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053B1 - 식물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053B1
KR100754053B1 KR1020047002951A KR20047002951A KR100754053B1 KR 100754053 B1 KR100754053 B1 KR 100754053B1 KR 1020047002951 A KR1020047002951 A KR 1020047002951A KR 20047002951 A KR20047002951 A KR 20047002951A KR 100754053 B1 KR100754053 B1 KR 100754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resistance
plant disease
composition according
plant
induc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095A (ko
Inventor
켄지 우메무라
히데키 우사미
요시히사 토모다
시게키 타니노
Original Assignee
메이지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지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메이지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9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wherein m+n>=1, both X together may also mean —Y— or a direct carbon-to-carbon bond, and the carbon atoms marked with an asterisk are not part of any ring system other than that which may be formed by the atoms X, the carbon atoms in square brackets being part of any acyclic or cyclic structure, or the group, wherein A means a carbon atom or Y, n>=0, and not more than one of these carbon atoms being a member of the same ring system, e.g. juvenile insect hormones or mimic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34Aspergill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36Penicilli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서, 사상균 유래의 글리코스핑고리피드를 함유하는 식물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라서, 사상균 유래의 글리코스핑고리피드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의하여 표적식물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식물병해의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Compositions inducing plant disease-resistan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상균의 균사 또는 자실체를 원료로서, 친환경적이고, 또한 사용자 및 소비자에 있어서 안전한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의 주요한 병해 방제방법으로서는 살균제 및 침입저해제 등의 화학농약을 이용하는 방법, 길항균 등의 미생물농약 및 천적생물 등 생체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많은 화학농약은 식물 병원균에 직접 작용하여 병해를 방제하는 것이지만, 그 외에는, 식물자체가 가지는 병해 저항성을 높이는 것으로 작물의 병해를 방제하는 농약(내성-유도형 농약)이 사용되고 있다.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작용하는 농약은 그 작용이 명확한 것이 많지만, 계속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약제에 대한 내성 변이체가 출현하는 경우가 많다. 내성-유도형 농약은 직접 병원균에 작용하지 않고, 식물의 저항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병해 감염을 방제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 약제의 내성 변이체가 출현한 사례는 없다. 이에 따라, 내성-유도형 농약은 이외의 생물을 포함하는 환경으로의 영향이 비교적 적다고 생각되어진다.
농업생산에서는, 지속가능한 농업생산기술을 확립하는 것을 추구하는 데에 있어서,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경조화형의 농업자재의 개발이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최근의 소비자의 식품에 대한 높은 안전성 지향에 의하여, 농업의 자연순환기능을 활용하여 재배하는 유기농산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유기농산물의 생산에 사용하는 자재에 관해서는, 일본 농림수산성이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에 의하여, 천연의 유용광물 자재, 식물, 동물 및 그로부터의 적출, 추출 또는 조제한 천연물질이 있고, 이것들을 병해충 방제 등 농약으로서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농약이 농업화학규제법에 기초하여 등록된 것으로 한정하고, 항생물질의 사용은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유기농산물의 생산에서 사용가능한 방제 자재가 보여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화학농약에 대신한 천연물 유래의 높은 병해 방제제가 추구되고 있다. 상기 예방적으로 방제하는 내성-유도형의 병해 방제 효과를 갖고, 또한 천연물 유래의 농업자재를 공급할 수 있다면, 사용자인 농업생산자 및 소비자에 대해 안전한 농약임과 함께, 환경의 부담도 감소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식물의 병해내성-유도를 목적으로 하는 농약은 벼도열병 방제제로서 등록된 "오리제메이트"(일반명: 프로벤아졸, 메이지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및 "바이온"(일반명: 아시벤졸라-S-메틸, 노바르티스 제조)으로 한정되고 있다.
또한, 이외의 병해 내성-유도물질로는, 피토알렉신(phytoalexin) 유도제로서 다당체분해물(일본특허공개번호 제 331016/1993호) 및 쟈스몬산 유도체(일본특허공개번호 제 29412/1999호) 등이 보고되어 있다.
상기 병해 내성-유도를 목적으로 하는 농약은,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직접 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식물의 저항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다양한 작물 병해 방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이것들의 약제에 대한 내성 변이체의 출현이 보고되고 있지는 않다. 그렇지만, 어떤 것도 화학합성농약이기 때문에 가이드라인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상기 피토알렉신 유도제는 식물의 병해 저항 반응의 하나인 피토알렉신의 생성을 유도하지만, 반드시 실용적인 병해 방제 효과에 있어서는 분명하지는 않다.
마찬가지로, 피토알렉신의 유도작용으로 보고된 세레브로사이드 (cerebroside) 류는 벼 병해에 대해 실용적인 수준의 방제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일본특허 제 2846610호 및 WO 98/47364). 세레브로사이드 류는 글리코스핑고리피드의 일종으로, 세라미드의 일차 알콜에 헥소스가 글리코사이드 결합한 당지질이다. 글리코스핑고리피드는 많은 생물종에 있어서, 막의 구성성분으로서 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이미 화장품 성분으로서도 사용되어 높은 안전성이 확인되고 있다. 병해 내성-유도작용을 갖는 글리코스핑고리피드는 세레브로사이드류라고 생각되고 있다(Koga J. et al. (1998) J. Biol. Chem. 48(27), 21985-31991). 세레브로사이드 B는 Penicillium funiculosum(Kawai G., Ikeda Y., Tubaki K. (1985) Agric. Biol. Chem. 49(7), 2137-2146), Lentinus edodes(Kawai G (1989) Biochim. Biophys. Acta 1001(2) 185-190), Pachybasium sp.(Sitrin R. et al. (1998) J. Antibiot. 41(4), 469-480), Rhizoctonia sp.(Umemura K. et al. Plant Cell Physiology 41(6), 676-683)에 분포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세레브로사이드 B의 구조는 식(Ⅰ)으로 나타낸다:
Figure 112004008241812-pct00001
세레브로사이드 B는, WO 98/47364에 있어서, 벼의 병해 방제제로서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특허의 방제제는 식물병원균으로부터 추출된 것이다. 또한, 세레브로사이드 B 및 이외의 세레브로사이드류의 벼 이외의 농작물에 대한 병해 방제효과에 관하여 보고되어 있지는 않다.
담자균류 중의 세레브로사이드류의 분포에서는, 생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자실체의 에탄올 추출물 중에서 세레브로사이드류가 함유된 것(Kawai G (1989) Biochim. biophys. Acta 1001(2) 185-190) 및 Schizophyllum commune Fr. 배양균사로부터 세로브로사이드가 아세톤 추출된 것(일본특허공개번호 제 52878/1988호)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상기 물질의 작용은 자실체 유도활성에 관하여 보고된 것이 있지만, 식물에 대한 병해 방제효과에 있어서는 보고되지 않다.
또한, 담자균추출물의 작물재배에서의 이용에서는, 농작물의 수량증대 및 생육촉진효과(일본특허공개번호 제 44040/1981호), 감귤류의 착색촉진 및 증당제(일본특허공개번호 제 4808/1982호) 등이 보고되어 있지만, 이것들은 모두 수성 추출물에 의하여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병해 저항성을 유도하는 물질은 식물종에 따라 작용이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미생물 유래의 내성-유도물질의 대표예로서는 글루코스의 중합체인 글루칸스가 알려져 있지만, 대두의 병해 저항성을 유도하는 Glucans는 벼에 대하여 저항성 반응을 야기하지는 않는다. 한편, 벼의 병해 저항성을 유도하는 글루칸스는 대두에 대한 내성-유도능력이 없고(Sharp K. (1984) J. Biol. Chem. 259, 11321-11336 및 Yamaguchi T. (2000) Plant Cell 12, 817-826), 동일한 글루칸스일지라도 중합체화 방법에 의하여 작물종의 반응은 다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아라키돈산은 감자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지만( Bostock M. (1981) Science 212, 349-360), 감자 이외에서 저항성을 유도하는 것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내성-유도물질이 작물종에 따라 특이적인 작용을 나타낸다고 고려되고 있다.
발명의 개요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식용균류를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사상균을 원료로 하는, 사상균에 포함된 글리코스핑고리피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병해 내성-유도조성물을 검토한 바, 놀랍게도, 사상균 유래의 글리코스핑고리피 드가 벼뿐만 아니라 벼 이외의 다양한 작물종의 병해에 대한 방제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사상균류로부터 글리코스핑고리피드과 함께 추출된 지용성 물질이 전착제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사상균으로부터 글리코스핑고리피드를 추출하여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글리코스핑고리피드와 함께 지용성 물질도 추출되기 때문에 전착제를 새로이 첨가할 필요가 없고, 작업효율 및 비용 저감의 관점에서 더없이 유용하다. 본 발명자들은 더욱이 사상균으로부터 추출된 지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유효성분의 식물로의 높은 침투이행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더욱이 글리코스핑고리피드를 함유하는 사상균류로부터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로 얻어진 조추출물(crude extract)이 식물에 대해 생육저해현상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사상균의 유기용매 조추출액 중에서 내성-유도물질의 불순물로서 식물에 대한 생리저해물질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 생리저해물질을 농축분리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섭취와 같은 경험을 갖는 어떤 안전한 사상균 등을 원료로 하고, 식물에 대해 생리저해작용이 없고, 다양한 작물종에 대한 폭넓은 방제 스펙트럼을 갖고, 또한 친환경적인 내성-유도형의 병해 방제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서, 사상균 유래의 글리코스핑고리피드를 함유하는 식물병해 내성-유도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서, 유기용매에 침지된 사상균의 균사 또는 자실체를 교반하고, 글리코스핑고리피드 및 지용성 물질을 유기용매에 추출하는 유기용매 추출공정 및 이 추출공정에 의하여 얻어진 유기용매추출액을 농축한 다음, 추출액 중에서 함유하는 식물의 생리저해 물질을 침전제거하는 농축/분리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제조법이 제공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서 "글리코스핑고리피드"라는 용어는 식(Ⅰ)과 같이 장쇄염기, 지방산 및 당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간주하고, 당의 종류 및 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세레브로사이드류"라는 용어는 당의 부분이 헥소스인 글리코스핑고리피드를 나타낸다.
사상균 유래의 글리코스핑고리피드는 장쇄염기의 부분의 9-위치에 메틸기가 들어가 있는 것을 구조상의 특징으로 하고(Kawai G., Ikeda Y., Tubaki K. (1985) Agric. Biol. Chem. 49(7), 2137-2146, Kawai G (1989) Biochim. Biophys. Acta 1001(2) 15-190), 이 구조가 벼의 병해 저항유도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ga J. et al. (1998) J. Biol. Chem. 48(27), 31985-31991, Umemura K. et al. (2000) Plant Cell Physiol. 41(6), 676-683).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사상균 유래의 글리코스핑고리피드"라는 용어는 장쇄염기의 부분의 9-위치에 메틸기가 붙어 있는 글리코스핑고리피드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어진 "사상균 유래의 세레브로사이드류"라는 용어는 장쇄염기의 부분의 9위치에 메틸기가 붙어 있는 세레브로사이드를 나타낸다.
사상균 유래의 세레브로사이드류로서는 하기를 포함한다:
세레브로사이드 A ((4E,8E)-N-D-2'-히드록시-(E)-3'-헥사데세노일-1-O-β-D-글루코피라노실-9-메틸-4,8-스핑가디에닌);
세레브로사이드 B ((4E,8E)-N-D-2'-히드록시팔미토일-1-O-β-D-글루코피라노실-9-메틸-4,8-스핑가디에닌);
세레브로사이드 C ((4E,8E)-N-D-2'-히드록시-(E)-3'-옥타데세노일-1-O-β-D-글루코피라노실-9-메틸-4,8-스핑가디에닌); 및
세레브로사이드 D ((4E,8E)-N-D-2'-히드록시스테아로일-1-O-β-D-글루코피라노실-9-메틸-4,8-스핑가디에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세레브로사이드 A, 세레브로사이드 B, 세레브로사이드 C 또는 세레브로사이드 D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둘 이상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리코스핑고리피드는 사상균의 균사 또는 자실체에서 얻어질 수 있다.
사상균으로서는 바람직하기는 담자균류에 속하는 미생물 및 효소생산, 항생물질생산, 다당류생산 등 발효생산에 사용되는 미생물을 포함한다.
담자균류로서는 Pleurotus속, Lentinus속, Flammulina속, Grifola속, Agaricus속, Auriculariales속, Tremellales속, Pholiota속, Sparassidaceae속 등의 식용 단자균류 및 Wolfiporis속, Ganoderma속 등의 약용 단자균류를 포함한다. 발효생산에 사용되는 미생물로서는 Aspergillus속, Penicillium속, Trichoderma속, Acremonium속, Mucor속, Rizopus속으로 분류되는 미생물을 포함한다.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단자균류에서 Lentinus edodes, Pleurotus ostreatus, Flammulina velutipes, Glifola frondosa, Agaricus bisporus, Agaricus campestris, Auricularia polytricha이 있고, 발효생산에 사용되는 미생물로서는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oryzae, Penillium roquefortii이 있다.
사상균의 균사 또는 자실체는 생균체(vial cell), 균체의 배양액, 그의 농축물, 건조균체 또는 발효 잔류물 등을 함유한 그것들의 가공처리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실체의 건조균체이다.
사상균의 건조균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파워 밀(power mill) 등의 분쇄기로 용매가 침윤하기 쉬운 정도로 분쇄하는 것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개구부 2㎜정도의 체를 통과하는 정도까지 미세하게 분쇄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유기용매에 침윤한 사상균의 균사 또는 자실체를 교반하고, 균체에 함유된 성분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유기용매추출공정 및 이 추출공정에 의하여 얻어진 유기용매 추출액을 농축한 추출액 중에서 함유하는 식물의 생리저해물질을 침전제거하는 농축/분리공정으로 이루어진 식물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의 제조법이 제공된다. 얻어진 조성물 중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 글리코스핑고리피드가 전착성 성분으로서 지용성 물질이 각각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의 "지용성 물질"이라는 용어는 유지에 가용화할 수 있는 물질을 나타내고, 다수의 것들은 유기용매에서 추출할 수 있다. 지용성 물질의 정량법으로서는 n-헥산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추출ㆍ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사상균의 균사 또는 자실체 유래의 지용성 물질은 유효성분인 글리코스핑그리피드와 동시에 사상균류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지용성 물질에는 전착작용을 갖는 양친매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므로, 산포시에는 잎에서의 전착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유효성분인 글리코스핑그리피드의 식물체로의 전착성 및 침투이행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물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사상균류로부터 추출하는 경우에 이 추출액에서 전착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사용시의 전착제의 첨가가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소량첨가만으로도 되고, 작업효율 및 비용 절감의 관점에서 유리하고, 또한 환경으로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추출공정에서는, 사상균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교반하고, 유효성분을 추출한 액을 고체-액체 분리하고, 유기용매추출액 및 잔류물로 분리하여 유기용매추출액을 얻는다. 추출공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헥산, 석유에테르, 에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 클로로포름 및 아세톤이 있다. 좋은 추출효율을 갖는 용매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에틸, 클로로포름이 있지만, 유기농산물의 재배에서 사용가능한 병해방제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조건은 사용하는 유기용매 및 사상균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조건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추출시의 액체온도는 15-80℃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잔류물에 남아 있는 유효성분으로 재추출하는 조작 즉, 고체-액체 분리하여 얻어진 잔류물에, 다시 유기용매를 가하여 침윤한 후, 고체-액체 분리하여 유기용매추출액을 분리하고, 먼저 얻어진 유기용매 추출액에 가하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농축/분리공정에서, 얻어진 유기용매 추출액을 농축하는 것에 의하여, 유효성분 및 전착성 성분의 함유율을 높이는 것과 함께 식물의 생리저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농축은 냉동건조, 갑압농축, 가열증류 등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농축방법을 적용할 수 있지만, 고온에서의 농축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감압농축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열증류하는 경우에는 최고 온도를 80℃이하로서 농축한다.
농축은 바람직하게는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이 0.4~3.0㎎/㎖, 더욱 바람직하게는 0.9~3.0㎎/㎖, 지용성 물질 함유량은 n-헥산 추출물로서, 바람직하게는 10~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00㎎/㎖이 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물론, 세레브로사이드 B 이외의 세레브로사이드류 함유량을 지표로서 농축할 수 있다. 농축하는 경우의 표준으로서는 체적비로서 바람직하게는 1/5~1/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1/20으로 감소될 수 있다.
지용성 물질 함유량이 n-헥산 추출물로서 10㎎/㎖미만의 농축에서는 식물의 생리저해성분이 침전물로서 제거되는 경우가 있고, 200㎎/㎖보다 과도한 농축을 하면, 희석시에는 지용성 물질이 분리되어 균일한 성분이 얻어지지 않은 경우가 있 다.
본 발명의 식물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의 제형은 액제, 분말제, 미립제, 유제, 수화제, 유성 제제, 에어로졸, 플로어블(floable) 등의 농약으로서의 어떤 사용 형태에서라도 좋다. 또한,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형태, 그 사용형태, 사용방법을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조성물의 바람직한 사용농도는 세레브로사이드류 함유량으로서 0.5~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특히 바람직하게는 5~20㎍/㎖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사용농도는 식물의 종류, 생육단계, 사용방법에 따라 적절한 농도로 조제한다.
본 발명의 식물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의 보호대상으로 포함되는 식물로서는 재배식물 모두이고, 예를 들면, 곡류(벼, 보리, 밀, 옥수수 등), 가지과 식물(토마토, 가지, 감장 등), 박과 식물(오이, 메론, 호박 등), 콩과 식물(완두, 콩 등), 평지과 식물(무, 배추, 양배추 등), 장미과 식물(딸기, 사과, 배 등), 국화과(양상추 등), 메꽃과(고구마 등), 미나리과(당근, 파슬리, 셀러리 등), 포도과(포도 등)이 있다. 또한, 식물의 일반적인 병해 저항반응은 병원균에 대하여 특이성이 없다고 고려되고 있으므로, 상기 작물의 대상병해로서는 사상균을 원인으로 하는 식물병해 모두이고, 예를 들면, 벼도열병균(Magnaporthe grisea), 벼깨씨무늬병균(Cochliobolus miyabeanus), 고구마덩굴쪼김병균(Fusarium oxysporum), 메론덩굴쪼김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양상추뿌리썩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lactucae) 및 토마토 반쪽시들음병(Verticillium dehliae)에 의한 병해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사상균 유래의 글리코스핑고리피드 및 지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병해 내성-유도 조성물로, 상기 글리코스핑고리피드가 세레브로사이드 B를 함유하는 식물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사상균 유래의 글리코스핑고리피드 및 지용성 물질을 함유하는 식물병해 내성-유도 조성물로, 상기 글리코스핑고리피드가 세레브로사이드 B를 함유하고,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이 0.4~3.0㎎/㎖이고, 지용성 물질 함유량이 n-헥산 추출물로서 10~200㎎/㎖인 식물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사상균 유래의 글리코스핑고리피드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의하여 표적식물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식물에 병해 저항성을 유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사상균 유래의 글리코스핑고리피드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의한 목적 식물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식물병해의 방제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물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의 제조
(1) 유기용매추출공정
건조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을 파워 밀(탁상 파워 밀 P-02, SHOWA GIKEN INDUSTRIAL CO., LTD. 제조)로 분쇄하고, 0.1㎜의 간격을 갖는 스크린을 사용하여 분쇄물을 수집하였다. 이 건조 표고버섯의 분쇄물 1㎏에 대하여, 5리터의 99.5% 에탄올을 가하고, 25℃에서 보온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고체-액체 분리하여 일차 에탄올 추출액 및 잔류물을 분리하였다. 잔류물을 5리터의 99.5% 에탄올로 30분간 침지하는 것으로 세정하여, 이차 에탄올 추출액 및 잔류물로 분리하였다. 일차 및 이차 에탄올 추출액을 혼합하여 에탄올 추출액을 얻었다.
(2) 농축/분리공정
유기용매추출공정으로 얻어진 에탄올 추출액을 상압 및 80℃의 온도에서 체적의 약 1/20까지 농축하였다. 농축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액 중에서 발생한 침전을 원심분리로 제거하여 에탄올 추출농축액 A 약 80㎖을 얻었다. 이 에탄올 추출농축액 A 중의 지용성 물질 함유량을 n-헥산법에 의하여, 또한,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을 HPLC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분석치는 100㎎/㎖ 및 2.2㎎/㎖이다.
(3) 추출액의 분석
실시예에서 얻어진 추출액은 하기와 같이 분석하였다.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 및 세레브로사이드 D 함유량은 TSKgel ODS120A(Tosoh Corporation 제조; 4.6㎜×300㎜) 칼럼을 사용하여 HPLC법으로 분석하였다. 칼럼온도를 50℃로 하고, 8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1㎖/분의 유속조건 하에서, 체류시간 20.8분 및 24.6분에 UV 215㎚으로 검출되는 상기 물질을 정량하여, 각각의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 및 세레브로사이드 D 함유량을 얻었다.
지용성 물질 함유량은 n-헥산 추출물로서 측정하였다(1985년 일본 환경청 고시 제 28호 첨부표에 따름). 즉, 100㎖ 분별 깔대기에 50㎖의 탈이온수로 처리하고, 시험용액 1㎖을 가하였다. 그 다음, n-헥산 10㎖ 및 NaCl 0.5g을 가하여 섞은 후 방치하였다. 분리 후, 하층을 제거하고 다시 물 50㎖을 가하여 세척하였다. 이 물세척을 2번 되풀이하고, 헥산층을 회수하였다. 탈수하기 위하여, 그 헥산층에 무수 황산나트륨을 충분히 가한 후, No.2 여과지(상표; ADVANTEC, Toyo Roshi Kaisha, Ltd. 제조)로 여과하고, 소량의 헥산으로 여과지를 세정하였다. 유출액을 중발용기에 옮기어 80℃의 열판 위에서 증발시키고, 증발기 내에서 건조하였다(80℃). 이것을 n-헥산 추출물로서 측량하였다.
실시예 2:
다른 유기용매에서의 세레브로사이드 추출 비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생 표고버섯으로부터 추출한 세레브로사이드 B 및 세레브로사이드 D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비교검토에 사용한 유기 용매로서,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아세톤, n-헥산,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였다. 생 표고버섯 100g을 각종 용매 150㎖ 및 물 30㎖을 가한 후, 워터링 블렌더(Ace Homogenizer AM-7, Nihon Seiki Seisakusho Co., Ltd. 제조)로 마멸하였다. 마멸액을 원심관에 옮긴 후, 진동기(회전왕복진동기 R-30, TIETECH Co., Ltd. 제조) 상으로 12시간 진동하는 것으로 유기용매층으로의 세레브로사이드 추출을 행하였다. 용매추출된 세레브로사이드 양을 상기 HPLC법으로 측정하고, 생 표고버섯 g당 세레브로사이드 B 및 세레브로사이드 D 함유량으로 환산한 값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또한, 이 추출액 중에 세레브로사이드 B 및 세레브로사이드 D 이외의 세레브로사이드가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데이타 생략). 이들 세레브로사이드는 Kawai et al.(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001, 1989, 185-190) Len Ⅰ~Ⅹ에 상응한다.
메탄올 추출 에탄올 추출 클로로포름 추출 아세톤 추출 n-헥산 추출 아세트산에틸 추출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g) 25.6 28.8 35.6 25.8 27.8 50.4
세레브로사이드 D 함유량(㎍/g) 0.3 0.3 0.4 0.3 0.3 0.6
실시예 3: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 지질 함유량 및 농축 비율 및 벼도열병방제값의 관계
실시예 1의 에탄올 추출 농축액 A를 조제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각 농도의 농축물 및, 추출 농축액 A를 더욱 농축한 용액을 사용하여 지용성 물질 함유량 및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 또한, 그의 도열병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각 농도는 추출공정 종료 후의 에탄올 추출액을 1배 희석으로 간주하여, 농축/분리공정에 의해서 각 농축 후의 액체량에 대한 추출 종료 후의 액체량을 농축 배율로서, 1, 2, 5, 10, 20, 30, 50배의 용액을 공시하였다. 지용성 물질 함유량은 n-헥산 추출물로서 나타내었다. 추가로, 피검액의 전착성, 희석시 액의 상태에 대해서, 또한 산포한 잎의 생리장해의 정도로서 잎면의 상태에 대해서도 비교하였다.
질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평가시험의 방식은 벼(품종: 아키타코마치)의 최아종자를 1병당 8 입파종으로 인공기상실에서 재배하고, 본잎 3~4잎 나이의 단계에서 시료에 분무처리하였다. 1구획당 5병으로 하여, 각 농축배율의 용액을 세레브로사이드 B로서 10ppm이 되도록 희석한 액을 처리하고, 비교시험으로서 세레브로사이드 B 표준 샘플을 10ppm이 되도록 희석한 액을 사용하고, 병당 2㎖의 약액량을 잎에 산포하고, 잎면의 약액이 건조할 때까지 1시간동안 방치한 후, 다시 인공기상실에서 재배하였다. 세레브로사이드 B 표준 샘플은 Umemura et al.의 방법에 의하여 분리정제한 표준 샘플(세레브로사이드 B 농도 2㎎/㎖의 용액)(Plant Cell Physiology 41(6), 676-683(2000))을 사용하였다.
시료처리 3일 후, 벼도열병균(Magnaporthe grisea, race: 007)의 분산포자현탁액의 분무접종으로 감염처리하였다. 분무접종 후, 암실에서의 가습조건 하에서 36시간동안 방치하는 것으로, 도열병균을 감염시켰다. 그 후, 인공기상실로 옮기어 재배하고, 접종 5일 후에 각 구획의 제 3 본잎에서 발생한 질병성 병반(lesion) 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방제값을 산출하였다. 방제값의 산출은 방제값 = (1-각 구획의 한 잎당 평균 병반수/대조군의 한 잎당 평균 병반수)×100으로 하여 구하였다. 대조구에는 병당 2㎖의 물을 분무하였다.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농축배율이 낮은 시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잎면이 변색하는 장애를 얻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농축배율이 높은 시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제값, 조작성이 떨어지는 희석액의 분리현상이 일어났다. 그러므로, 잎면의 상태, 전착성, 희석시의 상태, 방제값으로부터 총합적으로 고려하면, 세레브로사이드 B 농도가 0.4~3.0㎎/㎖ 지용성 물질 함유량이 n-헥산 추출물으로서 10~200㎎/㎖이 되도록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농축 배율 1(추출직후) 2 5 10 20(추출물 A) 30 50 세레브로사이드 B 표준 샘플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 (㎎/㎖) 0.09 0.18 0.45 0.89 1.87 2.89 4.96 -
지용성 물질 (㎎/㎖) 3 7 14 32 68 98 219 -
방제값 80 85 88 91 92 93 70 90
전착성 ×
잎면의 상태 × ×
희석시의 상태 ×
(전착성 :○ 정상, × 발수
(잎면 상태 :○ 정상, × 장애에 의한 황색화 또는 변색, △ 일부 변색)
(희석시의 상태 :○ 정상, × 유분의 분리, △ 일부 분리)
실시예 4: 벼도열병 방제시험
(1) 방법
방제효과의 평가방법은 실시예3의 방법을 이용하고,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에탄올 추출농출액 A를 물로서 300배 희석(세레브로사이드 B로 환산하여 10ppm)하여 약액처리구 (A) 및, 세레브로사이드 B 10ppm 용액에 전착제로서 Tween20를 0.1% 가용한 약액처리구 (B)로서, 병당 2㎖의 약액량을 잎에 산포하였다.
(2) 결과
이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구의 한 잎당 평균 병반수는 18.6개인데 비하여 세레브로사이드 B 처리구 (B)는 2.3개, 에탄올 추출농축액 A 처리구 (A)는 1.8개로서, 어떤 구에서도 명확하게 발병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에탄올 추출농축액 A 처리구 (A)는 전착제 Tween20를 첨가한 세레브로사이드 B 처리구 (B) 보다 높은 방제값을 가졌다.
시험구 A 비교구 B 대조구
병반수 (개) 1.8 2.3 18.6
방제값 90.3 87.6 0
실시예 5: 벼깨씨무늬병 방제시험
(1) 방법
실시예 3의 벼도열병 방제시험 및 같은 조건(피검식물의 재배, 시료의 처리방법ㆍ처리농도, 및 병원균감염방법)으로 에탄올 추출농축액 A 처리구 (A), 세레브로사이드 B 처리구 (B)의 벼깨씨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병반수의 측정은 깨씨무늬병균(Cochliobolus miyabeanus) 분생포자현탁액을 분무접종하여 2일후에 실시하였다.
(2) 결과
이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대조구의 한 잎당 평균 병반수는 10.2개인데 비하여 세레브로사이드 B 처리구 (B)에서는 1.3개, 에탄올 추출농축액 A 처리구 (A)는 0.9로 명확하게 발병억제효과가 확인되었고, 또한 에탄올 추출농축액 A 처리구가 세레브로사이드 B 처리구보다도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구 A 비교구 B 대조구
병반수 (개) 0.9 1.3 10.2
방제값 91.1 87.3 0
실시예 6: 벼도열병 방제경작지시험
(1) 방법
도열병 발생지대의 벼재배경작지에 있어서 무작위적으로 단락시험구로서 24㎡씩 나누었다. 벼(품종: Koshihikari)의 묘를 이식한 후, 44일째 및 51일째에 산포처리하였다. 분무처리는 1구당 3구획마다. 120ℓ/10are의 비율로 행하였다. 각 구의 샘플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에탄올 추출농축액 A를 물로 150배 희석한 용액(세레브로사이드 B로 환산하여 20ppm) (E), 또한, 비교구로서, 세레브로사이드 B 농도가 20ppm이고, 전착제로서 Mylinow(Mairinou)(Nihon Nohyaku Co., Ltd. 제조)을 약 0.02~0.03% 가용한 세레브로사이드 B 용액처리구 (F), 및 Rabcide Flowable(Kureha Chmical Indstry Co., Ltd. 제조) 1000배 희석액(유효성분: 프탈리드 500ppm)에 전착제로서 Mylinow(Nihon Nohyaku Co., Ltd. 제조)을 약 0.02~0.03% 가용한 처리구 (G)를 설정하였다.
(2) 결과
최초 산포 후, 1개월째에 잎도열병 발병조사를 행하는 발병도에서 구한 방제값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서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농축액 A 처리구 (E)에서 95, 세레브로사이드 B 처리구 (F)에서 93, 비교군 (G)에서 94의 방제값을 얻었고, 벼도열병방제에 유효한 것으로 명확히 되었다. 더구나, 에탄올 추출농축액 A 처리구 (E)는 세레브로사이드 B 처리구 (F)보다 높은 방제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부터, 유기농산물의 재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식물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이 실제의 재배경작지에 있어서, 화학농약보다 높은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구 E 비교구 F 비교구 G 대조구
방제값 95 93 94 0
실시예 7: 고구마덩굴쪼김병 방제시험
(1) 방법
고구마덩굴쪼김균(Fusarium oxysporum)으로 병에 걸린 고구마(품종: Benikomachi)의 모종을 경작지에 심어 붙이기 전에 30분간 각 용액에 지하부를 침지처리하였다. 각 구의 샘플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에탄올 추출농축액 A를 150배 희석한 용액(세레브로사이드 B로 환산하여 20ppm) 처리(E), 세레브로사이드 B 20ppm 처리(H)하였다. 1 구당 20포기로 4 구획로 하여, 60㎝ 간격으로 경작지에 이식하였다.
(2) 결과
이식 26일 후에 발병율을 조사하고, 평균발병율에서 방제값을 산출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에탄올 추출농축액 A 처리구 (E)에서 79, 세레브로사이드 B 처리구 (H)에서 70의 방제값을 얻었다. 본 발명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은 토양병해에 대해서도 방제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토양병해는 유효한 살균제가 거의 없기 때문에 방제가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토양훈증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효과가 한정적이고, 환경오염의 관점에서 대체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작물의 내성-유도작용을 이용한 토양병해 방제법의 하나인 것이 명백하다.
시험구 E 비교구 H 대조구
방제값 79 70 0
실시예 8: 메론덩굴쪼김병 방제시험
(1) 방법
메론(품명: Ams)의 본잎 3~4개가 전개한 모종을 10시간 동안 각 용액에 침지처리한 후, 포테이토-덱스트로스 배지에서 배양한 메론덩굴쪼김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의 분생포자를 흠뻑 적시는 것으로 접종하였다. 각 구의 샘플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에탄올 추출농축액 A를 150배로 희석한 용액(세레브로사이드 B로 환산하여 20ppm) 처리구 (E), 세레브로사이드 B 20ppm처리구 (H)이다.
(2) 결과
접종 21일 후에서 발병율을 조사하고, 평균발병율로부터 방제값을 산출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에탄올 추출농축액 A 처리구(E)는 63, 세레브로사이드 B 처리구는 52을 얻었다. 본 발명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은 야채에 대한 병해방제에 매우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의 산포시에서 전착효과에 의하여 유효성분인 세레브로사이드의 식물체로의 침투이행성을 높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의 산포시에서 전착효과 및 유효성분인 세레브로사이드의 식물체로의 침투이행성을 높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기 이론에 구속되지는 않지만, 세레브로사이드는 수용액 중에서는 그 구조가 불안정하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된 지용성물질과 함께 안정한 고차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식물체 속으로 비교적 안정하게 되어 서서히 이행하여 확산된 다고 추정된다. 이 침투성때문에, 비에 의한 잎의 표면에서 유실, 태양광에 의한 분해가 적고, 또한 산포량의 많고 적음에 의한 방제 효과의 편차가 적게되는 것으로 안정한 방제효과 및 긴 잔류효과가 기대된다.
시험구 E 비교구 H 대조구
방제값 63 52 0
실시예 9: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잎새버섯(Glifola frondosa),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각 자실체의 동결건조품으로부터 아세트산에틸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다. 또한, Aspergillus속균(Aspergillus niger), Penicillium속균(Penicillium roquefortii), Mucor속균(Mucor prainii), Rhizopus속균(Rhizopus delemar)을 1% 콘스타치, 1% 당밀, 1% 옥수수담금액(corn steep liquor)(수산화칼륨 수용액의 첨가로 pH 5.5로 조정)의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6,000×g으로 20분동안 원심처리하여 균사를 회수한 후, 생균사 중량(raw mycelia weight) 당 10배량(W/V)의 아세트산에틸로 용매추출하였다. 용매추출액을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1/10로 감축하는 농축/분리공정을 끝내는 것에 의하여 생리저해물질을 분리ㆍ감축하고, 식물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조성물 중의 세레브로사이드 B 양을 상기 HPLC법으로 측정하고, 원료의 중량 당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으로 산출하였다. 추가로, 얻어진 각 용매추출액을 세레브로사이드 B로 환산하여 100ppm의 농도가 되도록 물로써 희석한 후 벼 잎에 적용하고, 적용 7일 후의 잎 조직 중에서 유도된 피토알렉신의 양을 지표로 하는 엘리시터(elicitor) 활성을 WO 98/47364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하고, 표 8에 나타내었다. 파이도알렉신 양은 피토카산 A, B, C, D 및 모밀락톤 A, B의 총합으로 나타내었다.
이 결과에 따라서, 특히 담자균류에서 효율적으로 세레브로사이드 B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사상균으로부터 추출하여 조제한 조성물은 피토알렉신-유도 능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고버섯 잎새버섯 느타리버섯 A. niger P. roguefortii M. prainii R. delemar
조성물 중의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 2.75 2.48 2.38 0.48 0.49 0.52 0.51
감량 중의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g중량) 0.23 0.21 0.20 0.04 0.04 0.05 0.05
유도피토알렉신 양 (㎎/g-생잎(raw leaf)) 8.6 8.5 8.4 8.3 8.4 8.2 8.4
지용성 물질 함유량(㎎/㎖) 100 98 95 28 30 33 32
실시예 10: 양상추뿌리썩음병 방제시험
(1) 방법
본잎이 3장 전개한 양상추(품종: Patriot)의 모종에 대하여 접종 12시간전에 약제처리한 후, 양상추뿌리썩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lactucae race SB1-1)의 오염토(희석평판법에 의한 균밀도를 측정한 결과 3×104CFU/g인)에 이식하여 감염접종처리하였다. 각 시험구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에탄올 추출농축액 A를 사용하고, 침지처리, 산포처리 및 관수처리에 의한 효과 및 세레브로사이드 B 20ppm 용액 (H)으로의 침지처리에 의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2) 결과
이식 28일 후, 내부병징에 의한 발병조사를 실시하였다. 발병도의 판정기준은 유관속에서 변색이 없으면 0, 유관속의 1/3미만이 변색하면 1, 유관속의 1/3~2/3이 변색하면 2, 유관속의 2/3이상이 변색하면 3의 지수로 발병정도를 평가하였다. (대조구의 평균발병도-시험구의 평균발병도)/(대조구의 평균발병도)×100의 산출식으로 방제값을 산출하여, 표 9에 나타내었다. 또한, 농산물로서 상품이 되는 지상부중량에 있어서도 합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추출농축액처리 (E)의 경우에, 침지처리구는 100, 산포처리구에서 72, 관수처리구에서 86의 방제값을 얻었다. 또한, 생 상추(raw lettuce)의 지상부는 대조구를 100으로 하면, 침지처리구는 693, 산포처리구에서 266, 관수처리구에서 559를 얻었다. 본 발명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은 작물종 및 대상병해에 따른 적절한 처리조건은 존재하지만, 처리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침지처리 (E) 산포처리 (E) 관수처리 (E) 침지처리 (H) 대조구
방제값 100 72 86 78 0
지상부 생중량 비율 693 266 559 231 100
실시예 11: 토마토반쪽시들음병 방재시험
(1) 방법
본잎이 2장 전개한 토마토(품종: Hausumomotaro) 모종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에탄올 추출농축액 A를 150배로 희석한 용액 (E)을 침지처리하였다. 약재처리 후, 토마토반쪽시들음병(Verticillium dahliae)의 병밀도가 5×104CFU/g의 오염토에 이식하는 것으로 감염접종하였다. 시험구로서 에탄올 추출농출액 A를 150배로 희석한 용액 (E)(세레브로사이드 B로 환산하여 20ppm)을 3, 6, 12, 24시간 처리한 경우 및 세레브로사이드 B 20ppm 용액 (H)를 12시간 처리한 경우의 방제효과를 비교검토하였다.
(2) 결과
이식 21일 후, 외부 징후에 의한 발병조사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외부 징후의 발병도의 기준은 건전잎을 0, 하위의 1~2잎에 징후가 있는 경우를 1, 반수정도의 잎에 징후가 있는 것을 2, 대부분의 잎에 징후가 있고 낙엽이 보이는 것을 3, 포기가 고사한 것을 4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대조구의 평균발병도-시험구의 평균발병도)/(대조구의 평균발병도)×100의 산출식으로 방제값을 산출하여 표 10에 나타내었다. 에탄올추출농축액처리 (E)한 것으로, 처리시간 3시간의 구에서는 방제값이 12로 충분한 방제효과가 얻어지지 않지만, 6시간이상 처리한 것에 의한 방제값은 60정도로 대조구에 대하여 명백한 병해방제작용을 나타내었다. 이 시간적인 작용의 차이는 본 발명의 병해방제 조성물이 내성-유도에 의한 방제작용이기 때문에, 식물 측의 저항성이 확립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세레브로사이드 B 20ppm용액을 12시간 처리한 구 (H)의 방제값은 60이므로, 본 발명의 병해방제 조성물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식물종에 관계없이 세레브로사이드의 병해방제작용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3시간 (E) 6시간 (E) 12시간 (E) 24시간 (E) 12시간 (H) 대조구
방제값 12 56 68 64 60 0

Claims (28)

  1. 사상균 유래의 글리코스핑고리피드 및 사상균 유래의 지용성 물질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식물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로서, 상기 사상균은 담자균류에 속하는 미생물 또는 발효생산에 사용되는 미생물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스핑고리피드는 세레브로사이드류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브로사이드류는 세레브로사이드 A, 세레브로사이드 B, 세레브로사이드 C, 세레브로사이드 D 중 하나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스핑고리피드는 사상균으로부터 유기용매에 의하여 추출된 것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스핑고리피드는 사상균으로부터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농축한 후, 식물에 대한 생리적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것으로 얻어지는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6. 삭제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물질은 사상균으로부터 유기용매에 의하여 추출된 것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물질은 사상균으로부터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농축한 후, 식물에 대한 생리적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것으로 얻어지는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핑고리피드는 세레브로사이드 B를 포함하는 것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물질은 사상균으로부터 유기용매에 의하여 추출된 것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물질은 사상균으로부터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농축한 후, 식물에 대한 생리적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은 0.4㎎/㎖~3.0㎎/㎖이고, 지용성 물질 함유량은 n-헥산추출물로서 10㎎/㎖~200㎎/㎖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은 0.9㎎/㎖~3.0㎎/㎖이고, 지용성 물질 함유량은 n-헥산추출물로서 30㎎/㎖~100㎎/㎖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14. 삭제
  1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담자균류에 속하는 미생물은 식용 담자균류에 속하는 미생물 또는 약용 담자균류에 속하는 미생물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1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발효생산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효소생산, 항생물질생산, 및 다당류생산에 사용되는 미생물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17. 제 15항에 있어서, 식용 담자균류에 속하는 미생물은 Pleurotus속, Lentinus속, Flammulina속, Grifola속, Agaricus속, Auriculariales속, Tremellales속, Pholiota속, 및 Sparassidaceae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속에 속하는 미생물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18. 제 15항에 있어서, 약용 담자균류에 속하는 미생물은 Wolfiporis속에 속하는 미생물 또는 Ganoderma속에 속하는 미생물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19. 제 16항에 있어서, 발효생산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Aspergillus속, Penicillium속, Trichoderma속, Acremonium속, Mucor속, 및 Rhizopus속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속에 속하는 미생물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2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담자균류에 속하는 미생물은 Lentinus edodes, Pleurotus ostreatus, Flammulina velutipes, Glifola frondosa, Agaricus bisporus, Agaricus campestris, 및 Auricularia polytrich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2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발효생산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oryzae, Penicillium roquefortii, Mucor prainii, 및 Rhizopus delema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2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병해 방제제로서 사용되는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2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로 표적식물을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식물병해의 방제방법.
  2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식물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유기용매에 침지된 사상균의 균사 또는 자실체를 교반하여, 글리코스핑고리피드 및 지용성 물질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유기용매추출공정; 및,
    상기 추출공정에서 얻어진 유기용매 추출액을 농축한 다음, 추출액 중에 함유된 식물에 대한 생리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는 농축/분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제조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스핑고리피드는 세레브로사이드 B를 함유하는 제조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이 0.4㎎/㎖~3.0㎎/㎖가 되고, 지용성 물질 함유량이 n-헥산추출물로서 10㎎/㎖~200㎎/㎖이 되도록 상기 유기용매 추출액을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세레브로사이드 B 함유량이 0.9㎎/㎖~3.0㎎/㎖이 되도록 상기 유기용매 추출액을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지용성 물질 함유량이 n-헥산추출물로서 30㎎/㎖~100㎎/㎖이 되도록 상기 유기용매 추출액을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47002951A 2001-08-28 2002-08-28 식물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54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7800 2001-08-28
JPJP-P-2001-00257800 2001-08-28
PCT/JP2002/008686 WO2003020032A1 (fr) 2001-08-28 2002-08-28 Compositions activant la resistance des plantes aux maladies et procede permettant de fabriquer ces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095A KR20040029095A (ko) 2004-04-03
KR100754053B1 true KR100754053B1 (ko) 2007-08-31

Family

ID=19085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951A KR100754053B1 (ko) 2001-08-28 2002-08-28 식물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16989B2 (ko)
EP (2) EP1421850B1 (ko)
JP (1) JP4376625B2 (ko)
KR (1) KR100754053B1 (ko)
CN (1) CN100396180C (ko)
BR (1) BR0212246A (ko)
ES (1) ES2400237T3 (ko)
WO (1) WO2003020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0414A1 (en) * 2000-10-04 2012-03-22 Paul Stamets Controlling disease vectors from insects and arthropods using preconidial mycelium and extracts of preconidial mycelium from entomopathogenic fungi
JP3793792B2 (ja) * 2003-06-25 2006-07-05 群馬県 スフィンゴ脂質および/またはスフィンゴ糖脂質含有物の製造方法
JP4934425B2 (ja) * 2004-05-24 2012-05-16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植物へのd−プシコースからなる希少糖の使用
JP4888937B2 (ja) * 2004-05-24 2012-02-29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微生物増殖抑制への希少糖の使用
KR100706297B1 (ko) * 2005-07-15 2007-04-27 강원도 만수국 또는 표고버섯을 포함하는 식물 흰가루병 방제제
JP5414211B2 (ja) * 2008-07-17 2014-02-12 Meiji Seikaファルマ株式会社 水稲用病害虫防除組成物
US8716001B2 (en) 2009-02-06 2014-05-06 Cornell University Trichoderma strains that induce resistance to plant diseases and/or increase plant growth
JP2011140463A (ja) * 2010-01-07 2011-07-21 Tottori Univ 食用きのこ廃菌床を用いた植物病害の防除技術
WO2013011679A1 (ja) * 2011-07-15 2013-01-24 株式会社王樹製薬 抗菌剤とその製造方法
JP5872220B2 (ja) * 2011-09-22 2016-03-01 丸善製薬株式会社 スフィンゴ糖脂質含有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乳化物の製造方法
KR20130097582A (ko) * 2012-02-24 2013-09-0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셀룰라아제를 생산하는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당화방법
SI24489A (sl) * 2013-10-23 2015-04-30 Nacionalni Inštitut Za Biologijo Kompozicija in metoda za zaščito rastlin
CN110582205A (zh) * 2017-03-01 2019-12-17 靛蓝股份公司 内生植物组合物和用于改进植株性状的方法
CN110036855B (zh) * 2019-05-23 2022-02-01 申琳 一种调控甘薯高产与优质统一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3259A2 (en) * 1995-06-15 1997-01-15 Mayekawa Manufacturing Co., Ltd. A grass and method of introducing endophytic fungi into a grass
EP0922387A1 (en) * 1997-04-21 1999-06-16 Plant Biological Defence System Laboratories Method of screening elicitor inducing the production of phytoalexin in rice and rice disease controlling agent containing elicitor as the active ingredi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4040B2 (ko) 1973-06-23 1981-10-16
JPS55149205A (en) 1979-05-10 1980-11-20 Noda Shiyokukin Kogyo Kk Agent for accelerating color development and increasing saccharide in citrus fruits
JPS5644040A (en) 1979-09-17 1981-04-23 Katsuyoshi Kojima Production of porous adsorbent-desorbent
JPS5748087A (en) 1980-09-03 1982-03-19 Fuji Seiko Honsha Safe-deposit box equipment
JPS57152883A (en) 1981-03-16 1982-09-21 Noda Sangyo Kagaku Kenkyusho Agent for accelerating formation of fruit body of basidio-mycetes
JPH0763369B2 (ja) 1986-08-23 1995-07-12 明治乳業株式会社 新規な金属プロテア−ゼ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637598B1 (fr) * 1988-10-06 1991-10-11 Agronomique Inst Nat Rech Nouveaux sphingophospholipides a inositol, leur obten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inducteurs de resistance a diverses maladies cryptogamiques chez les vegetaux
JP3386489B2 (ja) 1992-05-29 2003-03-17 大日本製薬株式会社 ファイトアレキシンの誘導剤
JP2846610B2 (ja) 1995-11-02 1999-01-13 株式会社植物防御システム研究所 稲にファイトアレキシンの生成を誘導するエリシター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稲病害防除剤
JPH1098942A (ja) * 1996-09-27 1998-04-21 Nippon Shiryo Sakumotsu Shiyushi Kyokai ラフブルーグラスおよびラフブルーグラスへの共生菌の導入方法
JP4041186B2 (ja) 1997-07-09 2008-01-30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ファイトアレキシン誘導剤
CN102448901B (zh) 2009-03-19 2015-11-25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无碱玻璃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3259A2 (en) * 1995-06-15 1997-01-15 Mayekawa Manufacturing Co., Ltd. A grass and method of introducing endophytic fungi into a grass
EP0922387A1 (en) * 1997-04-21 1999-06-16 Plant Biological Defence System Laboratories Method of screening elicitor inducing the production of phytoalexin in rice and rice disease controlling agent containing elicitor as the active ingred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16989B2 (en) 2008-01-08
EP2286664A1 (en) 2011-02-23
EP1421850B1 (en) 2012-11-28
BR0212246A (pt) 2004-10-05
JP4376625B2 (ja) 2009-12-02
CN100396180C (zh) 2008-06-25
EP1421850A1 (en) 2004-05-26
US20040198604A1 (en) 2004-10-07
EP1421850A4 (en) 2004-09-15
ES2400237T3 (es) 2013-04-08
CN1556670A (zh) 2004-12-22
JPWO2003020032A1 (ja) 2004-12-16
KR20040029095A (ko) 2004-04-03
WO2003020032A1 (fr) 200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rbanda et al. Integrated management of canola diseases using cultural methods
KR100754053B1 (ko) 식물의 병해 내성-유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A2915941C (en) Compositions comprising pesticide precurso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e
Narayanasamy et al. Mechanisms of action of fungal biological control agents
WO2018102345A1 (en) Use of the antifungal aureobasidin a in agriculture
CA2820392A1 (en) Mixtures of mustard plant material for the control of pests and methods of making
John et al. Role of Allelopathy in vegetables crops production.
Abada et al. Management of pepper Verticillium wilt by combinations of inducer chemicals for plant resistance, bacterial bioagents and compost
US20130085117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Plant Material and Sugar For The Control of Pests and Methods of Making
KR101143033B1 (ko)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2014003067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Smith et al. Suppression of cereal pathogens by canola root tissues in soil
CN113767918A (zh) 一种防治芋艿烂芋皮病的方法
Al-Askar et al. Improving growth and productivity as well as controlling Sclerotium rolfsii in Jerusalem Artichoke using biotic and abiotic agents
Obilo et al. The use of plant extracts in the control of Aspergillus niger in the rot of yam (Dioscorea spp.) during storage
AE Hassan et al. Incidence of root-rot and wilt disease complex of olive trees in New Valley Governorate in Egypt and its control
Sibounnavong et al. A new mycofungicide Emericella nidulans against tomato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in vivo.
Awad Integrated management of Rhizoctonia Root rot disease infecting strawberry in Egypt
Salman Biological control of Rhizopus soft rot on apple, pear and peach by Trichoderma harzianum
Lee Bio-control of the soil-borne pathogen Rhizoctonia solani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by Trichoderma species
Jain et al. Identification of Etiological Agent of Telya Disease of Pomegranate, its Pathogenesis and Control using Integrated Management Approach
Abdel-Kader et al. Efficacy of different plant resistance inducers against downy and powdery mildew diseases of pepper under plastic houses conditions
Nwaogu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aqueous leaf and peel extracts of Musa species for low-input management of fungal leaf spots of sweet potato (Ipomea batatas Linn.)
Amer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Some Plant Extracts Against Rhizoctonia solani, the Causal Agent of Damping-off Cotton Disease
Morsy Effect of some Soil Amendments on Damping-Off and Charcoal-Rot as well as on Sunflower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