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423B1 -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이 기재를 사용한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이 기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이 기재를 사용한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이 기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423B1
KR100750423B1 KR1020040047460A KR20040047460A KR100750423B1 KR 100750423 B1 KR100750423 B1 KR 100750423B1 KR 1020040047460 A KR1020040047460 A KR 1020040047460A KR 20040047460 A KR20040047460 A KR 20040047460A KR 100750423 B1 KR100750423 B1 KR 100750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tape
base material
cal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405A (ko
Inventor
나카가와요시오
시라이마사토
후지와라슈조
가와구치요시히데
우케이히로이치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 B29C43/245Adjusting calender parameters, e.g. bank quant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에 의해 압연됨으로써 수득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는 각각의 캘린더 롤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모터를 구비한 수단, 또는 각각의 캘린더 롤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변속기를 구비한 수단 등을 들 수 있다. 캘린더 롤의 개수는 4개이고 롤의 배열은 "ㄱ"자형일 수도 있다. 감압성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이 기재를 사용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이 기재의 제조방법{BASE MATERIAL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USING THE BASE MATERIAL,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BASE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압연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캘린더 장치의 일례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압연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캘린더 장치의 다른 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 장치"의 캘린더 롤 및 그 모터를 포함한 주요부
2: 제 1 캘린더 롤
2a: 제 1 캘린더 롤(2)을 구동하는 모터
2b: 제 1 캘린더 롤(2)의 회전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변속기
3: 제 2 캘린더 롤
3a: 제 2 캘린더 롤(3)을 구동하는 모터
3b: 제 2 캘린더 롤(3)의 회전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변속기
4: 제 3 캘린더 롤
4a: 제 3 캘린더 롤(4)을 구동하는 모터
4b: 제 3 캘린더 롤(4)의 회전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변속기
5: 제 4 캘린더 롤
5a: 제 4 캘린더 롤(5)을 구동하는 모터
5b: 제 4 캘린더 롤(5)의 회전 속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변속기
본 발명은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및 이 기재를 사용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이 기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염화바이닐계 필름을 기재로 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폴리염화바이닐 감압성 점착 테이프"로 지칭됨)는, 예를 들어 가전 제품 또는 자동차에서의 전선결속이나 전기절연, 또는 도장시의 마스킹 용도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환경 문제의 측면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염화바이닐의 사용을 억제하는 움직임이 확산되어, 폴리염화바이닐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사용에 대해서도 동일한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움직임 속에서, 기재 성분으로서 폴리염화바이닐을 사용하지 않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검토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성능면이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종래의 폴리염화바이닐 감압성 점착 테이프와 비교하여 충분한 우위성을 갖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개발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보통, 폴리염화바이닐 대체 재료로는 흔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사용된다(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참조). 또한, 이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압출 성형 또는 캘린더 성형에 의해 필름 또는 시트에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1-192629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993-194915호
(특허문헌 3)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993-47249호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1-311061호
지금까지, 폴리염화바이닐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기재로서 폴리염화바이닐 필름 또는 시트의 제조는 캘린더 롤을 사용한 압연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경우, 캘린더 압연은 보통 "ㄱ"자형으로 배치된 4개의 캘린더 롤을 1개의 모터로 구동하는 방식(단일 구동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 폴리염화바이닐 필름 또는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단일 구동 방식에 의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성막하는 경우, 각 롤(캘린더 롤) 사이의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고속 압연을 실시하기가 어려워져 생산성의 향상을 꾀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수득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또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특성 또는 물성의 편차가 커진다. 예를 들어, 응력-변형에 관한 특성의 편차가 커지면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끊김성이 저하되거나,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권취시 절단이 어려워지고, 권취 작업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생산성으로 제작되고, 물성의 편차가 감소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및 이 기재를 사용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상기 기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캘린더 압연 시스템에서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적정한 감속비가 얻어지고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고속 압연이 가능해져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물성의 편차를 감소시켜서 원하는 물성이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에 의해 압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각각의 캘린더 롤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모터를 구비한 수단, 또는 각각의 캘린더 롤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변속기를 구비한 수단이 바람직하다. 또한, 캘린더 롤의 개수가 4개이고, 롤의 배열이 "ㄱ"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의 한 면 이상에 감압성 점착제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를 사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필요한 경우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재나 부분 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점착 테이프 기재"라 지칭됨)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에 의해 압연(성막)되는 것이 중요하다.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므로, 폴리염화바이닐계 수지로 인한 환경 문제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 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에 의해 압연되어 형성되므로, 프로세스 면에서 적정한 감속비의 조건을 유지한 상태에서 고속 압연이 가능해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또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의 특성에서 물성의 편차를 감소시켜 목적하는 특성을 수득하기 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캘린더)
상기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란 캘린더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캘린더 롤(단순히 "롤"이라 지칭됨)이 각각 개별적으로 그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기능(수단)을 갖는 캘린더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캘린더가 4개의 롤로 구성되는 경우 4개의 롤이 모두 개별적으로 그 회전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를 의미한다. 즉, 각각의 롤의 회전 속도가 서로 이웃하는 롤의 회전 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전 속도를 설정(제어)할 수 있는 기능(수단)을 갖는 캘린더를 의미한다.
이러한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로는, 캘린더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롤이 각각 개별적으로 그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캘린더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압연에 의해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형성시 사용될 수 있는 캘린더 장치의 일례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서, (1)은 "각 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 장치"의 캘린더 롤 및 그 모터를 포함하는 주요부를 나타내고, (2)는 제 1 캘린더 롤, (2a)는 제 1 캘린더 롤(2)을 구동하는 모터, (3)은 제 2 캘린더 롤, (3a)는 제 2 캘린더 롤(3)을 구동하는 모터, (4)는 제 3 캘린더 롤, (4a)는 제 3 캘린더 롤(4)을 구동하는 모터, (5)는 제 4 캘린더 롤, (5a)는 제 4 캘린더 롤(5)을 구동하는 모터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캘린더 장치는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 장치이고, 제 1 캘린더 롤(2) 내지 제 4 캘린더 롤(5)은 각각 모터(2a) 내지 모터(5a)를 구비하고 있고, 독립 구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캘린더 장치는 4개의 각각의 캘린더 롤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모터가 설치되어 있어, 각 모터의 회전수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캘린더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서, 캘린더 롤의 개수는 제 1 캘린더 롤(2), 제 2 캘린더 롤(3), 제 3 캘린더 롤(4), 제 4 캘린더 롤(5)의 총 4개이다. 또한, 롤의 배열은 "ㄱ형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캘린더 장치는 4개의 캘린더 롤이 "ㄱ"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형태(소위 "ㄱ자형 4본 롤 배열"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압연에 의해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형성시 사용할 수 있는 캘린더 장치의 다른 예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서, (2b)는 제 1 캘린더 롤(2)의 회전 속도를 임의로 설정(제어)할 수 있는 변속기, (3b)는 제 2 캘린더 롤(3)의 회전 속도를 임의로 설정(제어)할 수 있는 변속기, (4b)는 제 3 캘린더 롤(4)의 회전 속도를 임의로 설정(제어)할 수 있는 변속기, (5b)는 제 4 캘린더 롤(5)의 회전 속도를 임의로 설정(제어)할 수 있는 변속기를 나타낸다. 또한, (1), (2), (3), (4) 및 (5)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2에 도시된 캘린더 장치는,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 장치이고, 제 1 캘린더 롤(2) 내지 제 4 캘린더 롤(5)은 각각 변속기(2b) 내지 변속기(5b)를 가지고 있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각각의 캘린더 롤에 설치되어 있는 변속기를 개재시킴으로써,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임의로 설정(제어)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캘린더 장치는, 4개의 각각의 캘린더 롤에, 개별적으로 조절가능한 변속기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구동력을 변속기로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의 실시양태에서는 캘린더 롤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1개이거나 각각의 캘린더 롤마다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캘린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캘린더 장치와 동일한 형태("ㄱ"자형 4본 롤 배열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는 "각각의 캘린더 롤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모터를 구비한 수단"이나, "각각의 캘린더 롤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변속기를 구비한 수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ㄱ자형 4본 롤 배열의 형태"를 갖는 캘린더 장치는 먼저 제 1 캘린더 롤(2) 및 제 2 캘린더 롤(3)에 의해 압연된 후, 제 2 캘린더 롤(3) 및 제 3 캘린더 롤(4)에 의해 압연되고, 마지막으로 제 3 캘린더 롤(4) 및 제 4 캘린더 롤(5)에 의해 압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압연에 의해, 필름 또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형성에 사용할 수 있는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 장치"에 있어서, 캘린더 롤의 재질, 개수 또는 롤 배열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캘린더 롤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합금 단조강(alloy forged steel)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표면 정밀도 면에서는 열간연마 단조강(hot polished forged stee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캘린더 롤은 각각 동일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캘린더 롤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3개 이상이다. 캘린더 롤의 개수는 3개, 4개, 5개 또는 6개가 바람직하고, 특히 4개가 바람직하다.
캘린더 롤의 롤 배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Z"자형, "L"자형 및 "ㄱ"자형 등을 들 수 있고, "ㄱ"자형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최적의 캘린더의 형태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ㄱ"자형 4본 롤 배열이다.
또한, 캘린더 롤에 모터 또는 변속기 등이 설치되는 경우, 모터 또는 변속기에 대한 종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설비 수단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 다.
또한,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어 캘린더 롤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형 4본 롤 배열의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 제 1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는 14 내지 27m/분, 제 2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는 18 내지 35m/분, 제 3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는 23 내지 46m/분, 제 4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는 30 내지 60m/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캘린더 롤은 압연시 유동 방향으로 제 1 캘린더 롤, 제 2 캘린더 롤, 제 3 캘린더 롤 및 제 4 캘린더 롤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는 압연시 유동 방향으로 서서히 증가하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는 동일한 회전 속도(또는 회전수)를 갖는 2개의 캘린더 롤의 회전에 의해 압연되어 수득된 필름 또는 시트의 길이(1분당)와 일치한다.
또한, 적정한 감속비를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캘린더 롤 사이(서로 이웃한 캘린더 롤 사이)의 속도(속도비)는, 예를 들어 양호하게 압연을 수행하는 관점에서, (고속측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저속측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가 약 1.1 내지 1.6배,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1.5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3배가 되도록 선택된다. 캘린더 롤 사이의 속도비가 상기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다.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 로 구성된다. 즉,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에서 구성 성분(수지 성분)의 주성분으로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비교적 고융점의 수지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과 상이한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예를 들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 등의 비교적 저융점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에서 구성 성분(수지 성분)의 주성분인 한, 다른 수지와 병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로는 에틸렌 성분 및 프로필렌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체 합금을 분자 골격중에 카보닐성의 산소 원자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배합하여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가 이와 같은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는 경우,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권취시 작업성(예를 들어, 유연성 또는 추종성 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압연시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우수한 생산성으로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 조성물에 의해 안정된 생산성이 가능해져 물성의 편차를 보다 감소시켜 우수한 품질의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성분 및 프로필렌 성분을 포함한 중합체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단독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에틸렌과 소량의 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함)과의 혼합물(물리적 혼합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에틸렌과 이들 이외의 다른 α-올레핀과의 3원 공중합체(다른 α-올레핀으로는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및 1-옥텐 등을 들 수 있고, 1-부텐이 바람직하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독폴리프로필렌"은 단량체 성분이 실질적으로 프로필렌만으로 이루어진(100%로 이루어짐) 중합체(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를 의미하고, "랜덤 폴리프로필렌"은 전체 단량체 성분을 기준으로 수% 정도의 에틸렌 성분이 프로필렌과 램덤하게 공중합된 폴리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경우, 에틸렌 성분과 프로필렌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체 합금으로는 2단 이상의 다단 중합에 의해 공중합된 프로필렌/에틸렌계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단 중합에 의한 공중합된 프로필렌/에틸렌계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상품명 "카탈로이(Catalloy) Q-100F", 상품명 "카탈로이 Q-200F", 상품명 "카탈로이 C200F", 상품명 "카탈로이 KS-353P"(이상, 선 알로머사(Sun Allomer Ltd.) 제품) 등이 시판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다단 중합에 의한 공중합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1-192629호 또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1-311061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탄 화합물 및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 구성된 촉매의 존재하에서 프로필렌, 및 필요한 경우 다른 α-올레핀의 다단 중합의 제 1 단계 예비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제조한 후, 제 2 단계 이후에서 상기 제 1 단계의 예비중합에서 수득된 수지 조성물의 존재하에서 프로필렌, 에틸렌, 및 필요한 경우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단계의 예비 중합에서 생성된 중합체(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제 2 단계 이후의 공중합에서 생성된 중합체(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다른 α-올레핀 공중합체)가 제 2 단계 이후의 중합 과정에서 분자 레벨로 블렌드된 중합체 합금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티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티탄 트리클로라이드 및 마그네슘 클로라이드를 공분쇄하고, n-부틸 오르토티타네이트, 2-에틸헥산올, 에틸 p-톨루일레이트, 규소 테트라클로라이드 및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 등으로 처리하여 수득된, 평균입경 15㎛인 구상 고체 촉매를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알루미늄 등의 알킬알루미늄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층에 전자 공여체로서 다이페닐다이메톡시실레인 등의 규소계 화합물, 또는 에틸 아이오다이드 등의 요오드계 화합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분자 골격 중에 카보닐성 산소 원자(카보닐기에 귀속된 산소 원자)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분자 골격중에 카보닐성 산소 원자를 갖는 연질 폴리올레핀계 수지("카보닐 기-함유 폴리올레핀계 수지"라 지칭될 수 있음)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카보닐 기-함유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에틸렌, 및 바이닐에스터계 화합물 및/또는 α,β-불포화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무수물, 에스터 및 클로라이드 등)를 사용하여 수득된 카보닐 기를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또는 그의 금속 염(아이오노머)이다. 이들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융점이 12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이다. 상기 융점은 시차주사열량계(DSC)로 JIS K 7121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바이닐 에스터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바이닐 아세테이트 등의 바이닐 알코올, 및 저급 카복실산과의 에스터(저급 카복실산의 바이닐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α,β-불포화 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α,β-불포화 카복실산의 유도체로서, α,β-불포화 카복실산의 무수물로는,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및 이타콘산 무수물을 들 수 있다. α,β-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터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사이클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작용기-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말리에이트[예를 들어, 모노메틸 말리에이트, 모노에틸 말리에이트 및 다이에틸 말리에이트 등의 (모노 또는 다이)알킬 말리에이트 등]; 및 푸마레이트[예를 들어, 모노메틸 푸마레이트 및 모노에틸 푸마레이트 등의 (모노 또는 다이)알킬 푸마레이트 등] 등을 들 수 있다. 바이닐 에스터계 화합물 및/또는 α,β-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는 바이닐 아세테이트, (메트)아크릴산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특히,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바이닐 에스터계 화합물 및/또는 α,β-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보닐 기를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또는 그의 금속염(아이오노머)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글리시딜-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및 이들의 금속염(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카보닐 기를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또는 그의 금속염(아이오노머)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로서의, 에틸렌 성분과 프로필렌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체 합금, 및 분자 골격중에 카보닐성 산소 원자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서, 에틸렌 성분 및 프로필렌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체 합금, 및 분자 골격중에 카보닐성 산소 원자를 갖는 열 가소성 수지(특히, 카보닐 기를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또는 그의 금속염)와의 비율은, 예를 들어, 전자/후자의 중량비가 약 9/1 내지 2/8(바람직하게는 8/2 내지 4/6)이 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무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로 압연함으로써 전술한 효과가 특히 현저히 발휘되고, 이로써 그 효과가 명료히 확인될 수 있다.
상기 무기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점토 등의 점토 광물;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지르코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바륨 하이드록사이드 등의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염기성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칼슘 카보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바륨 카보네이트 및 돌로마이트 등의 금속 카보네이트;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보락스 등의 금속 하이드레이트(금속 화합물의 하이드레이트); 바륨 메타보레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및 적인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화합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지르코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및 바륨 하이드록사이드 등의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염기성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및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이 난연성 부여 효과가 우수하고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 무기 화합물 이외 에도 충전제, 안료, 윤활제,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될 수 있다.
(제조방법)
또한,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의 제조방법에서는,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에 의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써 구성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필요한 경우 다른 성분을, 혼합 또는 혼련(예를 들어,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기재 구성 재료)을 제조한 후, 이 기재 구성 재료를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 장치에 도입함으로써 필름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또는 혼련에서는, 예를 들어 혼합기(예를 들어, 가압 혼련기(kneader)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혼합한 후,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 장치에 도입할 때에는 2본식 믹싱 롤이나 스트레이터 압출기를 통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 장치에 의해 필름상 또는 시트 형상으로 제조한 후 냉각하고, 필요한 경우 권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 장치에서, 라인 속도는, 예를 들어, 30m/분 이상(바람직하게는 50m/분 이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약 60m/분(예를 들어, 55 내지 65m/분)이 최적이다. 또 한, 상기 라인 속도의 상한은 약 80m/분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 장치에서의 라인 속도가 고속이면(예를 들어, 30 내지 80m/분), 수득되는 필름 또는 시트 표면의 형상이 양호할 수 있고, 이는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또한, 캘린더 장치가 상기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ㄱ"자형 4본 롤의 캘린더 장치인 경우, 전술한 라인 속도는 제 4 캘린더 롤(5)의 회전 속도와 동일하다(일치한다). 즉, 캘린더 장치에서의 라인 속도는 압연시 유동 방향의 마지막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와 같아진다(상당한다).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약 10 내지 500㎛(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0㎛)이다. 또한,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는 단층 또는 복층의 형태일 수 있다.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는 필요한 경우 배면 처리, 대전방지 처리 및 하도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에 의해 압연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및 이 기재의 한 면 이상에 형성된 감압성 점착제 층으로 구성된다.
감압성 점착제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감압성 점착제(감압 접착제)는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고무계 감압성 점착제(천연 고무계 감압성 점착제 및 합성 고무계 감압성 점착제 등), 실리콘계 감압성 점착제 및 우레탄계 감압성 점착제 등의 공지되거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감압성 점착제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감압성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감압성 점착제층은 단층, 적층체 중 어느 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양면에 감압성 점착제 층이 형성되는 경우, 2개의 감압성 점착제 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동일한 종류 또는 조성의 점착제일 수 있고, 다른 종류 또는 조성의 점착제일 수도 있다. 감압성 점착제는 필요한 경우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가소제, 착색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공지된 각종 첨가제가 배합될 수 있다.
감압성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5 내지 100㎛(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이다.
감압성 점착제 층은 공지되거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압성 점착제 층의 형성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감압성 점착제를 용매 등에 용해시키거나 에멀젼화시킨 것을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면(한 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는 방법, 및 열 용융형의 감압성 점착제를 용융 압출하여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에 도포 또는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 장치로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압연한 후, 연속하여 감압성 점착제의 도포 등을 실시하여 감압성 점착제 층을 형성할 수도 있고,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형성 공정과 감압성 점착제의 도공 공정을 별도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감압성 점착제 층은 박리 필름(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층(예를 들어, 중간층 및 하도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 이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한쪽 면에 형성된 감압성 점착제 층,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다른쪽 면에 형성된 배면 처리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감압성 점착제 층의 표면을 시트 배면(배면 처리층의 면)과 서로 포개어 적층하여 감압성 점착제 층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롤 형상으로 권취함으로써 감압성 점착 테이프를 롤 형상으로 권취된 상태 또는 형태(롤 형상으로 감겨진 감압성 점착 테이프)로 제조할 수 있고, 롤 형상으로 감지 않는 경우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 재료로서 다음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수지 성분]
(1)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EVA)(상품명 "에바플렉스(Evaflex) P-1905" 미쓰이 듀퐁 케미칼(주) 제조; 융점 84℃; "A1"이라 지칭될 수 있음)
(2)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EVA)(상품명 "울트라센(Ultrathene) 635" 도소(주) 제조; 융점 79℃; "A2"라 지칭될 수 있음)
(3)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상품명 "울트젝스(Ultzex) 3021F" 미쓰이가 가쿠(주) 제조: 융점 110℃: "A3"이라 지칭될 수 있음)
(4) 상품명 "캐탈로이 Q-100F"(선 알로머(주) 제조; "A4"라 지칭될 수 있음)
(5) 상품명 "캐탈로이 Q-200F"(선 알로머(주) 제조; "A5"라 지칭될 수 있음)
(6) 상품명 "캐탈로이 C200F"(선 알로머(주) 제조: "A6"이라 지칭될 수 있음)
[무기 화합물]
(1) 소성 점토(아미노실란 커플링 처리)(상품명 "트랜스링크(TRANSLINK) 445" ㅇ에엔젤하드(ENGELHARD)(주) 제조; "B1"라 지칭될 수 있음)
(2) 소성 점토(아미노실란 커플링 처리)(상품명 "트랜스링크 555" 엔젤하드(주) 제조; "B2"라 지칭될 수 있음)
(3)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Mg(OH)2; 아미노실레인 커플링 처리)(상품명 "키스마(Kisuma) 5NH" 교와가가쿠고교(주) 제조; "B3"이라 지칭될 수 있음)
[기타 첨가제]
(1) 페놀계 산화 방지제(상품명 "아데카스타브(Adekastab) AO-60" 아사히덴카고교(주) 제조: "C1"이라 지칭될 수 있음)
(2) 인계 산화 방지제(상품명 "아데카스타브 HP-10" 아사히덴카고교(주) 제조; "C2"라 지칭될 수 있음)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비율의 수지 성분, 무기화합물 및 다른 첨가제를, 건조 블렌딩한 후, 가압 혼련기(설정 온도 175℃)로 혼련 용융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 장치("Φ8 인치× 24인치 "ㄱ"자형 4본 롤 정밀 캘린더 롤기", (주)히타치세이카쿠쇼 제조)를 사용하여 0.08mm 두께의 필름으로 형성함으로써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캘린더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구성을 가지고 있고 제 1 캘린더 롤 내지 제 4 캘린더 롤은 각각 모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독립 구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는 제 1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14m/분, 제 2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18m/분, 제 3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23m/분, 제 4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30m/분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캘린더 장치의 라인 속도(압연 속도)는 제 4 캘린더 롤(압연의 유동 방향으로 마지막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와 동일하므로, 캘린더 장치의 라인 속도(압연 속도)는 30m/분 이상이다.
또한, 상기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한 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건조 후 두께가 30㎛가 되도록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감압성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수지 성분, 무기 화합물 및 다른 첨가제의 비율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제조하고, 이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압성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
수지 성분, 무기 화합물 및 다른 첨가제의 비율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설정한 것, 및 캘린더 장치로서 캘린더 롤이 "ㄱ"자형 4본 롤의 형태를 갖지만 단일 구동방식으로 작동하는 캘린더 장치(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고 있지 않고, 각각의 캘린더 롤을 동일 회전 속도로 구동시키고 있는 캘린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제조하고, 이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감압성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에서 사용하는 단일 구동 방식으로 동작하는 캘린더 장치는, 구체적으로 하나의 모터로 4개의 롤을 구동시키는 방식의 캘린더 장치이고,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의 설정은 모터에만 의존하여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개로 설정(제어)할 수 없는 방식의 캘린더 장치이다.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수득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 또는 평가함으로써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생산성 및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물성으로서 응력-변형에 관한 물성을 평가하였다.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생산성 평가)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 제조시, 캘린더 장치의 라인 속도(압연 속도)가 30m/분 이상에서 압연 가능한 경우를 "O(합격)"로 하고, 그렇지 않은(30m/분 미만) 경우 또는 압연할 수 없는 경우를 "×(불합격)"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의 "생산성" 란에 나타내었다.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응력-변형 곡선의 평가)
감압성 점착 테이프로부터 채취한 시험편(폭 19mm)을, 23℃ 및 60% RH의 분위기하에서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속도 300mm/분, 척간 거리 50mm의 조건에서 인장하고, 파단강도(N/19mm) 및 파단신도(%)를 측정하였다. 파단강도는 25N/19mm 내지 35N/19mm이면 "O(합격)"로, 파단신도는 150% 이상 600% 미만이면 "O(합격)"로 평가하였다. 따라서, 파단강도는 25N/19mm 미만이거나 35N/19 mm을 초과하면 "×(불합격)"로, 파단 신도는 150% 미만이거나 600% 이상이면 "×(불합격)"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의 "응력-변형 물성" 란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러한 합격 여부의 판단은 실제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피점착물로의 권취 작업성, 및 파단강도 및 파단신도의 관계에 있어서 파단강도 및 파단신도가 상기 범위내에 있는 경우 용이하게 감압성 점착 테이프를 잡아 늘리면서(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파단을 발생시키지 않고)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권취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권취 후에 손으로 간단히 감압성 점착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결정하였다.
즉, 파단강도가 25N/19mm 미만이면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권취 작업 도중 감압성 점착 테이프가 파단(절단)되기 쉽고, 35N/19mm을 초과하면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권취 후 손으로 감압성 점착 테이프를 간단히 절단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파단신도가 150% 미만인 경우 감압성 점착 테이프를 신장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권취 작업의 작업성이 저하되고, 600% 이상인 경우 감압성 점 착 테이프가 너무 늘어나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권취 작업의 작업성이 저하되고,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권취 후 손으로 감압성 점착 테이프를 간단히 절단하기 어려워진다.
Figure 112005048623899-pat00004
상기 표 1을 통해, 실시예에 따른 감압성 점착 테이프가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경우에도 감압성 점착 테이프 기재의 생산성, 및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물성으로서의 응력-변형에 관한 물성이 모두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양태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었으나,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 및 개질이 수행될 수 있음을 명백히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는 상기 기재의 주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생산성으로 제작되고, 또한 물성의 편차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이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를 사용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종래 자동차, 전철, 버스 등의 차량, 항공기, 선박, 가옥 및 공장 등의 각종 분야에서 전기 기기의 절연 테이프로서 사용된 폴리염화 바이닐계 필름을 기재로 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폴리염화 바이닐 감압성 점착 테이프)의 대체물로서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에 의해 압연됨으로써 수득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각각의 캘린더 롤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모터를 구비한 수단이고, (고속측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저속측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의 속도비가 1.1 내지 1.6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3.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에 의해 압연됨으로써 수득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각각의 캘린더 롤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변속기를 구비한 수단이고, (고속측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저속측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의 속도비가 1.1 내지 1.6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캘린더 롤의 개수가 4개이고 롤의 배열이 "ㄱ"자형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감압성 점착 테이프용 기재의 한 면 이상에 형성된 감압성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7. 삭제
  8.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를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각각의 캘린더 롤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모터를 구비한 수단이고, (고속측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저속측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의 속도비가 1.1 내지 1.6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의 제조방법.
  9.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를 각각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를 개별적으로 변속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캘린더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각각의 캘린더 롤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변속기를 구비한 수단이고, (고속측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저속측의 캘린더 롤의 회전 속도)의 속도비가 1.1 내지 1.6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의 제조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캘린더 롤의 개수가 4개이고 롤의 배열이 "ㄱ"자형인,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의 제조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의 제조방법.
KR1020040047460A 2003-06-26 2004-06-24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이 기재를 사용한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이 기재의 제조방법 KR100750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82353 2003-06-26
JP2003182353A JP4145734B2 (ja) 2003-06-26 2003-06-26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用基材及び該基材を使用した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並びに前記基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405A KR20050001405A (ko) 2005-01-06
KR100750423B1 true KR100750423B1 (ko) 2007-08-21

Family

ID=3341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460A KR100750423B1 (ko) 2003-06-26 2004-06-24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이 기재를 사용한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이 기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32613B2 (ko)
EP (1) EP1491314B1 (ko)
JP (1) JP4145734B2 (ko)
KR (1) KR100750423B1 (ko)
CN (1) CN100443534C (ko)
AT (1) ATE380640T1 (ko)
DE (1) DE602004010572T2 (ko)
PT (1) PT1491314E (ko)
TW (1) TWI3061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8479A1 (de) * 2003-10-14 2005-06-02 Tesa Ag Wickelfolie aus Polypropylencopolymer und einem mit Polypropylen unverträglichen Polymer
JP4798686B2 (ja) * 2004-02-19 2011-10-19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カレンダー成形用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樹脂組成物
CN102248628A (zh) * 2010-05-20 2011-11-23 苏州东福来机电科技有限公司 硅胶压延复合机
US9220638B2 (en) 2010-09-10 2015-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formed web materials
US9067357B2 (en) 2010-09-10 2015-06-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deforming a web
CN102069546A (zh) * 2010-11-24 2011-05-25 上海泓阳机械有限公司 一种辊筒t型排列橡塑压延机及其操作方法
CN102719201B (zh) * 2011-03-29 2013-11-06 浙江三元电子科技有限公司 粘合片制造方法
US8657596B2 (en) 2011-04-26 2014-02-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forming a web
CN103087385B (zh) * 2012-11-23 2014-12-24 长园长通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密度高温型热缩压敏带及其制备方法
US10232770B2 (en) * 2015-09-08 2019-03-19 Ykk Corporation Of America Illuminated marker
TWI605942B (zh) * 2016-01-04 2017-11-21 厚生股份有限公司 感壓複合結構及其製造方法
ES2969029T3 (es) 2018-08-22 2024-05-16 Procter & Gamble Artículo absorbente desechab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5465A1 (de) * 1980-04-18 1981-10-29 Lentia GmbH Chem. u. pharm. Erzeugnisse - Industriebedarf, 8000 Mü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lien oder platten aus polypropylen oder dessen mischungen mit polyaethylen
US5063005A (en) * 1988-03-18 1991-11-05 The Kendall Company Preparing heat shrinkable wraps
JPH04113817A (ja) * 1990-09-05 1992-04-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カレンダのロール間バンク量制御方法
JP2000212347A (ja) * 1999-01-19 2000-08-02 Nitto Denko Corp カレンダ―成形用樹脂組成物、フィルムおよび粘着テ―プまたはシ―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1954A (en) * 1946-01-18 1953-03-17 Kendall & Co Polyethylene film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DE2438983A1 (de) * 1974-08-14 1976-03-04 Berstorff Gmbh Masch Hermann Mehrwalzenkalander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folien
JPH0547249A (ja) 1991-08-08 1993-02-26 Nippon Petrochem Co Ltd 難燃性テープ
JPH05194915A (ja) 1992-01-20 1993-08-03 Nippon Petrochem Co Ltd 難燃性粘着テープ
JPH05345881A (ja) * 1992-06-15 1993-12-27 Nippon Petrochem Co Ltd 難燃性テープ
JPH0677946A (ja) 1992-08-21 1994-03-18 Oki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通信方式
US5439628A (en) * 1993-03-22 1995-08-08 Inteplast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propylene film and sheet
DE19701473A1 (de) * 1997-01-17 1998-07-23 Beiersdor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hochleistungsfähiger, druckempfindlicher Hotmelt-Klebemassen sowie die Verwendung dieser zur Herstellung von Selbstklebebändern
CN1064985C (zh) * 1997-11-11 2001-04-25 南亚塑胶工业股份有限公司 表面无流线痕及凹痕的聚氯乙烯软质透明胶布的制法
JP3404368B2 (ja) 1999-11-04 2003-05-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3394947B2 (ja) 2000-02-24 2003-04-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および粘着テープ基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5465A1 (de) * 1980-04-18 1981-10-29 Lentia GmbH Chem. u. pharm. Erzeugnisse - Industriebedarf, 8000 Mü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lien oder platten aus polypropylen oder dessen mischungen mit polyaethylen
US5063005A (en) * 1988-03-18 1991-11-05 The Kendall Company Preparing heat shrinkable wraps
JPH04113817A (ja) * 1990-09-05 1992-04-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カレンダのロール間バンク量制御方法
JP2000212347A (ja) * 1999-01-19 2000-08-02 Nitto Denko Corp カレンダ―成形用樹脂組成物、フィルムおよび粘着テ―プまたはシ―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10572D1 (de) 2008-01-24
ATE380640T1 (de) 2007-12-15
TW200504171A (en) 2005-02-01
PT1491314E (pt) 2008-02-04
KR20050001405A (ko) 2005-01-06
TWI306112B (en) 2009-02-11
US20050006818A1 (en) 2005-01-13
DE602004010572T2 (de) 2008-04-17
JP2005014399A (ja) 2005-01-20
EP1491314A1 (en) 2004-12-29
EP1491314B1 (en) 2007-12-12
JP4145734B2 (ja) 2008-09-03
CN100443534C (zh) 2008-12-17
CN1576306A (zh) 2005-02-09
US7232613B2 (en) 200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423B1 (ko)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용 기재, 이 기재를 사용한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이 기재의 제조방법
US6586090B2 (en) Adhesive tape and substrate for adhesive tape
US2011019525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6046500B2 (ja) 薬液処理用保護シート
JP5290853B2 (ja) ダイシング用粘着シート
TWI481689B (zh) 黏著片
JPH11323273A (ja) 粘着シート
US20230033447A1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US20200071573A1 (en) Adhesive sheet, protective material and wiring harness
US20090142593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US20070190279A1 (en) Wrapping foil made of polypropylene copolymer and a polymer that is incompatible with polypropylene
TW201600580A (zh) 切割片用基材膜及切割片
US20120045612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3955398B2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439272A (zh) 黏著片材
JP6777974B2 (ja) 雨樋
US20070275236A1 (en) Halogen-Free Soft Wrapping Foil Made of a Polyolefin Containing Magnesium Hydroxide
WO2015193991A1 (ja) ダイシングシート用基材フィルムおよびダイシングシート
WO2013121854A1 (ja) 粘着テープ
JP2005170990A (ja) 粘着テープ
JP2007514008A (ja) 難燃性カーボンブラック充填ポリオレフィン巻き線箔
EP4201834A1 (en) Binding tape
JP6206059B2 (ja) 塗膜付き樹脂フィルムおよび塗膜付き樹脂フィルムロール
JP6106526B2 (ja) 半導体ウエハ加工用粘着シート
EP4201835A1 (en) Binding t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