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925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925B1
KR100753925B1 KR1020060018068A KR20060018068A KR100753925B1 KR 100753925 B1 KR100753925 B1 KR 100753925B1 KR 1020060018068 A KR1020060018068 A KR 1020060018068A KR 20060018068 A KR20060018068 A KR 20060018068A KR 100753925 B1 KR100753925 B1 KR 10075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ptacle
guide
pai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462A (ko
Inventor
슈헤이 아쿠타가와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와 리셉터클로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의 리셉터클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작게 하여, 리셉터클의 포스트 중 그것에 대응하지 않는 포스트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리셉터클로부터 플러그를 빼낼 때에 경사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위치맞춤분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구성하는 부재 중, 예컨대 전자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한 셀등의 금속제의 부재에, 가이드부와 피가이드부를 형성한다. 가이드부는, 각각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한쌍의 홈형상의 절결부이고, 피가이드부는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거의 장방형상의 돌기이다.
커넥터, 접속, 플러그, 리셉터클, 노이즈, 위치 맞춤, 위치 어긋남, 파손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시형태에 관계하는 커넥터(Connector)의 플러그(Plug)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우측면도, 도 1c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d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러그 하우징(Housing)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우측면도, 도 2c는 도 2a의 A-A단면도, 도 2d는 도 2c의 B-B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상기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러그 셀(Cell)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평면도, 도 3b는 우측면도, 도 3c는 도 3a의 C-C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상기 일실시형태에 관계하는 커넥터의 리셉터클(Receptacle)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평면도, 도 4b는 정면도, 도 4c는 우측면도, 도 4d는 평면단면도.
도 5a 및 5b는, 상기 일실시형태의 효과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5a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플러그가 삽입·빼기시의 정상적인 방향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커넥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전기기기(電氣機器)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컨대, 일본국 특개2001-22305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전기기기에 설치되는 플러그(Plug)와 리셉터클(Receptacle)로 구성되고, 플러그가 설치된 전기기기와 리셉터클이 설치된 전기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가 제공되어 있다. 리셉터클에 설치된 삽입 요부(凹部)에 플러그가 삽입되면, 플러그에 유지된 콘택트(Contact)와 리셉터클에 유지된 포스트(Post)가 접촉되어,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전기적으로 도통(導通)된다.
일반적으로,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결합시킬 때에 플러그의 리셉터클에 대한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플러그의 콘택트가 그것에 대응하는 리셉터클의 포스트에 접촉하지 않고, 인접하는 다른 콘택트에 대응하는 포스트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플러그의 리셉터클에 대한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 커넥터에서는, 예컨대, 플러그의 접속부의 폭방향의 치수와 리셉터클의 삽입 요부의 폭방향의 치수를 거의 동등하게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을, 리셉터클 본체의 접속부 등에 접촉시키면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플러그의 접속부와 리셉터클의 삽입 요부의 위치맞춤을 행하고 있다,
그런데, 플러그 하우징이나 리셉터클 본체는, 비교적 기계적 강도가 낮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잡아당겨 빼낼때에, 플러그의 전후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힘이 가해지면, 플러그 하우징 및 리셉터클 본체 중, 플러그의 리셉터클에 대한 위치맞춤 부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고, 플러그 하우징 및/ 또는 리셉터클 본체가 파손되는 일이 있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플러그(1)를 리셉터클(2)로부터 빼낼 때에 플러그(1)의 후단(後端)에 우측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플러그(1)의 삽통구멍(34)의 우측 벽의 전단부(前端部)가 리셉터클(2)의 접속부(62)에 접촉함과 함께, 리셉터클 셀(7)의 전단과 플러그(1)의 접속부(33)가 접촉한다. 그리고, 리셉터클 셀(7)의 전단과 플러그(1)의 접속부(33)와의 접촉위치를 지점으로 하는 「지레의 원리」에 의해, 삽통구멍(34)의 우측 벽의 전단부나 접속부(62)에 큰 힘이 가해진다.
그 결과, 플러그 하우징(3)의 삽통(揷通)구멍(34)의 우측의 벽이나 리셉터클 본체(6)의 접속부(62)가 파손되는 일이 있었다. 이와같이 플러그(1)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 파손되면, 결과적으로 위치 어긋남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가 없고, 플러그(1)의 리셉터클(2)에 대한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콘택트(5a)가 원래 대응해야 할 포스트(8a)가 아니라, 인접하는 다른 포스트(8b)에 접촉한다.
그래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1)가 경사방향으로 되었다고 하더라도, 플러그(1)의 접속부(33)가 리셉터클(2)의 접속부(62)나 리셉터클 셀(7)에 접 촉하지 않도록 각 구성부의 치수를 설정하면, 플러그(1)의 리셉터클(2)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없고, 역시 콘택트(5a)와 대응하지 않는 포스트(8b)가 접촉하여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의 리셉터클에 대한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작게 하여, 리셉터클의 포스트 중 그것에 대응하지 않는 포스트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리셉터클로부터 플러그를 빼낼 때에 경사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위치 맞춤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관계하는 커넥터는, 복수의 콘택트를 병렬로 유지하는 플러그 하우징을 갖는 플러그와,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 요부를 갖고, 삽입 요부내에 복수의 포스트를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 유지한 리셉터클로 구성되고, 리셉터클의 삽입 요부에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에, 플러그의 콘택트와 리셉터클의 포스트가 접촉되어 도통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및 리셉터클중 한쪽의 금속제의 부재에, 상기 플러그의 상기 리셉터클에 대한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또한 상기 포스트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외측방향의 면을 가이드면으로 하는 한쌍의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다른쪽면의 금속제의 부재에,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의 가이드면에 각각 접촉하는 한쌍의 피(被)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쌍의 가이드부와 그것에 접촉하는 한쌍의 피가이드부에 의해, 플러그의 리셉터클에 대한 포스트의 배열 방향, 즉, 폭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맞춤이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플러그의 콘택트가, 리셉터클의 포스트 중 그것에 대응하지 않는 포스트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 및 피가이드부가 함께 기계적 강도가 높은 금속성의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리셉터클로부터 플러그를 빼낼 때에, 플러그에 비스듬하게 힘이 가해지더라도, 가이드부 및 피가이드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매우 작다. 그 때문에,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대하여 반복 삽입·빼기하더라도, 플러그의 리셉터클에 대한 위치 맞춤 기능은 유지된다. 더욱이, 종래의 커넥터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부재를 플러그의 위치 어긋남 방지에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합성 수지제의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하는 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의 리셉터클에 대한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각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비교적 기계적 강도가 높은 플러그 셀 및 리셉터클 셀에 가이드부 및 피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이다.
먼저, 플러그(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도 1d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커넥터의 플러그(1)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플러그(1)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플러그 하우징(3)과, 전자 노이즈(Noise)를 차폐하기 위한 금속제의 플러그 셀(4)을 구비하고 있다. 도 2a∼도 2d는 플러그 하우징(3)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a 및 도 3b는 플러그 셀(4)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3)은, 각각 금속 등의 도체(導體)로 형성된 복수개의 콘택트(5)를 폭방향으로 배열 유지하는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폭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아암부(Arm, 3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31)의 전단에는, 후술하는 리셉터클(2)의 삽입 요부(21)에 삽입되는 접속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속부(33)는, 본체부(31)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폭방향의 치수 및 높이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c 및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31)에는, 삽통구멍(34)이 본체부(31)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통구멍(34)의 저면에는, 전후로 개방된 복수의 유지홈(34a)이 설치되어 있고, 각 유지홈(34a)에는 각각 1개의 콘택트(5)가 유지되어 있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5)는, 길고 가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굽힘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5)는, 유지홈(34a)에 수납 유지되는 유지부(51)와, 유지부(51)의 전단으로부터 윗쪽으로 거의 U자 형상으로 구부려져 있고, 상하방향으로 판스프링으로서 기능하고, 후술하는 포스트(8)와 접촉되는 접촉부(52)와, 유지부(51)의 후단으로부터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구부려져 형성된 후에 뒷쪽으로 연장 설치된 단자부(53)를 갖고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콘택트(5)끼리에서는, 단자부(53)의 위치가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어 긋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셀(4)은, 예컨대, 1개의 금속판에 타발가공과 굽힘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셀(4)은, 플러그 하우징(3)의 위쪽에 배치되는 본체부(41)와, 본체부(41)의 좌우의 단(端)으로부터 플러그 하우징(3)의 양 아암부(32)를 좌우에서 끼우도록 각각 아랫쪽으로 구부려져 형성된 돌기부(42)와, 각 돌기부(42)로부터 각각 앞쪽에 연장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판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아암부(43)를 갖고 있다. 본체부(41)의 전단부는, 플러그 하우징(3)의 접속부(33)를 따르도록, 아랫쪽으로 단면이 거의 L자 형상으로 구부려져 있다.
플러그 셀(4)의 각 아암부(43)의 선단부 근방은, 폭방향에 있어서의 서로의 거리가 근본부분보다도 짧아지도록 구부려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아암부(43)의 선단부 근방의 상단에는, 각각 폭방향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부러진 걸림고리(44)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걸림고리(44)의 폭방향의 단면은, 앞쪽만큼 돌출치수가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셀(4)의 돌기부(42)보다 앞쪽에서, 본체부(41)의 폭방향의 양단에, 또한 아암부(43)보다 안쪽의 위치에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결합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폭방향에 있어서의 본체부(41)의 결합부(45)의 안쪽에 인접하도록, 결합구멍 45a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돌기부(42)의 하단부 근방에는, 결합구멍 42a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셀(4)의 본체부(41) 중, 플러그 하우징(3)의 접속부(33)의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앞쪽방향의 거의 コ자 형상의 슬릿(Slit)이 2곳에 형성되어 있고, 슬릿에 둘러싸여진 부위가 윗쪽으로 구부려져 세워져서 어스 스프링(Earth Spring, 46)이 형성되어 있다. 어스 스프링(46)은, 플러그 하우징(3)의 접속부(33)의 상단보다 윗쪽으로 돌출하여 있고, 상하방향으로 스프링성을 갖고 있다. 플러그(1)와 리셉터클(2)이 결합되었을 때에는, 이 어스 스프링(46)이 리셉터클 셀(7)에 접촉하고, 양쪽이 도통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 셀(4)의 전위를 리셉터클 셀(7)의 전위와 같게 할 수가 있다.
플러그 셀(4)의 본체부(41)의 어스 스프링(46)의 폭방향의 외측 양쪽 이웃에는, 각각 피가이드부로서 기능하는 피가이드돌기(47)가 형성되어 있다. 피가이드돌기(47)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긴 거의 장방형상의 돌기이고, 그 전후방향 전단과 후단이 각각 윗쪽으로 절결되어 세워져서 형성되어 있다. 피가이드돌기(47)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플러그 하우징(3)의 각 아암부(32)의 외측면의 전후방향의 중간부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쪽이 앞쪽보다 돌출된 단차부(32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차부(32c)의 앞쪽 및 뒷쪽에는, 각각 플러그 셀(4)의 돌기부(42) 및 결합부(45)에 형성된 결합구멍 42a 및 45a에 대응하는 결합돌기 32a 및 3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결합돌기 32a 및 32b가, 각각 대응하는 결합구멍 42a 및 45a에 결합됨으로써, 도 1c 및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셀(4)과 플러그 하우징(3)이 결합된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3)의 본체부(31)의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긴 거의 직방체 형상의 결합 돌기(31a)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그에 따라서, 플러그 셀(4)의 본체부(41)에는, 상면에서 보아서, 결합돌기 31a와 거의 같은 형상의 결합구멍 41a(도 3a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 셀(4)을 플러그 하우징(3)에 결합시킬 때, 결합돌기 31a가 결합구멍 41a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플러그 셀(4)이 플러그 하우징(3)에 대하여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플러그 하우징(3)의 상면에는, 플러그 셀(4)의 두께와 거의 같은 정도의 깊이를 갖고, 또한 플러그 셀(4)의 본체부(41)의 형상의 일부와 거의 같은 형상의 요부(3a)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 셀(4)을 플러그 하우징(3)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플러그 셀(4)의 본체부(41)는 플러그 하우징(3)의 요부(3a)에 수납되고, 플러그 하우징(3)의 윗쪽으로는 돌출하지 않는다.
상면에서 보아서, 플러그 하우징(3)의 요부(3a)의 폭방향의 양쪽 이웃에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수납홈(3b)이 설치되어 있고, 플러그 셀(4)의 아암부(43)의 선단부 근방은, 이 수납홈(3b)에 수납된다. 수납홈(3b)의 전단부는 각각 접속부(33)의 좌우에도 개방되어 있고, 플러그 셀(4)의 아암부(43)의 걸림고리(44)는, 상면에서 보아서 접속부(33)의 양측부에서 폭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수납홈(3b)의 폭치수는, 상면에서 보아서, 걸림고리(44)의 전체가 접속부(33)에 겹칠때 까지, 아암부(43)가 휘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1)는, 후술하는 리셉터클(2)의 삽입 요부(21; 도 4 b 및 도 4d 참조)에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플러그 하우징(3) 및 플러그 셀(4)을 덮는 커버(Cover, 9)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9)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플러그 하우징(3) 및 플러그 셀(4)의 위쪽을 덮는 제1의 커버체(91)와, 플러그 하우징(3) 및 플러그 셀(4)의 아래쪽을 덮는 제2 커버체(92)로 구성되어 있다. 제1의 커버체(91)와 제2의 커버체(92)는, 제1의 커버체(9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제2의 커버체(9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S)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커버(9)의 폭방향의 양측벽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거의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폭방향의 안쪽으로 휠 가능성 있는 스프링부(92a)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스프링부(92a)는, 그 후단만에 있어서, 제2의 커버체(92)의 다른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스프링부(92a)의 전단부 근방에는, 각각 조작돌기(92b)가 폭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92a)는, 커버(9)가 플러그 하우징(3) 및 플러그 셀(4)을 덮도록 장착된 상태에서, 플러그 셀(4)의 아암부(43)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돌기(92b)를 커버(9)의 안쪽으로 밀어넣으면, 스프링부(92a)가 탄성변형하여, 플러그 셀(4)의 아암부(43)를 안쪽으로 휘게한다. 또한, 제1의 커버체(91)의 상면에는, 플러그(1)를 손으로 파지하여 리셉터클에 삽입·빼기할 때에,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각각 좌우로 긴 3개의 미끄럼방지 돌기(91a)가 전후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리셉터클(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도 4d는 그 리셉터클(2)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a∼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2)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리셉터클 본체(6)와, 리셉터클 본체(6)의 폭방향으로 배열유지된 복수의 포스트(8)와, 금속판으로 거의 각통(角筒)형상으로 형성된 리셉터클 셀(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셀(7)은, 리셉터클 본체(6)에 결합되고, 플러그(1)가 끼워 맞추어지는 삽입 요부(21)를 구성함과 함께, 전자 노이즈를 차폐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본체(6)는, 폭방향에 긴 본체부(61)와, 본체부(6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설치되고, 플러그(1)의 삽통구멍(34)에 삽입되는 접속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62)는, 그 높이방향의 치수 및 폭방향의 치수가 각각 본체부(61)의 그것들보다 작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62)의 하면에는, 각각 전후로 연장되고, 또한 후단이 개방된 복수의 수납 홈(62a)이 형성되어 있고, 각 수납홈(62a)에는, 각각 1개의 포스트(8)의 일부가 수납되어 있다.
포스트(8)는, 길고 가는 띠형상의 금속판을 굽힘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포스트(8)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6)의 수납홈(62a)에 수납되고, 콘택트(5)의 접촉부(52)와 접촉하는 접촉부(81)와, 접촉부(81)의 앞쪽에 연장 설치되고, 리셉터클 본체(6)의 본체부(61)내에 유지된 유지부(도시하지 않음)와, 유지부의 앞쪽에 연장되어, 예컨대, 전기기기내의 프린트배선판(도시하지 않음)에 실장(實裝)되는 단자부(82)를 갖고 있다. 유지부는, 리셉터클 본체(6)의 본체부(61)에 있어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부(82)의 하면이 리셉터클 셀(7)의 하면과 거의 같은 면으로 되도록 구부려져 있다.
도 4b 및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셀(7)은, 1개의 금속판의 양단이 리셉터클 본체(6)의 하면의 폭방향의 중간부에서 맞대어지도록 구부러져서, 그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리셉터클 본체(6)에 의해 폐색(閉塞)된 각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리셉터클 셀(7)에 의해 둘러싸여진 삽입 요부(21)가 형성됨과 함께, 삽입 요부(21)의 바닥에는 접속부(62)가 위치하게 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셀(7)의 상면의 폭방향의 양단부 근방에는, 각각 결합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리셉터클 본체(6)의 본체부(61)의 상면의 폭방향의 양단부 근방에는, 각각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결합 돌기(6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본체(6)의 본체부(61)의 하면의 폭방향의 중앙부 근방에는, 폭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결합 요부 61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리셉터클 셀(7)의 하면의 폭방향의 중앙부 근방에는, 상기 금속판의 일부를 구부려 세워서 결합부 72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4a 및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본체(6)의 본체부(61)의 상면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결합요부 61c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리셉터클 셀(7)의 상면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 금속판의 일부를 구부려 세워서 결합부 73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셀(7)을 리셉터클 본체(6)에 결합시키면, 리셉터클 본체(6)의 결합돌기(61a)는 각각 리셉터클 셀(7)의 결합구멍(71)에 끼워맞추어지고, 리셉터클 본체(6)의 각 결합요부 61b 및 61c에, 각각 리셉터클 셀(7)의 결합부 72 및 73이 결합된다. 그 결과, 리셉터클 본체(6)와 리셉터클 셀(7)은,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양쪽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셀(7)의 폭방향의 양측벽에는, 각각 걸림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1)의 접속부(33)가 리셉터클(2)의 삽입 요부(21)에 삽입될 때, 플러그 셀(4)의 아암부(43)의 걸림고리(44)가 리셉터클 셀(7)의 좌우의 벽에 접촉함으로써 아암부(43)가 휘어지고, 걸림고리(44)가 리셉터클 셀(7)의 양측벽의 내면을 접동(摺動)한다. 그리고, 걸림고리(44)가 걸림구멍(74)에 끼워넣어지고, 아암부(43)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그 결과, 플러그(1)의 리셉터클(2)로부터의 빼기금지가 이루어진다.
더욱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셀(7)의 상면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중간부에는, 후단측에 해방된 2개의 가이드 절결부(75)가 폭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절결부(75)는, 전술한 가이드부로서 기능한다. 도면중 우측의 가이드 절결부(75)의 좌측단면과 좌측의 가이드 절결부(75)의 우측단면은, 각각 전후방향, 즉, 플러그(1)의 삽입 요부(21)에의 삽입·빼기 방향에 평행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리셉터클(2)의 삽입 요부(21)에 플러그(1)의 접속부(33)를 삽입하면, 리셉터클 본체(6)의 접속부(62)가 플러그 하우징(3)의 삽통구멍(34)에 삽입되고, 각 콘택트(5)의 접촉부(52)가 각각 대응하는 포스트(8)의 접촉부(81)에 개별적으로 접촉한다. 그 결과, 각 콘택트(5)와 그것들에 대응하는 포스트(8)가 도통된다.
플러그(1)를 리셉터클(2)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조작돌기(92b)를 커버(9)의 안쪽으로 밀어넣고, 아암부(43)를 휘게 하여 걸림고리(44)와 걸림구멍(74)과의 결합을 해제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조작돌기(92b)의 폭방향의 외측의 면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긴 복수의 홈형상의 미끄럼방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돌기(92b)를 밀어넣으면서 플러그(1)를 삽입 요부(21) 로부터 빼낼 때에, 손이 미끄러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인 플러그(1)의 리셉터클(2)에 대한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로서 기능하는 리셉터클 셀(7)의 가이드 절결부(75) 및 플러그 셀(4)의 피가이드돌기(47)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플러그 셀(4)에 형성된 2개의 피가이드돌기(47)의 간격은, 리셉터클 셀(7)에 형성된 가이드 절결부(75)의 간격보다 약간 크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1)를 리셉터클(2)의 삽입 요부(21)에 대하여 삽입·빼기할 때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중 우측의 피가이드돌기(47)가 우측의 가이드 절결부(75)의 좌단면에 접촉하고, 좌측의 피가이드돌기(47)가 좌측의 가이드 절결부(75)의 우단면에 접촉한다. 그것에 의해, 플러그(1)는 리셉터클(2)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가능하게 안내된다. 바꾸어 말하면, 우측의 가이드 절결부(75)의 좌단면과 좌측의 가이드 절결부(75)의 우단면이 각각 가이드면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플러그(1)의 접속부(33)가 완전히 삽입 요부(2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각 콘택트(5)가 각각 대응하는 포스트(8)에 접촉함과 함께, 각 피가이드돌기(47)가 각각 가이드면에 접촉하고, 플러그(1)는 리셉터클(2)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위치맞춤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러그(1)를 리셉터클(2)의 삽입 요부(21)로부터 빼낼 때에, 플러그(1)에 경사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어느쪽의 피가이드돌기(47)가 그것에 대응하는 가이드 절결부(75)의 가이드면에 접촉하고, 플러그(1)는 리셉터클(2)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거의 변위할 수가 없다. 그 때문에, 리셉터클(2)의 삽입 요부(21)내의 콘택트(5a)가, 그것에 대응하지 않는 포스트(8b)에 접촉하는 일이 방지된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가이드돌기(47)를 잘라 세움으로써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피가이드돌기(47)를 조임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치수정밀도가 향상된다. 더욱이, 피가이드돌기(47)와 주위와의 단차(段差)가 예리하게 형성되므로, 피가이드돌기(47)와 가이드 절결부(75)의 내면과의 접촉면적이 커지고, 플러그(1)의 리셉터클(2)에 대한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런데, 가이드 절결부(75)의 주변부나 피가이드돌기(47)는 금속제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파손되기 어렵다. 그러나, 가이드 절결부(75)의 주변부나 피가이드돌기(47)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서는, 이들의 부분이 파손될 수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가이드돌기(47)나 가이드 절결부(75) 주변의 파손을 막기 위해서, 가이드 절결부(75)의 폭방향의 치수를 피가이드돌기(47)의 폭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하고 있다.
가이드 절결부(75)의 폭방향의 치수를 피가이드돌기(47)의 폭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함에 있어서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면으로 기능하는 우측의 가이드 절결부(75)의 좌단면과 좌측의 가이드 절결부(75)의 우단면의 거리를, 우측의 피가이드돌기(47)의 좌단면과 좌측의 피가이드돌기(47)의 우단면의 거리와 거의 같게 하고, 또한 허용가능한 공차분만큼 짧게 하고, 우측의 가이드 절결부(75)의 우단면과 좌측의 가이드 절결부(75)의 좌단면의 거리를, 우측의 피가이드돌기(47)의 우단면과 좌측의 피가이드돌기(47)의 좌단면과의 거리보다 허용가능한 공차분 이상으로 대폭 길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1)가 리셉터클(2)의 삽입 요부(21)로부터 빼내질 때에 플러그(1)의 후단에 폭방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피가이드돌기(47)가 가이드 절결부(75)로부터 빠져서 플러그(1)가 경사방향으로 되고, 다른쪽의 피가이드돌기(47)가 가이드 절결부(75)내에서 방향을 바꿀 수가 있다. 그 때문에, 피가이드돌기(47)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피가이드돌기(47)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도 2a 및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3)의 접속부(33)의 폭방향의 양측부 근방에는, 각각 접속부(33)의 폭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한 요부(33a) 및 삽통구멍(34) 전단부의 폭방향의 양단을 개방하는 절결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접속부(33)의 양측부에 요부(33a)를 형성함으로써, 접속부(33)의 양측부와 리셉터클(2)의 삽입 요부(21)의 개구의 테두리부의 간섭을 적게할 수가 있다. 또한, 절결부(34b)에 의해, 삽통구멍(34)중 앞쪽의 개구 테두리와 리셉터클(2)의 접속부(62)의 간섭을 적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피가이드돌기(47)가 가이드 절결부(75)로부터 빠져서 플러그(1)가 경사방향으로 되었을 때라도, 플러그(1)의 접속부(33)가 리셉터클(2)의 접속부(62)나 리셉터클 셀(7)에 접촉함으로써 플러그 하우징(3)의 접속부(33)나 리셉터클 본체(6)의 접속부(62) 등 수지로 성형된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가이드돌기(47)와 가이드 절결부(75)로 플러그(1)가 위치맞춤이 이루어지므로, 플러그(1)의 접속부(33)와 리셉터클(2)의 접촉에 의해 플러그(1)를 위치맞춤 할 필요가 없고, 상기와 같은 요부(33a)나 절결부(34b)를 설치할 수가 있다.
더욱이, 리셉터클 셀(7)의 걸림구멍(74)에 플러그 셀(4)의 아암부(43)의 걸림고리(44)가 걸려진 상태에서, 플러그 셀(4)의 아암부(43)의 외측면이 접속부(33)의 요부(33a)의 내면보다 좌우로 돌출하도록, 요부(33a)의 치수나 아암부(43)의 형상을 설정하여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그 경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1)의 경사방향으로 되었을 때에는, 접속부(33)의 요부(33a)에 진입한 리셉터클 셀(7)에 의해 플러그 셀(4)의 아암부(43)가 가압되어, 아암부(43)가 휘어지고, 걸림고리(44)와 걸림구멍(74)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플러그(1)의 리셉터클(2)로부터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걸림고리(44)가 걸림구멍(74)에 걸려진 상태에서 플러그(1)가 후방으로 당겨짐으로써 걸림고리(44)나 아암부(43)의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플러그 하우징(3)의 접속부(33)의 요부(33a)의 깊이치수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피가이드돌기(47)의 전단측과 가이드 절결부(75)의 가이드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플러그(1)를 리셉터클(2)에 대하여 도면중 좌측주위로 회전시켰을 때에, 콘택트(5a)가 그것에 대응하지 않는 포스트(8b)에 접촉하기 전에, 요부(33a)의 내면이 삽입 요부(21)의 개구 테두리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부(33a)의 깊이치수를 이렇게 설정하면, 플러그(1)의 리셉터클(2) 에 대한 경사가, 콘택트(5a)가 그것에 대응하지 않는 포스트(8b)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경사로 제한되기 때문에, 콘택트(5a)와 그것에 대응하지 않는 포스트(8b)와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플러그(1)의 리셉터클(2)에 대한 경사를 상기한 정도로 제한함에 있어서는, 플러그(1)의 플러그 하우징(3)의 접속부(33)와 리셉터클(2)의 삽입 요부(21)의 개구 테두리의 접촉을 이용하는 대신에, 가이드 절결부(75)의 가이드면에 대향하는 면과 피가이드돌기(47)의 접촉을 이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플러그(1)의 접속부(33)와 삽입 요부(21)의 개구 테두리의 접촉을 이용하는 쪽이, 피가이드돌기(47)에 과대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고, 피가이드돌기(47)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1)가 리셉터클(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플러그 셀(4)의 피가이드돌기(47)가 리셉터클 셀(7)의 가이드 절결부(75)의 가이드면에 접촉함으로써 플러그(1)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되어, 콘택트(5a)가 그것에 대응하지 않는 포스트(8b)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플러그(1)의 위치 어긋남을, 종래의 커넥터와 같이 수지제의 플러그 하우징(3)의 접속부(33)에 의해 방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접속부(33)에 요부(33a)나 절결부(34a)를설치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해 플러그(1)를 경사방향으로 빼내는 경우에도 플러그 하우징(3) 및 리셉터클 본체(6)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피가이드돌기(47) 및 가이드 절결부(75)를 갖는 플러그 셀(4) 및 리셉터클 셀(7)이, 각각 기계적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러그(1) 를 경사방향으로 빼내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종래의 커넥터에 비교하여 파손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기능이 손상되기 어려워져서, 콘택트(5a)가 그것에 대응하지 않는 포스트(8b)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피가이드돌기(47) 및 가이드 절결부(75)를, 각각 전자 노이즈를 차폐하기 위한 플러그 셀(4) 및 리셉터클 셀(7)에 설치하였으므로, 종래의 커넥터에 비교하여 부품수가 증가할 일도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일실시형태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한쪽의 금속제의 부재에, 플러그의 리셉터클에 대한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또한 포스트의 배열방향(폭방향)으로 배치된 면을 각각 가이드면으로 하는 한쌍의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다른쪽의 금속제의 부재에, 한쌍의 가이드부의 가이드면에 각각 접촉하는 한쌍의 피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가이드부 및 피가이드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포스트의 배열방향에 있어서, 한쌍의 가이드부의 가이드면의 사이의 거리를, 한쌍의 피가이드부의 접촉면의 사이의 거리와 거의 같고, 또한 허용가능한 공차분만큼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쌍의 가이드부를, 각각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홈형상의 절결부로 하고, 한쌍의 피가이드부는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으로 형성된 거의 장방형상의 돌기로 하여도 좋다.
더욱이, 한쌍의 가이드부는, 각각 홈형상의 절결부의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한 면 중, 포스트의 배열방향의 안쪽에 위치하는 면을 가이드면으로 하고, 한쌍의 피가이드부는, 각각 거의 장방형상 돌기의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한 모서리 중, 포스트의 배열방향의 안쪽에 위치하는 면을 가이드면으로 하여도 좋다.
더욱이, 한쌍의 가이드부를 이루는 홈형상의 절결부의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한 면 중, 각각 포스트의 배열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면의 사이의 거리를, 한쌍의 피가이드부를 이루는 거의 장방형상의 돌기의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한 모서리 중, 각각 포스트의 배열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면의 사이의 거리보다 허용가능한 공차분 이상으로 길게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4-115696호에 근거하고 있고, 그 내용은, 상기 특허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합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형태에 의해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여러가지의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 있어서 분명할 것이다. 그 때문에,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쌍의 가이드부와 그것에 접촉하는 한쌍의 피가이드부에 의해, 플러그의 리셉터클에 대한 포스트의 배열 방향, 즉, 폭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맞춤이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플러그의 콘택트가, 리셉터클의 포스트 중 그것에 대응하지 않는 포스트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 및 피가이드부가 함께 기계적 강도가 높은 금속성의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리셉터클로부터 플러그를 빼낼 때에, 플러그에 비스듬하게 힘이 가해지더라도, 가이드부 및 피가이드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매우 작다. 그 때문에,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대하여 반복 삽입·빼기하더라도, 플러그의 리셉터클에 대한 위치 맞춤 기능은 유지된다. 더욱이, 종래의 커넥터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부재를 플러그의 위치 어긋남 방지에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합성 수지제의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7)

  1. 복수의 콘택트(Contact)를 병렬로 유지하는 플러그 하우징(Plug Housing)을 갖는 플러그와,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 요부(凹部)를 갖고, 삽입 요부내에 복수의 포스트(Post)를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 유지한 리셉터클(Receptacle)로 구성되고, 리셉터클의 삽입 요부에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에, 플러그의 콘택트와 리셉터클의 포스트가 접촉되어 도통(導通)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한쪽의 금속제의 부재에, 상기 플러그의 상기 리셉터클에 대한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또한 상기 포스트의 배열 방향으로 배치된 면을 각각 가이드면으로 하는 한쌍의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다른쪽의 금속제의 부재에,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의 가이드면에 각각 접촉하는 한쌍의 피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의 가이드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한쌍의 피가이드부의 접촉면의 사이의 거리와 거의 같고, 또한 허용가능한 공차분만큼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는, 각각 상기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형성된 홈형상의 절결부이고, 상기 한쌍의 피가이드부는 상기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으로 형성된 거의 장방형상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는, 각각 상기 홈형상의 절결부의 상기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한 면 중, 상기 포스트의 배열방향의 안쪽에 위치하는 면을 가이드면으로 하고, 상기 한쌍의 피가이드부는, 각각 상기 거의 장방형상 돌기의 상기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한 모서리 중, 상기 포스트의 배열방향의 안쪽에 위치하는 면을 가이드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를 이루는 상기 홈형상의 절결부의 상기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한 면 중, 각각 상기 포스트의 배열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면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한쌍의 피가이드부를 이루는 상기 거의 장방형상의 돌기의 상기 플러그의 삽입·빼기 방향에 거의 평행한 모서리 중, 각각 상기 포스트의 배열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면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상기 허용가능한 공차분 이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피가이드부를 이루는 상기 거의 장방형상의 돌기를 잘라 세움으로써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금속제의 부재는, 각각 전자 노이즈(Noise)를 차폐하기 위한 금속제의 셀(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60018068A 2004-04-09 2006-02-24 커넥터 KR100753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5696 2004-04-09
JP2004115696A JP3969400B2 (ja) 2004-04-09 2004-04-09 コネクタ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485U Division KR200389529Y1 (ko) 2004-04-09 2005-04-07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462A KR20060026462A (ko) 2006-03-23
KR100753925B1 true KR100753925B1 (ko) 2007-08-31

Family

ID=3512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068A KR100753925B1 (ko) 2004-04-09 2006-02-24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56685B2 (ko)
JP (1) JP3969400B2 (ko)
KR (1) KR100753925B1 (ko)
CN (2) CN2791943Y (ko)
TW (1) TWI254496B (ko)
WO (1) WO20050990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1727A1 (de) * 2006-08-31 2008-03-20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ungselement zum Verbinden von elektrischen Leitern
CN101355202B (zh) * 2007-07-26 2010-06-02 长盛科技股份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CN101714727B (zh) * 2009-12-18 2012-06-20 贵州航天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机柜式电连接器
DE102013111696A1 (de) * 2013-10-23 2015-04-23 Endress + Hauser Flowtec Ag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Feldgerät sowie Feldgerät mit einer solchen Anschlussvorrichtung
CN104022396B (zh) * 2014-05-29 2016-06-15 立讯精密工业(昆山)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KR200484263Y1 (ko) * 2016-01-25 2017-08-21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전자기기용 플러그 커넥터
JP6818418B2 (ja) * 2016-02-26 2021-01-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ェルを有す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6757572B2 (ja) * 2016-02-26 2020-09-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ロック機構を有するシェル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07732571B (zh) * 2017-09-05 2023-12-26 南京康尼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轨道交通车辆的电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9075A (ja) * 1988-10-27 1990-05-07 Mazda Motor Corp 金属基板を有する集積回路
JPH1197107A (ja) * 1997-07-14 1999-04-09 Molex Inc 極性決め機構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0215948A (ja) * 1999-01-26 2000-08-04 Sony Corp シ―ルドコネクタ
JP2001223057A (ja) * 2000-02-09 2001-08-17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3837A (en) * 1984-05-21 1987-03-31 Stewart Stamping Corp. Jack and connector
EP1419561B1 (en) 2001-05-25 2010-07-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9075A (ja) * 1988-10-27 1990-05-07 Mazda Motor Corp 金属基板を有する集積回路
JPH1197107A (ja) * 1997-07-14 1999-04-09 Molex Inc 極性決め機構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0215948A (ja) * 1999-01-26 2000-08-04 Sony Corp シ―ルドコネクタ
JP2001223057A (ja) * 2000-02-09 2001-08-17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PO조사보고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39520A (zh) 2006-09-27
JP2005302482A (ja) 2005-10-27
TW200541169A (en) 2005-12-16
WO2005099046A1 (ja) 2005-10-20
CN2791943Y (zh) 2006-06-28
TWI254496B (en) 2006-05-01
JP3969400B2 (ja) 2007-09-05
US20060270267A1 (en) 2006-11-30
US7156685B2 (en) 2007-01-02
KR20060026462A (ko)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925B1 (ko) 커넥터
KR101025638B1 (ko) 커넥터
KR100800209B1 (ko) 커넥터의 피팅부에 탄성 가동부가 있는 셀을 구비한 전기커넥터
US5941733A (en) Universal serial bus plug connector
US6908345B2 (en) Electric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EP1641083B1 (en) A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1521335B1 (en) Connector system
US700479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0106261A (ko) 잠금해제 레버의 파손을 방지하는 개선된 효과를 갖는커넥터
EP1863134B1 (en) A connector
WO2012095934A1 (en) Terminal locking structure in connector housing
JP5238481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60134043A1 (en) Connector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US9331428B2 (en) Connector mateable with mating connector and having lock structure including lock member and operation member which is operable to move lock member
KR100446796B1 (ko) 커넥터
CN112018535A (zh) 电连接器组装体
KR200389529Y1 (ko) 커넥터
JPH0650278U (ja) ソケット型多極コネクタ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US6383030B1 (en) Electrical connector
JP3309367B2 (ja) Lifコネクタ
JPH10199615A (ja) Lifコネクタ
JP7453756B2 (ja) コネクタ
JP7001965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