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509U - 자동차의 추진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추진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509U
KR19980043509U KR2019960056625U KR19960056625U KR19980043509U KR 19980043509 U KR19980043509 U KR 19980043509U KR 2019960056625 U KR2019960056625 U KR 2019960056625U KR 19960056625 U KR19960056625 U KR 19960056625U KR 19980043509 U KR19980043509 U KR 199800435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member
shaft
shock
divided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희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6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3509U/ko
Publication of KR19980043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50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추진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양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가 결합된 일자형의 중공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구조에서, 상기 일자형 중공축을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일측단부를 확개하여 확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확관부의 내측에 충격을 흡수하는 원통형의 충격흡수부재를 삽입하며, 분할된 타측단부의 직경을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내경과 상응하게 축소시킨 축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확관부에 삽입된 충격흡수부재에 축관부를 결합하여 이루어져, 축방향으로 충격이 작용할 경우 축관부가 확관부내에 밀려 들어가게 됨과 더불어 충격흡수부재에 의해 충격력이 완화 또는 흡수되며, 또한 비틀림 진동이나 굽힘 진동이 작용할 경우에도 충격흡수부재에 의해 흡수되어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추진축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추진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틀림 진동이나 굽힘 진동 또는 축방향 충격 등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이에 대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추진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의 동력이 변속기를 거쳐 추진축에 의해 구동바퀴에 전달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변속기는 클러치와 함께 프레임에 장치되어 있으며, 구동바퀴는 섀시스프링을 통하여 차체에 장치되어 있으므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나 적하의 변화에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그 때문에 엔진의 동력을 지장없이 구동바퀴에 전달하기 위해서 추진축의 양 끈에 유니버셜 조인트가 설치된다.
상기 추진축은 끊임없이 변동하는 엔진의 토크를 받으면서 고속회전을 하므로 비틀림 진동을 받게 되며, 또한 노면이 불규칙하고 적하하중의 변화에 따라 굽힘진동을 받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추진축을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추진축은 양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J)가 결합되는 일자형 중공축(1)으로 스틸로 형성되어 있어 비틀림 진동이나 굽힙 진동 또는 축방향 충격 등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외력 대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진동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축을 변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틀림 진동이나 굽힙 진동 또는 축방향 충격 등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이에 대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추진축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추진축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자동차 추진축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자동차 추진축구조의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공축1a : 확관부
1b : 축관부2 : 충격흡수부재
J : 유니버셜 조인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가 결합된 일자형의 중공축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추진축구조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중공축을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일측단부를 확개하여 확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확관부의 내측에 충격을 흡수하는 원통형의 충격흡수부재를 삽입하며, 분할된 타측단부의 직경을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내경과 상응하게 축소시킨 축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충격흡수부재에 축관부를 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추진축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고무재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추진축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자동차 추진축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자동차 추진축구조는, 도 2a,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J)가 결합된 일자형의 중공축(1)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추진축구조에서, 상기 일자형 중공축(1)을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일측단부를 확개하여 확관부(1a)를 형성하고, 상기 확관부(1a)의 내측에 충격을 흡수하는 원통형의 충격흡수부재(2)를 삽입하며, 분할된 타측단부의 직경을 상기 충격흡수부재(2)의 내경와 상응하게 축소시킨 축관부(1b)를 형성하여 상기 중공축(1)에 축관부(1b)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확관부(1a)는 일자형의 중공축(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며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확관부(1a)의 단부는 충격흡수부재(2)를 결합시 결합이 수월하도록 확개하여 형성된다.
상기 충격흡수부재(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고무재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외경은 확관부(1a)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축관부(1b)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일자형의 중공축(1) 직경보다 작고 상기 충격흡수부재(2)보다 약간 크게 된다. 또한 축관부(1b)의 단부는 충격흡수부재(2)의 내경에 삽입하기 수월하도록 약간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자동차 추진축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자동차 추진축구조는 확관부(1a), 충격흡수부재(2) 및 축관부(1b)가 커플링의 구조를 취하게 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 충격이 작용할 경우 축관부(1b)가 확관부(1a)내에 밀려 들어가게 됨과 더불어 충격흡수부재(2)에 의해 충격력이 완화 또는 흡수된다. 또한 비틀림 진동이나 굽힘 진동이 작용할 경우에도 충격흡수부재(2)에 의해 흡수되어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추진축구조는 양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가 결합된 일자형의 중공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구조에서, 상기 일자형 중공축을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일측단부를 확개하여 확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확관부의 내측에 충격을 흡수하는 원통형의 충격흡수부재를 삽입하며, 분할된 타측단부의 직경을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내경과 상응하게 축소시킨 축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확관부에 삽입된 충격흡수부재에 축관부를 결합하여 이루어져, 축방향으로 충격이 작용할 경우 축관부가 확관부내에 밀려 들어가게 됨과 더불어 충격흡수부재에 의해 충격력이 완화 또는 흡수되며, 또한 비틀림 진동이나 굽힘 진동이 작용할 경우에도 충격흡수부재에 의해 흡수되어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양단부에 유니버셜 조인트가 결합된 일자형의 중공축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추진축구조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중공축을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일측단부를 확개하여 확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확관부의 내측에 충격을 흡수하는 원통형의 충격흡수부재를 삽입하며, 분할된 타측단부의 직경을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내경과 상응하게 축소시킨 축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충격흡수부재에 축관부를 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추진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고무재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추진축구조.
KR2019960056625U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추진축구조 KR199800435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625U KR19980043509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추진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625U KR19980043509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추진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509U true KR19980043509U (ko) 1998-09-25

Family

ID=5399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625U KR19980043509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추진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350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952B1 (ko) 프로펠러 샤프트
KR19980043509U (ko) 자동차의 추진축구조
GB2302389A (en) A resilient Cardan joint for steering columns
KR100804583B1 (ko) 유니버셜 조인트
KR200456411Y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진 프로펠러 샤프트
KR19980052401U (ko) 충격흡수식 유니버설 조인트
KR100754500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KR910008858Y1 (ko) 진동흡수식 조향축
KR100764138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KR0176359B1 (ko) 자동차의 프로펠러 샤프트
KR200170191Y1 (ko) 추진축의 토션댐퍼 장착구조
KR100302443B1 (ko) 자동차의스티어링기어박스장착용부시
KR960006461Y1 (ko) 자동차의 벨로우즈형 조향축
KR0125966Y1 (ko) 자동차용 유니버셜죠인트의 유격방지 구조
KR100456539B1 (ko) 유니버설 조인트 연결장치
KR100240298B1 (ko) 자동차 추진축의 충격흡수장치
KR200301928Y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KR100836127B1 (ko) 러버커플링의 진동저감구조
KR19990005335U (ko) 자동차 스티어링 장치의 유니버셜 조인트 축 구조
KR100764152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충격전달 방지장치
KR970004596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0380079B1 (ko) 자동차의 프로펠러 샤프트
KR20030046645A (ko)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KR0181542B1 (ko) 전기자동차의 진동방지용 조향 칼럼
KR20010088183A (ko) 차량 조향장치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