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522B1 -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 Google Patents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522B1
KR100755522B1 KR1020060011090A KR20060011090A KR100755522B1 KR 100755522 B1 KR100755522 B1 KR 100755522B1 KR 1020060011090 A KR1020060011090 A KR 1020060011090A KR 20060011090 A KR20060011090 A KR 20060011090A KR 100755522 B1 KR100755522 B1 KR 10075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eat rod
insulator
assembly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039A (ko
Inventor
이승구
Original Assignee
이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구 filed Critical 이승구
Priority to KR102006001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522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the cooling liquid of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n electric he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24H9/1872PT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05B3/5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heating conductor arranged in metal tubes, the radiating surface having heat-conducting 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28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Heaters using heating elements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측 히트 로드와 하측 히트 로드의 결합체에 PTC 소자와 (+)단자가 조립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결합체와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기다랗고 얇은 판 모양으로 형성된 (+)단자(130)의 상면과 하면에는 기다란 커버 인슐레이터(160)와 하부 인슐레이터(170)가 각각 별도로 결합되어 있되, 상기 (+)단자(13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 측부홈(1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에는, 상기 제1 측부홈(135)에 결합하기 위해 위쪽으로 돌출된 돌기(1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방향의 돌기(171)와 돌기(171) 사이에는 절연판 결합용 구멍(17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160)에는,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의 돌기(171)에 끼워지기 위한 제2 측부홈(1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방향의 제2 측부홈(165)들 사이에는 PTC소자 결합용 구멍(16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171)와 제2 측부홈(165)은 후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를 특징으로 하므로,
(+)단자, 커버 인슐레이터 및 하부 인슐레이터가 각각 프레스 성형 및 일반 사출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되고 간단히 조립되기 때문에, 종래 인서트 사출에 따른 제품의 불량(치수 및 각도)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인슐레이터의 제조가 일반 사출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절감되며, 히트 로드 조립체가 굽힘 변형하는 경우에도 후크 결합에 의해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차량, 프리히터, 히트로드, 단자, 인슐레이터, 사출

Description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Heat Rod Assembly and Pre-Heater for Vehicles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프리히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히트로드 조립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횡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4b에서 (+)단자와 인슐레이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로드 조립체의 (+)단자와 인슐레이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에 포함되는 히트로드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에 포함되는 히트로드 조립체를 나 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9에서 A-A단면에서 바라본 히트로드 조립체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9에서 B-B단면에서 바라본 히트로드 조립체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히트로드 조립체
110... 하측 히트로드(heat rod)
160... 커버 인슐레이터(insulator)
165... 제2 측부홈
165a... 제2 테이퍼
165b... 제2 걸림턱
170... 하부 인슐레이터
171... 돌기
171a... 제1 테이퍼
171b... 제1 걸림턱
130... (+)단자
140... PTC 소자
150... 상측 히트로드
180... 절연판
200... 히트 핀 조립체
300... (-)단자
400... 전방 하우징
600,900... 프레임
800... 후방 하우징
1000... 차량용 프리히터
본 발명은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TC소자의 발열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공기를 예열하는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에는, 실내의 난방이나 차량 전면유리의 제습 또는 성에제거를 위해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데워진 냉각수의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난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난방장치는, 엔진이 가동된 후 엔진의 주위를 흐르는 냉각수가 난방기에 유입되는 관계로, 냉각수가 일단 가열되어 실내가 난방되기까지는 장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시동 후 일정 시간 추운 상태로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근래,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리히터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 며,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그 통상적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차량용 프리히터(1000)는, PTC 소자가 포함된 히트 로드 조립체(100)와, 상기 히트 로드 조립체(100)의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배열된 히트 핀 조립체(200)와, 상기 히트 핀 조립체(200)와 나란히 배열된 (-)단자(300)와, 상기 히트 로드 조립체(100), 히트 핀 조립체(200), 및 (-)단자(300)의 결합체 양 측단부(側端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600)(900)과, 상기 히트 로드 조립체(100), 히트 핀 조립체(200), (-)단자(300), 및 프레임(600)(900)의 결합체를 양 종단부(縱端部)에서 서로 결합하는 하우징(400)(8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96598호(출원인: 우리산업)에 개시된 내용으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를 이용하는 프리히터(1000)에서 히트 로드 조립체(1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먼저, 하측 히트 로드(110)는 채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종의 수용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히트 로드(110)의 바닥부에는 인슐레이터(120)가 배치되어 있어 쇼트를 방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120)는 NYLON 소재등 비전도체 성질과 열전도율이 좋은 성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120) 위에는 길이방향으로 탄소강 등으로 이루어진 (+)단자(130)가 고정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슐레이터(120)의 바닥에는 비교적 얇은 (+)단자(130)가 수용되는 홈(1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PTC 소자(140)는, 상기 (+)단자를 개재(介在)하여 상기 인슐레이터(120) 상에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슐레이터(120)의 바닥 홈(125)의 측부에 계단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측 히트 로드(110)의 개방부는 상측 히트 로드(150)에 의해 폐쇄된다. 이를 위해, 하측 히트 로드(110)의 플랜지 상단 내면에 턱을 형성하고, 이 턱에 상측 히트 로드(150)를 얹은 상태에서 플랜지 상단을 스웨이징(swaging)하여 절곡되어져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프리히터에서는 히트 로드 조립체(100)의 단부가 절연처리되어 있지 않아, 단부로부터 연장된 (+)단자(130)가 상측 히트 로드(150)나 하측 히트 로드(110)에 바로 접촉하여 쇼트가 발생될 우려가 높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히트 로드 조립체에 관한 다른 예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96604호(출원인: 우리산업)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4를 참조하여 그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로드 조립체(100)는 채널형의 하측 히트 로드(110), PTC 소자(140), (+)단자(130), 절연판(180), 인슐레이터(120) 및 상측 히트 로드(15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하측 히트 로드(110)는 채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종의 수용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히트 로드(110)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형성한 채 복수개의 PTC 소자(140)가 접촉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PTC 소자(140) 위에는 (+)단자(130)가 접촉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130)는 탄소강 등의 강도가 있는 합금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130) 위에는 절연판(180)이 접촉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판(180)은 상기 PTC 소자(140)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TC 소자(140), (+)단자(130) 및 절연판(180)의 조립체와 하측 히트 로드(110)의 내측면 사이에는 인슐레이터(120)가 개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인슐레이터(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PTC 소자(140)들과 절연판(180)들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가로분리대(12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120)의 가로분리대(128a)에 의해 일체형의 (+)단자(130)와 PTC 소자(140) 및 절연판(180)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접촉하는 동시에, 이웃하는 PTC 소자(140)와 절연판(180)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120)와 절연판(180)은 NYLON 소재등 비전도체 성질과 열전도율이 좋은 성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120)와 (+)단자(130)의 결합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자(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인슐레이터(120)에 의해 일체로 사출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단자(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인서트 사출되어 인슐레이터(120)의 가로분리대(128a)가 형성되며, 이때 (+)단자(130)에 형성된 결 합구멍(138)을 통해 사출물이 (+)단자(130)의 양면과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상측 히트 로드(150)는 상기 절연판(180)과 접촉하면서 하측 히트 로드(110)의 개방부를 덮는다. 이는, 하측 히트 로드(110)의 플랜지 상단 내면에 턱을 형성하고, 이 턱에 상측 히트 로드(150)를 얹은 상태에서 플랜지 상단을 스웨이징(swaging)하여 절곡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단자(130)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인슐레이터(12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히트로드 조립체가 콤팩트해지고 조립이 용이한 장점은 있다.
그러나, (+)단자(13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하는 도중에 양자간의 어긋남으로 인해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 제작에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품원가가 높아지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일반사출 및 조립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인슐레이터와 커버 인슐레이터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를 제 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의 히트 로드 조립체는,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측 히트 로드와 하측 히트 로드의 결합체에 PTC 소자와 (+)단자가 조립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결합체와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기다랗고 얇은 판 모양으로 형성된 (+)단자의 상면과 하면에는 기다란 커버 인슐레이터와 하부 인슐레이터가 각각 별도로 결합되어 있되,
상기 (+)단자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 측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제1 측부홈에 결합하기 위해 위쪽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방향의 돌기와 돌기 사이에는 PTC소자 결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의 돌기에 끼워지기 위한 제2 측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방향의 제2 측부홈들 사이에는 절연판 결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의 돌기 안쪽 측면 상단에는 중앙으로 경사진 제1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테이퍼의 아래쪽에는 (+)단자와의 사이에 제1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의 제2 측부홈의 안쪽 측면 하단에는 중앙으로 경사진 제2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테이퍼의 위쪽에는 상기 제1 걸림턱과 결합하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테이퍼와 제1 걸림턱, 그리고 제2 테이퍼와 제2 걸림턱은 각각 복수개씩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는 상부 중도부와 그 양단의 상부 선단확대부 및 상부 후단확대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는,하부 중도부와 그 양단의 하부 선단확대부 및 하부 후단확대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선단확대부 및 상부 후단확대부와, 상기 하부 선단확대부 및 하부 후단확대부에는 서로 끼워지는 돌기와 홈이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제3 측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중도부와 하부 중도부는 상기 상측 히트 로드와 하측 히트 로드의 결합체에 의해 감싸져 있고, 확대부는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의 히트 로드 조립체는,
PTC소자를 지나가는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측 히트 로드와 하측 히트 로 드의 결합체에 PTC 소자와 (+)단자가 조립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결합체와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하측 히트 로드 바닥면에는 PTC 소자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PTC 소자 위에는 (+)단자가 접촉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 위에는 절연판이 접촉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와 인슐레이터는 전술한 조립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는,
히트 로드 조립체와; 상기 히트 로드 조립체의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배열된 히트 핀 조립체와; 상기 히트 핀 조립체와 나란히 배열된 (-)단자와; 상기 히트 로드 조립체, 히트 핀 조립체, 및 (-)단자의 결합체 양 측단부(側端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히트 로드 조립체, 히트 핀 조립체, (-)단자, 및 프레임의 결합체를 양 종단부(縱端部)에서 서로 결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히트 로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전술 한 종래기술(도 1과 도 2)과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1000)는, PTC 소자가 포함된 히트 로드 조립체(100)와, 상기 히트 로드 조립체(100)의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배열된 히트 핀 조립체(200)와, 상기 히트 핀 조립체(200)와 나란히 배열된 (-)단자(300)와, 상기 히트 로드 조립체(100), 히트 핀 조립체(200), 및 (-)단자(300)의 결합체 양 측단부(側端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600)(900)과, 상기 히트 로드 조립체(100), 히트 핀 조립체(200), (-)단자(300), 및 프레임(600)(900)의 결합체를 양 종단부(縱端部)에서 서로 결합하는 하우징(400)(8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차량용 프리히터의 히트 로드 조립체(100)에 관해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히트 로드 조립체(100)는, 하측 히트 로드(110), 절연판(180), (+)단자(130), PTC 소자(140), 인슐레이터(120) 및 상측 히트 로드(150)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프리히터의 히트 로드 조립체는, PTC소자를 지나가는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하측 히트 로드(110) 바닥면에는 절연판(18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절연판(180) 위에는 (+)단자(130)가 접촉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130) 위에는 PTC 소자(140)가 접촉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130)와 인슐레이터(160)(170)가 별도로 조립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단자(130)는 하측 히트 로드(110) 및 채널형 의 상측 히트 로드(150)의 결합체와 서로 이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7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130)는 기다랗고 얇은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상면과 하면에는 기다란 커버 인슐레이터(160)와 하부 인슐레이터(170)가 각각 별도로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160)와 하부 인슐레이터(170)는 일반 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단자(130)는 프레스 커팅작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130), 커버 인슐레이터(160) 및 하부 인슐레이터(170)는 손으로 끼워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다랗고 얇은 판으로 된 상기 (+)단자(13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 측부홈(1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에는 상기 제1 측부홈(135)와 결합하기 위해 위쪽으로 돌출된 돌기(17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형성된 돌기(171)와 돌기(171) 사이에는 절연판 결합용 구멍(17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160)에는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의 돌기(171)에 끼워지기 위한 제2 측부홈(16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길이방향의 제2 측부홈(165)들 사이에는 PTC소자 결합용 구멍(167)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의 돌기(171)는 상기 제1 측부홈(135)과 제2 측부홈(165)에 동시에 끼워져서 견고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의 돌기(171)와 커버 인슐레이터(160)의 제 2 측부홈(165)은 후크(hook) 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의 돌기(171) 안쪽 측면 상단에는 중앙으로 경사진 제1 테이퍼(17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테이퍼(171a)의 아래쪽에는 (+)단자(130)와의 사이에 제1 걸림턱(17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160)의 제2 측부홈(165)의 안쪽 측면 하단에는 중앙으로 경사진 제2 테이퍼(16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테이퍼(165a)의 위쪽에는 제2 걸림턱(165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걸림턱(165b)은 제1 걸림턱(171b)과 결합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후크 형상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실제,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160)를 하부 인슐레이터(170)에 결합시킬 경우에는, 커버 인슐레이터(160)를 하부 인슐레이터(170)에 포개놓은 상태에서 그대로 원터치식으로 누름으로써 매우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테이퍼(171a)와 제1 걸림턱(171b), 그리고 제2 테이퍼(165a)와 제2 걸림턱(165b)은 각각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믈론 각각의 테이퍼와 걸림턱들은 서로 정확히 결합될 필요가 있다.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160)를 하부 인슐레이터(170)에 결합시키는 동작에서 연속적인 걸림음이 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160)는 상부 중도부(162)와 그 양단의 상부 선단확대부(164) 및 상부 후단확대부(16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는,하부 중도부(172)와 그 양단의 하부 선단확대부(174) 및 하부 후단확대부 (176)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선단확대부(164) 및 상부 후단확대부(166)와, 상기 하부 선단확대부(174) 및 하부 후단확대부(176)에는 서로 끼워지는 돌기와 홈이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130)에는 상기 하부 선단확대부(174)의 돌기가 끼워지는 제3 측부홈(138)이 형성되어 있어서, 커버 인슐레이터(160)와 하부 인슐레이터(170)는 그 양단에서도 서로 콤팩트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상부 선단확대부(164)와 상부 후단확대부(166)에 홈(164a)(166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하부 선단확대부(174) 및 하부 후단확대부(176)에는 돌기(174a)(176a)가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 상기 상측 히트 로드(150)와 하측 히트 로드(110)의 결합체가 상기 상부 중도부(162)와 하부 중도부(172)를 감싸도록 하는 동시에 확대부(164)(166)(174)(176)는 노출되어 있도록 하면, 구조적 결합 강도가 크고 변형으로 인한 쇼트 현상이 없는 히트로드 조립체(100)가 얻어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 커버 인슐레이터 및 하부 인슐레이터가 각각 프레스 성형 및 일반 사출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되고 간단히 조립되기 때문에, 종래 인서트 사출에 따른 제품의 불량(치수 및 각도)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의 제조가 일반 사출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하부 인슐레이터의 돌기와 커버 인슐레이터의 제2 측부홈이 후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히트 로드 조립체가 굽힘 변형하는 경우에도 서로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하부 인슐레이터의 제1 테이퍼 및 제1 걸림턱, 그리고 커버 인슐레이터의 제2 테이퍼 및 제2 걸림턱이 각각 복수개씩 형성되어 결합되어 보다 견고한 걸림결합을 구성할 수 있다.

Claims (7)

  1.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측 히트 로드와 하측 히트 로드의 결합체에 PTC 소자와 (+)단자가 조립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결합체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차량용 프리히터의 히트 로드 조립체에 있어서,
    기다랗고 얇은 판 모양으로 형성된 (+)단자(130)의 상면과 하면에는 기다란 커버 인슐레이터(160)와 하부 인슐레이터(170)가 각각 별도로 결합되어 있되,
    상기 (+)단자(13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 측부홈(1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에는, 상기 제1 측부홈(135)에 결합하기 위해 위쪽으로 돌출된 돌기(1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방향의 돌기(171)와 돌기(171) 사이에는 절연판 결합용 구멍(17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160)에는,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의 돌기(171)에 끼워지기 위한 제2 측부홈(1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방향의 제2 측부홈(165)들 사이에는 PTC소자 결합용 구멍(16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171)와 제2 측부홈(165)은 후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로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의 돌기(171) 안쪽 측면 상단에는 중앙으로 경사 진 제1 테이퍼(17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테이퍼(171a)의 아래쪽에는 (+)단자(130)와의 사이에 제1 걸림턱(17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160)의 제2 측부홈(165)의 안쪽 측면 하단에는 중앙으로 경사진 제2 테이퍼(16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테이퍼(165a)의 위쪽에는 상기 제1 걸림턱(171b)과 결합하는 제2 걸림턱(165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로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제1 테이퍼(171a)와 제1 걸림턱(171b), 그리고 제2 테이퍼(165a)와 제2 걸림턱(165b)은 각각 복수개씩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로드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인슐레이터(160)는 상부 중도부(162)와 그 양단의 상부 선단확대부(164) 및 상부 후단확대부(16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70)는,하부 중도부(172)와 그 양단의 하부 선단확대부(174) 및 하부 후단확대부(17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선단확대부(164) 및 상부 후단확대부(166)와, 상기 하부 선단확대부(174) 및 하부 후단확대부(176)에는 서로 끼워지는 돌기와 홈이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130)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제3 측부홈(138)이 형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로드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중도부(162)와 하부 중도부(172)는 상기 상측 히트 로드(150)와 하측 히트 로드(110)의 결합체에 의해 감싸져 있고, 확대부(164)(166)(174)(176)는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로드 조립체.
  6. PTC소자를 지나가는 횡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측 히트 로드와 하측 히트 로드의 결합체에 PTC 소자와 (+)단자가 조립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결합체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차량용 프리히터의 히트 로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하측 히트 로드(110) 바닥면에는 절연판(18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절연판(180) 위에는 (+)단자(130)가 접촉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130) 위에는 PTC 소자(140)가 접촉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130)와 인슐레이터(120)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로드 조립체.
  7. 히트 로드 조립체(100)와; 상기 히트 로드 조립체(100)의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배열된 히트 핀 조립체(200)와; 상기 히트 핀 조립체(200)와 나란히 배열된 (-)단자(300)와; 상기 히트 로드 조립체(100), 히트 핀 조립체(200), 및 (-)단자 (300)의 결합체 양 측단부(側端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600)(900)과; 상기 히트 로드 조립체(100), 히트 핀 조립체(200), (-)단자(300), 및 프레임(600)(900)의 결합체를 양 종단부(縱端部)에서 서로 결합하는 하우징(400)(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프리히터에 있어서,
    제6항에 기재된 히트 로드 조립체(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KR1020060011090A 2006-02-06 2006-02-06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KR10075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090A KR100755522B1 (ko) 2006-02-06 2006-02-06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090A KR100755522B1 (ko) 2006-02-06 2006-02-06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039A KR20070080039A (ko) 2007-08-09
KR100755522B1 true KR100755522B1 (ko) 2007-09-05

Family

ID=3860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090A KR100755522B1 (ko) 2006-02-06 2006-02-06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031B1 (ko) * 2010-07-27 2013-08-0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고전압 ptc 히터
KR102186982B1 (ko) 2017-08-31 2020-12-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피티씨 히터
KR101992237B1 (ko) * 2017-12-01 2019-06-25 동아하이테크(주) 차량용 피티씨 히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966A (en) 1979-11-17 1982-11-02 Diesel Kiki Co., Ltd. Heate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5060855A (en) 1988-10-31 1991-10-29 Eberspacher Fuel-fired heater for motor vehicles
JPH09226352A (ja) * 1996-02-29 1997-09-02 Denso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US5921467A (en) 1996-08-05 1999-07-13 Larson; David J. Forced air helmet heater and defroster system for sport and utility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966A (en) 1979-11-17 1982-11-02 Diesel Kiki Co., Ltd. Heate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5060855A (en) 1988-10-31 1991-10-29 Eberspacher Fuel-fired heater for motor vehicles
JPH09226352A (ja) * 1996-02-29 1997-09-02 Denso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US5921467A (en) 1996-08-05 1999-07-13 Larson; David J. Forced air helmet heater and defroster system for sport and utility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039A (ko)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598B1 (ko) 히트 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KR100755519B1 (ko)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US7297901B2 (en) PTC element module and pre-heater for vehicles including the same
US8481899B2 (en) PTC rod assembly and preheater incorporating the same
US7378614B2 (en) Heat rod assembly and pre-heater for vehicles including the same
EP2063683A1 (en) Electric heat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070018777A1 (en) PTC rod assembly and pre-heater including the same
US20060273078A1 (en) PTC rod assembly and pre-heater including the same
KR100537748B1 (ko)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KR100628436B1 (ko) 피티씨 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KR100755522B1 (ko)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CN101420798A (zh) 电热装置以及发热单元的制造方法和压力夹具
KR101313895B1 (ko) 자동차용 프리 히터의 히트 로드 구조체
KR100759533B1 (ko) 커버 결합형 차량용 프리히터
KR100892393B1 (ko)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결합형 차량용프리히터
KR100879639B1 (ko) 히트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KR100811293B1 (ko) 커버 결합형 차량용 프리히터
WO2006123915A1 (en) Pre-heater for vehicle
US7977605B2 (en) Heating assembly comprising a PTC elemen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KR100720134B1 (ko) 피티씨 로드 조립체
KR20110048713A (ko) 히트 로드 조립체
KR100496604B1 (ko) 히트 로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KR200409416Y1 (ko) 조립구조가 견고한 차량용 프리히터
KR100926315B1 (ko) 전열히터
KR100926313B1 (ko) 전열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