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714B1 -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714B1
KR100745714B1 KR1020060089359A KR20060089359A KR100745714B1 KR 100745714 B1 KR100745714 B1 KR 100745714B1 KR 1020060089359 A KR1020060089359 A KR 1020060089359A KR 20060089359 A KR20060089359 A KR 20060089359A KR 100745714 B1 KR100745714 B1 KR 100745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coil
coil
coil base
lighting unit
electric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현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워킹코일와 각 페라이트의 장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동작 여부를 표시하는 발광체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그 상면에는 워킹코일이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다수의 페라이트가 방사상으로 각각 설치되는 코일 베이스; 상기 코일 베이스의 둘레 부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발광부가 내장 설치되면서 그 상하면을 제외한 둘레측 부위는 외부와 차단되게 형성된 조명부; 그리고, 상기 조명부를 상기 전기 레인지의 상판부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전기 레인지, 워킹코일 어셈블리, 코일 베이스, 조명부, 간격 유지부

Description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heater assembly in electric range}
도 1 은 종래 전기 레인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코일 베이스의 저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조명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코일 베이스 110. 연통공
120. 페라이트 요입부 130. 코일 요입부
140. 체결부 150. 걸림부
161,162. 위치 결정돌기 170. 요입홈
210. 워킹코일 211. 시작단
212. 절연피복 213. 내측 권취부
214. 외측 권취부 230. 베이스 프레임
290. 페라이트 300. 조명부
302. 결합공 310. 발광부
311. 제어회로기판 311a. 연결단자
312. 발광체 320. 구획판
321. 관통슬릿 330. 확산판
400. 간격 유지부 410. 패킹부재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레인지를 구성하는 인덕션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는 전기 히터나 별도의 발열체를 열원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전기 레인지의 구조가 도시되고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기 레인지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의 전기 레인지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크게 외관을 이루는 본체(10)와, 열원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워킹코일 어셈블리(20)와, 상기 각 워킹코일 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도시는 생략됨)와, 전기 레인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어셈블리(30) 및 전기 레인지의 상면을 형성하며 조리용기가 얹히는 상판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워킹코일 어셈블리(20)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조리용기에 전자기력을 가하여 조리용기 자체에서 열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인덕션 히팅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 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워킹코일 어셈블리(20)는 워킹코일(21)과, 회로기판(도시는 생략됨)과, 베이스 프레임(23)과, 단열시트(24) 및 코일 베이스(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21)은 전자기력을 조리용기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워킹코일(21)에 유도 전류가 제공되는 것을 회로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3)은 상기 워킹코일(21)과 상기 회로기판 간의 사이에 구비된 금속 판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23)과 상기 워킹코일(21) 사이에는 페라이트(29)가 구비되며, 상기 페라이트(29)는 상기 워킹코일(21)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미도 시)가 상기 워킹코일(21) 하방에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열시트(24)는 상기 워킹코일(21)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석면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열시트(24)는 상기 상판부(40)로부터 복사된 열기가 상기 워킹코일(21)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코일 베이스(25)는 상기 워킹코일(21) 및 다수의 페라이트(29)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3)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코일 베이스(25)의 저면 둘레 중 어느 한 측편에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발광체(도시는 생략됨) 및 상기 발광체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27)이 장착되고, 상기 코일 베이스(25)의 상면 둘레를 따라서는 편광판(28)이 장착된다.
상기 발광체는 워킹코일 어셈블리(20)가 동작될 경우 발광되고, 상기 발광체의 발광에 의해 발생된 빛은 상기 편광판(28)을 통해 외부로 제공되기 때문에 해당 워킹코일 어셈블리(20)가 동작됨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레인지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워킹코일 어셈블리(20)를 이루는 워킹코일(21)로 전원이 공급되어 유도전류가 발생됨으로써 상판부(40)에 얹혀진 조리용기 내의 조리물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면서 조리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코일 베이스(25)의 저면 둘레에 장착된 발광체가 발광되기 때문에 조리중의 상태임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기 레인지에 대한 각 구성 중 워킹코일 어셈블 리(2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워킹코일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발광체는 소수만이 제공되지만, 상기 발광체에 의해 발생된 빛은 상기 워킹코일(21)의 전 둘레부위로 제공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비록 편광판(28)을 사용한다 할지라도 상기 발광체의 주변만 밝게 보일 뿐 상기 발광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는 그 빛의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빛의 밝기 차이가 발생되었다.
둘째, 종래의 워킹코일 어셈블리는 상판부(40)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돌기(40)가 발광체에 의해 빛이 제공되는 부위의 외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부에서 볼 때 상기 돌기로 인해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생된 빛의 일부가 가려지게 되어 제품의 불량을 의심하는 등 제품 신뢰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워킹코일 어셈블리는 각 페라이트(29)가 코일 베이스(25)에 일체형을 이루도록 사출됨과 더불어 그 외측 일부가 모두 상기 코일 베이스(25) 내에 내장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울 수밖에 없을 뿐 아니라 그 사출 성형이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서 작업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종래의 워킹코일 어셈블리는 워킹코일(21) 및 각 제어기판(27)으로 전원 혹은, 신호를 제공하는 각종 전선들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워킹코일(21) 및 각 제어기판(27)과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워킹코일(21)이 금속재질인 베이스 프레임(23)과 맞닿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워킹코일(21)의 두께만큼 상기 코일 베이스(25)의 높이를 높일 수밖에 없음에 따라 전체적인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두께가 두꺼울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한 단순화된 구조를 이용하여 워킹코일 및 각 페라이트의 장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워킹코일 어셈블리에 대한 동작 여부의 표시가 시각적으로 확연히 보일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심미감을 최대화하며, 전체적인 두께를 최소화한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일 형태에 따르면, 그 상면에는 워킹코일이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다수의 페라이트가 방사상으로 각각 설치되는 코일 베이스; 상기 코일 베이스의 둘레 부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발광부가 내장 설치되면서 그 상하면을 제외한 둘레측 부위는 외부와 차단되게 형성된 조명부; 그리고, 상기 조명부를 상기 전기 레인지의 상판부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 베이스에는 그의 저면에 상기 각 페라이트가 요입 설치되도록 내측 부위가 요입 형성된 다수의 페라이트 요입부가 상기 코일 베이스의 방사 방향을 따라 각각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코일 베이스에는 그의 저면에 상기 워킹코일의 시작단이 요입 설치되도록 요입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요입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워킹코일의 시작단은 절연피복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조명부는 상기 코일 베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조명부의 내벽에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제공되는 빛의 난반사를 높이기 위한 난반사 코팅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조명부의 내측에는 그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의 저부에는 상기 발광부가 내장됨과 더불어 상기 구획판의 면상에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특정 모양으로 통과시키는 관통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의 상부에는 상기 조명부의 개구된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관통슬릿을 통과하여 방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통슬릿은 그의 양측으로부터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개구 정도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조명부의 상단 양측 부위에는 상기 확산판의 양 끝단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조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면서 제어 신호를 제공받거나 각종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회로기판과,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발광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양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는 각종 신호의 전달을 위한 연결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의 둘레면 양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는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연결단자에 연결되는 터미널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코일 베이스의 각 부위 중 상기 조명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조명부에 비해 상기 코일 베이스의 내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부에는 그 하단이 상기 간격유지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그 상면은 전기 레인지의 상판부 저면과 밀착되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 베이스와 상기 조명부 및 상기 간격 유지부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워킹코일의 권취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돌기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워킹코일은 상기 코일 베이스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 권취되는 내측 권취부와, 상기 코일 베이스의 상면 외측 부위에 권취되면서 상기 내측 권취부와는 소정 간격 이격된 외측 권취부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돌기는 상기 코일 베이스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내측 권취부의 권취 시작부위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제1위치 결정돌기와, 상기 코일 베이스의 상면 외측 부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외측 권취부의 권취 시작부위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제2위치 결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위치 결정돌기에는 상기 워킹코일의 시작단이 절곡되는 부위에 대한 높이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여타 구성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여타 부위에 비해 요입된 요입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 베이스의 외측 둘레면에는 각종 전선이 걸리는 걸림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는 크게 코일 베이스(100)와, 조명부(300) 그리고, 간격 유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코일 베이스(100)는 베이스 프레임(230)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워킹코일(210)이 권취되는 부위로써, 그 상면에는 워킹코일(210)이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다수의 페라이트(Ferrite)(290)가 방사상으로 각각 설치되며, 그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워킹코일(210)의 시작단(211)이 관통되는 연통공(110)이 형성된다.
이때, 첨부된 도 4와 같이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저면에는 상기 각 페라이트(290)가 요입 설치될 수 있도록 내측 부위가 요입 형성된 다수의 페라이트 요입부(120)가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방사 방향을 따라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 페라이트 요입부(120)는 상기 페라이트(290)가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페라이트(290)가 요입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일 베이스(100)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조이다. 상기 페라이트(290)는 상기 페라이트 요입부(120) 내에 접착제나 혹은,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접착 고정된다.
또한, 첨부된 도 4와 같이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저면에는 상기 워킹코일(210)의 시작단(211)이 요입 설치되도록 내부가 요입된 코일 요입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워킹코일 시작단(211)이라 함은 전원을 연결받는 부위이면서 그 권취가 시작되는 부위이다. 상기한 코일 요입부(130)는 상기 워킹코일(210)의 시작단(211)이 정확한 위치를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그 감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워킹코일(210)의 시작단(211)이 요입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일 베이스(100)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조이다. 특히, 상기 코일 요입부(130)는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둘 이상 다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해당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워킹코일(210)의 시작단(211) 인출 위치가 변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워킹코일(210)의 시작단(211)이 절연피복(212)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워킹코일(210)의 시작단(211)이 베이스 프레임(230)의 상면에 맞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코일 베이스(100)에 체결부(140)가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140)는 전기 레인지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230)과의 체결을 위한 일련의 구성으로써, 적어도 서로 대응되는 2개소 이상의 부위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중앙측 부위에 형성된 연통공(110)에는 상판부에 대한 온도 센싱을 위한 온도센서(101)가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코일 베이스에는 상기 온도센서(101)로의 각종 신호 전달을 위한 전선이 요입되는 신호선 요입부(도시는 생략됨)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조명부(3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명부(300)는 그 내부에 발광부(310)가 내장 설치되어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동작 여부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조명부(300)는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둘레 부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발광부(310)가 내장 설치되면서 그 상하면을 제외한 둘레측 부위는 외부와 차단되게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명부(300)가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됨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300)의 내측에는 그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32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320)의 면상에는 관통슬릿(321)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슬릿(321)은 그의 양측으로부터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개구 정도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관통슬릿(321)을 대략 초승달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워킹코일 어셈블리에 대한 동작 여부의 표시가 시각적으로 확연히 보일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심미감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발광부(310)는 상기 조명부(300)의 내측 중 상기 구획판(320)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획판(320)의 상단에는 상기 조명부(300)의 개구된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관통슬릿(321)을 통과하여 방사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33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발광부(310)를 조명부(300)의 내측에 내장하는 이유는 상기 조명부(300)의 둘레측벽이 이루는 폐쇄된 공간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빛의 분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빛의 방사 방향을 집중시킴으로써 그 밝기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조명부(300)의 내벽에는 상기 발광부(310)로부터 제공되는 빛의 난반사를 높이기 위한 난반사 코팅층(도시는 생략됨)을 더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난반사 코팅층은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코팅되는 부위로써 예컨대, 금속 고정물이나 금속 피막을 도금 처리하여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광부(310)는 크게 제어회로기판(311)과 다수의 발광체(3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회로기판(311)은 각종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발광체(312)의 제어를 위한 회로 기판으로써, 상기 조명부(300)의 개구된 하면을 가로막도록 상기 조명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제어회로기판(311)의 양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는 각종 신호의 전달을 위한 연결단자(311a)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300)의 둘레면 양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는 상기 제어회로기판(311)의 연결단자(311a)에 연 결되는 터미널(도시는 생략됨)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302)이 관통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 역시, 각종 부품 간의 연결 부위로 인한 높이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연결단자(311a)와 터미널 간의 결합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체(312)는 상기 제어회로기판(311)의 상면에 실장되며, 고휘도 LED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발광체(312)를 램프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상기 램프의 높이가 높음을 고려할 때 전체적인 발광부(310)의 높이 역시 높아질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두께 역시 두꺼워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간격 유지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간격 유지부(400)는 상기 조명부(300)를 상기 전자 레인지의 상판부(40)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킴으로써, 상판부(40)를 통해 역으로 제공되는 열기가 상기 조명부(300)로 직접 전달되어 상기 조명부(300)의 변형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간격유지부(400)는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각 부위 중 상기 각 조명부(300)에 인접하게 각각 설치되되, 상기 조명부(300)에 비해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내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볼 때 상기 각 간격유지부(400)로 인해 상기 발광체(312)로부터 발생된 빛의 일부가 가려지게 되어 발광 불량을 의심하는 등 제품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는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물론, 아무런 조 리물이 조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외부에서 봤을 때 반대측의 간격유지부(400)가 보일 수도 있지만, 조리물이 조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광체(312)의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간격유지부(400)로 인한 신뢰도 저하는 방지되고, 조리물이 조리되는 상태라면 조리물에 의해 반대편의 간격유지부(400)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해당 간격유지부(400)로 인한 신뢰도 저하는 방지된다.
특히, 상기한 간격유지부(400)에는 그 하단이 상기 간격유지부(400)에 결합됨과 더불어 그 상면은 전기 레인지의 상판부(40) 저면과 밀착되는 패킹부재(41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410)는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소정의 탄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상판부(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상기 패킹부재(410)를 내열 고무 등과 같이 고온의 환경하에서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킹코일 어셈블리는 상기 코일 베이스(100)와 상기 조명부(300) 및 상기 간격 유지부(400)가 모두 일체형으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워킹코일 어셈블리를 단일의 사출 공정에 의해 그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조리 진행이 이루어지면 워킹코일(210)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상판부(40)의 상면에 얹힌 조리 용기로 유도 전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저면에 형성된 각 페라이트 요입부(120) 내에 요입된 각 페라이트(290)는 상기 워킹코일(210)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미도시) 가 상기 워킹코일(210) 하방에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워킹코일(21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발광부로도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각 발광체(312)의 발광을 위한 제어 신호가 제공된다. 이로 인해 제어회로기판(311)은 각 발광체(312)가 발광하도록 제어하게 되고, 상기한 제어로 인해 각 발광체(312)의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발광체(312)의 발광에 의해 방사되는 빛은 조명부(300)의 내벽에 코팅된 난반사 코팅층으로 인해 그 난반사가 이루어짐과 더불어 확산판(330)에 의해 확산된 상태로 상판부(40)를 통해 외부로 방사된다.
결국, 사용자는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방사되는 조명부(300)의 조명을 통해 현재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인지하게 된다.
만일,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조리 용기의 과열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조리 용기의 열기는 상판부(40)로 전도되고, 이렇게 전도된 열기는 계속해서 상기 상판부(40)에 맞닿은 패킹부재(410)로 전도되지만 상기 패킹부재(410)의 자체적인 특성(내열성)에 의해 간격 유지부(400)로의 전도는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조명부(300)가 상기 열기로 인해 손상되는 등의 변형 발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조로만 한정되지 않다.
예컨대, 첨부된 도 7과 같이 코일 베이스(100)의 외측 둘레면에 각종 전선이 걸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150)를 더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부(150)는 제어회로기판(311) 등으로 각종 신호를 전송하는 전선들이 정리된 상태로 걸리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조립 과정에서 정리되지 않은 전선으로 인한 조립의 곤란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워킹코일(210)은 그 권취를 위한 작업에서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즉, 상기 워킹코일(210)의 권취를 위한 기준 지점이 명확하지 않음에 따라 권취 작업이 더욱 오래 걸릴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대용량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경우 상기 워킹코일(210)의 권취 영역을 적어도 두 부분 이상으로 분리하여야만 낮은 전력소모로 최대한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즉, 대용량의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경우 워킹코일(210)은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 권취되는 내측 권취부(213)와,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상면 외측 부위에 권취되면서 상기 내측 권취부(213)와는 소정 간격 이격된 외측 권취부(214)로 구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워킹코일(210)이 두 부분 이상으로 분리될 경우 상기 분리되는 각 권취부(213,214)의 시작위치가 명확하지 못함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권취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워킹코일(210)의 정확하고도 용이한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상면에 상기 워킹코일(210)의 권취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돌기(161,16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는 첨부된 도 8의 도시 내용과 같다.
이때, 상기 위치 결정돌기(161,162)는 상기 내측 권취부(213)의 권취 시작부위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제1위치 결정돌기(161)와, 상기 외측 권취부(214)의 권취 시작부위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제2위치 결정돌기(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위치 결정돌기(161)는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 대략 원통형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제2위치 결정돌기(162)는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상면 외측 부위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2위치 결정돌기(162)는 원형의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원형을 이루되 부분적으로 분할된 다수의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1위치 결정돌기(161)에는 여타 부위에 비해 요입된 요입홈(170)이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입홈(170)은 상기 워킹코일(210)의 시작단(211)이 절곡되는 부위에 대한 높이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여타 구성과의 간섭을 방지한 일련의 구성이다.
따라서, 워킹코일(210)을 권취하는 일련의 작업이 진행될 경우 코일 베이스(100)의 저면에 형성된 코일 요입부(130)를 따라 워킹코일(210)의 시작단(211)을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코일 베이스(100)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연통공(11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위치 결정돌기(161)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감는다.
이때, 상기 워킹코일(210)의 시작단(211)은 상기 연통공(11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위치 결정돌기(161)의 외주면에 감겨지기 위해 그 절곡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절곡 부위는 상기 제1위치 결정돌기(161)에 형성된 요입홈(17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워킹코일(210)의 시작단(211)이 정위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내측 권취부(213)를 이루는 소정 폭만큼 워킹코일(210)의 권취가 이루어지면, 소정 간격만큼은 권취를 행하지 않는다. 이와 함께 상기 소정 간격 이격된 부위로부터 다시금 권취를 수행하면서 외측 권취부(214)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외측 권취부(214)의 시작 위치는 제2위치 결정돌기(162)를 기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외측 권취부(214)의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2위치 결정돌기(162)는 상기 외측 권취부(214)의 시작 부위가 감겨지는 가이드의 역할도 함께 수행함으로써 그 권취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워킹코일 어셈블리는 다양한 구조로의 변경이 가능하되, 최대로 단순화된 조립 과정에 의해 조립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워킹코일 어셈블리는 그에 설치되는 각종 구성 부품들과의 일치성을 최대화함으로써 전체적인 제품의 높이를 최대한 낮춤과 더불어 전체적인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되어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그 제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워킹코일 어셈블리는 조명부에 의해 방사되는 빛이 상기 조명부의 전 부위를 통해 최대한 밝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워킹코일 어셈블리는 간격 유지부가 조명부를 통해 빛이 제공되는 부위의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부에서 볼 때 상기 간격 유지부로 인해 상기 빛의 일부가 가려지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워킹코일 어셈블리는 각 페라이트가 요입된 상태로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체적인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짐과 더불어 코일 베이스나 페라이트 요입부의 사출 성형이 최대한 단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높다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워킹코일 어셈블리는 워킹코일 및 각 제어기판으로 전원 혹은, 신호를 제공하는 각종 전선들이 안정적으로 정리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워킹코일이나 전선들이 베이스 프레임과 맞닿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Claims (20)

  1. 그 상면에는 워킹코일이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다수의 페라이트가 방사상으로 각각 설치되는 코일 베이스;
    상기 코일 베이스의 둘레 부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발광부가 내장 설치되면서 그 상하면을 제외한 둘레측 부위는 외부와 차단되게 형성된 조명부; 그리고,
    상기 조명부를 상기 전기 레인지의 상판부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베이스에는
    그의 저면에 상기 각 페라이트가 요입 설치되도록 내부가 요입된 다수의 페라이트 요입부가 상기 코일 베이스의 방사 방향을 따라 각각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베이스에는
    그의 저면에 상기 워킹코일의 시작단이 요입 설치되도록 요입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요입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의 시작단은 절연피복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명부는 상기 코일 베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명부의 내벽에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제공되는 빛의 난반사를 높이기 위한 난반사 코팅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명부의 내측에는 그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의 저부에는 상기 발광부가 내장됨과 더불어 상기 구획판의 면상 에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특정 모양으로 통과시키는 관통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의 상부에는 상기 조명부의 개구된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관통슬릿을 통과하여 방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슬릿은 그의 양측으로부터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개구 정도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상단 양측 부위에는 상기 확산판의 양 끝단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조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면서 제어 신호를 제공받거나 각종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회로기판과,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발광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양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는 각종 신호의 전달을 위한 연결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의 둘레면 양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는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연결단자에 연결되는 터미널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코일 베이스의 각 부위 중 상기 조명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조명부에 비해 상기 코일 베이스의 내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에는 그 하단이 상기 간격유지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그 상면은 전기 레인지의 상판부 저면과 밀착되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베이스와 상기 조명부 및 상기 간격 유지부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 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워킹코일의 권취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돌기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은 상기 코일 베이스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 권취되는 내측 권취부와, 상기 코일 베이스의 상면 외측 부위에 권취되면서 상기 내측 권취부와는 소정 간격 이격된 외측 권취부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돌기는 상기 코일 베이스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내측 권취부의 권취 시작부위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제1위치 결정돌기와, 상기 코일 베이스의 상면 외측 부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외측 권취부의 권취 시작부위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제2위치 결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 결정돌기에는 상기 워킹코일의 시작단이 절곡되는 부위에 대한 높이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여타 구성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여타 부위에 비해 요입된 요입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베이스의 외측 둘레면에는 각종 전선이 걸리는 걸림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19.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베이스의 외측 둘레면에는 각종 전선이 걸리는 걸림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20. 그 상면에는 워킹코일이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다수의 페라이트가 방사상으로 각각 설치되는 코일 베이스; 그리고,
    상기 코일 베이스의 둘레 부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발광부가 내장 설치되면서 그 상하면을 제외한 둘레측 부위는 외부와 차단되게 형성된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조명부의 개구된 하면을 막도록 형성된 제어회로기판과,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면상에 실장되는 발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의 개구된 상면에는 상기 발광체에 의해 방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상기 조명부의 개구된 상면을 덮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KR1020060089359A 2006-09-14 2006-09-14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KR100745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359A KR100745714B1 (ko) 2006-09-14 2006-09-14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359A KR100745714B1 (ko) 2006-09-14 2006-09-14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714B1 true KR100745714B1 (ko) 2007-08-02

Family

ID=3860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359A KR100745714B1 (ko) 2006-09-14 2006-09-14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7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759B1 (ko) * 2007-08-08 2009-12-14 주식회사 위트 전기그리들의 베이스판조립체
KR101601177B1 (ko) * 2014-12-15 2016-03-08 범일산업 주식회사 인덕션 히팅코일 압착 권선장치
CN106131991A (zh) * 2016-07-28 2016-11-16 杭州信多达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环绕屏蔽辐射功能的线盘组件
WO2017159920A1 (ko) * 2016-03-16 2017-09-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기 유도가열용 워크 코일 조립체
WO2022173191A1 (ko) * 2021-02-15 2022-08-18 (주)에스플러스컴텍 인덕션 레인지용 히팅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인덕션 레인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6069A (ja) * 1992-02-07 1993-09-03 Fuji Electric Co Ltd 中華鍋加熱用電磁誘導加熱装置
KR100392946B1 (ko) * 1995-03-01 2004-01-07 이.아이,듀우판드네모아앤드캄파니 ε-카프로락탐을제조하는방법
KR100595280B1 (ko) * 2005-03-07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의 인덕션 히터 어셈블리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6069A (ja) * 1992-02-07 1993-09-03 Fuji Electric Co Ltd 中華鍋加熱用電磁誘導加熱装置
KR100392946B1 (ko) * 1995-03-01 2004-01-07 이.아이,듀우판드네모아앤드캄파니 ε-카프로락탐을제조하는방법
KR100595280B1 (ko) * 2005-03-07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의 인덕션 히터 어셈블리 결합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759B1 (ko) * 2007-08-08 2009-12-14 주식회사 위트 전기그리들의 베이스판조립체
KR101601177B1 (ko) * 2014-12-15 2016-03-08 범일산업 주식회사 인덕션 히팅코일 압착 권선장치
WO2017159920A1 (ko) * 2016-03-16 2017-09-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기 유도가열용 워크 코일 조립체
CN106131991A (zh) * 2016-07-28 2016-11-16 杭州信多达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环绕屏蔽辐射功能的线盘组件
WO2022173191A1 (ko) * 2021-02-15 2022-08-18 (주)에스플러스컴텍 인덕션 레인지용 히팅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인덕션 레인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4908B2 (ja) 照明器具
KR100745714B1 (ko) 전기 레인지용 워킹코일 어셈블리
JP5655950B2 (ja) ランプ及び照明器具
JP5158456B2 (ja) 照明器具
JP5594600B2 (ja) 照明器具
JP2013020766A (ja) 照明器具
US20080302782A1 (en) Electric Range
JP2012014842A (ja) Led照明装置
KR100698177B1 (ko) 전기 레인지용 히터 어셈블리
JP5320563B2 (ja) 照明器具
EP2947960B1 (en) Induction cooking device
JP5640751B2 (ja) 照明器具
JP2018041747A (ja) 照明器具
JP2012146441A (ja) 照明器具
CN203800083U (zh) Led单元及照明器具
JP5126637B2 (ja) 照明器具
JP2013037802A (ja) 照明器具
JP6715478B2 (ja) Led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JP5126636B2 (ja) 照明器具
JP5888627B2 (ja) 照明器具
KR100771215B1 (ko) 전기 레인지
JP6260879B2 (ja) 照明器具
JP5761542B2 (ja) 照明器具
JP2018022707A (ja) 照明器具
JP5354315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