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857B1 - 전자 회로 - Google Patents

전자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857B1
KR100745857B1 KR1020017014483A KR20017014483A KR100745857B1 KR 100745857 B1 KR100745857 B1 KR 100745857B1 KR 1020017014483 A KR1020017014483 A KR 1020017014483A KR 20017014483 A KR20017014483 A KR 20017014483A KR 100745857 B1 KR100745857 B1 KR 10074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digital
drv
supply terminal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3939A (ko
Inventor
보에젠헨드리크
반덴헤우벨아브라함케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1011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 H03K5/151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with two complementary outputs
    • H03K5/1515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with two complementary outputs non-overlap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Logic Circuit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제 1 전력 공급 단자(VSS) 및 제 2 전력 공급 단자(VDD)를 갖는 전자 회로는 제 1 디지털 구동기(DRV) 및 다른 디지털 구동기(DRVF)를 포함한다. 이 디지털 구동기(DRV,DRVF)는 전하 펌프(CHGP)의 전하 펌프 캐패시터(CP1, CP2)와 같은 용량성 부하를 구동하기 위해 구성된다. 제 1 디지털 구동기(DRV)는 제 1 전력 공급 단자(VSS)에 접속된 소스 및 제 1 전하 펌프 캐패시터(CP1)를 구동하기 위해 접속된 드레인 및 게이트를 갖는 제 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1)와, 제 2 전력 공급 단자(VDD)에 접속된 소스 및 제 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에 드레인 및 게이트를 갖는 제 2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2)와, 제 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및 디지털 입력 신호(UCLK)를 수신하는 입력 단자(CLK) 간에 접속된 제 1 캐패시터(C1)와, 제 2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및 입력 단자(CLK) 간에 제 2 캐패시터(C2)를 포함한다. DC 경로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1-T4) 의 게이트 및 공급 단자(VSS,VDD) 간에 형성된다. 디지털 구동기(DRV,DRVF)의 특정 구성 때문에, 디지털 구동기(DRV,DRVF) 간의 단락 전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써, 디지털 구동기(DRV,DRVF)는 매우 높은 전력 효율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전자 회로{ELECTRONIC CIRCUIT PROVIDED WITH A DIGITAL DRIVER FOR DRIVING A CAPACITIVE LOAD}
본 발명은 제 1 공급 단자 및 제 2 공급 단자를 포함하고 용량성 부하를 구동하는 디지털 구동기를 포함하며, 디지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단자를 구비한 전자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자 회로는 종래 기술에서 알려져 있으며 도 1에서 도시된다. 전자 회로는 전압 소스 SV에 의해 전달되는 공급 전압을 수신하는 제 1 공급 단자 VSS 및 제 2 공급 단자 VDD 를 포함한다. 전자 회로는 디지털 구동기 DRV1 및 다른 디지털 구동기 DRV2 및 전하 펌프 CHGP를 포함한다. 이 각 디지털 구동기는 하나의 N 타입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하나의 P 타입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사용된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인버터로 구성된다. 구동기 DRV1 의 입력은 디지털 입력 신호 UCLK 를 수신하는 입력 단자 CLK에 접속된다. 구동기 DRV1 의 출력은 다른 구동기 DRV2의 입력 및 제 1 전하 펌프 캐패시터 CP1에 접속된다. 다른 구동기 DRV2 의 출력은 제 2 전하 펌프 캐패시터 CP2에 접속된다. 이러한 식으로 전하 펌프 캐패시터 CP1 및 CP2 는 반대 위상으로(in counterphase) 제어된다.
알려진 전자 회로의 단점은 트랜지스터 T1 및 T2 모두가 디지털 입력 신호 UCLK가 높은 값에서 낮은 값으로 또는 낮은 값에서 높은 값으로 변하는 기간에 동시에 전류를 통과시키고, 이로써 제 1 공급 단자 VSS 및 제 2 공급 단자 VDD 간에 단락 전류가 야기된다는 것이다. 이는 전력 소비를 불필요하게 높인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위의 단점을 가지지 않는 디지털 구동기를 구비한 전자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두에서 언급된 전자 회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디지털 구동기가 제 1 공급 단자에 공급된 제 1 주 전류 전극 및 용량성 부하를 구동하기 위해 접속된 제 2 주 전류 전극 및 제어 전극을 갖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제 2 공급 단자에 접속된 제 1 주 전류 전극 및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주 전류 전극에 접속된 제 2 주 전류 전극 및 제어 전극을 포함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입력 단자와 제 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 간에 접속된 제 1 용량성 소자와, 입력 단자와 제 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 간에 접속된 제 2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각기 제 1 용량성 소자 및 제 2 용량성 소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가 동시에 전류를 통과시키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에서의 전압을 적응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공급 단자 간의 단락 전류가 방지되어, 전자 회로의 전력 소비는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회로의 실시예는 전자 회로가 제 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 및 제 1 공급 단자 간의 DC 경로를 제공하며, 제 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 및 제 2 공급 단자 간의 DC 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가 오직 쇼트 기간 동안에만 도전성이 된다. 이는 전압 레벨이 디지털 입력 신호 내에서 변한 직후의 경우이다. 잔여 시간 동안, 제 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의 전위는 제 1 공급 단자의 전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제 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의 전위는 제 2 공급 단자의 전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로써,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 모두가 전류를 통과시키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항 3 내지 5에서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구동기를 구비한 전자 회로는 용량성 부하가 구동되어야 하는 다양한 전자 회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구동기는 가령 전하 펌프의 전하 펌프 캐패시터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동일 구성 요소는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다.
도 1은 디지털 구동기 및 전하 펌프를 갖는 알려진 전자 회로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회로의 실시예의 회로도,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보다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한 신호도의 세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회로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이 전자 회로는 제 1 공급 단자 VSS 및 제 2 공급 단자 VDD 간에 접속된 공급 전압 소스로부터 공급된다. 전자 회로는 구동기 DRV 및 다른 구동기 DRVF 및 전하 펌프 CHGP를 포함한다. 디지털 구동기 DRV는 제 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T1, 제 2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T2, 제 1 캐패시터 C1 를 구비한 제 1 용량성 소자 및 제 2 캐패시터 C2 를 구비한 제 2 용량성 소자를 포함한다. 제 1 트랜지스터 T1 및 제 2 트랜지스터 T2의 소스는 각기 제 1 공급 단자 VSS 및 제 2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다. 제 1 트랜지스터 T1 및 제 2 트랜지스터 T2 의 드레인은 상호접속된다. 제 1 캐패시터 C1 은 제 1 트랜지스터 T1 의 게이트 및 디지털 입력 신호 UCLK 를 수신하는 입력 단자 CLK 간에 접속된다. 제 2 캐패시터 C2 는 제 2 트랜지스터 T2 의 게이트 및 입력 단자 CLK 간에 접속된다. 전자 회로는 제 1 트랜지스터 T1 의 제어 전극과 제 1 공급 단자 VSS 간의 DC 경로를 제공하며 제 2 트랜지스터 T2 의 제어 전극과 제 2 공급 단자 VDD 간의 DC 경로를 제공하는 수단 DCMNS을 더 포함한다. 다른 구동기 DRVF 는 제 3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T3 및 제 4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T4 및 제 3 캐패시터 C3 및 제 4 캐패시터 C4 를 포함한다. 제 3 트랜지스터 T3 및 제 4 트랜지스터 T4 의 소스는 각기 제 1 공급 단자 VSS 및 제 2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다. 제 3 트랜지스터 T3 및 제 4 트랜지스터 T4 의 드레인은 상호접속된다. 제 3 캐패시터 C3 는 제 3 트랜지스터 T3 의 게이트 및 트랜지스터 T1 및 T2 의 드레인 간에 접속된다. 제 4 캐패시터 C4 는 제 4 트랜지스터 T4 의 게이트 및 트랜지스터 T1 및 T2 의 드레인 간에 접속된다.
DCMNS는 제 5 트랜지스터 T5, 제 6 트랜지스터 T6, 제 8 트랜지스터 T8, 제 9 트랜지스터 T9 및 저항 R을 포함한다. 제 5 트랜지스터 T5 및 제 6 트랜지스터의 소스는 제 1 공급 단자 VSS 에 접속된다. 제 8 트랜지스터 T8 및 제 9 트랜지스터 T9 의 소스는 제 2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다. 제 5 트랜지스터 T5 의 게이트 및 드레인은 상호접속된다. 제 8 트랜지스터 T8 의 게이트 및 드레인은 상호접속된다. 저항 R은 제 5 트랜지스터 T5 의 드레인 및 제 8 트랜지스터 T8 의 드레인 간에 접속된다. 제 6 트랜지스터 T6 의 드레인은 제 1 트랜지스터 T1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제 9 트랜지스터 T9 의 드레인은 제 2 트랜지스터 T2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제 6 트랜지스터 T6 의 게이트는 제 5 트랜지스터 T5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제 9 트랜지스터 T9 의 게이트는 제 8 트랜지스터 T8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전자 회로는 제 3 트랜지스터 T3 의 제어 전극 및 제 1 공급 단자 VSS 간의 DC 경로를 제공하며, 제 4 트랜지스터 T4 의 제어 전극 및 제 2 공급 단자 VDD 간의 DC 경로를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수단은 제 7 트랜지스터 T7 및 제 10 트랜지스터 T10 로 구성된다. 제 7 트랜지스터 T7 의 소스는 제 1 공급 단자 VSS 에 접속된다. 제 7 트랜지스터 T7 의 게이트는 제 5 트랜지스터 T5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제 10 트랜지스터 T10 의 소스는 제 2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다. 제 10 트랜지스터 T10 의 게이트는 제 8 트랜지스터 T8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제 7 트랜지스터 T7 의 드레인은 제 3 트랜지스터 T3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제 10 트랜지스터 T10 의 드레인은 제 4 트랜지스터 T4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전하 펌프 CHGP 는 제 1 전하 펌프 캐패시터 CP1, 제 2 전하 펌프 캐패시터 CP2, 용량성 부하 CL 및 제 1 내지 제 4 다이오드 D1 - D4 를 포함한다. 용량성 부하 CL 의 제 1 전극은 제 1 공급 단자 VSS 에 접속되며 제 2 전극은 제 4 다이오드 D4 를 통해 제 2 공급 단자 VDD 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D1 내지 D3 은 제 2 공급 단자 VDD 및 용량성 부하 CL 의 제 2 전극 간에 직렬로 접속된다. 제 1 전하 펌프 캐패시터 CP1 은 제 2 트랜지스터 T2 의 드레인 및 제 1 다이오드 D1 과 제 2 다이오드 D2 의 공통 접합 지점 간에 접속된다. 제 2 전하 펌프 캐패시터 CP2 은 제 4 트랜지스터 T4 의 드레인 및 제 2 다이오드 D2 과 제 3 다이오드 D3 의 공통 접합 지점 간에 접속된다.
제 1 공급 단자 VSS 에 대한 제 1 트랜지스터 T1 의 게이트에서의 전위는 U1 으로 표시된다. 제 1 공급 단자 VSS 에 대한 제 2 트랜지스터 T2 의 게이트에서의 전위는 U2 으로 표시된다.
도 2의 전자 회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구동기가 사용될 수 있는 전자 회로의 실시예이다. 이 경우에, 전하 펌프 CHGP 의 각각의 전하 펌프 캐패시터 CP1 및 CP2 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개의 디지털 구동기 DRV 및 DRVF 가 존재한다.
도시된 전하 펌프 CHGP 대신, 다른 타입의 전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들이 용량성 부하를 형성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구동기를 갖는 완전히 상이한 회로들을 구동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의 회로의 동작이 도 3의 신호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시각 t0 에서, 입력 단자 CLK 에서의 디지털 입력 신호 UCLK 의 값은 상당한 시간 동안 대략 0 볼트와 동일하다. 제 5 트랜지스터 T5 및 제 8 트랜지스터 T8 이 다이오드처럼 접속되기 때문에, 제 5 트랜지스터 T5, 저항 R 및 제 8 트랜지스터 T8 에 의해 형성된 경로는 항상 전류를 도전시킨다. 결과적으로, 제 6 트랜지스터 T6 은 제 1 트랜지스터 T1 의 게이트 및 제 1 공급 단자 VSS 간의 도전성 DC 경로를 형성하며, 제 9 트랜지스터 T9 는 제 2 트랜지스터 T2 의 게이트 및 제 2 공급 단자 VDD 간의 DC 경로를 형성한다. 이는 제 1 트랜지스터 T1 의 게이트-소스 전압 및 제 2 트랜지스터 T2 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실질적으로 제로 볼트가 되도록 한다. 입력 단자 CLK 에서의 전위가 제 1 공급 단자 VSS 에서의 전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 2 캐패시터 C2 양단의 전압은 공급 전압 소스 SV에 의해 전달된 공급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1 트랜지스터 T1 및 제 2 트랜지스터 T2 모두가 전류를 통과시키지는 않는다. 시각 t1 에서, 디지털 입력 신호 UCLK 는 낮은 값에서 높은 값으로 변한다. 이는 입력 단자 CLK 에서의 전위가 공급 전압과 동일하게 한다. U1 으로 표시된 제 1 트랜지스터 T1 의 게이트-소스 전압은 일시적으로 높은 값을 가진다. 이는 제 1 트랜지스터 T1 의 게이트가 제 1 캐패시터 C1 를 통해 입력 단자 CLK에 접속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 6 트랜지스터 T6 은 항상 도전성 상태로 존재한다. 이로써, U1 은 매우 빨리 다시 대략 0 볼트가 될 것이다.
이제, 제 1 캐패시터 C1 양단의 전압은 공급 전압과 동일하게 된다. 제 2 트랜지스터 T2 의 게이트에서의 전위가 입력 단자 CLK에서의 전위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 2 캐패시터 C2 양단의 전압은 대략 0 볼트와 동일하다. 순간 t3에서, 디지털 입력 신호 UCLK 는 높은 값에서 낮은 값으로 변한다. 이에 따라 입력 단자 CLK 에서의 전위가 제 1 공급 단자 VSS 에서의 전위와 다시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제 2 캐패시터 C2 는 이 순간에 충전되지 않아, 전압 U2 가 실질적으로 0 볼트와 동일하게 된다. 이는 오직 일시적이며, 제 9 트랜지스터 T9 은 항상 도전성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U2 는 매우 빨리 다시 공급 전압과 같아질 것이다.
따라서, 제 1 트랜지스터 T1 는 오직 짧은 시간 동안만, 즉, 디지털 입력 신호 UCLK 가 낮은 값에서 높은 값으로 변할 때마다 전류를 통과시킨다. 제 2 트랜지스터 T2 는 오직 짧은 시간 동안만, 즉, 디지털 입력 신호 UCLK 가 높은 값에서 낮은 값으로 변할 때마다 전류를 통과시킨다. 이로써, 디지털 구동기 DRV 는 오직 적은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다른 디지털 구동기 DRVF 는 디지털 구동기 DRV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제 7 트랜지스터 T7 및 제 10 트랜지스터 T10 의 기능은 각각 제 6 트랜지스터 T6 및 제 9 트랜지스터 T9 의 기능에 대응한다.
제 1 트랜지스터 T1 의 게이트와 제 1 공급 단자 VSS 간의 DC 경로를 제공하며 제 2 트랜지스터 T2 의 게이트와 제 2 공급 단자 VDD 간의 DC 경로를 제공하는 수단 DCMNS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가령 제 1 트랜지스터 T1 의 게이트 및 소스 간에 높은 옴 저항을 제공하며 제 2 트랜지스터 T2 의 게이트 및 소스 간에 높은 옴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전자 회로는 개별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거나 집적 회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조합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든 N 도전성 타입 트랜지스터가 P 도전성 타입 트랜지스터로 동시에 대체된다면, 모든 P 도전성 타입 트랜지스터를 모든 N 도전성 타입 트랜지스터로 대체할 수도 있다.

Claims (5)

  1. 제 1 공급 단자(VSS) 및 제 2 공급 단자(VDD)와, 용량성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디지털 구동기(DRV)와, 디지털 입력 신호(UCLK)를 수신하는 입력 단자(CLK)를 구비한 전자 회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구동기(DRV)는 상기 제 1 공급 단자(VSS)에 접속된 제 1 주 전류 전극 및 상기 용량성 부하를 구동하기 위해 접속된 제 2 주 전류 전극 및 제어 전극을 갖는 제 1 트랜지스터(T1)와, 상기 제 2 공급 단자(VDD)에 접속된 제 1 주 전류 전극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상기 제 2 주 전류 전극에 접속된 제 2 주 전류 전극 및 제어 전극을 갖는 제 2 트랜지스터(T2)와, 상기 입력 단자(CLK)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상기 제어 전극 간에 접속된 제 1 용량성 소자(C1)와, 상기 입력 단자(CLK)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상기 제어 전극 간에 접속된 제 2 용량성 소자(C2)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상기 제어 전극 및 상기 제 1 공급 단자(VSS) 간의 DC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상기 제어 전극 및 상기 제 2 공급 단자(VDD) 간의 DC 경로를 제공하는 수단(DCMNS)을 더 포함하는
    전자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상기 제어 전극 및 상기 제 1 공급 전압 단자(VSS) 간에 접속된 제 1 전류 소스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상기 제어 전극 및 상기 제 2 공급 전압 소스(VDD) 간에 접속된 제 2 전류 소스를 더 포함하는
    전자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T1)의 상기 제어 전극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제 1 전류 미러(mirror)(T5-T6)와, 입력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T2)의 상기 제어 전극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제 2 전류 미러(T8-T9)와, 상기 제 1 전류 미러(T5 -T6)의 상기 입력 및 상기 제 2 전류 미러(T8-T9)의 상기 입력 간에 접속된 저항 소자(R)를 더 포함하는
    전자 회로.
  5.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구동기(DRV)의 상기 출력에 접속된 입력 및 출력을 갖는 다른 디지털 구동기(DRVF)와, 상기 제 1 디지털 구동기(DRV)의 상기 출력에 접속된 제 1 전하 펌프 캐패시터(CP1) 및 상기 다른 디지털 구동기(DRVF)의 상기 출력에 접속된 제 2 전하 펌프 캐패시터(CP2)를 구비한 전하 펌프(CHGP)를 더 포함하는
    전자 회로.
KR1020017014483A 2000-03-15 2001-03-05 전자 회로 KR100745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200938 2000-03-15
EP00200938.9 2000-03-15
PCT/EP2001/002415 WO2001069785A1 (en) 2000-03-15 2001-03-05 Electronic circuit provided with a digital driver for driving a capacitive lo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939A KR20010113939A (ko) 2001-12-28
KR100745857B1 true KR100745857B1 (ko) 2007-08-02

Family

ID=817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483A KR100745857B1 (ko) 2000-03-15 2001-03-05 전자 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00192B2 (ko)
EP (1) EP1183780B1 (ko)
JP (1) JP2003527023A (ko)
KR (1) KR100745857B1 (ko)
AT (1) ATE485631T1 (ko)
DE (1) DE60143281D1 (ko)
WO (1) WO2001069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4471B2 (ja) * 2002-01-17 2003-11-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出力バッファ回路
JP5013603B2 (ja) * 2007-07-12 2012-08-2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チャージポンプ駆動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5083546B2 (ja) * 2008-01-30 2012-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容量性負荷の駆動回路及び液体吐出装置
JP2009178926A (ja) 2008-01-30 2009-08-13 Seiko Epson Corp 容量性負荷の駆動回路及び液体吐出装置
WO2011067902A1 (ja) * 2009-12-03 2011-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昇圧回路
EP2779456B1 (en) * 2013-03-15 2018-08-29 Dialog Semiconductor B.V. Method for reducing overdrive need in mos switching and logic circuit
US9592665B1 (en) * 2016-01-07 2017-03-14 Apex Microtechnology, Inc. Multiplexed multilevel converter amplifi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2949A (en) * 1974-05-28 1975-10-14 Philips Corp Driving circuit for pin diode switches
US4882504A (en) * 1987-07-24 1989-11-21 U.S. Philips Corporation Interrupter arrangement for high-frequency signals
US5093586A (en) * 1989-08-28 1992-03-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oltage step-up circuit for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1682A (en) * 1971-12-17 1973-08-07 Sperry Rand Corp Pulsed voltage driver for capacitive load
US4278918A (en) * 1980-03-31 1981-07-14 Modern Controls, Inc. Display panel driver circuit
DE3342709C2 (de) 1983-11-23 1986-09-11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Anordnung zur signaltechnisch sicheren Umsetzung eines fehlersicheren Wechselspannungssignals in ein fehlersicheres Gleichspannungssignal
US4794283A (en) * 1987-05-26 1988-12-27 Motorola, Inc. Edge sensitive level translating and rereferencing CMOS circuitry
US5119016A (en) * 1991-03-29 1992-06-02 At&T Bell Laboratories Clamp limiter circuit with precise clamping level control
DE69230395T2 (de) * 1991-06-21 2000-06-29 Citizen Watch Co Ltd Treiberschaltung für eine kapazitive last
JP2922028B2 (ja) * 1991-08-30 1999-07-1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の出力回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2949A (en) * 1974-05-28 1975-10-14 Philips Corp Driving circuit for pin diode switches
US4882504A (en) * 1987-07-24 1989-11-21 U.S. Philips Corporation Interrupter arrangement for high-frequency signals
US5093586A (en) * 1989-08-28 1992-03-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oltage step-up circuit for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43281D1 (de) 2010-12-02
US20010026170A1 (en) 2001-10-04
WO2001069785A1 (en) 2001-09-20
EP1183780A1 (en) 2002-03-06
ATE485631T1 (de) 2010-11-15
EP1183780B1 (en) 2010-10-20
KR20010113939A (ko) 2001-12-28
US6400192B2 (en) 2002-06-04
JP2003527023A (ja) 200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9183A (en) Constant voltage generating circuit having step-up circuit
US7759985B2 (en) Driver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EP0032588A2 (en) Substrate bias generation circuit
US6963498B2 (en) Bootstrap capacitor refresh circuit
US8013642B2 (en) Output drive circuit
US11456737B2 (en) Self-driven gate-driving circuit
JPH01815A (ja) Bifet論理回路
JP3832575B2 (ja) 負電圧出力チャージポンプ回路
US4705966A (en) Circuit for generating a substrate bias
US7463236B2 (en) Driver circuit
KR100745857B1 (ko) 전자 회로
US7084697B2 (en) Charge pump circuit capable of completely cutting off parasitic transistors
US20020175737A1 (en) Circuit for shefting switching signals
JPH01288010A (ja) ドライバ回路
US5874847A (en) Charge pump circuit for controlling a pair of drive transistors
US5134323A (en) Three terminal noninverting transistor switch
JP3543509B2 (ja) 電圧安定化回路
KR20020013896A (ko) 전하 펌프
US7102416B2 (en) High side switching circuit
JP3258050B2 (ja) 誘導性負荷用mosfetを備えた回路装置
US6177829B1 (en) Device for improving the switching efficiency of an integrated circuit charge pump
JP3561790B2 (ja) アクチュエータ駆動回路
JP2003198277A (ja) Mosトランジスタ出力回路
US20090096492A1 (en) Output Driver Equipped with a Sensing Resistor for Measuring the Current in the Output Driver
JP3681731B2 (ja) ドライブ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