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568B1 -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 - Google Patents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568B1
KR100749568B1 KR1020060086429A KR20060086429A KR100749568B1 KR 100749568 B1 KR100749568 B1 KR 100749568B1 KR 1020060086429 A KR1020060086429 A KR 1020060086429A KR 20060086429 A KR20060086429 A KR 20060086429A KR 100749568 B1 KR100749568 B1 KR 100749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extinguishing agent
valve
handle
wa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546A (ko
Inventor
박윤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to KR102006008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56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05Three-way check or safety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화물구역과 같은 장소에 화재가 발생할 시 화재의 발생여부를 연기의 흡입 상태로 감지토록 한 다음, 화재발생구역으로 가스식 소화약제를 방출시키기 위한 3방향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기흡입관을 연기배출관 또는 소화약제 공급관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밸브수단으로서, "ㄱ"자 형태의 가스통로가 관통 형성된 회전구를 테플론 재질의 팩킹과 함께 원통 형상의 밸브홈 내부로 삽입 설치함에 따라, 3방향 밸브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밸브의 제조단가를 절감시키면서도 연기의 흡입통로와 소화약제의 배출통로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지 않는 우수한 성능의 3방향 밸브를 제공토록 하며, 저온의 소화약제에 의한 팩킹의 수축 및 경화를 방지하여 밸브의 기밀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핸들의 손쉬운 조작 및 그에 따른 밸브수단의 확실하고 정확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기흡입관(22)과 연기배출관(23) 및 소화약제 공급관(24)이 연결되는 밸브바디(21)의 내부에 핸들(25)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상기 연기흡입관(22)을 연기배출관(23) 또는 소화약제 공급관(24)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밸브수단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밸브바디(21)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연기흡입구(33)와 연기배출구(35) 및 소화약제 공급구(36)와 각각 연통되는 원통 형상의 밸브홈(37)과, 상기 밸브홈(37)의 내부로 삽입되어 핸들(25)과 연결되는 회전구(30)(回轉球)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구(30)에는 핸들(25)의 회전 조작에 따라 연기흡입구(33)를 연기배출구(35) 또는 소화약제 공급구(36)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가스통로(31)가 회전구(30)의 몸통을 "ㄱ"자 형태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밸브홈(37)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는 회전구(30)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테플론(Teflon) 재질의 팩킹(32)이 밸브바디(21)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화약제, 연기감지, 3방향 밸브

Description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3-way valve for smoke detection and discharge for extinguishable gas}
도 1은 종래의 3방향 밸브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3방향 밸브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3방향 밸브의 밸브바디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3방향 밸브에 의한 소화약제 방출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3방향 밸브 21 : 밸브바디 22 : 연기흡입관
23 : 연기배출관 24 : 소화약제 공급관 24a,29a : 오링
25 : 핸들 25a : 걸림단부 26 : 핸들볼트
26a : 너트 27 : 핸들스토퍼 28 : 멈춤핀
29 : 캡볼트 30 : 회전구 31 : 가스통로
32 : 팩킹 33 : 연기흡입구 34 : 연기배출통로
35 : 연기배출구 36 : 소화약제 공급구 37 : 밸브홈
본 발명은 선박의 화물구역과 같은 장소에 화재가 발생할 시 화재의 발생여부를 연기의 흡입 상태로 감지토록 한 다음, 화재발생구역으로 가스식 소화약제를 방출시키기 위한 3방향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기흡입관을 연기배출관 또는 소화약제 공급관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밸브수단으로서, "ㄱ"자 형태의 가스통로가 관통 형성된 회전구를 테플론 재질의 팩킹과 함께 원통 형상의 밸브홈 내부로 삽입 설치함에 따라, 3방향 밸브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밸브의 제조단가를 절감시키면서도 연기의 흡입통로와 소화약제의 배출통로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지 않는 우수한 성능의 3방향 밸브를 제공토록 하며, 저온의 소화약제에 의한 팩킹의 수축 및 경화를 방지하여 밸브의 기밀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핸들의 손쉬운 조작 및 그에 따른 밸브수단의 확실하고 정확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선박에서는 화물구역과 같은 장소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가스계 소화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가스계 소화장치에는 화물구역과 같은 장소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해당 공기중에 연기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유무를 센서로 감지토록 한 다음, 센서에 의하여 화재발생신호가 접수될 경우 가스계 소화약제를 해당 구역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라인이 구비되는 데, 상기 배관라인에는 연기의 흡입 또는 소화약제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수행토록 하는 3방향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선박의 가스계 소화장치에 설치되는 종래의 3방향 밸브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바디(2)의 하측부에 소화약제(주로 CO2 가스) 저장용 고압탱크와 연결되는 기체공급공(3)을 형성시키고, 그 상측으로는 상기 기체공급공(3)과 교차되는 기체배출공(4)을 형성하여 화물구역과 같은 방호공간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기공급관(5)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기체공급공(3)과 기체배출공(4)의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테이퍼공(6)이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공(6)의 하측으로는 소화약제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밸브바디(2)의 상단에 결합된 손잡이(10)와 연결되는 축핀(9)이 승강차단구(13)와 함께 삽입 설치되고, 상기 승강차단구(13)는 그 머리부에 형성된 테이퍼면부(11)가 스프링(8)에 의하여 테이퍼공(6)과 밀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밸브바디(2)의 하단으로 체결되는 차단구커버(7)를 따라 승강차단구(13)의 다리 부분이 스프링(8)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축핀(9)의 상부측에는 테이퍼형의 멈춤구(14)가 형성되고, 상기 멈춤구(14)의 일측(도면상 우측) 하부에는 밸브바디(2)의 측면부에 개재된 멈춤스프링(15)에 의하여 멈춤구(14) 및 축핀(9) 부분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강구(16)가 설치됨으로서, 상기 손잡이(10)의 회전에 따른 축핀(9)의 하강작동 및 그 하강상태가 멈춤스프링(15)과 강구(16)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3방향 밸브(1)에 있어 가스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차단구(13)의 테이퍼면부(11)상에는 한 개소 이상의 요홈(11a)을 형성하여 고무 재질의 팩킹(12)을 인서트 또는 접착식으로 고정시키 고, 상기 축핀(9)의 삽입공(2a)에는 팩킹(17)의 상측으로 요홈(2b)을 형성하여 오링(18)을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3방향 밸브(1)는 화물구역과 같은 장소에 화재가 발생할시 손잡이(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축핀(9)이 승강차단구(13)를 하강시켜 기체공급공(3)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축핀(9)의 멈춤구(14) 부분이 상기 멈춤스프링(15) 및 강구(16)로서 지지되어 스프링(8)에 의한 승강차단구(13)의 상승작동이 억제되며, 이로 인하여 기체공급공(3)으로부터 기체배출공(4) 및 연기공급관(5)을 통하여 소화약제가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서, 화재가 발생한 구역으로 소화약제를 방출시켜 화재를 진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3방향 밸브(1)는 손잡이(10)를 회전시켜 기체공급공(3)을 개방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멈춤구(14)가 형성된 축핀(9)과 강구(16) 및 멈춤스프링(15)을 포함하여 스프링(8)이 개재된 승강차단구(13)와 같은 여러 가지 부품의 복잡한 조립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가스의 누설부위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가공 및 조립시 미세한 오차에도 가스의 누설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3방향 밸브(1)의 제조시 제품의 불량률과 제품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테이퍼형 멈춤구(14)와 강구(16)와의 접촉면적이 매우 적게 되어 강구(16)에 의한 멈춤구(14)의 정확한 탄지가 어렵기 때문에, 손잡이(10)의 회전에 따라 하강된 축핀(9)이 강구(16) 및 멈춤스프링(15)에 의하여 불안정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축핀(9)이 삽입된 승강차단구(13)가 스프링(8)에 의하여 상승 복원되려는 힘을 항상 받고 있음에 따라, 기체공급공(3)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3방향 밸브(1)의 확실하고 정확한 작동 및 화재의 신속한 진압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체공급공(3)을 통하여 고압으로 토출되는 소화약제(CO2 가스)에 의하여 승강차단구(13)의 테이퍼면부(11)에 조립되어 있던 팩킹(12)이 이탈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뿐만 아니라, 소화약제의 방출온도가 영하(-℃) 수 십도 정도의 저온이 됨으로서 이러한 저온의 영향으로 고무재질의 팩킹(12)이 수축 및 경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바, 이와 같은 요인에 의하여 소화약제의 방출 후 손잡이(10)를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3방향 밸브(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더라도, 테이퍼공(6)과 테이퍼면부(11) 사이의 기밀성능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체공급공(3)과 기체배출공(4)이 연통되는 공간 내부를 따라 축핀(9)과 멈춤구(14) 및 승강차단구(13)의 머리 부분이 각각 위치하고 있으므로, 소화약제의 공급통로가 축핀(9)과 멈춤구(14) 및 승강차단구(13)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막히는 현상을 초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화약제의 신속하고 원활한 방출이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해당 공간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이러한 이물질이 축핀(9)과 멈춤구(14) 및 승강차단구(13)상에 쉽게 걸리게 되어 소화약제 공급통로의 막힘 현상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는 연기흡입관을 연기배출관 또는 소화약제 공급관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밸브수단으로서, "ㄱ"자 형태의 가스통로가 관통 형성된 회전구를 테플론 재질의 팩킹과 함께 원통 형상의 밸브홈 내부로 삽입 설치함에 따라, 3방향 밸브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밸브의 제조단가를 절감시키면서도 연기의 흡입통로와 소화약제의 배출통로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지 않는 우수한 성능의 3방향 밸브를 제공토록 하며, 저온의 소화약제에 의한 팩킹의 수축 및 경화를 방지하여 밸브의 기밀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핸들의 손쉬운 조작 및 그에 따른 밸브수단의 확실하고 정확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기흡입관과 연기배출관 및 소화약제 공급관이 연결되는 밸브바디의 내부에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상기 연기흡입관을 연기배출관 또는 소화약제 공급관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밸브수단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밸브바디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연기흡입구와 연기배출구 및 소화약제 공급구와 각각 연통되는 원통 형상의 밸브홈과, 상기 밸브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핸들과 연결되는 회전구(回轉球)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구에는 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라 연기흡입구를 연기배출구 또는 소화약제 공급구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가스통로가 회전구의 몸통을 "ㄱ"자 형태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밸브홈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는 회전구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테플론(Teflon) 재질의 팩킹이 밸브바디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3방향 밸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3방향 밸브의 밸브바디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3방향 밸브에 의한 소화약제 방출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20)의 외관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기배출관(23)과 연기흡입관(22) 및 소화약제 공급관(24)이 도면상 밸브바디(21)의 상,하부측과 우측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밸브바디(21)의 전방측 중앙부에는 핸들(25)이 연결 설치되고 밸브바디(21)의 좌측부에는 캡볼트(29)가 체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화약제 공급관(24)이 오링(24a)을 개재시킨 상태로 밸브바디(21)와 연결되는 데, 이는 연기흡입관(22) 및 연기배출관(23)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연기흡입관(22)은 선박의 화물구역과 같은 방호대상구역으로부터 밸브바디(21)의 몸체까지 연장 설치되어 방호대상구역에 존재하는 공기를 밸브바디(21)측으로 흡입시키게 되고, 상기 연기배출관(23)은 연기흡입관(22)과 밸브바디(21)를 거쳐 유입되는 공기중의 연기 포함유무를 감지하는 미도시된 센서장치(연기감지장치)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소화약제 공급관(24)은 주로 CO2 가스와 같은 화재진압 용 가스가 저장되는 미도시된 고압탱크와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25)은 밸브바디(21)의 몸체 중앙부를 관통하여 밸브수단과 연결되는 핸들볼트(26)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데, 상기 핸들(25)의 하단부가 핸들볼트(26)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한 다음, 핸들볼트(26)를 따라 너트(26a)를 스프링와셔 등과 함께 체결시켜 상기 너트(26a)가 핸들(25)의 하단부와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핸들(25)의 견고한 설치 및 핸들(25)에 의한 밸브수단의 회전을 가능토록 하게 되며, 상기 핸들볼트(26)가 밸브바디(21)를 관통하는 부위에는 종래의 경우와 같이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팩킹(Packing)이나 오링("0" ring) 등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핸들(25)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걸림단부(25a)가 90°의 각도를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바디(21)의 몸체 전방면에는 상기 핸들(25)의 걸림단부(25a)가 걸리게 되는 멈춤핀(28)이 고정 설치됨으로서, 상기 걸림단부(25a)와 멈춤핀(28)에 의하여 핸들(25)의 회전각도를 90°로 제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평상시에는 핸들(25)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핸들(25)의 회전방향을 따라 후크(Hook) 형태로 걸리게 되는 핸들스토퍼(27)가 전방측 방향으로 힌지식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밸브바디(21)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바디(21)의 내부에 설치되어 핸들(25)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연기흡입관(22)을 연기배출관(23) 또는 소화약제 공급관(24)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밸브수단은,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바디(21)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연기흡입구(33)와 연기 배출구(35) 및 소화약제 공급구(36)와 각각 연통되는 원통 형상의 밸브홈(37)과, 상기 밸브홈(37)의 내부로 삽입되어 핸들(25)과 연결되는 회전구(30)(回轉球)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연기흡입구(33)와 연기배출구(35) 및 소화약제 공급구(36)에는 도 2를 중심으로 한 설명에서 이미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각각 연기흡입관(22)과 연기배출관(23) 및 소화약제 공급관(24)이 오링 등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캡볼트(29)는 그 내부에 밸브홈(37)과 연기배출구(35)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기배출통로(34)가 형성된 상태에서 오링(29a)을 개재시킨 상태로 밸브바디(21)의 좌측부로 체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구(30)는 밸브바디(21)를 관통하는 핸들볼트(26)의 후단부와 연결 고정되어 핸들(25)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되는 데, 상기 회전구(30)에는 핸들(25)의 회전 조작에 따라 연기흡입구(33)를 연기배출구(35) 또는 소화약제 공급구(36)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가스통로(31)가 회전구(30)의 몸통을 "ㄱ"자 형태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홈(37)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는 회전구(30)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테플론(Teflon) 재질의 팩킹(32)이 밸브바디(21)와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구(3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팩킹(32)의 소재를 테플론(Teflon: 미국 뒤퐁사에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만든 합성수지의 상표명)으로 하는 이유는, 팩킹 소재에 요구되는 탄성이나 유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화약제의 방출시 발생하는 영하(-℃) 수 십도 정도의 저 온 조건하에서도 수축 및 경화되지 않아 우수한 기밀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소재이기 때문이며, 이와 같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테플론(Teflon) 이외의 다른 소재를 팩킹(32)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팩킹(32)이 설치되는 부위는 밸브바디(21)의 측단면도인 도 3에서 밸브홈(37)의 양측 모서리부로 나타나 있으나, 회전구(30)의 수평식(도면상 상,하방향) 회전에 따라 연기흡입구(33)를 연기배출구(35) 또는 소화약제 공급구(36)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킴과 동시에 그 나머지 부분은 기밀(氣密)이 유지되도록 밀폐시키는 조건이라면, 상기 팩킹(32)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는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는 사항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러나, 테플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팩킹(32)의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가장 효율적인 기밀 성능을 이루어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상 원형 구멍으로 형성되는 연기흡입구(33)와 연기배출통로(34)의 입구 및 소화약제 공급구(36)의 외주면을 상기 팩킹(32)이 에워싸도록 한 상태에서, 가스통로(31)를 제외한 회전구(30)의 나머지 외주면이 각각의 팩킹(32)과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형상으로 팩킹(32)을 설치하게 되면 도 3과 같은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호대상구역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구(30)의 가스통로(31)에 의하여 연기흡입구(33)가 캡볼트(29)의 연기배출통로(34)를 거쳐 연기배출구(35)와 연통되도록 3방향 밸브(20)를 세팅 하여 놓게 되면, 연기배출관(23)과 연결된 센서장치(연기감지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공기흡인력에 의하여 선박의 화물구역과 같은 방호대상구역에 존재하는 공기가 연기흡입관(22)과 밸브바디(21)를 거쳐 연기배출관(23)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소화약제 공급구(36)를 통한 소화약제의 배출은 상기 회전구(30)와 팩킹(32)에 의하여 안전하게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방호대상구역으로부터 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한 통로가 되는 연기흡입구(33)와 가스통로(31) 및 연기배출통로(34)와 연기배출구(35) 사이에 공기의 흡인력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방호대상구역으로부터 센서장치(연기감지장치)까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방호대상구역의 화재 발생시 보다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해당 공기흡인 통로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게 되는 현상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비록, 캡볼트(29)에 형성된 상기 연기배출통로(34)가 연기흡입구(33)와 가스통로(31) 및 연기배출구(35)에 비하여 다소 좁은 구멍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연기배출통로(34)상에 이물질이 걸릴 우려가 있기는 하지만, 캡볼트(29) 자체가 밸브바디(21)와 분해조립이 가능하므로 센서장치(연기감지장치)에 의한 공기흡인력에 부하가 걸릴 경우, 상기 캡볼트(29)를 분리하여 이물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방호대상구역에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흡입관(22)으로부터 밸브바디(21)를 거쳐 연기배출관(23)으로 공급되는 공기중에 화재발생에 따른 연기가 포함될 경우, 연기배출관(23)과 연결된 센서장치(연기감지장치)로부터 화재 발생에 따른 신호(경보음이나 경고등)가 출력되며, 이로 인하여 선박의 조타실이나 기관실 또는 제어실 등과 같은 장소에 상주하는 사람이 화재발생 상황을 인식하여 3방향 밸브(20)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재발생시 3방향 밸브(20)를 작동시키는 것은, 최초 핸들(25)의 회전을 단속하고 있던 핸들스토퍼(27)에 의한 핸들(25)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핸들(25)을 손으로 잡고 도 2에서와 같이 핸들(25)을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핸들(25)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단부(25a)와 밸브바디(21)에 고정된 멈춤핀(28)에 의하여 핸들(25)이 정확하게 90°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핸들(25)을 90°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회전구(30)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90°각도만큼 수평 회전하게 됨으로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화약제 공급구(36)가 회전구(30)의 가스통로(31)를 거쳐 연기흡입구(33)와 연통되는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하여 소화약제 저장용 고압탱크와 연결된 소화약제 공급관(24)으로부터 밸브바디(21) 및 연기흡입관(22)을 거쳐 방호대상구역으로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소화약제의 방출시 소화약제의 공급통로를 이루는 소화약제 공급구(36)와 가스통로(31) 및 연기흡입구(33)가 하나의 단일화된 통로를 형성하게 됨과 동시에, 해당 통로상에 소화약제의 분사에 지장을 초래하는 장애물이 전혀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통로의 막힘 현상없이 미도시된 고압탱크로부터 방호대상구역까지 소화약제를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는 것이며, 소화약제의 방출을 보다 더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통로(31)의 꼭지점 부분 즉, 90°각도로 꺽이는 부분을 완만한 곡선부(Rounding)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팩킹(32)이 테플론 재질로 이루어져 소화약제의 공급시 발생하는 저온 조건하에서도 수축 및 경화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핸들(25)을 회전시켜 회전구(30)를 도 4에 도시된 소화약제의 방출상태로 세팅하여 놓게 되면, 상기 회전구(30)가 팩킹(32)과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그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이로 인하여 가스통로(31)를 거쳐 소화약제가 고압분사식으로 공급되더라도 회전구(30)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구(30)에 의한 소화약제의 방출상태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서, 방호대상구역에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약제의 고압분사식 공급통로상에 팩킹(32)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회전구(30)와 밸브홈(37)의 사이에서 가압 지지되기 때문에, 소화약제의 고압분사에 의한 팩킹(32)의 이탈 현상 역시 발생하지 않게 되며, 화재의 진압 후 핸들(25)을 회전시켜 회전구(30)를 도 3에 도시된 초기의 위치로 복원시킴과 동시에, 저온경화 및 수축이 발생하지 않은 팩킹(32)에 의하여 소화약제의 밀봉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3방향 밸브(20)는 밸브홈(37)의 내부로 회전구(30)를 팩킹(32)과 함께 삽입 설치한 다음, 상기 회전구(30)가 밸브바디(21) 전방측의 핸들(25)과 연결되도록 하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가스의 누설부위를 최소화시키면서 3방향 밸브(20)의 가공 및 조립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3방향 밸브(20) 제품의 제조에 따른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제조단가의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들(25)의 조작에 의한 회전구(30)의 신속하고 정확한 회전으로 밸브수단의 확실한 작동 및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는 연기흡입관을 연기배출관 또는 소화약제 공급관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밸브수단으로서, "ㄱ"자 형태의 가스통로가 관통 형성된 회전구를 테플론 재질의 팩킹과 함께 원통 형상의 밸브홈 내부로 삽입 설치함에 따라, 3방향 밸브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가스의 누설부위를 최소화시키면서도 3방향 밸브의 가공 및 조립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토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3방향 밸브 제품의 제조에 따른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제조단가의 절감에도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기의 흡입통로와 소화약제의 배출통로상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 해당 통로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방호대상구역으로부터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시 소화약제 저장용 고압탱크로부터 방호대상구역까지 소화약제를 신속하게 방출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핸들의 조작에 의한 회전구의 신속하고 정확한 회전으로 연기의 흡입 또는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는 밸브수단의 확실한 작동 및 화재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팩킹이 테플론 재질로 이루어져 소화약제의 공급시 발생하는 저 온 조건하에서도 수축 및 경화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소화약제의 방출시 회전구가 팩킹과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그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서, 가스통로를 거쳐 소화약제가 고압분사식으로 공급되더라도 회전구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회전구에 의한 소화약제의 방출상태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방호대상구역에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약제의 고압분사식 공급통로상에 팩킹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회전구와 밸브홈의 사이에서 가압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소화약제의 고압분사에 의한 팩킹의 이탈 현상 역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화재의 진압 후 핸들을 회전시켜 회전구를 초기의 위치로 복원시킴과 동시에, 저온경화 및 수축이 발생하지 않은 팩킹에 의하여 소화약제의 밀봉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연기흡입관(22)과 연기배출관(23) 및 소화약제 공급관(24)이 연결되는 밸브바디(21)의 내부에 핸들(25)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상기 연기흡입관(22)을 연기배출관(23) 또는 소화약제 공급관(24)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밸브수단이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은 밸브바디(21)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연기흡입구(33)와 연기배출구(35) 및 소화약제 공급구(36)와 각각 연통되는 원통 형상의 밸브홈(37)과, 상기 밸브홈(37)의 내부로 삽입되어 핸들(25)과 연결되는 회전구(30)(回轉球)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구(30)에는 핸들(25)의 회전 조작에 따라 연기흡입구(33)를 연기배출구(35) 또는 소화약제 공급구(36)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가스통로(31)가 회전구(30)의 몸통을 "ㄱ"자 형태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밸브홈(37)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는 회전구(30)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테플론(Teflon) 재질의 팩킹(32)이 밸브바디(21)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
KR1020060086429A 2006-09-07 2006-09-07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 KR100749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429A KR100749568B1 (ko) 2006-09-07 2006-09-07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429A KR100749568B1 (ko) 2006-09-07 2006-09-07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546A KR20060102546A (ko) 2006-09-27
KR100749568B1 true KR100749568B1 (ko) 2007-08-16

Family

ID=3763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429A KR100749568B1 (ko) 2006-09-07 2006-09-07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5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6902A (zh) * 2019-10-23 2020-02-07 刘艳伟 一种检测速度快的便于拆装的烟雾报警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563B1 (ko) * 2009-03-24 2011-01-14 (주)불끄레 파이프형 소화장치
KR100937601B1 (ko) * 2009-09-09 2010-01-20 (주)불끄레 호스형 소화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2256A (ja) * 2000-01-31 2001-08-07 Nohmi Bosai Ltd 方向切換弁、それによる消火栓装置の放出点検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消火栓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2256A (ja) * 2000-01-31 2001-08-07 Nohmi Bosai Ltd 方向切換弁、それによる消火栓装置の放出点検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消火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6902A (zh) * 2019-10-23 2020-02-07 刘艳伟 一种检测速度快的便于拆装的烟雾报警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546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0929B2 (en) Protective cap of sprinkler head and sprinkler head
KR101144821B1 (ko) 이중감지식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US11402028B2 (en) Combination control and check valve assembly for a wet piping system
US20030075343A1 (en) Dry sprinkler
KR100749568B1 (ko) 연기감지 및 소화약제 방출용 3방향 밸브
KR101125188B1 (ko) 화재진압용 스모크 디텍터 장치
KR20170076481A (ko)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ES2305433T3 (es) Elemento de valvula.
KR101175309B1 (ko) 밸브조절식 소화기
KR102209985B1 (ko) 드라이 팬턴트 조립체
JPH02126864A (ja) 爆発圧力開放装置
JPH09178096A (ja) 災害時対応型lpガス容器バルブ
US20150034191A1 (en) Bellows valve and double valve body incorporating the same
AU2018211907A1 (en) Dry sprinkler system manifold adapter
KR101285294B1 (ko) 소방용 알람밸브의 유수 검지장치
KR200151296Y1 (ko) 자동소화장치
JPS6344060Y2 (ko)
JPH11304017A (ja) 消防ポンプ用放水弁
JPH11304018A (ja) 消防ポンプ用放水弁
KR200145151Y1 (ko) 소화용 소화약제용기밸브체의 밸브개폐구조
JP2838750B2 (ja) ドレンプラグ
KR101111080B1 (ko) 소방용 알람밸브의 유수 검지장치
KR102131622B1 (ko) 백드래프트 방지용 도어손잡이
JP4469455B2 (ja) 移動式粉末消火設備用の粉末貯蔵タンク
KR200408992Y1 (ko) 화재진압용 가스 분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