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323B1 -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323B1
KR100745323B1 KR1020010037063A KR20010037063A KR100745323B1 KR 100745323 B1 KR100745323 B1 KR 100745323B1 KR 1020010037063 A KR1020010037063 A KR 1020010037063A KR 20010037063 A KR20010037063 A KR 20010037063A KR 100745323 B1 KR100745323 B1 KR 100745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resin
film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720A (ko
Inventor
정혁성
문용빈
장호식
Original Assignee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3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5Copolymers of propene with monomers having more than one C=C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온도가 125~135℃이고 용융지수(230℃, 2.16㎏)가 5.0~7.0g/10min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밀도가 0.86~0.90이고 용융지수(230℃, 2.16㎏)가 1~10g/10min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수축성 및 투명성이 모두 우수한 수축필름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수축필름,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수축성, 투명성

Description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for shrinkable film}
본 발명은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삼원공중합체에 저밀도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첨가하여 제조된 동시 이축연신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축필름은 상품의 모양을 유지한 상태에서 포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상품진열시 터치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수축필름의 종류는 크게 포장용과 라벨용으로 나뉘어지는데, 포장용으로는 이축 수축필름이 사용되고, 라벨용으로는 일축 수축필름이 사용된다.
동시 이축연신 수축필름에 요구되는 주요 물성은 낮은 온도에서의 높은 수축율, 횡방향/종방향 수축 균형성 등의 우수한 수축특성과 상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해주는 투명성, 및 필름의 강도를 유지시켜주는 기계적 물성이다. 동시 이축연신 수축필름 제조에 사용되는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 피브이씨 등 여러 가지가 있으 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경우 높은 생산성, 우수한 투명성 및 뛰어난 기계적 물성 등을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특히 수축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중에서도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미합중국 특허 제 6,025,079호). 이는 결정화도가 높은 수지는 낮은 수축장력으로 인하여 연신 온도가 높아지면서 필름의 수축율이 낮아지고, 결정부분들이 형태적 방해로 작용하여 수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어, 결정화도가 낮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나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가 수축특성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지의 결정화도가 너무 낮으면 수지의 연화점을 낮추게 되는데, 이렇게 낮은 연화점을 갖는 필름은 수축필름의 후가공 공정에서 작업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제 96-706400호에는 신디오택틱(syndiotactic)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수축필름의 수축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예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 99-0045739호에는 메탈로센 촉매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수축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들은 일반 지글러-나타 폴리프로필렌 대비 원가가 높아 경제성이 좋지 않다.
이와 달리, 대한민국 특허 제 99-008024호에서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에 개질제를 첨가하여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성을 감소시킨 예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질제는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 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삼원 공중합체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군으로터 선택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질제를 포함한 수지조성물은 그 자체로는 녹는점 범위가 좁아 수축온도 범위가 좁아지는 단점이 있거나,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지글러-나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밀도가 낮은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수지의 녹는점 범위를 넓히면서 결정화도를 낮춰 수축특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투명성이 뛰어난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온도가 125~135℃이고 용융지수(230℃, 2.16㎏)가 5.0~7.0g/10min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밀도가 0.86~0.90이고 용융지수(230℃, 2.16㎏)가 1~10g/10min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수지로 사용된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한다. 상기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는 용융온도가 125~135℃인 것을 사용하여야 우수한 수축성을 얻을 수 있다. 용융온도가 125℃ 미만인 수지는 필름 생산공정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135℃를 초과하는 용융온도를 갖는 수지는 수축필름 가공시 연신온도가 높아지고 결정화도가 높아 수축성이 열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는 용융지수(230℃, 2.16㎏)가 5.0∼7.0g/10min이어야 동시 이축연신 수축필름에 적합한 흐름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첨가 수지로 사용된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밀도가 0.86∼0.90으로 결정성이 낮은 공중합체이다. 밀도가 0.86 미만이면 최종 필름 내에 저결정성 물질이 증가하게 되어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수축필름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0.90을 초과하면 수지조성물의 녹는점 온도범위가 좁아지고 결정화도가 높아져 필름의 수축성이 떨어진다. 상기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용융지수(230℃, 2.16㎏)는 1∼10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융지수가 1 미만이거나 10을 초과하면 상기 베이스 수지와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진다.
상기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첨가량은 상기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1~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부로 첨가된다. 만일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첨가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수축성의 향상이 없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결정화도가 낮은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로 인하여 필름의 강성이 떨어져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는 산화방지제, 중화제, 안티블로킹제, 대전방지제, 슬립제 등과 같은 각종 첨가제가 본 발명의 특징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수지 1 100 중량부에 첨가제로 산화방지제, 중화제, 안티블로킹제, 슬립제 및 대전방지제를 적당량 배합하고, 수지 3 10중량부를 첨가하여 믹서로 혼합한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210℃에서 펠렛상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수축필름 가공용 동시 이축연신기로 가공하여 수축필름을 얻었다. 즉, 환상의 압출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상태의 수지 조성물을 급냉시켜 원단 튜브를 형성시키고, 상기 원단 튜브를 연신장치내 2조의 닙롤(Nip-Roll) 사이를 이송시키는 동안 고분자 주쇄가 유연성을 갖도록 연화점 이상, 융점 이하의 연신온도에서 열풍으로 가열을 시킴과 동시에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압력으로 튜브 내부에 주입된 공기에 의해 버블을 형성시킨 후, 테이크업(Take-Up) 롤과 버블내의 공기양을 조절하여 가로 및 세로로 동시에 이축연신을 행하여 필름을 성형하였다. 이때 압출다이의 온도는 190℃이며 연신온도는 121℃이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수축필름의 수축율 및 투명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수지 3을 40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축필름을 제조하고, 필름의 수축율 및 투명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베이스 수지로 수지 2를 사용하고 수지 3을 20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축필름을 제조하고, 필름의 수축율 및 투명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베이스 수지인 수지 1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축필름을 제조하고, 필름의 수축율 및 투명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수지 3 대신에 수지 4를 20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 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축필름을 제조하고, 필름의 수축율 및 투명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수지 3 대신에 수지 5를 20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축필름을 제조하고, 필름의 수축율 및 투명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성물
베이스 수지 첨가 수지 첨가량(중량부)
실시예 1 수지 1 수지 3 10
실시예 2 수지 1 수지 3 40
비교예 1 수지 2 수지 3 20
비교예 2 수지 1 수지 3 0
비교예 3 수지 1 수지 4 20
비교예 4 수지 1 수지 5 20
[비고]
1) 수지 1: 삼원공중합체(프로필렌-에틸렌-1-부텐)
용융온도 130℃, MI(230℃, 2.16kg)=6.0g/10min
2) 수지 2: 랜덤공중합체(프로필렌-에틸렌)
용융온도 150℃, MI(230℃, 2.16kg)=6.0g/10min
3) 수지 3: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밀도 0.88, MI(230℃, 2.16kg)=6.0g/10min
4) 수지 4: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밀도 0.91, MI(190℃, 2.16kg)=6.0g/10min
5) 수지 5: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밀도 0.86, MI(230℃, 2.16kg)=6.0g/10min
필름 특성
수축율(%) 헤이즈(%)
실시예 1 65 2.0
실시예 2 70 2.0
비교예 1 50 2.5
비교예 2 55 2.0
비교예 3 55 2.0
비교예 4 65 4.0
[물성측정방법]
(1) 수축율: 수축필름을 폭 1cm, 길이 10cm로 샘플링한 후, 120℃로 유지되는 글리세린에 4초간 담궜다가 꺼내어 줄어든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수축율을 계산하였으며, 수축율은 60% 이상이 적당하다:
수축율(%)=(10-(줄어든 길이))/10×100
(2) 투명성: 수축필름의 흐림도를 ASTM D1003 규격에 따라 흐림도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필름 투명성의 척도로서 입사광에 대해 빛이 산란되는 정도를 측정하며 수치가 클수록 투명성이 낮음을 나타낸다.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의한 필름은 수축율 및 투명성이 모두 우수한 것에 비하여, 비교예에 의한 필름은 수축율과 투명성 중 어느 하나의 특성이 열세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수축성 및 투명성이 모두 우수한 수축필름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용융온도가 125~135℃이고 용융지수(230℃, 2.16㎏)가 5.0~7.0g/10min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밀도가 0.86~0.90이고 용융지수(230℃, 2.16㎏)가 1~10g/10min인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1∼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20010037063A 2001-06-27 2001-06-27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0745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063A KR100745323B1 (ko) 2001-06-27 2001-06-27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063A KR100745323B1 (ko) 2001-06-27 2001-06-27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720A KR20030001720A (ko) 2003-01-08
KR100745323B1 true KR100745323B1 (ko) 2007-08-01

Family

ID=2771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063A KR100745323B1 (ko) 2001-06-27 2001-06-27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577B1 (ko) * 2016-09-30 2018-10-1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투명성, 연질성 및 수축률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3346A (ja) * 1988-01-29 1989-08-03 Chisso Corp 防曇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イルム
US4923722A (en) * 1987-03-02 1990-05-08 Okura Industrial Co., Ltd. Heat shrinkable composite film and packaging method using same
JPH03293123A (ja) * 1990-04-11 1991-12-24 Chisso Corp 金属蒸着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H0768639A (ja) * 1993-09-03 1995-03-14 Gunze Ltd ポリプロピレン系熱収縮性フィルム
US5888640A (en) * 1997-07-09 1999-03-30 Mobil Oil Corporation Metallized uniaxially shrinkabl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3722A (en) * 1987-03-02 1990-05-08 Okura Industrial Co., Ltd. Heat shrinkable composite film and packaging method using same
JPH01193346A (ja) * 1988-01-29 1989-08-03 Chisso Corp 防曇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イルム
JPH03293123A (ja) * 1990-04-11 1991-12-24 Chisso Corp 金属蒸着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H0768639A (ja) * 1993-09-03 1995-03-14 Gunze Ltd ポリプロピレン系熱収縮性フィルム
US5888640A (en) * 1997-07-09 1999-03-30 Mobil Oil Corporation Metallized uniaxially shrinkabl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720A (ko)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3388B2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useful for making solid state oriented film
TWI597309B (zh) 拉伸聚丙烯薄膜
US10184043B2 (en) Polypropylene film with improved balance of mechanical properties
TWI607021B (zh) 聚丙烯薄膜
US7323252B2 (en) Biaxially oriented multilayer polypropylene film
JP2554362B2 (ja) 低温熱収縮性フィルム
ZA200603797B (en) Transparent and coloured cast film for in mould labelling application
CZ282444B6 (cs) Pěnový obalový materiál, smrštitelný teplem a způsob jeho výroby
US20100225032A1 (en) Cycloolefin resin composition
TW201412778A (zh) 聚丙烯薄膜
KR10190208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접착 필름
KR100745323B1 (ko)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20210067265A (ko)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축필름
KR101664584B1 (ko) 수축율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TWI607022B (zh) 模內標籤用聚丙烯薄膜
US4740529A (en) Heat resistant foamed shrinkable film
JP4113793B2 (ja) 熱収縮フィルム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熱収縮フィルム
KR100370265B1 (ko) 무광 적층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EP0434322B1 (en) Improved heat shrinkable polyolefin film
KR100538713B1 (ko) 투명성 및 진공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JPH0269237A (ja) 多層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100783554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0189266B1 (ko) 폴리프로필렌계 매트성 필름
JP4207606B2 (ja) 熱収縮フィルム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熱収縮フィルム
US20230212362A1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