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500B1 -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500B1
KR100754500B1 KR1020010076854A KR20010076854A KR100754500B1 KR 100754500 B1 KR100754500 B1 KR 100754500B1 KR 1020010076854 A KR1020010076854 A KR 1020010076854A KR 20010076854 A KR20010076854 A KR 20010076854A KR 100754500 B1 KR100754500 B1 KR 100754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rod
hole
steering system
rack ba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646A (ko
Inventor
이기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1007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5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의 충격력이 타이로드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타이로드를 분할 형성하고 그 사이에 완충부재를 개재한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를 제공하는 것이며, 중공의 랙하우징(10) 내부에 삽입되어 양단이 외부로 연장 형성된 랙바(20)와, 상기 랙바(20)의 양단에 연결되어 이와 함께 축방향으로 연동되는 타이로드(30)를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랙바(20)와 연결되도록 상기 타이로드(30)의 일단에 마련된 구동부(60)와, 상기 구동부(60)와 분할 형성되도록 상기 타이로드(30)가 타단에 마련된 종동부(70)와, 상기 구동부(60)와 종동부(70)를 탄력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그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81)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분할 형성, 구동부, 종동부, 고무재, 완충부재, 연결관, 고정핀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TIE ROD OF STEERING SYSTEM FOR VEHICLE}
도 1은 종래 타이로드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로드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로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랙하우징 20:랙바
30:타이로드 40:이너볼조인트
50:아웃터볼조인트 60:구동부
70:종동부 81:완충부재
82:연결관 83:유동공
84:관통공 85:고정공
86:고정핀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로드를 통해 외력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타이로드를 분할 형성하고, 그 사이에 완충부재를 개재한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은 운전석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과, 이 스티어링 휠의 하부에 연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이 스티어링 샤프트의 하단에 교축되도록 설치되어 스티어링 샤프트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운동력을 차량 좌,우측으로의 직선운동력으로 전환시키는 기어박스 등을 구비하여 마련된다.
한편, 기어박스의 외형을 이루는 랙하우징의 내부에는 이의 좌,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스티어링 샤프트와 연결되어 축방향으로 동작되는 랙바가 설치되고, 이 랙바의 양단은 타이로드를 개재하여 차량 양측의 타이어 휠측과 연결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를 보인 설치상태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으로 마련된 랙하우징(1)의 개구된 양단측에는 원봉 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내부에 삽입되는 랙바(2)의 양단이 외부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랙바(2)의 양단에는 타이로드(3)가 설치되는데, 이때 랙바(2)와 타이로드(3)의 서로 마주하는 일단측은 이너볼조인트(4)를 통해 연결되고, 이 타이로드(3)의 타단측에는 차량의 타이어 휠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아웃터볼조인트(5)가 설치된다.
즉, 타이로드(3)는 볼하우징의 내부에서 볼이 삽입되어 구중심으로 일정각도내에서 회전하는 요동운동과 축중심으로 360도 회전하는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볼조인트를 양단에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는, 길게 형성되는 하나의 장봉으로서, 타이어 휠 등을 통해 외부의 충격력이 전달될 때 이를 고스란히 랙바에 전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타이로드는 타이어 휠측에서 랙바측으로 전달 충격력을 저감해주는 별도의 기능을 갖추지 못해 차량의 타이어 휠측에서 충격발생시 이를 전부 운전자측으로 전달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감과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력이 타이로드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타이로드를 분할 형성하고 그 사이에 완충부재를 개재한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는, 중공의 랙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양단이 외부로 연장 형성된 랙바와, 상기 랙바의 양단에 연결되어 이와 함께 축방향으로 연동되는 타이로드를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랙바와 연결되도록 상기 타이로드의 일단에 마련 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분할 형성되도록 상기 타이로드가 타단에 마련된 종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종동부를 탄력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그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로드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으로 마련된 랙하우징(10)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랙바(20)가 설치된다.
이때, 랙하우징(10)의 양단 외측으로 연장되는 랙바(20)의 양단에는 한 쌍의 타이로드(30)가 연결 설치되는데, 이 타이로드(30)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봉으로서 일단에는 랙바(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이너볼조인트(40)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차량의 타이어 휠측과 연결되도록 아웃터볼조인트(50)가 설치된다.
즉, 볼조인트는 일측에 볼하우징이 마련되고 타측에 볼이 마련되어 볼하우징의 내부에 볼을 삽입하여 이들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볼하우징의 내부에서 볼이 삽입되어 구중심으로 일정각도내에서 회전하는 요동운동과 축중심으로 360도 회전하는 회전 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외부의 충격력이 운전자측으로 전달되는 역입력을 저감시켜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감과 제품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타이로드(30)를 양측으로 분할 형성하고, 그 사이에는 이들을 탄력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완충부재(81)를 개재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로드(30)는 축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이너볼조인트(40)측의 구동부(60)와 아웃터볼조인트(50)측의 종동부(70)로 분할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완충부재(81)가 설치된다.
이 완충부재(81)는 완충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자체적인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로 형성되며, 구동부(60)와 종동부(70) 사이에 설치되어 그 사이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는데, 그 외측으로는 반경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해줄 수 있도록 연결관(82)이 마련된다.
먼저, 완충부재(81)는 종동부(70)와 마주하는 구동부(60)의 선단 및 그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축방향 일측이 개구된 중공관의 형태로 마련되어 이에 압착 결합되는 것으로서,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는 접착제 등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이 완충부재(81)를 보강해줄 수 있도록 그 외부측에 마련되는 연결관(82)은 완충부재(81)와는 반대로 구동부(60)측이 개구된 중공관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개구된 반대측 중심은 종동부(70)와 용접 등으로 연결되는데,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종동부(70)와 일체로 형성할 수 도 있다.
아울러, 완충부재(81)의 외부면은 연결관(82)의 내부면과 압착 결합되는데, 이 역시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접착제를 개재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완충부재(81)의 재질상의 탄성한도 내에서 구동부(60)와 종동부(70) 사이의 축방향 및 회전방향으로의 탄력적인 연결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명칭과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81)를 축방향으로 보강해줄 수 있도록 연결관(82)과 완충부재(81)와 구동부(60)를 관통하는 고정핀(86)이 더 설치된다.
즉, 고정핀(86)은 구동부(60)와 연결관(82)과 종동부(70)의 결합을 견고히 함과 동시에 연결관(82)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동부(60)와 완충부재(81)의 이동 제한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결관(82)의 외주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되되 고정핀(86)의 지름에 비해 큰 지름을 가지는 유동공(83)이 형성되고, 이의 내부측에 마련된 완충부재(81)의 외주에는 유동공(83)과 연통되되 이보다 작은 지름의 관통공(84)이 형성되며, 구동부(60)에는 관통공(84)과 같은 지름으로 형성되는 고정공(85)이 마련된다.
이로써, 고정핀(86)은 관통공(84)과 고정공(85)의 내부에 삽입되되 그 양단이 유동공(83)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이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유동되고, 이로 인해 구동부(60)와 완충부재(81)가 연결관(82)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그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는, 분할 형성된 타이로드(30)의 종동부(70)에 연결관(82)을 고정 설치하고, 이 연결관(82)의 내부에 완충부재(81)를 개재하여 구동부(60)를 삽입 설치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동공(83)과 관통공(84)과 고정공(85)을 서로 연통시킨 상태에서 관통공(84)과 고정공(85)의 내부에 고정핀(86)을 삽입 설치하고 그 양단이 유동공(83)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완충부재(81)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 강성을 높이게 된다.
이로써, 구동부(60)와 종동부(70)로 분할 형성된 타이로드(30)는 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82) 및 완충부재(81)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서로 연동되고, 종동부(70)측에서 구동부(60)측으로 충격력이 전달될 시에는 연결관(82)의 내부에 마련된 완충부재(81)로 인해 완충력이 발생되어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즉, 완충부재(81)에 의해 구동부(60)와 종동부(70)가 사이를 통해 운전자측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이 완화되어 운전자의 조향감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 타이로드는, 타이로드를 양측으로 분할 형성하고 그 사이에 완충부재를 개재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감과 제품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삭제
  2. 중공의 랙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양단이 외부로 연장 형성된 랙바와, 상기 랙바의 양단에 연결되어 이와 함께 축방향으로 연동되는 타이로드를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랙바(20)와 연결되도록 상기 타이로드(30)의 일단에 마련된 구동부(60)와, 상기 구동부(60)와 분할 형성되도록 상기 타이로드(30)가 타단에 마련된 종동부(70)와, 상기 구동부(60)와 종동부(70)를 탄력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그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81)가 구비되되,
    상기 완충부재(81)는 상기 구동부(60)의 외부를 감싸 결합되도록 중공의 고무재로 마련되고, 상기 종동부(70)에는 상기 완충부재(81)의 외부를 감싸 결합되도록 연결관(82)이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82)의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유동공(83)과, 상기 유동공(83)과 연통되도록 이보다 작은 지름으로 상기 완충부재(81)의 외주에 형성된 관통공(84)과, 상기 관통공(84)과 연통되도록 이와 같은 지름으로 상기 구동부(60)에 형성된 고정공(85)과, 상기 고정공(85) 및 관통공(84)에 삽입 고정되되 양단은 상기 유동공(83)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설치된 고정핀(8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KR1020010076854A 2001-12-06 2001-12-06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KR100754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854A KR100754500B1 (ko) 2001-12-06 2001-12-06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854A KR100754500B1 (ko) 2001-12-06 2001-12-06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646A KR20030046646A (ko) 2003-06-18
KR100754500B1 true KR100754500B1 (ko) 2007-09-03

Family

ID=2957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854A KR100754500B1 (ko) 2001-12-06 2001-12-06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421B1 (ko) * 2021-07-20 2023-03-14 대성코리아(주) 차량용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562A (ja) * 1998-06-29 2000-01-14 Koyo Seiko Co Ltd 複列転がり軸受の予圧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562A (ja) * 1998-06-29 2000-01-14 Koyo Seiko Co Ltd 複列転がり軸受の予圧測定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9562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646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500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KR101864287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장치
GB2302389A (en) A resilient Cardan joint for steering columns
KR100746692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KR100764138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KR101315590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조향장치
US20170276231A1 (en) Dust cover, steering device, and damper
KR19980052401U (ko) 충격흡수식 유니버설 조인트
KR20060101983A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US20080309041A1 (en) Steering damper for solid axle steering system
KR101135820B1 (ko) 조향장치의 유니버설 조인트
KR101214269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슬립 조인트
KR20070024265A (ko) 완충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타이 로드
KR100302443B1 (ko) 자동차의스티어링기어박스장착용부시
CN100451370C (zh) 车辆转向装置
KR100412858B1 (ko) 현가장치의 어퍼암
CN214875114U (zh) 转向拉杆、转向横拉杆总成、转向系统和车辆
CN220785886U (zh) 转向中间轴减震装配结构
CN216943251U (zh) 用于车辆转向系统的转向中间轴装置
KR100746712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JP2004345483A (ja) ステアリングギアボックス
KR100456539B1 (ko) 유니버설 조인트 연결장치
KR20070030526A (ko) 자동차의 유압 파워 스티어링장치
CN113775663A (zh) 转向轴的减震联轴器、转向系统和车辆
KR19980043509U (ko) 자동차의 추진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