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912B1 -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및 전력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및 전력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912B1
KR100747912B1 KR1020000058376A KR20000058376A KR100747912B1 KR 100747912 B1 KR100747912 B1 KR 100747912B1 KR 1020000058376 A KR1020000058376 A KR 1020000058376A KR 20000058376 A KR20000058376 A KR 20000058376A KR 100747912 B1 KR100747912 B1 KR 10074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command
power
mobile terminal
delete delete
inter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851A (ko
Inventor
간드히아시프대우디
이바네즈마크베네딕트
송레이
토마스매튜
비테브스키스텐레이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1005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간섭 증가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을 고려함으로써 네트워크 기지국에 의해서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에 대한 전력 조정 명령을 중앙 집중화 방식으로 생성한다. 일 구현예에서, 기지국 전력 제어 프로세서는 간섭 증가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변형 역방향 내부 루프 전력 제어(RILPC) 및/또는 역방향 외부 루프 전력 제어 (ROLPC) 알고리즘을 채택한다. 변형 RILPC 알고리즘에 따르면,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에 대한 Eb/No 측정치가 목표 Eb/No 레벨을 충족하지 못할 때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의 비율이 전력 강하 조정 명령으로 변환되고, 이에 의해서 일부 이동 단말이 적어도 일시적으로 송신 전력을 감소시켜서 간섭을 억제한다. 간섭 증가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전력 강하 명령으로 변환되는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의 비율이 변화할 수도 있다. 변형 ROLPC 알고리즘에 따르면, 전력 제어 프로세서는 전체적인 시스템 상태에 근거하여 목표 Eb/No 레벨을 중앙 집중화 방식으로 조정하여, 한정된 목표 Eb/No 레벨만이 프레임 소거가 발생할 때 증가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소거가 발생할 때 적어도 일시적으로 목표 Eb/No 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의 비율이 회피된다. 따라서, 변형 RILPC에 의해서 달성되는 효과와 유사한 효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변형 RILPC 알고리즘은 변형 ROLPC 알고리즘과 함께 이용되어, 간섭 증가 상태에 보다 큰 저항을 제공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및 전력 제어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VERSE LINK INTERFERENCE RISE AND POWER CONTROL INSTABILITY IN A WIRELESS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데 적합한 예시적인 기지국 송신기/수신기의 일반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송신기/수신기에 의해 실행되는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알고리즘을 예시하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조정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예시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외부 루프 전력 제어를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미국 통신 기기 공업 협회(TIA)가 채택한 IS-95 표준에 규정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와 같은 확산(spread) 스펙트럼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통신 채널은 동일 무선 주파수(RF) 대역을 공유하며 고유 코드에 의해서 차별화된다. 전송될 각 정보 신호는 할당된 코드와 결합하므로, 그 신호는 대응하는 역확산(de-spreading)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수신기로의 잡음으로 보인다. 따라서, 여러 가지의 시간 슬롯을 각 이동 단말(mobile)에 할당하고 하나의 RF 대역을 복수의 하위대역으로 각각 세분함으로써, 복수의 이동 단말이 단일 무선 주파수(RF)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TDMA) 및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기술과는 대조적으로, CDMA 시스템의 단일 무선 셀/섹터가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이동 단말의 수는 고정적인 것은 아니며, 대신에, 일반적으로는 동일하거나 또는 인접하는 셀/섹터 내의 다른 이동 단말로부터의 간섭에 의해서 야기되는 서비스 품질의 저하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네트워크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CDMA 시스템 아키텍처는 역방향 링크(reverse link)(이동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송신 전력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되는 각 이동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적절한 성능 유지에 필요한 최소 레벨로 적합하게 설정한다. 그러한 전력 제어 기술은 두 가지의 주요 동작을 포함한다. 즉, (1) 역방향 내부 루프 전력 제어(RILPC)로서, 여기서, 전력 조정 명령은 서비스되는 각 이동 단말에 대한 역방향 링크 호출 품질과 목표 품질값(전형적으로, 비트당 에너지 Eb 대 간섭 No의 비로 나타냄)과의 비교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2) 역방향 외부 루프 전력 제어(ROLPC)로서, 여기서, 각각의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품질값은 허용 가능한 프레임 에러율을 유지하도록 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서비스되는 각 이동 단말에 대한 역방향 링크 Eb/No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RILPC에 따라서, 역방향 링크 Eb/No가 그 이동 단말에 할당된 목표 Eb/No 값보다 큰지(허용 가능한 호출 품질을 표시함) 아니면 목표 Eb/No 값보다 작은지(부적당한 호출 품질을 표시함)에 의존하여, 소정 간격, 전형적으로는 매 1.25ms마다 전력 상승 조정 또는 전력 강하 조정 명령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한다. ROLPC의 경우에, 기지국은 프레임 에러(즉, 소거 프레임)가 수신될 때,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Eb/No을 증대시켜서 그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대한 허용 가능한 프레임 에러율을 보증한다. 만일 비소거(non-erasure) 프레임이 수신되면, 기지국은 목표 Eb/No을 낮춘다. 각각의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Eb/No 레벨을 조정하는 이러한 프로세스는 매 프레임마다 한번씩 예컨대 매 20ms마다 일어나며, 호출당 또는 개별 이동 단말 단위(즉, 분산 방식)로 역방향 링크 송신 전력을 억제하면서,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에 대한 허용 가능한 소거율을 유지하고자 한다.
임의의 부하 레벨에서, CDMA 시스템은 기지국에서 수신된 전력이, 예컨대 전송 사양에 부합되지 않는 이동 단말에 의해서 야기되거나 또는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이 페이드(fade)되지 않을 때 갑작스럽게 변화한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극도로 큰 부하 하에서 다수의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을 발하게 되어서, 기지국에서의 간섭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간섭에서의 이러한 급격한 증가는 더 많은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을 가져온다. 많은 이동 단말, 특히 셀/섹터 경계에 있는 이동 단말은 발생한 간섭 증가를 극복하는 데 필요한 전력 레벨로 전송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상황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호출이 소실(drop)된다. 현재의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기술은 결과적인 전체 시스템 성능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서 분산방식으로 호출당 또는 개별 이동 단말 단위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의 전력 제어 알고리즘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높은 간섭 상태가 발생할 때, 각 이동 단말의 상태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전력 제어 동안에 전체 시스템 성능을 고려하여, 기지국에 의해서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에 대한 전력 조정 명령을 시스템 기반 또는 중앙 집중화 방식으로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기지국의 전력 제어 프로세서는 간섭 증가 상태의 시작(onset)을 검출하자마자 변형 RILPC 알고리즘을 채택한다. 이러한 간섭 증가 상태는, 예컨대, 절대값 및/또는 시간 미분 수신 신호 세기 표시기(RSSI) 측정치, 시간 주기 동안 생성된 전력 상승 조정 명령 대 그 시간 주기 동안 생성된 전체 전력 조정 명령의 비율(ratio), 및/또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호출 품질 감소(예컨대, Eb/No 감소)를 감시함으로써 검출된다. 변형 RILPC 알고리즘에 따르면, 전력 제어 프로세서는 전력 강하 조정 명령 대 전력 상승 전력 명령의 비율을 변환하여 기지국에서의 간섭을 억제하며 전체적인 서비스 품질을 보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Eb/No 측정치가 목표 레벨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 전력 상승 조정 명령 수의 갑작스러운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서, 기지국이 정상적으로 발하는 전력 강하 조정 명령 대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의 비율은 변환되고, 이에 의해서 일부 이동 단말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송신 전력을 감소시켜서 간섭을 억제한다. 간섭 증가가 지속되는 경우, 전력 강하 조정 명령으로 변환된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의 비율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변형 RILPC 알고리즘이 일부 이동 단말에 대한 역방향 링크 품질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킬 수도 있지만, 기지국 커버리지는 유지되며, 전체 링크 품질은 기지국에서 보이는 간섭 레벨의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향상된다. 따라서, 전력 제어는 개별 이동 단말에 대한 호출 품질을 열화시킴으로써 간섭 증가 상태 동안에 시스템 기반 또는 중앙 집중 방식으로 수행되어, 전체적인 서비스 품질이 유지된다. 또한, 전력 조정 명령은 서브 프레임 단위(예컨대, 각 20ms 프레임당 16개의 전력 조정 명령)로 출력되므로, 전력 강하 조정 명령 대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의 비율을 변환하면, 일반적으로 비교적 적은 프레임이 소거될 것이다. 변형 RILPC 알고리즘이 간섭 상승을 억제한 후, 전력 제어 프로세서는 정상 동작으로 되돌아간다.
다른 구현예에서, 전력 제어 프로세서는 간섭 증가 상태 동안에는 변형 ROLPC 알고리즘을 채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 제어 프로세서는 개별 이동 단말에 대한 에러율 대신에 시스템 기반 또는 중앙 집중화 방식 방식으로 목표 Eb/No 레벨을 조정하여, 프레임 소거가 발생한 경우에는 한정된 수의 목표 Eb/No 레벨만이 증가하게 되고 및/또는 간섭 증가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는 모든 그룹 또는 한 그룹의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Eb/No 레벨이 조정될 수 있는 한도를 감소시킨다.
프레임 소거가 발생한 경우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목표 Eb/No 레벨 증가를 방지함으로써, 및/또는 모든 그룹 또는 한 그룹의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Eb/No 레벨이 조정될 수 있는 한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의 비율이 방지된다. 따라서, 변형 RILPC에 의해서 달성되는 효과와 유사한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변형 RILPC 알고리즘은 변형 ROLPC 알고리즘과 조합되어 간섭 증가 상태에 보다 큰 저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측면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도면을 참조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역방향 링크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이 네트워크는 간섭 증가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시스템 기반 또는 중앙 집중화 방식 전력 제어 알고리즘을 채택하여 급작스러운 간섭 증가 및 전력 제어 불안정성을 억제함으로써, 각각의 이동 단말(들)의 호출 품질을 저하시켜서 전체 시스템 품질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CDMA 기지국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기지국의 전력 제어 프로세서로서, 이 프로세서는 간섭 증가 상태 검출 시에 변형 RILPC 및/또는 변형 ROLPC를 채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에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기지국(10)의 송신기/수신기(20)의 일반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10)의 송신기/수신기(20)는 수신기/복조기 유닛(22), 전력 제어 프로세서(24) 및 송신기/변조기 유닛(26)을 포함한다. 수신기/복조기 유닛(22)은 기지국(10)의 수신 안테나(30)로부터 RF 신호 Rx를 수신하며, 예컨대, 대역 통과 필터링, 저잡음 증폭, 확산 스펙트럼 처리, 주파수 하향 변환, 복조, 및 에러 보정과 같은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서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로부터 데이터/음성 트래픽을 복구한다. 송신기/복조기(26)는, 예를 들어, 기지국(10)에 의해서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에 전송될 음성/데이터 트래픽 및 제어 정보, 예를 들면 파일럿, 페이징 및 동기화 신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저 대역 통신 신호 INPUT1, …, INPUTN을 수신한다. 송신기/변조기(26)는 또한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로부터 서비스되는 각 이동 단말에 대한 전력 조정 명령 비트를 수신하며, 예컨대 컨벌루셔널 인코딩, 확산 스펙트럼 처리 및 RF 반송파 신호 변조와 같은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기지국(10)의 송신 안테나(40)에 의해서 전송될 RF 송신 신호 Tx를 생성한다.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수신기/복조기(22)로부터 복수의 측정치를 수신하며, 이를 이용하여, 서비스되는 각 이동 단말에 대한 전력 조정 명령을 생성하고 Eb/No 측정치 및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에 대한 프레임 소거 정보 및 RSSI 값을 포함하는 간섭 증가 상태의 시작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간섭 증가 상태를 검출할 때 시스템 기반 또는 중앙 집중화 방식 전력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며, 이에 의해서 각 이동 단말(들)에 대한 호출 품질을 저하시켜 전체적인 시스템 품질이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력 조정 명령을 생성하는 전력 제어 프로세서(24)의 동작은 도 2-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하기에 설명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범용 컴퓨터, 또는 전용 논리 회로와 같은 전용 하드웨어로서 실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2에서,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초기에 시간 프레임 인덱스 값 tf 및 간섭 상태 시간 인덱스 to를 0으로 설정한다(단계 105). 후술하는 바와 같이, tf는 프레임 주기(예컨대, 20ms) 경과 시, 및 이에 따라 ROLPC가 수행되어야만 하는 때를 표시하는 데 이용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to은 간섭 증가 상태의 지속시간, 및 이에 따른, 변형 RILPC 및/또는 변형 ROLPC 알고리즘의 파라미터 변경 시점 또는 대체 방안의 개시 시점을 표시하는 데 이용된다.
다음,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기지국 간섭 레벨을 감시하고(단계 110), 간섭 증가 상태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15).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간섭 증가 상태의 시작 또는 계속을 인식한다.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간섭 증가 상태를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한 가지 접근방안은 역방향 링크 간섭의 절대 측정에 근거하며, 이에 의해서 총 역방향 링크 RSSI는 정상적인 잡음 한도 이상의 레벨(예컨대, 대략 6dB 이상)로 설정되는 임계치와 비교된다. 다른 접근방안은 역방향 링크 간섭의 시간 미분 측정에 근거하며, 이에 의해서 시간 윈도(예컨대, 1-500 프레임) 이상의 평균 RSSI가 감시되고, 평균 RSSI의 샘플을 주기적으로 취하여 증분을 검출한다. 평균 RSSI의 증분이 임계치(예컨대, 6dB-12dB)를 초과한 경우, 간섭 증가가 검출된다. 또 다른 방법은 시간 윈도(예컨대, 1-20 프레임) 전체에서의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의 총 개수 대 동일한 시간 윈도 전체에서의 전력 조정 명령(즉, 상승 조정 + 강하 조정)의 총 개수에 대한 비율(ratio)을 감시하는 것이다. 이 비율이 임계치(예컨대, 0.7 이상)보다 큰 경우에는, 간섭 증가가 검출된다. 또 다른 방법은 지정된 시간 주기 전체에서 큰 비율의 능동 사용자에게 중요한 임의의 Eb/No 감소를 감시하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간섭 증가 상태의 시작을 검출하는 데에는 그 밖의 다른 접근방안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전력 제어 프로세서(24)가 간섭 증가 상태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115), 예컨대 본 명세서의 "발명의 배경" 부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RILPC 알고리즘이 선택되고(단계 120), to가 0으로 설정되며(단계 121), 전력 상승 조정 및 전력 강하 조정 명령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생성된다(단계 130). 전력 제어 프로세서(24)가 간섭 증가 상태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115), to는 제 1 시간 임계치 tL1과 비교되어(단계 122), 간섭 증가 상태가 tL1(예컨대 tL1은 1-20 프레임임)보다 더 오래 지속되었는지를 표시한다. to가 tL1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변형 RILPC 알고리즘을 채택하여(단계 124), 전력 조정 명령이 각각의 이동 단말 단위 대신에 전체적인 성능을 고려한 방법으로 생성되게 하며(단계 130), to를 1만큼 증분한다(단계 125).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력 조정 명령을 생성(단계 130)하는 RILPC 알고리즘의 단계를 예시한다. Eb/No 측정을 얻은 후(단계 132),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Eb/No를 목표 Eb/No 레벨과 비교하여(단계 134)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대한 역방향 링크 호출 품질이 적당한지를 표시한다. Eb/No이 목표 Eb/No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적당한 호출 품질을 표시함),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전력 강하 조정 명령을 생성하며(단계 136), 알고리즘은 도 2에 예시한 단계 174로 진행한다. 다른 한편으로, Eb/No가 목표 Eb/No 레벨보다 크지 않은 경우(부적당한 호출 품질을 표시함),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변형 RILPC 알고리즘이 유효한지를 판단한다(단계 138). 변형 RILPC 알고리즘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을 생성하며(단계 140), 알고리즘은 도 2에 예시한 단계 174로 진행한다. 변형 RILPC 알고리즘이 채택되면,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을 대신하여 전력 강하 조정 명령이 선택되어야 하는지, 즉,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대한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이 전력 강하 조정 명령으로 변환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42). 이러한 판단은 통계적 확률에 근거한다. 예컨대,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의 비율(예컨대, 초기에는 20%)은 전력 강하 조정 명령으로 랜덤하게 변환되며, 이러한 변환 확률은 간섭 증가 상태의 심각성 또는 간섭 증가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변환 가능성이 100%가 될 때까지 점차로 증가한다.
대안으로, 최초의 변환 확률은 100%로 설정될 수 있으며, 그 후에는 간섭 증가 상태가 완화됨에 따라서 점차로 감소한다. 다시 말해서, 이 확률은 간섭 증가 상태 동안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전력 제어 프로세서(24)가 전력 조정 명령 변환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142), 전력 강하 조정 명령이 선택되고(단계 136), 알고리즘은 도 2에 도시한 단계 174로 진행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력 제어 프로세서(24)가 어떤 변환도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단계 142),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을 생성하고(단계 140), 알고리즘은 도 2에 도시한 단계 174로 진행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to가 tL1을 초과한 경우,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to가 제 2 시간 임계치 tL2보다 큰지를 판단한다(단계 160). to가 tL1을 초과한 경우는 변형된 전력 제어 기술이 간섭 증가 상태를 적절히 억제하지 못함을 표시하며, 이에 의해서 대안책이 개시되어야 함을 나타낸다(단계 170). 예컨대,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서비스 모두를 제공하는 이중 모드 네트워크를 가정할 때) 이동 단말(들)이 디지털 서비스에서 아날로그 서비스로 전환되거나 또는 (그러한 대안 주파수 채널이 기지국에 유용한 경우를 가정할 때) 서로 다른 전송/수신 주파수 채널로 스위칭하도록 명령을 받는 핸드다운(handdown) 동작을 개시한다. 대안책이 정상적인 간섭 상태를 달성한 후, 단계 105에서 다시 초기화가 수행된다. to가 간섭 증가 상태가 지속되지만 대안책이 요구되는 지점이 아님을 표시하는 tL2를 초과하는 경우,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전력 제어 알고리즘의 파라미터를 변형한다. 예컨대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을 전력 강하 조정 명령으로 변환(단계 142)할 확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매시간 to가 tL1을 초과하여 증가할 때마다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전력 조정 명령이 생성된 후(단계 130), tf는 1만큼 증분되고(단계 174), 값 tframe과 비교되어 프레임 주기가 종료되었는지를 표시한다(단계 176).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조정 명령은 서브 프레임 단위(예컨대, 프레임당 16개의 전력 조정 명령)로 생성된다. 그러나, 외부 루프 전력 제어에 따르면, 목표 Eb/No 목표는 프레임 단위로 조정된다. 그러므로, 전력 제어 프로세서(24)가 단계 176에서 tf가 tframe와 같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처리는 단계 110으로 되돌아가서 다음 전력 조정 명령을 생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tf가 tframe과 같으면, 외부 루프 전력 제어가 수행되어 목표 Eb/No 레벨을 조정한다(단계 180).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외부 루프 전력 제어를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초기에,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프레임 소거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며(단계 182),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응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Eb/No 레벨을 낮추고(단계 184), tf를 0으로 리셋하며(단계 185), 단계 110으로 되돌아가서 RILPC를 수행한다. 그러나, 프레임 소거가 발생한 경우에는,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변형 전력 제어 방식이 유효한지(즉, 단계 115에서의 판단에 의해서 표시된 것)를 인지한다. 변형 전력 제어 방식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Eb/No 레벨을 증가시키고(단계 188), tf를 0으로 리셋하며(단계 185), 단계 110으로 되돌아가서 RILPC를 수행한다. 변형 전력 제어 방식이 유효한 경우,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Eb/No가 증가시켜야 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90).
예컨대, 목표 Eb/No 레벨을 증가시키는 확률이 할당되어, 프레임 소거가 발생한 경우에도, 목표 Eb/No 레벨은 증가(단계 188)하는 대신에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실질적으로 감소(단계 192)한다. 목표 Eb/No 레벨을 유지하거나 감소시킨 후(단계 192), tf는 0으로 리셋되고(단계 185), 전력 제어 알고리즘은 단계 110으로 되돌아가서 RILPC 수행한다. 목표 Eb/No 레벨을 증가시키는 대신에 유지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프레임 소거가 발생한 경우에도,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RILPC 동안에 더 적은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을 생성하고, 이에 의해서 간섭의 증가를 억제한다.
이동 단말의 목표 Eb/No를 증가시킬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그 이동 단말의 최근의 프레임 에러 이력(history)이 고려된다. 예컨대 대응하는 이동 단말에 대한 연속적인 프레임 소거가 발생할 경우에는 이동 단말의 목표 Eb/No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65의 절차는 to과 tL1 사이의 차이에 따라서 목표 Eb/No를 증가시킬 확률을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
전술한 변형된 ROLPC 알고리즘의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대한 추가로서, 전력 제어 프로세서(24)는 간섭 증가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모든 그룹 또는 한 그룹의 서비스되는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Eb/No 레벨이 증가할 수 있는 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현예가 변형 RILPC 알고리즘 및 변형 ROLPC 알고리즘의 조합에 의존하고 있으나, 변형 RILPC 알고리즘 및 변형 ROLPC 알고리즘 중 하나가 대안의 구현예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대안의 구현예는 간섭 증가 상태의 시작 시에 변형 RILPC 알고리즘 및 변형 ROLPC 알고리즘 중 단 하나만을 이용하며, 간섭 증가 상태가 시간 임계치보다 심하거나 또는 더 오래 지속되는 경우에 변형 RILPC 알고리즘 및 변형 ROLPC 알고리즘 모두를 이용한다. 간섭 증가 상태를 제어하는 또 다른 메커니즘으로서는, 간섭 증가 상태 동안 목표 프레임 에러율이 증가할 수 있으며 및/또는 가속 전력 강하 조정 명령이 이용될 수도 있다.
간섭 증가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 전체 성능을 고려함으로써 중앙 집중화 방식으로 동작하는 변형 전력 제어 방식(예컨대, 전술한 다수의 기술 중 임의의 한 기술 또는 그들의 조합)을 채택함으로써, 간섭의 폭주(runaway)가 회피되며, 역방향 링크 커버리지 및 전체 서비스 품질이 유지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응용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결과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간섭 레벨에서의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전체 링크 품질이 향상되며, 전체적인 시스템 품질이 유지되게 된다.

Claims (47)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전력 조정 명령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간섭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110)와,
    증가되는 간섭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증가되는 간섭 상태의 지속시간이 제 1 시간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을 전력 강하 조정 명령으로 변환하는 단계(142)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에 대한 신호-대-간섭 측정치를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신호-대-간섭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174)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신호-대-간섭 측정치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신호-대-간섭 레벨보다 더 큰 경우에 전력 강하 조정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136)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신호-대-간섭 측정치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신호-대-간섭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전력 강하 조정 명령을 생성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38)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통계적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신호-대-간섭 측정치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신호-대-간섭 레벨 미만인 경우에 전력 강하 조정 명령을 생성할지를 판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에 대한 신호-대-간섭 측정치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신호-대-간섭 레벨의 비교에 기초하여 전력 조정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134)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해 소거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182)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상기 소거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목표 신호-대-간섭 레벨을 조정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통계적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소거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상기 목표 신호-대-간섭 레벨을 조정할지 여부를 판단(182)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소거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182)와,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소거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상기 목표 신호-대-간섭 레벨을 조정할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적 확률은 가변인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적 확률은 가변인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기지국에서의 총 역방향 링크 신호 세기에서의 변화를 감시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절대적인 총 링크 신호 세기를 감시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전력 상승 조정 명령 대 총 전력 조정 명령의 비율을 감시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복수의 이동 단말에 대한 신호-대-간섭 레벨을 감시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는 통계적 확률에 기초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는 전력 상승 조정 명령 대 전력 강하 조정 명령의 비율을 변환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전력 강하 조정 명령으로 변환되는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의 상기 비율이 미리 정해지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i) 상기 증가되는 간섭 상태의 레벨과 ii) 상기 증가되는 간섭 상태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비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4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증가되는 간섭 상태의 지속시간이 상기 제 1 시간 임계값을 초과하고, 제 2 시간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변환 단계에서 전력 강하 조정 명령으로 변환되는 전력 상승 조정 명령의 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는 비율 값이며,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i) 상기 증가되는 간섭 상태의 레벨과 ii) 상기 증가되는 간섭 상태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상기 비율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증가되는 간섭 상태의 지속시간이 상기 제 2 시간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i) 핸드다운(handdown) 동작과 ii) 상이한 송신/수신 주파수 채로 스위칭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4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제 1 시간 임계값과 제 2 시간 임계값을 이용하여 간섭 상태를 검출하는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KR1020000058376A 1999-10-06 2000-10-05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및 전력 제어 시스템 KR100747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13,036 1999-10-06
US9/413,036 1999-10-06
US09/413,036 US6968201B1 (en) 1999-10-06 1999-10-0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verse link interference rise and power control instability in a wireles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851A KR20010050851A (ko) 2001-06-25
KR100747912B1 true KR100747912B1 (ko) 2007-08-08

Family

ID=2363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376A KR100747912B1 (ko) 1999-10-06 2000-10-05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및 전력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68201B1 (ko)
EP (1) EP1091503B1 (ko)
JP (1) JP4737810B2 (ko)
KR (1) KR100747912B1 (ko)
CN (1) CN1297295A (ko)
AU (1) AU6246500A (ko)
BR (1) BR0005605A (ko)
CA (1) CA2322236A1 (ko)
DE (1) DE6004432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03643B1 (en) * 1998-11-09 2019-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s and methods for power control in a rsma (reservat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10017930A1 (de) * 2000-04-11 2001-11-15 Siemens Ag Verfahren zur Sendeleistungsregelung in einem Funk-SIGMAommunikationssystem
US6665283B2 (en) * 2001-08-10 2003-12-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00547893B1 (ko) * 2001-10-30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3607854B2 (ja) 2001-11-22 2005-0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7010321B2 (en) * 2002-02-04 2006-03-07 Qualcomm Inc. Power control avoiding outer loop wind-up
US7616961B2 (en) * 2002-04-29 2009-11-10 Harris Corporation Allocating channels in a mobile ad hoc network
GB2398965B (en) 2003-02-27 2005-05-18 Toshiba Res Europ Ltd Methods of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levels in air interface channels
DE602004029788D1 (de) * 2003-07-03 2010-12-09 Nortel Networks Ltd Uplink-interferenzminderung in mobilfunkkommunikationssystemen
US8010073B2 (en) * 2004-01-22 2011-08-30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power amplifier output power in linear dB steps
CN1305229C (zh) * 2004-03-12 2007-03-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反向外环功率控制方法
CN100365949C (zh) * 2004-05-17 2008-01-3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在具有智能天线的移动通信系统中实现下行功控的方法
US7536626B2 (en) * 2004-06-18 2009-05-1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using erasure techniques
US8452316B2 (en) 2004-06-18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orthogonal multiplexing
US7594151B2 (en) * 2004-06-18 2009-09-22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power control in an orthogonal system
US7197692B2 (en) 2004-06-18 2007-03-27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erasure detection and erasure-rate-based closed loop power control
CN100362769C (zh) * 2004-06-30 2008-01-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码分多址通信系统中的外环功控方法
US7907910B2 (en) * 2004-08-02 2011-03-1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vary power level of training signal
KR20060016193A (ko) * 2004-08-17 200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송신 다이버시티 지원방법
US7907950B2 (en) 2004-08-17 2011-03-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stablishing fast feedback channel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0401649C (zh) * 2005-02-24 2008-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cdma系统基站中的功率控制方法
US7636322B1 (en) * 2005-03-07 2009-12-22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RF access probes based on RF conditions
US8942639B2 (en) 2005-03-1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48574B2 (en) 2005-03-15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12422B1 (en) 2005-05-18 2014-04-29 Sprint Spectrum L.P. Dynamic allocation of access channels based on access channel occupancy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331698B (zh) 2005-10-27 2012-07-18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估计无线通信系统中的反向链路负载的方法和设备
US8098613B2 (en) * 2005-12-28 2012-01-17 Alcatel Lucent Method of managing transmission del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88566B2 (en) 2006-01-18 2010-08-31 Alcatel-Lucent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hybrid ARQ transmissions
US7885199B2 (en) * 2006-01-31 2011-02-08 Alcatel-Lucent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roup calling in a wireless network
US8712460B2 (en) 2006-02-17 2014-04-29 Alcatel Lucent Methods of reverse link power control
US20070270111A1 (en) * 2006-05-19 2007-11-22 Broadcom Corporation Dual power mode transmitter
US7860467B2 (en) 2006-08-29 2010-12-28 Broadcom Corporation Power control for a dual mode transmitter
US8670777B2 (en) 2006-09-08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other sector interference (OSI) adjustment
US8442572B2 (en) 2006-09-08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ments for delta-based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90303888A1 (en) * 2007-05-03 2009-12-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wireless networks through feedback and adaptation
US8200270B2 (en) * 2007-08-20 2012-06-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adusting power at a node
US7899483B2 (en) * 2007-10-08 2011-03-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istributed outer loop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O2009061261A2 (en) * 2007-11-06 2009-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99705B2 (en) 2008-02-01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based on enhanced pilot measurement reports
US8504091B2 (en) 2008-02-01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107387B2 (en) * 2008-03-25 2012-01-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to operate a wireless network having a predictable and stable performance
US9420548B2 (en) * 2008-07-31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IoT setpoints and interference control
JP5297240B2 (ja) * 2009-03-23 2013-09-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8509699B1 (en) 2009-09-22 2013-08-13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ccess parameters in response to surges in paging buffer occupancy
CN102056278B (zh) * 2009-10-29 2014-10-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内环功率控制的基站及方法
JP5798383B2 (ja) * 2011-06-07 2015-10-21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装置
US20130012138A1 (en) * 2011-07-06 2013-0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improving robustness of spectrum sensing in presence of bursty interference
TWI505740B (zh) 2013-11-19 2015-10-21 Inst Information Industry 用於動態調整小型蜂巢基站功率之控制裝置及其控制方法
JP6336085B2 (ja) * 2013-12-24 2018-06-0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Fdr通信環境で自己干渉を緩和する方法
US9942412B1 (en) 2014-09-08 2018-04-10 Sprint Spectrum L.P. Use of contention-free random-access preamble in paging proces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126A (ko) * 1994-05-12 1995-12-30 고지 오보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US5604730A (en) * 1994-07-25 1997-02-18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transmitter power control in a contention based multiple access system
JPH10108249A (ja) 1996-09-26 1998-04-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送信電力制御方式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19990045280A (ko) * 1997-11-13 1999-06-25 모리시타 요이찌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송수신 장치
KR20000002011A (ko) * 1998-06-16 2000-01-1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개방 루프 전력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9303A (en) * 1994-09-02 1997-07-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among communication systems
US5727033A (en) * 1994-11-30 1998-03-10 Lucent Technologies Inc. Symbol error based power control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5732328A (en) * 1995-04-25 1998-03-2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ower control in wireless networks for communicating multiple information classes
JP2768320B2 (ja) 1995-09-04 1998-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波長可変光フィルタ
US5778030A (en) 1996-03-15 1998-07-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SE9702046L (sv) * 1997-05-30 1998-12-01 Ericsson Telefon Ab L M System och förfarande relaterande till cellulära kommunikationssystem
JP3075217B2 (ja) * 1997-06-30 2000-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のキャリアセンス方法
KR100259839B1 (ko) * 1997-06-30 2000-06-15 윤종용 삭제 지시자 비트를 이용한 순방향 전력 제어 방법
JPH11145899A (ja) 1997-11-10 1999-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受信装置及び無線伝送システム
JPH11178050A (ja) * 1997-12-10 1999-07-02 Sony Corp 制御情報伝送方法及び送信装置並びに送受信装置
US6154659A (en) * 1997-12-24 2000-11-28 Nortel Networks Limited Fast forward link power control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6181738B1 (en) * 1998-02-13 2001-01-30 Northern Telecom Limited Reverse link power control using a frame quality metric
US6445686B1 (en) * 1998-09-03 2002-09-03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peech signals transmitted over wireless communication facilities
US6192249B1 (en) * 1998-12-03 2001-02-20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link loading estimation
US6603746B1 (en) * 1999-06-18 2003-08-0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ted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493541B1 (en) * 1999-07-02 2002-12-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 power control time delay compens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126A (ko) * 1994-05-12 1995-12-30 고지 오보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US5604730A (en) * 1994-07-25 1997-02-18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transmitter power control in a contention based multiple access system
JPH10108249A (ja) 1996-09-26 1998-04-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送信電力制御方式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19990045280A (ko) * 1997-11-13 1999-06-25 모리시타 요이찌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송수신 장치
KR20000002011A (ko) * 1998-06-16 2000-01-1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개방 루프 전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05605A (pt) 2001-06-12
CA2322236A1 (en) 2001-04-06
KR20010050851A (ko) 2001-06-25
AU6246500A (en) 2001-04-12
JP2001177472A (ja) 2001-06-29
EP1091503A2 (en) 2001-04-11
EP1091503A3 (en) 2003-07-09
JP4737810B2 (ja) 2011-08-03
DE60044326D1 (de) 2010-06-17
CN1297295A (zh) 2001-05-30
EP1091503B1 (en) 2010-05-05
US6968201B1 (en)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912B1 (ko) 송신 전력 조정 명령 생성 방법 및 전력 제어 시스템
RU2452117C2 (ru) Управление помехой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6085107A (en) Power presetting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400850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多重符号チャネルのパワーコントロール
EP1016299B1 (en) A power control subsystem
CA2337736C (en) Adjacent carrier frequency interference avoiding method for cellular system,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controller
EP1859588B1 (en) Interferen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804520B1 (en) Temporary service interruption for high speed data transfer
JP4818669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伝送電力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6418137B1 (en) Transmitted signal power control in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EP12257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gains and data rates to preserve voice quality in a CDMA system
GB2328584A (en) Handover switching control
EP10922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capacity
US6628637B1 (en) Spread-spectrum carrier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7519019B2 (en) Method of rate control
JP2000517502A (ja) デジタル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レベルの設定
US8457237B2 (en)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526243B2 (ja) 基地局装置及び回線品質劣化防止方法
US20080194285A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EP1081875B1 (en) Aggregate power measurement and control
US7224994B2 (en) Power control method for handling frame erasure of data in mobile link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