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085B1 -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085B1
KR100749085B1 KR1020060060469A KR20060060469A KR100749085B1 KR 100749085 B1 KR100749085 B1 KR 100749085B1 KR 1020060060469 A KR1020060060469 A KR 1020060060469A KR 20060060469 A KR20060060469 A KR 20060060469A KR 100749085 B1 KR100749085 B1 KR 10074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guide
guide body
recogniz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to KR1020060060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폭이 좁은 지폐의 투입 시에 그 정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가이드장치는 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일측에 정렬된 상태로 투입되도록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투입가이드와; 상기 투입가이드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상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투입가이드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 하면에 설치홈이 형성되는 상단프레임과;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투입가이드의 상면 사이로 투입되는 폭이 넓은 지폐와 상기 지폐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지폐를 각각 개별적으로 정렬시키는 지폐정렬부를; 포함한다.
지폐, 인식, 가이드, 정렬, 신권, 구권, 폭

Description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Apparatus for guiding a note of a note identification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의 확대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의 투입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의 반환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1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투입가이드
11 : 몸체삽입홈 12 : 삽입통공
20 : 상단프레임
21 : 설치홈
30 : 지폐정렬부
31 : 돌출로드
311 : 마찰감소홈
32 : 가이드몸체
321 : 힌지부 322 : 경사면
323 : 걸림방지경사면 324 : 중공홈부
325 : 수평면 326 : 삽입돌턱
본 발명은 무인 판매기 등에 설치되는 지폐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이 좁은 지폐의 투입 시에 그 정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인식기는 무인 판매기나 무인 교환대 등에 설치되어 투입되어지는 지폐를 이송함과 동시에 지폐의 정보를 인식 및 판독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 및 지폐의 종류를 확인하여 금액을 인지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지폐 인식기는 투입부에 설치되는 투입가이드를 통해 사용자가 지폐를 밀어 넣으면 이송롤러로 이루어진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지폐가 이송되는 중에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인식판독부를 통해 인식하도 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지폐 인식기의 투입가이드는 현재 사용 중인 구형 지폐의 폭에 맞추어 제작됨으로써, 구형 지폐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제작되어 유통되는 신형 지폐는 투입가이드의 내측 폭보다 좁아 상기 투입가이드에 의해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신형 지폐는 투입가이드에 의해 정렬되지 않아 지폐 인식기의 내측으로 부정확하게 투입됨으로써, 인식판독부에 의한 신형 지폐의 인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인식에러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폭이 좁은 지폐의 투입 시에 그 정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부의 마찰을 감소시켜 지폐의 투입 시에 가이드몸체의 상승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투입된 지폐의 반환 시에 걸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몸체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 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폭이 넓은 지폐의 투입이 제한되도록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지폐의 폭에 맞추어 지폐정렬부의 위치가 원활히 조절되도록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는 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일측에 정렬된 상태로 투입되도록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투입가이드와; 상기 투입가이드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상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투입가이드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 하면에 설치홈이 형성되는 상단프레임과;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투입가이드의 상면 사이로 투입되는 폭이 넓은 지폐와 상기 지폐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지폐를 각각 개별적으로 정렬시키는 지폐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폐정렬부는,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감소홈을 갖는 돌출로드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도록 상기 돌출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부가 끝단에 형성되고 폭이 좁은 지폐의 일측단이 일측면에 맞닿아 정렬되며 폭이 넓은 지폐가 통과되도록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는, 투입된 지폐의 반환 시에 걸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방지경사면과, 자중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중공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는, 상기 경사면의 하단으로 상기 가이드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돌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몸체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투입가이드의 상면에 상기 수평면이 삽입되어 내측 상면에 맞닿는 몸체삽입홈과, 상기 삽입돌턱이 삽입되어 정렬되도록 상기 몸체삽입홈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삽입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는 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일측에 정렬된 상태로 투입되도록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투입가이드와; 상기 투입가이드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상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투입가이드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 하면에 설치홈이 형성되는 상단프레임과;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투입가이드의 상면 사이로 투입되는 폭이 넓은 지폐의 투입을 제한하면서 상기 지폐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지폐를 정렬시키는 제한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한정렬부는,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로드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도록 상기 돌출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부가 끝단에 형성되고 폭이 좁은 지폐의 일측단이 일측면에 맞닿아 정 렬되며 폭이 넓은 지폐의 선단이 걸리도록 전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는, 투입된 지폐의 반환 시에 걸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방지경사면과, 상기 가이드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수평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몸체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투입가이드의 상면에 상기 수평면이 삽입되어 내측 상면에 맞닿는 몸체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는 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일측에 정렬된 상태로 투입되도록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투입가이드와; 상기 투입가이드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상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투입가이드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 하면에 설치홈이 형성되는 상단프레임과;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투입가이드의 상면 사이로 투입되는 폭이 넓은 지폐와 상기 지폐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지폐를 각각 개별적으로 정렬시키는 지폐정렬부와; 상기 지폐정렬부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서 폭이 좁은 지폐의 폭에 맞추어 상기 지폐정렬부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폐정렬부는,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나선로드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도록 상기 나선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부가 끝단에 형성되고 폭이 좁은 지폐의 일 측단이 일측면에 맞닿아 정렬되며 폭이 넓은 지폐가 통과되도록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나선로드에 스크루 결합되는 제1위치고정너트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나선로드에 스크루 결합되는 제2위치고정너트와,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나선로드에 스크루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제1위치고정너트와 제2위치고정너트의 사이에 밀착되는 밀착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는, 투입된 지폐의 반환 시에 걸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방지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인식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인식기는 지폐를 정렬시키는 지폐 가이드장치(1)와, 상기 지폐 가이드장치(1)에 의해 정렬된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는 지폐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롤러를 갖는 이송부(2)와, 상기 이송부(2)에 의해 지폐가 이송되는 중에 지폐의 이미지 및 자기 데이터를 판독하는 인식판독부(3)와, 판독하여 인식된 지폐를 방출하는 방출롤러를 갖는 방출부(4)를 포함한다.
상기 지폐 가이드장치(1)는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장착되는 투입가이드(10) 와, 상기 투입가이드(10)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는 상단프레임(20)과, 상기 상단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지폐정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지폐 가이드장치(1)는 구형 지폐뿐만 아니라 상기 지폐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신형 지폐도 원활히 정렬된 상태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가이드장치는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장착되는 투입가이드(10)와, 상기 투입가이드(10)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는 상단프레임(20)과, 상기 상단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폭이 서로 다른 지폐를 각각 정렬시키는 지폐정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가이드(10)는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돌출되게 장착되어 투입되는 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투입가이드(10)의 상면에 지폐를 배치하면서 일측으로 지폐를 정렬한 상태로 상기 지폐를 지폐인식기의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단프레임(20)은 투입가이드(10)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 하면에 설치홈(2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가이드(10)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상면이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설치홈(21)에 의해 지폐정렬부(30)가 원활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폐정렬부(30)는 설치홈(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단프레임(20)의 하면과 투입가이드(10)의 상면 사이로 투입되는 폭이 넓은 지폐와 상기 지폐보 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지폐를 각각 개별적으로 정렬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정렬에 의해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구형 지폐뿐만 아니라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신형 지폐까지 정렬된 상태로 투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상기 지폐정렬부(30)는 설치홈(21)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로드(31)와, 상기 돌출로드(3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부(321)가 끝단에 형성되고 폭이 좁은 지폐의 일측단이 일측면에 맞닿아 정렬되며 전면에 경사면(322)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32)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로드(31)는 가이드몸체(32)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힌지부(321)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곳으로, 상기 가이드몸체(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로드(31)는 그 외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감소홈(31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마찰감소홈(311)은 돌출로드(31)의 외주면과 힌지부(321)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마찰감소홈(311)에 의해 힌지부(321)와의 마찰이 최소화됨으로 돌출로드(31)에 대한 상기 힌지부(321)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몸체(32)는 지폐(N)의 투입력 등의 외력에 의해 원활히 상승된 후에 자유낙하하면서 그 일측면에 폭이 좁은 신형 지폐의 일측단이 맞닿아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몸체(32)의 전면에 형성되는 경사면(322)은 폭이 넓은 구형 지폐가 맞닿으면서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이드몸체(32)가 힌지부(321)를 중심으로 상승되면서 하단이 개방되어 구형 지폐가 원활히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몸체(32)는 그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방지경사면(323)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방지경사면(323)은 투입된 지폐의 반환될 때 상기 지폐가 맞닿으면서 반송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몸체(32)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투입된 지폐의 반환 시에 지폐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반송되더라도 상기 가이드몸체(32)에 의한 지폐의 걸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몸체(32)는 상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중공홈부(3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공홈부(324)는 가이드몸체(32)의 자중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미세한 외력에도 상기 가이드몸체(32)가 힌지부(321)를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되어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몸체(32)는 경사면(322)의 하단으로 하면에 형성되는 수평면(3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가이드(10)는 그 상면에 상기 수평면(325)이 삽입되어 내측 상면에 맞닿는 몸체삽입홈(1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평면(325)이 몸체삽입홈(11)의 내측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가이드몸체(32)가 상기 몸체삽입홈(11)에 삽입됨으로써, 반복적인 상승 및 낙하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이드몸체(32)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그 위치의 변동이 방지된다.
상기 가이드몸체(32)는 수평면(325)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돌턱(3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가이드(10)는 상기 삽입돌턱(326)이 삽입되어 정렬되도록 몸체삽입홈(11)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삽입통공(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통공(12)에 삽입됨으로써, 가이드몸체(32)의 위치변동이 보다 정밀하게 방지된다.
또한, 상기 상단프레임(20)은 설치홈(21)에 대응하여 일측 전면에 형성되는 몸체커버(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몸체커버(22)는 가이드몸체(32)의 상단을 가려 상기 가이드몸체(32)의 상부로 지폐의 진입을 방지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가이드몸체(32)의 하부로 지폐를 투입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의 투입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신형 지폐(N)는 좌측단이 투입가이드(10)의 좌측단에 맞닿은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면 그 우측단이 상단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몸체(32)의 일측면에 맞닿아 정렬된 상태로 지폐 인식기의 내측으로 투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구형 지폐(N)는 양측단이 투입가이드(10)의 양측단에 맞닿은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투입되면 상기 지폐(N)의 선단이 상단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몸체(32)를 상승시켜 상기 가이드몸체(32)의 하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투입가이드(10)에 의해 정렬된 상태로 지폐 인식기의 내측으로 투입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의 반환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N)가 투입된 후에 반환될 때는 상기 지폐(N)의 후단이 걸림방지경사면(323)에 맞닿으면서 상기 지폐(N)의 반송력에 의해 가이드몸체(32)가 돌출로드(31)에 지지된 상태로 힌지부(32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몸체(32)가 상승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이드몸체(32)의 수평면(325)과 삽입 돌턱(326)이 몸체삽입홈(11)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가이드몸체(32)의 하부와 투입가이드(10)의 상면 사이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몸체(32)가 상승되어 그 하부가 개방됨으로써, 투입가이드(10)의 상면을 따라 지폐(N)가 걸림이 없이 원활히 반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가이드장치는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장착되는 투입가이드(10)와, 상기 투입가이드(10)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는 상단프레임(20)과, 상기 상단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폭이 좁은 지폐를 정렬하면서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지폐의 투입을 제한하는 제한정렬부(30a)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가이드(10)는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돌출되게 장착되어 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일측에 정렬된 상태로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단프레임(20)은 투입가이드(10)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 하면에 설치홈(2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가이드(10)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상면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한정렬부(30a)는 설치홈(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단프레임(20)의 하면과 상기 투입가이드(10)의 상면 사이로 투입되는 폭이 넓은 지폐의 투입을 제한하면서 상기 지폐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지폐를 정렬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정렬에 의해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구형 지폐의 투입을 방지시키면서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신형 지폐 전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제한정렬부(30a)는 설치홈(21)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로드(31a)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도록 상기 돌출로드(31a)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부(321a)가 끝단에 형성되고 폭이 좁은 지폐의 일측단이 일측면에 맞닿아 정렬되며 폭이 넓은 지폐의 선단이 걸리도록 전면에 걸림홈(322a)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32a)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로드(31a)는 가이드몸체(32a)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힌지부(321a)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곳으로, 상기 가이드몸체(32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몸체(32a)는 그 일측면에 폭이 좁은 신형 지폐의 일측단이 맞닿아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몸체(32a)의 전면에 형성되는 걸림홈(322a)은 투입가이드(10)를 통해 투입되는 폭이 넓은 구형 지폐의 선단이 맞닿아 걸림으로써, 폭이 넓은 지폐의 투입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몸체(32a)는 그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방지경사면(323a)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방지경사면(323a)은 투입된 지폐의 반환될 때 상기 지폐가 맞닿으면서 반송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몸체(32a)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투입된 지폐의 반환 시에 지폐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반송되더라도 상기 가이드몸체(32a)에 의한 지폐의 걸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몸체(32a)는 그 하면에 형성되는 수평면(324a)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가이드(10)는 그 상면에 상기 수평면(324a)이 삽입되어 내측 상면에 맞닿는 몸체삽입홈(1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평면(324a)이 몸체삽입홈(11)의 내측 상 면에 맞닿은 상태로 가이드몸체(32a)가 상기 몸체삽입홈(11)에 삽입됨으로써, 반복적인 상승 및 낙하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이드몸체(32a)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그 위치의 변동이 방지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가이드장치는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장착되는 투입가이드(10)와, 상기 투입가이드(10)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는 상단프레임(20)과, 상기 상단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폭이 서로 다른 지폐를 각각 정렬시키는 지폐정렬부(30b)와, 상기 지폐정렬부(30b)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가이드(10)는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돌출되게 장착되어 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일측에 정렬된 상태로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단프레임(20)은 투입가이드(10)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 하면에 설치홈(2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가이드(10)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상면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폐정렬부(30b)는 설치홈(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단프레임(20)의 하면과 투입가이드(10)의 상면 사이로 투입되는 폭이 넓은 지폐와 상기 지폐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지폐를 각각 개별적으로 정렬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지폐정렬부(30b)는 설치홈(21)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나선로드(31b)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 도록 상기 나선로드(31b)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부(321b)가 끝단에 형성되고 폭이 좁은 지폐의 일측단이 일측면에 맞닿아 정렬되며 폭이 넓은 지폐가 통과되도록 전면에 경사면(322b)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32b)를 포함한다.
상기 나선로드(31b)는 가이드몸체(32b)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힌지부(321b)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가이드몸체(32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위치조절부(40)가 원활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몸체(32b)는 지폐의 투입력 등의 외력에 의해 원활히 상승된 후에 자유낙하하면서 그 일측면에 폭이 좁은 신형 지폐의 일측단이 맞닿아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몸체(32b)의 전면에 형성되는 경사면(322b)은 폭이 넓은 구형 지폐가 맞닿으면서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가이드몸체(32b)가 힌지부(321b)를 중심으로 상승되면서 하단이 개방되어 구형 지폐가 원활히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몸체(32b)는 그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방지경사면(323b)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방지경사면(323b)은 투입된 지폐의 반환 시에 걸림이 방지된 상태로 안정적인 반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40)는 지폐정렬부(30b)의 나선로드(31b)에 설치되어 설치홈(21)의 내측에서 폭이 좁은 지폐의 폭에 맞추어 가이드몸체(32b)의 설치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갖는 지폐에 상기 지폐정렬부(30b)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위치조절부(40)는 가이드몸체(32b)의 일측면에 대응하여 나선로드(31b)에 스크루 결합되는 제1위치고정너트(41)와, 상기 가이드몸체(32b)의 타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나선로드(31b)에 스크루 결합되는 제2위치고정너트(42)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부(40)는 제1위치고정너트(41) 및 제2위치고정너트(42)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선로드(31b)에 체결되고 상기 제1위치고정너트(41)와 제2위치고정너트(42)의 사이로 상기 나선로드(31b)에 힌지부(321b)가 끼워져 가이드몸체(32b)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위치고정너트(41)와 제2위치고정너트(42)의 상기 나선로드(31b)에 대한 결합 부위에 따라 상기 가이드몸체(32b)의 설치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위치조절부(40)는 힌지부(321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나선로드(31b)에 스크루 결합되고 양단이 제1위치고정너트(41)와 제2위치고정너트(42)의 사이에 밀착되는 밀착부시(4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시(43)는 일단에 제1위치고정너트(41)가 밀착되고 타단에 제2위치고정너트(42)가 밀착되어 상기 제1위치고정너트(41)와 제2위치고정너트(42)가 소정의 간격을 가진 상태로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가이드몸체(32b)의 힌지부(321b)에 끼워져 상기 힌지부(321b)와 나선로드(31b)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힌지부(321b)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폭이 좁은 지폐의 투입 시에 그 정렬이 원활하 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폭이 좁은 신형 지폐의 안정적이고 정밀한 투입이 이루어지고 폭이 좁은 지폐의 부정확한 투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식에러가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부의 마찰을 감소시켜 지폐의 투입 시에 가이드몸체의 상승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폐의 투입 시에 가이드몸체에 의한 지폐의 구겨짐이 원활히 방지되고 폭이 넓은 구형 지폐의 투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투입된 지폐의 반환 시에 걸림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지폐의 반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지폐의 걸림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해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몸체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상승 및 낙하에도 위치의 변동이 방지되고 폭이 좁은 지폐의 정렬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폭이 넓은 지폐의 투입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폭이 좁은 지폐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상의 제한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지폐의 폭에 맞추어 지폐정렬부의 위치가 원활히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다양한 크기의 폭을 갖는 지폐를 정렬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현저히 넓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1)

  1. 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일측에 정렬된 상태로 투입되도록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투입가이드(10)와;
    상기 투입가이드(10)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상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투입가이드(10)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 하면에 설치홈(21)이 형성되는 상단프레임(20)과;
    상기 설치홈(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프레임(20)의 하면과 상기 투입가이드(10)의 상면 사이로 투입되는 폭이 넓은 지폐와 상기 지폐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지폐를 각각 개별적으로 정렬시키는 지폐정렬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정렬부(30)는,
    상기 설치홈(21)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마찰감소홈(311)을 갖는 돌출로드(31)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도록 상기 돌출로드(3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부(321)가 끝단에 형성되고 폭이 좁은 지폐의 일측단이 일측면에 맞닿아 정렬되며 폭이 넓은 지폐가 통과되도록 전면에 경사면(322)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32)는,
    투입된 지폐의 반환 시에 걸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32)의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방지경사면(323)과,
    자중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32)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중공홈부(3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32)는,
    상기 경사면(322)의 하단으로 상기 가이드몸체(32)의 하면에 형성되는 수평면(325)과, 상기 수평면(325)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돌턱(3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가이드(10)는,
    상기 가이드몸체(32)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투입가이드(10)의 상면에 상기 수평면(325)이 삽입되어 내측 상면에 맞닿는 몸체삽입홈(11)과, 상기 삽입돌턱(326)이 삽입되어 정렬되도록 상기 몸체삽입홈(11)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삽입통공(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5. 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일측에 정렬된 상태로 투입되도록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투입가이드(10)와;
    상기 투입가이드(10)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상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투입가이드(10)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 하면에 설치홈(21)이 형성되는 상단프레임(20)과;
    상기 설치홈(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프레임(20)의 하면과 상기 투입가이드(10)의 상면 사이로 투입되는 폭이 넓은 지폐의 투입을 제한하면서 상기 지폐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지폐를 정렬시키는 제한정렬부(3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정렬부(30a)는,
    상기 설치홈(21)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로드(31a)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도록 상기 돌출로드(31a)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부(321a)가 끝단에 형성되고 폭이 좁은 지폐의 일측단이 일측면에 맞닿아 정렬되며 폭이 넓은 지폐의 선단이 걸리도록 전면에 걸림홈(322a)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3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32a)는,
    투입된 지폐의 반환 시에 걸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32a)의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방지경사면(323a)과, 상기 가이드몸체(32a)의 하면에 형성되는 수평면(324a)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가이드(10)는,
    상기 가이드몸체(32a)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투입가이드(10)의 상면에 상기 수평면(324a)이 삽입되어 내측 상면에 맞닿는 몸체삽입홈(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8. 지폐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일측에 정렬된 상태로 투입되도록 지폐 인식기의 선단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투입가이드(10)와;
    상기 투입가이드(10)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상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투입가이드(10)의 끝단 상부에 장착되고, 일측 하면에 설치홈(21)이 형성되는 상단프레임(20)과;
    상기 설치홈(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프레임(20)의 하면과 상기 투입가이드(10)의 상면 사이로 투입되는 폭이 넓은 지폐와 상기 지폐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지폐를 각각 개별적으로 정렬시키는 지폐정렬부(30b)와;
    상기 지폐정렬부(30b)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홈(21)의 내측에서 폭이 좁은 지폐의 폭에 맞추어 상기 지폐정렬부(30b)의 설치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정렬부(30b)는,
    상기 설치홈(21)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나선로드(31b)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도록 상기 나선로드(31b)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힌지부(321b)가 끝단에 형성되고 폭이 좁은 지폐의 일측단이 일측면에 맞닿아 정렬되며 폭이 넓은 지폐가 통과되도록 전면에 경사면(322b)이 형성되는 가이드몸체(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40)는,
    상기 가이드몸체(32b)의 일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나선로드(31b)에 스크루 결합되는 제1위치고정너트(41)와,
    상기 가이드몸체(32b)의 타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나선로드(31b)에 스크루 결합되는 제2위치고정너트(42)와,
    상기 힌지부(321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나선로드(31b)에 스크루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제1위치고정너트(41)와 제2위치고정너트(42)의 사이에 밀착되는 밀착부시(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32b)는,
    투입된 지폐의 반환 시에 걸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32b)의 배면에 형성되는 걸림방지경사면(323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KR1020060060469A 2006-06-30 2006-06-30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KR100749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469A KR100749085B1 (ko) 2006-06-30 2006-06-30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469A KR100749085B1 (ko) 2006-06-30 2006-06-30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085B1 true KR100749085B1 (ko) 2007-08-13

Family

ID=3860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469A KR100749085B1 (ko) 2006-06-30 2006-06-30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4016A2 (ko) * 2010-01-07 2011-07-14 엘지엔시스(주) 자동화기기 및 그의 안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26A (ja) * 1995-06-30 1997-01-17 Nippon Kinsen Kikai Kk 紙幣鑑別装置
KR20000008516A (ko) * 1998-07-14 2000-02-07 배길성 지폐식별기
JP2005115811A (ja) 2003-10-10 2005-04-28 Japan Cash Machine Co Ltd 有価紙葉鑑別装置
KR20060042403A (ko) * 2005-10-17 2006-05-12 조복천 지폐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26A (ja) * 1995-06-30 1997-01-17 Nippon Kinsen Kikai Kk 紙幣鑑別装置
KR20000008516A (ko) * 1998-07-14 2000-02-07 배길성 지폐식별기
JP2005115811A (ja) 2003-10-10 2005-04-28 Japan Cash Machine Co Ltd 有価紙葉鑑別装置
KR20060042403A (ko) * 2005-10-17 2006-05-12 조복천 지폐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4016A2 (ko) * 2010-01-07 2011-07-14 엘지엔시스(주) 자동화기기 및 그의 안내장치
KR101082740B1 (ko) 2010-01-07 2011-11-10 엘지엔시스(주) 자동화기기의 기록용지 안내장치
WO2011084016A3 (ko) * 2010-01-07 2011-12-08 엘지엔시스(주) 자동화기기 및 그의 안내장치
CN102741891A (zh) * 2010-01-07 2012-10-17 Lgn-Sys株式会社 自动柜员机及其导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0428A1 (en) Bill processing device
KR100758123B1 (ko) 지폐감별장치의 간격조절구조
JPS62159296A (ja) 紙幣識別・スタツク装置
US20050035531A1 (en) Paper supply device
BR112014001696B1 (pt)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de folha de papel
KR100749085B1 (ko) 지폐 인식기의 지폐 가이드장치
EP0687990B1 (en) Card reader
JP5019584B2 (ja) カード処理装置
US20100140863A1 (en) Bill position adjustment method and system for bill acceptor
EP2772888B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US6709324B1 (en) Size adjustable coin escalator for use in gaming apparatus
KR101082662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매체감지장치
JPH11240655A (ja) シート送り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CN104470839A (zh) 纸张输送装置
US8235381B2 (en) Device for processing paper sheets or the like
JP4993350B2 (ja) カード処理装置
JP5608896B2 (ja) コインの自動移送装置
JP2019067325A (ja) 硬貨処理装置
JP2013082558A (ja) 媒体処理装置
EP0822910B1 (en) Device for supporting moving paper
JPH0451390A (ja) 紙幣・カード識別装置
JP2600133Y2 (ja) 紙幣の収納装置
JP5116138B2 (ja) カード処理装置
CN108369654A (zh) 卡送出装置
JP3846894B2 (ja) 原稿搬送装置および原稿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