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215B1 - 전기 레인지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215B1
KR100771215B1 KR1020060089362A KR20060089362A KR100771215B1 KR 100771215 B1 KR100771215 B1 KR 100771215B1 KR 1020060089362 A KR1020060089362 A KR 1020060089362A KR 20060089362 A KR20060089362 A KR 20060089362A KR 100771215 B1 KR100771215 B1 KR 100771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base frame
burner assembly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버너 어셈블리의 동작 여부에 대한 인지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제어를 위한 구조가 컨트롤 어셈블리와는 별개로 설계되어 제공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면서 소정의 장착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으면서 그 상면으로 조리용기가 얹혀지는 상판부; 상기 본체 내의 장착 공간상에 설치되며, 조명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버너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본체 내의 장착 공간상에 설치되며, 각종 조작 및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조명부의 제어에 관련된 각종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한다.
전기 레인지, 버너 어셈블리, 조명부, 커넥터부

Description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도 1 은 종래 전기 레인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전기 레인지용 버너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코일 베이스의 저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조명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보호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10. 둘레면
200. 상판부 210. 둘레부
300. 컨트롤 어셈블리 310. 피씨비
320. 장착부 321. 체결공
410. 전방측 베이스 프레임 420. 후방측 베이스 프레임
500. 커넥터부 600. 버너 어셈블리
700. 조명부 710. 발광부
711. 제어회로기판 712. 발광체
713. 연결단자 720. 설치부
721. 구획판 722. 관통슬릿
723. 확산판 724. 결합공
810. 센싱부 820. 비교분석부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버너 어셈블리의 동작 여부에 대한 인지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제어를 위한 구조가 컨트롤 어셈블리와는 별개로 설계되어 제공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는 전기 히터나 별도의 발열체를 열원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전기 레인지의 구조가 도시되고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기 레인지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의 전기 레인지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크게 외관을 이루는 본 체(10)와, 열원을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버너 어셈블리(20)와, 상기 각 버너 어셈블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도시는 생략됨)와, 전기 레인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 어셈블리(30) 및 전기 레인지의 상면을 형성하며 조리용기가 얹히는 상판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너 어셈블리(20)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조리용기에 전자기력을 가하여 조리용기 자체에서 열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인덕션 히팅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 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버너 어셈블리(20)는 워킹코일(21)과, 회로기판(22)과, 베이스 프레임(23)과, 단열시트(24) 및 코일 베이스(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21)은 전자기력을 조리용기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회로기판(22)은 상기 워킹코일(21)에 유도 전류가 제공되는 것을 회로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3)은 상기 워킹코일(21)과 상기 회로기판(22) 간의 사이에 구비된 금속 판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23)과 상기 워킹코일(21) 사이에는 페라이트(29)가 구비되며, 상기 페라이트(29)는 상기 워킹코일(21)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미도시)가 상기 워킹코일(21) 하방에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열시트(24)는 상기 워킹코일(21)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며, 석면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열시트(24)는 상기 상판부(40)로부터 복사된 열기가 상기 워킹 코일(21)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코일 베이스(25)는 상기 워킹코일(21) 및 다수의 페라이트(29)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3)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코일 베이스(25)의 저면 둘레 중 어느 한 측편에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발광체(도시는 생략됨) 및 상기 발광체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27)이 장착되고, 상기 코일 베이스(25)의 상면 둘레를 따라서는 편광판(28)이 장착된다.
상기 발광체는 버너 어셈블리(20)가 동작될 경우 발광되고, 상기 발광체의 발광에 의해 발생된 빛은 상기 편광판(28)을 통해 외부로 제공되기 때문에 해당 버너 어셈블리(20)가 동작됨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레인지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버너 어셈블리(20)를 이루는 워킹코일(21)로 전원이 공급되어 유도전류가 발생됨으로써 상판부(40)에 얹혀진 조리용기 내의 조리물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면서 조리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코일 베이스(25)의 저면 둘레에 장착된 발광체가 발광되기 때문에 조리중의 상태임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기 레인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버너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발광체는 소수만이 제공되지만, 상기 발광체에 의해 발생된 빛은 상기 워킹코일(21)의 전 둘레부위로 제공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비록 편광판(28)을 사용한다 할지라도 상기 발광체의 주변만 밝게 보일 뿐 상기 발광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는 그 빛의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 여 빛의 밝기 차이가 발생되었다.
둘째, 종래의 전기 레인지는 컨트롤 어셈블리(30)에서 상기 발광체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의 회로상에는 상기 발광체의 제어를 위한 회로가 함께 설계되어 있어야 하고, 이로 인해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의 전체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다.
특히, 상기한 컨트롤 어셈블리(30)의 전체 크기가 커짐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버너 어셈블리(20)의 장착 공간은 줄어들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 역시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너 어셈블리의 동작 여부에 대한 인지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제어를 위한 구조가 컨트롤 어셈블리와는 별개로 설계되어 제공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레인지는 외관을 형성하면서 소정의 장착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으면서 그 상면으로 조리용기가 얹혀지는 상판부; 상기 본체 내의 장착 공간상에 설치되며, 각종 조작 및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 어셈블리; 상기 본체 내의 장착 공간상에 설치되며, 그의 상면에는 조명부가 일체로 형성된 버너 어셈블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조명부의 제어에 관련된 각종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조 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버너 어셈블리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각 버너 어셈블리마다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 조명부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커넥터부로부터 각종 신호를 제공받거나 각종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회로기판과,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발광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발광부들은 서로 직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양 끝단에는 각종 신호의 전달을 위한 연결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각 연결단자 중 어느 하나의 연결단자는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됨과 더불어 다른 하나의 연결단자는 여타 발광부의 제어회로기판에 형성된 연결단자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본체 내의 상대적으로 전방측에 설치되는 전방측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본체 내의 상대적으로 후방측에 설치되는 후방측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버너 어셈블리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각각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후방측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중 두 버너 어셈블리 사이의 전방측 부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명부와 상기 커넥터부에는 상기 조명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해당 버너 어셈블리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보호회로가 더 설계 되어 구성되며,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제어회로기판에 설계되면서 해당 부위에 대한 온도 센싱을 위한 센싱부와, 상기 커넥터부에 설계되면서 상기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신호를 비교 분석하고, 이렇게 분석된 정보를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로 제공하는 비교분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크게 본체(100)와, 상판부(200)와, 컨트롤 어셈블리(300)와 베이스 프레임(410,420) 및 커넥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체(1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본체(100)는 전기 레인지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로써, 상부는 개구되면서 그 내부로 소정의 장착 공간을 갖는 박스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판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판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개구된 상부를 덮으면서 그 상면으로 조리용기가 얹혀지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한 상판부(200)는 고온의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세라믹 글래스 등의 강화 유리로 형성되며, 그 둘레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둘레면(110)을 감싸도록(혹은, 본체의 둘레면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형성되는 둘레부(210)가 일체로 구 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 의한 각종 조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에 따른 각종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각종 조작 상태를 표시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컨트롤 어셈블리(300)는 전술한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각종 회로 부품(예컨대, 다수의 선택 버튼 및 엘이디(LED) 등)이 실장된 피씨비(PCB:Printed Circuit board)(310)(도 3에만 도시됨)와, 상기 피씨비(310)가 장착되는 장착부(320)(도 4에만 도시됨)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장착부(320)는 상기 본체(100) 내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장착 공간 중 전방측 공간상에 설치되며, 특히 상기 전방측 공간 중 어느 한 측편으로 치우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버너 어셈블리(600)의 크기는 그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됨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버너 어셈블리가 위치되는 측에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버너 어셈블리의 설치에 따른 간섭 발생은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410,42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410,420)은 상기 본체(100) 내의 장착 공간 중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가 설치된 공간의 후방측 공간상에 설치되며, 각 버너 어셈블리(600)의 설치를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410,420)의 상면에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60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410,420)의 저면에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로부터 제공받은 조작 신호를 토대로 상기 버너 어셈블리(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회로가 설계된 회로 기판(411)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한 베이스 프레임(410,420)은 상대적으로 본체(100)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측 베이스 프레임(410)과, 상대적으로 본체(100)의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측 베이스 프레임(42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베이스 프레임(410,420)의 상면에는 두 개의 버너 어셈블리(600)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600)의 동작 상태에 대하여 사용자의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조명부(700)를 상기 버너 어셈블리(600)에 일체로 형성한 일련의 구성을 제시한다.
이를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조명부(700)는 그 내부에 발광부(710)가 내장 설치되어 버너 어셈블리(600)의 동작 여부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각 버너 어셈블리(600)마다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명부(700)가 상기 버너 어셈블리(6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됨을 제시한다.
상기한 조명부(700)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600)의 둘레 부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위에 각각 형성된 설치부(720)와, 상기 설치부(720) 내에 설치되는 발광부(7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설치부(710)는 그 상하면을 제외한 둘레측 부 위는 외부와 차단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부(720)의 내측에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와 같이 그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721)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획판(721)의 면상에는 관통슬릿(722)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관통슬릿(722)은 그의 양측으로부터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개구 정도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관통슬릿(722)을 대략 초승달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버너 어셈블리(600)에 대한 동작 여부의 표시가 시각적으로 확연히 보일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심미감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부(710)는 상기 설치부(720)의 내측 중 상기 구획판(721)의 저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획판(721)의 상단에는 첨부된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기 설치부(720)의 개구된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관통슬릿(722)을 통과하여 방사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723)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발광부(710)를 설치부(720)의 내측에 내장하는 이유는 상기 조명부(700)의 둘레측벽이 이루는 폐쇄된 공간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빛의 분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빛의 방사 방향을 집중시킴으로써 그 밝기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설치부(720)의 내벽에는 상기 발광부(710)로부터 제공되는 빛의 난반사를 높이기 위한 난반사 코팅층(도시는 생략됨)을 더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난반사 코팅층은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코팅되는 부위로써 예컨대, 금속 고정물이나 금속 피막을 도금 처리하여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발광부(710)는 크게 제어회로기판(711)과 다수의 발광체(7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회로기판(711)은 각종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발광체(712)의 제어를 위한 회로 기판으로써, 상기 설치부(720)의 개구된 하면을 가로막도록 상기 설치부(7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제어회로기판(711)의 양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는 각종 신호의 전달을 위한 연결단자(713)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720)의 둘레면 양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끝단에는 상기 제어회로기판(711)의 연결단자(713)에 연결되는 터미널(도시는 생략됨)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724)이 관통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 역시, 각종 부품 간의 연결 부위로 인한 높이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연결단자(713)와 터미널 간의 결합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버너 어셈블리(600)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체(712)는 상기 제어회로기판(711)의 상면에 실장되며, 고휘도 LED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발광체(712)를 램프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상기 램프의 높이가 높음을 고려할 때 전체적인 발광부(710)의 높이 역시 높아질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버너 어셈블리의 두께 역시 두꺼워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발광부(710)의 제어회로기판(711) 간이 서로 직렬 연결됨을 제시한다. 즉, 어느 한 발광부(710)의 제어회로기판(711)에 형성된 각 연결단자(713) 중 어느 하나의 연결단자는 상기 커넥터부(500)에 연결함 과 더불어 다른 하나의 연결단자는 다른 한 발광부의 제어회로기판(711)에 형성된 연결단자(713)와 연결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각 발광부(710)의 제어회로기판(711)에 실장되는 각 발광체(들은 서로 병렬 구조로 전원을 인가받도록 설계됨이 전력 소모를 저감하는데 더욱 유리하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부(5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커넥터부(500)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로부터 상기 버너 어셈블리(600)를 구성하는 조명부(700)의 제어에 관련된 각종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조명부(7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커넥터부(500)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와는 별도의 피씨비(PCB) 기판에 구성된다.
특히, 상기 커넥터부(500)는 상기 후방측 베이스 프레임(420)의 상면 중 두 버너 어셈블리(600) 사이의 전방측 부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두 버너 어셈블리(600) 사이의 전방측 부위가 어떠한 구성이 없는 미사용 영역으로 존재함과 더불어 모든 버너 어셈블리(600)의 조명부(700)와는 최대한 가까운 위치이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커넥터부(500)는 후방측 베이스 프레임(420)의 상면 중 상기 두 버너 어셈블리(600) 사이의 후방측 부위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전방측 베이스 프레임(410)의 상면 중 두 버너 어셈블리(600) 사이의 전방측(혹은, 후방측) 부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조명부(700)와 커넥터부(500)에는 상기 조명부(700)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해당 버너 어셈블리(600)의 동작 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보호회로가 더 설계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일반적인 조리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해당 버너 어셈블리(600)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지만 예컨대, 오일(oil) 등을 이용하는 조리시(특히, 과도하게 큰 조리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그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회로들의 손상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부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버너 어셈블리(600)의 동작을 중단시켜 각종 회로들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보호회로는 첨부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조명부(700)의 제어회로기판(711)에 각각 설계되면서 해당 부위에 대한 온도 센싱을 위한 센싱부(810)와, 상기 커넥터부(500)에 설계되면서 상기 센싱부(810)를 통해 센싱된 신호를 비교 분석하고, 이렇게 분석된 정보를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로 제공하는 비교분석부(8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센싱부(810)는 써미스터(thermister)로 구성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싱부(810)가 공기온도 변화에 따라 그 저항값이 변하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저항으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NTC 저항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해당 부위에 대한 온도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비교분석부(820)는 비교기(comparator)로 구성되며, 플러스(+) 입력단자 및 마이너스(-) 입력단자 전압을 토대로 비교된 출력값을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3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판부(200)의 상면 중 특정 버너 어셈블리(600)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부위에 조리용기를 얹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버너 어셈블리(600)의 동작을 위해 컨트롤 어셈블리(30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조작에 따라 발생된 신호는 버너 어셈블리(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회로 기판(도시는 생략됨)과, 커넥터부(500)로 각각 제공된다.
이의 경우, 상기 회로 기판은 해당 버너 어셈블리(600)의 동작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부(500)는 해당 버너 어셈블리(600)의 조명부(700)를 구성하는 각 제어회로기판(711)을 통해 각 발광체(712)의 발광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 어셈블리(600)로부터 발생된 유도 전류로 인해 조리 용기 내의 조리물은 가열된다.
또한, 이때에는 조명부(700)를 구성하는 각 발광체(712)의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렇게 발생된 빛은 설치부(720)의 구획판(721)에 형성된 관통슬릿(722) 및 상기 설치부(720)의 상부를 가로막도록 설치된 확산판(72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판부(200)를 투과하여 방사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버너 어셈블리(600)의 동작 여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제어회로기판(711)은 서로 직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부(50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는 어느 한 제어회로기판(711)을 경유하여 다 른 한 제어회로기판(711)으로 제공된다.
특히,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각 제어회로기판(711)에 설치된 센싱부(810)에 의해 해당 부위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센싱된다.
이때, 동작중인 버너 어셈블리(600)가 다수라면 커넥터부(500)는 상기 각 버너 어셈블리(600)의 조명부(700)를 순차적으로 온/오프시킴으로써 모든 버너 어셈블리(600)의 온도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도록 제어된다. 예컨대, 어느 한 버너 어셈블리(600)의 조명부(700)를 검사할 때에는 여타 버너 어셈블리의 조명부는 그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각 버너 어셈블리(600)의 조명부(700)를 모두 검사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조명부(700)에 대한 전원 차단 시간과 비교분석부(820)에 의해 비교 분석되는 시간은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정도의 극히 찰나이기 때문에 그 검사로 인한 사용자의 불만은 야기되지 않는다.
만일, 전술한 과정 중 어느 한 버너 어셈블리(600)에 대하여 센싱된 온도가 비교분석부(820)에 미리 설정되어 있던 온도에 비해 과도하게 높아질 경우에는 해당 신호를 컨트롤 어셈블리(300)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버너 어셈블리(600)의 동작이 중단되도록 제어하게 됨으로써 과도한 온도 상승에 따른 각종 회로가 보호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용 버너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는 그에 설치되는 각종 구성 부품들과의 일치성을 최대화함으로써 전체적인 제품의 높이를 최대한 낮춤과 더불어 전체적인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되어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그 제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는 조명부에 의해 방사되는 빛이 상기 조명부의 전 부위를 통해 최대한 밝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는 조명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커넥터부가 컨트롤 어셈블리와는 별개로 설계되어 제공됨으로써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게 되어 버너 어셈블리의 장착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외관을 형성하면서 소정의 장착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으면서 그 상면으로 조리용기가 얹혀지는 상판부;
    상기 본체 내의 장착 공간상에 설치되며, 각종 조작 및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 어셈블리;
    상기 본체 내의 장착 공간상에 설치되며, 그의 상면에는 조명부가 일체로 형성된 버너 어셈블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조명부의 제어에 관련된 각종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버너 어셈블리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각 버너 어셈블리마다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명부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커넥터부로부터 각종 신호를 제공받거나 각종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회로기판과,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발광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들은 서로 직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양 끝단에는 각종 신호의 전달을 위한 연결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각 연결단자 중 어느 하나의 연결단자는 상기 커넥터부와 연결됨과 더불어 다른 하나의 연결단자는 여타 발광부의 제어회로기판에 형성된 연결단자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본체 내의 상대적으로 전방측에 설치되는 전방측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본체 내의 상대적으로 후방측에 설치되는 후방측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버너 어셈블리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각각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후방측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 중 두 버너 어셈블리 사이의 전방측 부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와 상기 커넥터부에는 상기 조명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해당 버너 어셈블리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보호회로가 더 설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커넥터부로부터 각종 신호를 제공받거나 각종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회로기판 및 상기 제어회로기판의 상면에 실장되는 다수의 발광체로 이루어진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호회로는 상기 제어회로기판에 설계되면서 해당 부위에 대한 온도 센싱을 위한 센싱부와, 상기 커넥터부에 설계되면서 상기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신호를 비교 분석하고, 이렇게 분석된 정보를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로 제공하는 비교분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
KR1020060089362A 2006-09-14 2006-09-14 전기 레인지 KR100771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362A KR100771215B1 (ko) 2006-09-14 2006-09-14 전기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362A KR100771215B1 (ko) 2006-09-14 2006-09-14 전기 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215B1 true KR100771215B1 (ko) 2007-10-30

Family

ID=3881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362A KR100771215B1 (ko) 2006-09-14 2006-09-14 전기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2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178A (ko) * 2000-12-08 2002-06-20 니시무로 타이죠 가열 조리기
KR20060091178A (ko) * 2005-02-14 200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의 자가 진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178A (ko) * 2000-12-08 2002-06-20 니시무로 타이죠 가열 조리기
KR20060091178A (ko) * 2005-02-14 200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의 자가 진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4920B (zh) 加热烹调器
US20160161128A1 (en) Oven door lighting
US10782188B2 (en) Wireless control device having a faceplate with illuminated indicia
US20090039068A1 (en) Electric current conduction system for appliance
JPWO2008075673A1 (ja) 誘導加熱調理器
US9863623B2 (en) Lighting device
CN104422246A (zh) 冰箱
WO2008012013A1 (en) Household broiling and/or baking oven
JP4389878B2 (ja) 加熱調理器
CN213272729U (zh) 烹饪炉灶
KR100771215B1 (ko) 전기 레인지
WO2013080572A1 (ja) レンジフード付き高周波加熱装置
JP2010091189A (ja) 加熱調理器
JP2006017390A (ja) 加熱調理器
KR20130011396A (ko) 엘이디 조명을 지닌 거울
JP2011117727A (ja) 冷蔵庫
JP2003139336A (ja) 調理器
JP5228573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8069996A (ja) 冷蔵庫
US20140190961A1 (en) Cooking apparatus
KR100756741B1 (ko) 전자렌지 제어부의 조명장치
CN203718852U (zh) 微波炉
KR100771214B1 (ko) 전기 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JP201018252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8018787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