄층과 전사 투명 인쇄층 포함)를 바인더를 사용하여 피전사체에 부착한다.
그리고, 바인더는 상업적으로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CMC), 네오폴, 석유, 키실렌 및 물로 이루어지는 전사용 접착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전사부의 손상없이 피전사체의 기면에 부착할 수 있으면서 소성 후에는 이물질이 남지 않는 바인더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사. 상회 전사 공정
2차 소성된 피전사체의 2차 전사 부위에 통상의 상회 전사지를 사용하여 상회 인쇄층(41) 전사한다.
아. 상회 소성 공정
상기 전사된 피전사체를 800∼850℃에서 2∼3 시간 동안 소성한다.
도 4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도자기 입체전사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전사지 제조
본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은 재료를 준비하여 전사지를 제조하였다.
재료: 1. 전사용 대지[(주)삼미, 한국]
2. 안료(Johnson Matthey 사, 영국)
가. 창호 전사지
① 잎
진녹: 14K 985, 14K 001, 연녹 : 14K 1011, 14K 193,
밝은녹색: 14K 1001, 14K 193
② 꽃
적발 : 14P 284, 노랑 : 14P 8002, 14P 185
진한 핑크, 연한 핑크, 밝은 핑크 : 14P 8001, 14P 8009
나. 상회 전사지
① 노랑나비 : 93H 1001 ② 청나비 : 93L 1001
③ 적나비 : 93M 1001 ④ 검정선 : 93E 1000
3. 유약
투명유(한빛 세라믹, 한국)
4. 메디움
수성 메디움((물엿, 백급 및 흑설탕에 물을 혼합하여 자체 제조함)
유성 메디움 : 63/8634(Johnson Matthey사)
5. 수성 잉크
상기 안료와 유약 및 수성메디움을 1: 1: 1.2으로 혼합
6. 유성 잉크
상기 안료와 유성 메디움을 1:0.6으로 혼합
상기 재료를 가지고, 본 발명에 따라 스크린 인쇄 방법을 사용하여 창호 전사지(9 도수)와 상회 전사지(4 도수)를 제조하였다(중간의 전사 투명 유약층을 도수에 포함).
그리고 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5에 한 장의 창호 전사지에서 전사된 전사 부분(①, ②)과 상회 전사지에서 전사된 전사 부분(③) 및 이들 전사지의 의해 완성된 그림(a)을 나타내었다. 이때, 창호 전사지는 인쇄되는 방향의 반대로 찍혀 나타나나, 편리 상 정방향으로 도시하였고, 인쇄층(21)과 전사 투명 유약층(22)을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먼저, 도토(陶土)를 반죽하고, 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成形)하여 건조한 다음, 상기 건조한 피전사체를 스펀지와 물로 다듬어 정형하고, 750∼800℃의 온도에서 4∼5 시간 동안 초벌구이를 하였다.
그리고, 상기 초벌구이한 피전사체의 기면에, 상기 실시예 1의 창호 전사지를 물에 축인 후에 부착시키고 이를 부드럽게 눌러주거나 두둘겨서 창호지를 분리하여 전사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창호 전사지로 전사된 피전사체를 유약액에 담구어 균일하게 유약을 바르고 이를 건조한 후, 1,250∼1,300℃의 온도에서 10∼15 시간 동안 재벌구이를 하였다.
그리고, 상기 재벌구이한 피전사체의 기면에 상기 실시예 1의 유약으로 제조한 상회 전사지를 물에 축여 전사용 대지를 제거하고 이를 부착한 다음, 800∼850℃의 온도에서 2∼3 시간 동안 소성하는 상회 소성하여, 본 발명의 입체 도자기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입체전사기법에 따라 제조된 입체 도자기의 형태는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6에 간략하게 단면도로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사 투명 유약층이 포함된 창호 전사지와 하회 전사지를 개발하여 종래 도자기 전사기법의 평면적인 디자인에서 벗어나, 공간감과 거리감을 나타낼 수 있는 3차원적인 입체전사기법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입체전사기법을 수행함에 있어 종래 전사기법과 비 교하여 추가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종전과 생산 비용이 거의 동일한 고부가가치의 도자기 생산으로 경제적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전술한 개시에 대해서 일정 범위의 수정, 변화 및 치환이 가능하며, 어떤 경우에는 본 발명의 특징 중 일부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이 넓게 또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 부합되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a) 도토(陶土)를 반죽하고, 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成形)하여 건조하는 피전사체 제조단계;
    (b) 상기 (a) 피전사체를 스펀지와 물로 다듬어 정형하고, 750∼800℃의 온도에서 4∼5 시간 동안 소성하는 1차 소성 단계;
    (c) 상기 (b) 피전사체의 기면에, 전사 투명 유약층, 인쇄층 및 창호지를 포함하는 창호 전사지를 물에 축인 후에 부착시키고 이를 부드럽게 눌러주거나 두둘겨서 창호지를 분리하여 전사하되, 인쇄층은 피전사체의 기면 상에 반대로 찍혀 나오게 하고 인쇄층 상에 전사 투명 유약층이 적층되어 전사되는 창호 전사 단계;
    (d) 상기 (c) 피전사체를 유약액에 담구어 균일하게 유약을 바르고, 이를 건조하는 시유(施釉) 단계;
    (e) 상기 (d) 피전사체를 1,250∼1,300℃의 온도에서 10∼15 시간 동안 소성하는 2차 소성 단계;
    (f) 상기 (e) 피전사체의 1차 전사 부위에 물을 사용하여 상회 전사지를 전사하는 상회 전사 단계; 및
    (g) 상기 (f) 피전사체를 800∼850℃의 온도에서 2∼3 시간 동안 소성하는 상회 소성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2. (a) 도토(陶土)를 반죽하고, 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成形)하여 건조하는 피전사체 제조단계;
    (b) 상기 (a) 피전사체를 스펀지와 물로 다듬어 정형하고, 750∼800℃의 온도에서 4∼5 시간 동안 소성하는 1차 소성 단계;
    (c) 상기 (b) 피전사체의 기면에, 전사 투명 유약층, 인쇄층 및 창호지를 포함하는 창호 전사지를 물에 축인 후에 부착시키고 이를 부드럽게 눌러주거나 두둘겨서 창호지를 분리하여 전사하되, 인쇄층은 피전사체의 기면 상에 반대로 찍혀 나오게 하고 인쇄층 상에 전사 투명 유약층이 적층되어 전사되는 창호 전사 단계;
    (d) 상기 (c) 피전사체를 유약액에 담구어 균일하게 유약을 바르고, 이를 건조하는 시유(施釉) 단계;
    (e) 상기 (d) 피전사체의 1차 전사 부위에 전사 투명 유약층 및 인쇄층을 포함하는 하회 전사지를 바인더로 부착하여 전사하되, 인쇄층 상에 전사 투명 유약층이 적층되어 전사되는 하회 전사 단계; 및
    (f) 상기 (e) 피전사체를 1,250∼1,300℃의 온도에서 10∼15 시간 동안 소성하는 2차 소성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및 (g) 단계를 적어도 1회 반복하여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4. 제 2 항에 있어서,
    (g) 상기 (f) 피전사체의 하회 전사 부위에 물을 사용하여 상회 전사지를 전사하는 상회 전사 단계; 및
    (h) 상기 (g) 피전사체를 800∼850℃의 온도에서 2∼3 시간 동안 소성하는 상회 소성단계;
    를 적어도 1회 반복하여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전사지는
    일정크기의 전사용 대지;
    상기 대지의 일면 테두리에 형성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접착된 창호지층;
    상기 창호지층에 투명 유약 분말과 수성 잉크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전사 투명 유약층; 및
    상기 전사 유약층과 스크린 망의 핀트를 맞추고, 수성 잉크로 다도수의 문양을 스크린 인쇄한 인쇄층;
    을 포함하는 다도수 창호 전사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회 전사지는
    일정 크기의 전사용 대지;
    상기 대지와 스크린 망의 핀트를 맞추고, 유성잉크로 색상과 문양을 스크린 인쇄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에 투명 유약 분말과 유성잉크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전사 투명 유약층;
    을 포함하는 하회 전사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잉크는 창호 전사 안료와 수성 메디움이 중량기준으로 1: 0.4 내지 1:1로 혼합된 수성 잉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잉크는 안료와 유성 메디움이 중량 기준으로 1:0.5 내지 1:1로 혼합된 유성 잉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투명 유약층은 투명 유약 분말과 수성 잉크가 중량 기준으로 1:0.3 내지 1:5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투명 유약층은 굴곡지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잉크는 창호 전사 안료와 수성 메디움이 중량 기준으로 1:0.4 내지 1:1로 혼합된 수성 잉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투명 유약층은 투명 유약 분말과 유성 잉크가 중량 기준으로 10:0.5 내지 10:5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잉크는 안료와 유성 메디움이 중량 기준으로 1:0.5 내지 1:1로 혼합된 유성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투명 유약층에 인쇄층과 전사 투명 유약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개의 전사부가 반복해서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투명 유약층에 인쇄층과 전사 투명 유약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개의 전사부가 반복해서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투명 유약층 상에 박리코팅층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1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기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KR1020060022075A 2006-03-09 2006-03-09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KR100756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075A KR100756492B1 (ko) 2006-03-09 2006-03-09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075A KR100756492B1 (ko) 2006-03-09 2006-03-09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492B1 true KR100756492B1 (ko) 2007-09-07

Family

ID=3873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075A KR100756492B1 (ko) 2006-03-09 2006-03-09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137B1 (ko) * 2014-12-31 2016-06-0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한지 질감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CN111254751A (zh) * 2020-02-24 2020-06-09 惠达卫浴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水转印商标纸及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38A (ko) * 1999-08-14 1999-12-06 박계춘 하회용 입체형 전사지 제작 기술
KR200289244Y1 (ko) * 2002-06-26 2002-09-16 이흥주 엠보싱 구조를 갖는 요업용 전사지
KR20040027994A (ko) * 2002-09-24 2004-04-03 (주)베스트룸 도자기 문양 전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838A (ko) * 1999-08-14 1999-12-06 박계춘 하회용 입체형 전사지 제작 기술
KR200289244Y1 (ko) * 2002-06-26 2002-09-16 이흥주 엠보싱 구조를 갖는 요업용 전사지
KR20040027994A (ko) * 2002-09-24 2004-04-03 (주)베스트룸 도자기 문양 전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137B1 (ko) * 2014-12-31 2016-06-0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한지 질감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CN111254751A (zh) * 2020-02-24 2020-06-09 惠达卫浴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水转印商标纸及制作方法
CN111254751B (zh) * 2020-02-24 2024-04-02 惠达卫浴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水转印商标纸及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4258A1 (en) Semi-transparent ceramic sheet decorated with ink light-absorban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2653476B (zh) 一种具有立体层次感的抛釉陶瓷砖及其制备方法
JP5172917B2 (ja) 透かし模様を有する貴金属装飾品の製造方法及び透かし模様を有する貴金属装飾品
CN106116696B (zh) 一种立体面釉的制备方法
CN103880474A (zh) 一种表面如墙纸、树皮等状并具有凹凸效果的釉面砖及制备方法
DE202017006418U1 (de) Gegenstand aus Glas, insbesondere Glaskeramik
CN105819690A (zh) 一种釉中珐琅彩瓷器的制备方法
KR100756492B1 (ko) 도자기 입체전사기법
CN109574632A (zh) 一种替代模花制作表面凹凸效果的多色瓷质砖及制造方法
WO2000061521A1 (de) Glanzedelmetallpräparat
CN108674071B (zh) 一种浮雕珐琅板及其加工方法
JP5374212B2 (ja) 窯変調転写紙および窯変調模様を有する陶磁器
CN202543089U (zh) 一种具有立体层次感的抛釉陶瓷砖
JP5474693B2 (ja) 白磁用鉄結晶窯変調転写紙、鉄結晶窯変調模様を有する陶磁器の製造方法、および鉄結晶窯変調模様を有する陶磁器
JP2007119807A (ja) 貴金属ペースト、装飾品の製造方法、及び耐熱性製品の製造方法
CN102161598A (zh) 一种仿印度红石头凹凸网纹陶瓷的制造方法
DE19617147C2 (de) Beschichtungspräparat und Verfahren zum Beschichten
CN102161597A (zh) 一种仿印度红石纹陶瓷的制造方法
CN101973786A (zh) 一种在陶瓷盘类制品上形成凸点状艺术图案的制作方法
CN1775709A (zh) 一种低温釉下蓝彩陈设艺术陶器及其制作方法
CN111675936A (zh) 一种陶瓷立体花纸及其制备方法及应用
KR101941747B1 (ko) 세라믹 코팅용 전사지, 이를 사용한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JP6200191B2 (ja) 厚盛加飾陶磁器の製造方法。
CN111469588B (zh) 一种霓金彩黄金箔贴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S623911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