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434B1 -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 - Google Patents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434B1
KR100747434B1 KR1020070023592A KR20070023592A KR100747434B1 KR 100747434 B1 KR100747434 B1 KR 100747434B1 KR 1020070023592 A KR1020070023592 A KR 1020070023592A KR 20070023592 A KR20070023592 A KR 20070023592A KR 100747434 B1 KR100747434 B1 KR 100747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ley
frame
foreign matter
small river
flood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석
심석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이엔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에 관한 것으로, 계곡에서 하천으로 계곡수와 함께 흐르는 폐목재 등이 하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이며, 계곡(1)의 바닥부에 계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초부(10)와; 다수의 통수공(H)이 구비되며 기초부(10) 상에 기초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져 계곡(1)을 따라 흐르는 계곡수에 포함된 이물질(W)(폐목재 등)을 거르는 이물질 선별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선별수단(20)은, 상기 기초부(10) 상에 일렬로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대(30)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하천으로 흐르는 계곡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이물질 선별대(4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기초부에 상기 계곡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상기 기초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바닥 프레임(31),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측에 그 일단이 연결되어 경사지게 세워지며 하단부가 고정되는 받침 프레임(32)으로 구성되고, 싱기 이물질 선별대는 하단부가 상기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며 도중이 상기 받침 프레임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종방향 프레임(41)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서로 다른 높이의 다단으로 결합되는 횡방향 프레임(42)으로 구성된다.
계곡, 범람, 수해, 폐목재, 선별, 프레임

Description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EQUIPMENT PREVENTION OF FLOODS FOR SMALL-RI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의 시공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에 적용된 기초부의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의 구성도.
도 9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곡, 10 : 기초부
20 : 이물질 선별대, 30 : 지지대
31 : 바닥 프레임, 32 : 받침 프레임
40,50 : 이물질 선별대, 41 : 종방향 프레임
42 : 횡방향 프레임, 43 : 힌지
60 : 연결구, 70 : 그물망
본 발명은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곡수와 함께 하천으로 흐르는 각종 이물질(폐목재, 암석 등)이 계곡의 상류에 선별되어 계곡의 하류 및 하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적층에 의한 계곡과 하천의 범람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목시 발생되는 폐목재와 암석 등은 계곡을 따라 하류의 하천으로 내려와 소하천에 적층됨으로써 소하천의 통수단면을 축소시키며, 이에 의해 소하천수가 범람하게 되어 결국 소하천 변의 농경지 및 농가주택이 침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계곡에서부터 소하천으로 떠내려오는 폐목재 등을 처리하기 위한 시설이 없기 때문에 폐목재 등을 무방비상태로 방치하거나 많은 양이 적층된 후 수많은 인력과 장비를 동원하여 소하천에서 제거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곡수와 함께 계곡의 상류에서 하천으로 흐르는 각종 이물질이 계곡의 하류와 하천에 쌓이지 않도록 계곡의 상류측에서 차단함으로써 이물질의 적층에 의한 계곡과 하천의 범람을 방지함으로써 범람에 의한 농경지 및 주택의 침수를 막을 수 있도록 한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은, 계곡의 폭방향을 따라 시공되며 다수의 통수공을 구비하여 계곡수는 통과시키면서 이물질을 선별하는 이물질 선별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선별대는 "H"프레임이 종횡방향으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이물질 선별대는 그 상단부가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물질 선별대의 상류측면에 그물망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 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실시예 1>
도 1과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100)은, 계곡(1)(도 2에 참조)의 바닥부에 계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초부(10)와; 다수의 통수공(H)이 구비되며 기초부(10) 상에 기초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워져 계곡(1)을 따라 흐르는 계곡수에 포함된 이물질(W)(폐목재 등)을 거르는 이물질 선별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초부(10)는, 도 1에서처럼 사석(11)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도 4처럼 콘크리트 블록(12)(현장 타설될 수도 있으나, 이물질 선별수단(20)이 설치된 상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인 것이 바람직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과 도 3에서처럼, 이물질 선별수단(20)은, 기초부(10) 상에 일렬로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대(30) 및 지지대(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하천으로 방류되는 계곡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이물질 선별대(40)로 구성된다.
지지대(30)는 기초부(10)에 계곡(1)의 폭방향(기초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기초부(10)에 앵커(31a)(예컨대, 말뚝형)로 고정되는 다수의 바닥 프레임(31), 바닥 프레임(31)의 일측(하류측)에 그 일단이 연결되어 경사지게 세워지며 하단부가 앵커(32a)로 박혀 고정되는 받침 프레임(32)으로 구성된다.
이물질 선별대(40)는, 하단부가 바닥 프레임(31)에 고정되며 도중이 받침 프레임(32)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종방향 프레임(41) 및 종방향 프레임(41)에 서로 다른 높이의 다단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횡방향 프레임(42)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즉 종방향 프레임(41)과 횡방향 프레임(42)에 의해 다수의 통수공(H)을 갖는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지지대(30)와 이물질 선별대(40)는 각각 "H"빔으로 형성되어 볼트 등으로 통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실시예에 의한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100)은 도 3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트러스트형태로 이루어져 통수공(H)을 통해 계곡수의 흐름을 막지 않으면서 이물질(W)은 통과하지 못하고 이물질 선별대(40)에 잔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에 의하면, 계곡수가 계곡(1)을 따라 하류로 흐를 때, 계곡수는 통수공(H)을 자연스럽게 통과하게 되지만, 계곡수에 포함된 이물질(W)은 이물질 선별대(40)에 걸려 이물질 선별대(40)를 통과하지 못하고 이물질 선별대(40)에 잔류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계곡(1) 하류의 하천에는 계곡(1)에서 떠내려오는 이물질(W)에 의한 막힘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계곡수와 하천수가 범람하지 않게 된다.
<실시예 2>
도 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100)은, 이물질 선별대(40)가 지지대(30)에 힌지(43) 결합되어 이물질(W)의 제거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물질 선별대(40)의 종방향 프레임(41)은 그 상측이 지지대(30)의 받침 프레임(32)에 힌지(43) 결합되고 하단부는 자유단부로서 자중에 의해 지지대(30)의 바닥 프레임(32)에 안착된다. 이때, 모든 종방향 프레임(41)이 힌지(43) 결합되지 않고 일정 간격을 두고 선택적으로 힌지(43) 결합될 수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물질 선별대(40)에 이물질(W)이 걸려 통수공(H)이 막힘으로써 통수단면이 좁을 경우 이물질(W)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물질 선별대(40)의 하단부(자유단부)에 크레인 등을 연결하여 들어 올리면 이물질 선별대(40)가 힌지(4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이물질 선별대(40)가 계곡수 밖으로 올라오게 되어 계곡수의 수압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 이물질(W)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에서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100)은, 이물질 선별대(50)는 전술한 실시예 1,2처럼 "H"빔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통수공(H)을 갖는 판재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의 이물질 선별대(50)는 지지대(30)에 와이어(미도시)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7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100)은, 이물질 선별대가 계곡의 폭의 크기에 따라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복수의 이물질 선별대(40-1,40-2)(도면에는 2개만 도시됨)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복수의 이물질 선별대(40-1,40-2)들은 전술한 실시예 1,2와 동일한 지지대에 지지되면서 연결구(60)를 통해 서로 결속된다. 연결구(60)는 근접되는 단위 선별대 (40-1,40-2)들의 종방향 프레임(41-1,41-2)을 감싸는 사각 띠 형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서로 마주하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연결브래킷(61,62)이 좌우 대칭으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고, 이때, 연결브래킷(61,62)은 서로 마주하는 일측이 힌지(63)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의 자유단부가 체결구(64)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계곡의 폭 크기에 맞춰 이물질 선별대(40-1,40-2)의 수량을 결정한 후 복수의 이물질 선별대들을 서로 결속함으로써 부피가 큰 하나의 선별대를 제작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실시예 5>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100)은, 이물질 선별대(40)의 상류측에 별도의 그물망(7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물망(70)은 이물질 선별대(40)의 종방향 프레임(41)에 형성된 걸이봉(44)에 그 상단부가 걸려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중량체(71)가 결합되어 펼쳐짐으로써 계곡수에 포함되어 흐르는 이물질을 선별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계곡수와 함께 하류로 흘러 내려가는 이물질(W)을 제거하기 위해서 중량이 가벼운 그물망(70)을 계곡수 밖으로 꺼낸 후 손쉽게 이물질(W)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실시예 6>
도 9와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100)은, 하천의 폭방향 양측에 옹벽(A)을 구축하여 이 옹벽(A) 사이에 시공되는 것으로, 기초부(10)는 바닥 프레임(31)이 앵커로 고정되는 콘크리트블록(12) 및 콘크리트블록(12)들 사이에 채워지는 사석(11)으로 이루어지며, 횡방향 프레임(42) 은 양측 단부가 옹벽(A)에 각각 박혀 고정된다.
도 11a와 도 11b에서 보이는 것처럼, 횡방향 프레임(42)은 내부가 공간이 형성된 중공체로서, 종방향 프레임(41)에 볼트 체결되는 고정부(42a), 고정부(42a)의 전방에 타구간보다 폭이 좁게 곡선형으로 벤딩되어 충격을 완충하는 목부(42b) 및 목부(42b)의 전방에 목부(42b)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박스형 헤드부(42c)로 구성된다. 그리고, 목부(42b)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목부(42b)와 고정부(42a)에 걸쳐 보강편(42d)이 결합된다. 보강편(42d)은 상기 볼트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에 의하면, 계곡을 따라 하천으로 흐르는 암석, 폐목재 등의 이물질이 하천 내에 유입되지 않고 상류측인 계곡에 모아지게 되어 계곡 하류와 하천에 이물질의 적층에 의한 계곡수의 범람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계곡과 하천 주변의 농경지 및 주택의 침수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계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계곡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에 상기 계곡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상기 기초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바닥 프레임, 상기 바닥 프레임의 일측(하류측)에 그 일단이 연결되어 경사지게 세워지는 받침 프레임으로 구성된 지지대와;
    상기 바닥 프레임과 상기 받침 프레임에 경사지게 세워져 연결되는 종방향 프레임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서로 높이차를 두고 다단 배열되는 횡방향 프레임에 의해 다수의 통수공을 갖는 격자형태로 이루어진 이물질 선별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선별대의 횡방향 프레임은 내부가 공간이 형성된 중공체로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전방에 타구간보다 폭이 좁게 곡선형으로 벤딩되어 충격을 완충하는 목부 및 상기 목부의 전방에 상기 목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헤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시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목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편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시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선별대의 종방향 프레임은 그 상단부가 상기 받침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는 자유부로서 자중에 의해 상기 바닥 프레임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시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선별대의 상류측 면에는 그물망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의 상단부 양측은 상기 이물질 선별대에 형성된 걸이봉에 각각 걸려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중량체가 결합되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선별대는 다수개가 상기 계곡의 폭에 따라 배열되어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
KR1020070023592A 2006-08-25 2007-03-09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 KR100747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1257 2006-08-25
KR1020060081257 2006-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434B1 true KR100747434B1 (ko) 2007-08-08

Family

ID=3860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592A KR100747434B1 (ko) 2006-08-25 2007-03-09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0544A (zh) * 2019-08-16 2020-01-10 张谦 一种堤坝溃决快速抢险封堵技术及其应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0218A (ja) * 1995-12-19 1997-06-30 Kawatetsu Steel Prod Corp 土石流止め工
JP2005256432A (ja) * 2004-03-11 2005-09-22 Jfe Engineering Kk 河川流域における利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0218A (ja) * 1995-12-19 1997-06-30 Kawatetsu Steel Prod Corp 土石流止め工
JP2005256432A (ja) * 2004-03-11 2005-09-22 Jfe Engineering Kk 河川流域における利水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0544A (zh) * 2019-08-16 2020-01-10 张谦 一种堤坝溃决快速抢险封堵技术及其应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39338A (ja) 流下物捕捉構造
JP3186910B2 (ja) 透過型砂防堰堤
KR101887359B1 (ko) 복합 스크린 콘크리트 사방댐
KR100747434B1 (ko) 소하천 계곡 수해방지 시설
JP6521199B2 (ja) 浮桟橋式の網場
JP2006052540A (ja) 透過型砂防堰堤および礫石捕捉方法
JP6503412B2 (ja) 河川構造
JP2003055941A (ja) 透過型砂防ダム
JP5364026B2 (ja) 透過型砂防堰堤
KR101221496B1 (ko) 식재기반조성 구조
JP4206360B2 (ja) 谷止工
KR101977350B1 (ko) 주철 판넬을 이용한 친환경 버트리스 사방댐
KR101131814B1 (ko) 유수 흐름이 원활한 경량철골과 사석을 이용한 사방댐
KR100994578B1 (ko) 사방댐
ITBO20060754A1 (it) Struttura di riduzione del moto ondoso
US8465230B1 (en) Silt fence support
JP2006328721A (ja) 透過型砂防堰堤
JP7421670B1 (ja) 防護柵
KR200410821Y1 (ko) 하천바닥 세굴방지용 수중보 설치구조
KR20200053081A (ko) 교량 시설물
CN214695417U (zh) 一种可防沙袋被冲走的防洪围栏
KR200411833Y1 (ko) 소하천 물막이 가시설
JP2004019270A (ja) 透過型砂防ダム
JP2538795Y2 (ja) 水路のスクリーン装置
JPH11286922A (ja) オープン型鋼製砂防堰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